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님의 침묵』의 어휘적 분석 - 고빈도 어절과 공기 관계 어절을 중심으로 -

        이정민,이원영 한성어문학회 2024 한성어문학 Vol.51 No.-

        This paper focuses on a lexical analysis of The Silence of Nim . For this purpose, the paper analyzes high-frequency words used in the collection of poems and those that are significantly collocated with these high-frequency words. Initially high-frequency words in the collection of poems were extracted. It was found that words including ‘I’, ‘You’, and ‘Nim’ appear frequently. First, High-frequency words in the collection of poems, such as those including ‘I’, ‘You’, and ‘Nim’, were extracted using AntConc. This revealed that words containing ‘I’, ‘You’, and ‘Nim’ frequently appear in the collection of poems. Next, words that have a strong collocation with the highest frequency words - ‘I’, ‘You’, and ‘Nim’ -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This revealed that words containing ‘I’ often collocate with poetic objects like ‘You’ or ‘Nim’, as well as with words like ‘Doesn’t exist’, ‘Give’, ‘Without’. Words containing ‘You’ are associated with those representing the speaker, such as ‘I’, and with words like ‘Doesn’t exist’, ‘However’, ‘Come’. Words containing ‘Nim’ are found alongside speaker-representing words and terms like ‘Ahah’, ‘Doesn’t exist’, ‘Give’. Finally, the lexical analysis of the poetry collection was synthesized, leading to an analysis and expansion of the understanding horizon of the collection of poems. The understanding of collection of poems, as identified through its lexical patterns, is that the core of the collection lies in distinguishing ‘Nim’ as either ‘You’ or ‘Nim’, recognizing ‘You’ and ‘Nim’ not in isolation but within the ‘I-You’ and ‘I-Nim’ relational frameworks, treating ’You‘ mainly as a matter of romantic affection and ‘Nim’ as a sublimated metaphysical issue derived from such affection, featuring paradoxical vocabulary that negates negation (absence, separation), and demonstrating through its lexicon an aesthetic of constructing metaphysics within the roots of romantic narratives through ‘You’ and ‘Nim’ 본고는 시집 『님의 침묵』에 대한 어휘적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시집에서 활용되는 고빈도 어절들과, 고빈도 어절과 주요하게 공기되는 어절들을 분석하였다. 먼저 AntConc를 활용하여 시집에 나타나는 고빈도 어절들을 추출하였다. 이를 통해 시집에서 ‘나’ 포함 어절, ‘당신’ 포함 어절, ‘님’ 포함 어절 등이 고빈도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시집의 가장 고빈도 어절인 ‘나’ 포함 어절, ‘당신’ 포함 어절, ‘님’ 포함 어절과 강한 공기 관계를 보이는 어절들을 분석하고 유형화하였다. 이를 통해 ‘나’ 포함 어절에는 시적 대상인 ‘당신’이나 ‘님’을 포함하는 어절들과 ‘없읍니다’, ‘주셔요’, ‘없는’ 등이, ‘당신’ 포함 어절에는 화자를 표상하는 ‘나’ 포함 어절들과 ‘없읍니다’, ‘그러나’, ‘오셔요’ 등이, ‘님’ 포함 어절에는 화자를 표상하는 어절들과 ‘아아’, ‘없읍니다’, ‘주셔요’ 등이 주요한 공기어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시집의 어휘 분석을 종합하면서 시집의 이해 지평을 분석・확장하였다. 어휘 양상을 통해 주요하게 확인되는 시집에 대한 이해는 시집의 핵심으로서 님이 ‘당신’이나 ‘님’으로 변별되어 나타난다는 점, 이러한 ‘당신’과 ‘님’이 고립적이기보다는 ‘나-당신’, ‘나-님’의 관계 구도 속에 인식된다는 점, ‘당신’은 주로 애정사적 문제로서, ‘님’은 이러한 ‘당신’의 애정사가 승화된 형이상학의 문제로서 다루어진다는 점, 부정(부재, 이별)을 부정함으로써 전복하는 역설의 어휘가 주요하게 나타난다는 점, 시집의 어휘가 ‘당신’과 ‘님’을 통해 애정사의 뿌리 속에서 형이상학을 구축하는 미학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 등이다.

      • KCI등재

        프로파일링 분석과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한 한국어교육학의 정체성 분석

        강범일,박지홍 한국정보관리학회 2013 정보관리학회지 Vol.30 No.4

        This study aims at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KFL) domain by using journal profiling and co-word analysis in comparison with the relevant and adjacent domains. Firstly, by extracting and comparing topic terms, we calculate the similarity of academic journals of the three domains, KFL, teaching Korean as a Native Language (KNL), and Korean Linguistics (KL). The result shows that the journals of KFL form a distinct cluster from the others. The profiling analysis and co-word analysis are then conducted to visualize the relationship among all the three domains in order to uncover the characteristics of KFL. The findings show that KFL is more similar to KNL than to KL. Finally, the comparison of knowledge structures of these three domains based on the co-word analysis demonstrates the uniqueness of KFL as an independent domain in relation with the other relevant domains. 이 연구에서는 프로파일링 분석과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해 인접 학문과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한국어교육학의 정체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한국어교육학, 국어교육학, 국어학 학술지의 논문에서 추출한 주제어를 기반으로 저널 프로파일링 분석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 한국어교육학 분야의 학술지들이 하나의 독립된 군집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문 분야 프로파일링 분석과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해 학문 분야 간 관계를 분석한 결과 한국어교육학이 국어학보다 국어교육학과 더 큰 유사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통해 세 학문 분야의 지적 구조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어교육학에서만 출현한 주제들을 확인함으로써 인접학문들과의 관계 속에서 한국어교육학이 드러내는 정체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상관단어 분석을 통한 반달가슴곰(Ursus thibetanus)의 연구 동향

        김기윤,나민호,홍성은,박영철,CHEONG EUN JU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9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3 No.2

        We investigated the research trend on the Asiatic black bear (Ursus thibetanus) which isdesignated as endangered species in Korea using co-word analysis method. This method analyzethe usage pattern of words in articles and explore the research trend in specific area. It alsoidentifies the strength of association among groups of words in bibliographic data, such askeyword lists, titles, and abstract by multivariate statistical techniques. Total of 97 researchpapers published from 2000 to 2017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most frequent researchtopics had been changed by the time period (5 year). During 2001~2006, researchers focused onthe behavior and ecology of the Asiatic black bear. It changed to biodiversity and populationfrom 2007 to 2013, and conflict with human-bear from 2014 to 2018. Research papers werepublished from 16 countries and Japan (42 cases), China (11 cases) and Korea (9 cases) produced the most. Each country has focused on different issues on the U. thibetanus. Geneticanalysis using microsatellite was appeared the common issue among these three countries. Theresults of co-word analysis of this study showed the research trend on the Asiatic black bearwill contribute to the restoration,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s in the future. 상관단어분석법(co-word analysis)은 출판물 내 단어들의 출현 패턴을 분석하는 기술로, 다변수통계 기법을 사용하여 키워드 목록, 제목, 초록과 같은 서지 정보 내 출현하는 단어들 간 연관성의 강도를 판별하는 분석방법이다. 연구 분야의 패턴변화와 향후 학문의 발전방향을 고찰하기 위해 국내 멸종위기종 반달가슴곰의 세계 연구 동향을 파악했다. 2000년부터 2017년까지 출간된 97편의 연구논문 분석 결과, 2000년 말기에서 최근까지 발표된 논문의 수가 2000년 초기보다 많았으나 크게 증가하지는않았다. 각 시기별로 발표된 최상위 출간빈도의 연구 내용은 2001년~2006년엔 행동·생태 분야,2007년~2013년엔 생물다양성·개체수 분야, 2014년~2018년엔 인간-곰 갈등에 관한 연구로 나타나는변화가 있었다. 16개 국가에서 연구 논문이 출간되었고, 출간 논문이 많은 국가는 일본(42건), 중국(11건),한국(9건) 순이었다. 그러나 각국마다 연구 분야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icrosatellite를 이용한 유전자 분석은 이 세 나라의 공통 이슈로 나타났다. 상관단어 분석을 이용한 연구동향 분석을 통해 향후 국내 반달가슴곰 복원 및 보전 사업, 데이터 기반의 관리계획 수립과 향후 연구방향에 유용한기초자료로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저자동시인용 분석과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한 의료정보학 저널의 지적구조 분석

        허고은,송민 한국정보관리학회 2013 정보관리학회지 Vol.30 No.2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convergence of various disciplines has been fostered. Accordingly, interdisciplinary studies have increasingly been expanded by integrating knowledge and methodology from different disciplines. The primary focus of biblimetric methods is on investigat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a field, and analysis of the characterization of interdisciplinary studies is overlooked. In this study, we aim to identify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field of medical informatics through author co-citation analysis and co-word analysis by the representative journal “IEEE ENG MED BIOL.” In addition, we examine authors and MeSH Terms of top three representative journals for further analysis of the field. We examine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medical informatics field by author and word clusters to identify the network structure of medical informatics disciplines. 학문과 기술의 발달이 전개되면서 학문 간의 융합이 이루어지고 학제적 성향을 띠는 학문이 더욱 등장하게 되었다. 현재까지 계량정보학적 방법으로 학문 분야의 지적구조를 파악한 연구는 있었지만 학제적인 학문의 특성을 규명하여 지적구조를 분석한 시도는 적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제성을 띠는 의료정보학(Medical Informatics) 분야의 저널 중 IEEE ENG MED BIOL 저널을 선정하여 저자동시인용 분석과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통해 본 저널의 지적구조를 파악하였다. 또한 상위 3개 대표 저널의 저자 및 MeSH Term을 추출하여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의료정보학 분야의 융합된 학문들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파악하고 의료정보학의 학문적 성향을 분석했다.

      • KCI등재

        과학교과서 텍스트의 계량적 분석을 이용한 과학 개념어의 생산적 지식 교육 방안 탐색

        윤은정 ( Eunjeong Yun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0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0 No.1

        Looking at the understanding of scientific concepts from a linguistic perspective, it is very important for students to develop a deep and sophisticated understanding of words used in scientific concept as well as the ability to use them correctly.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the basis for productive knowledge education of scientific words by noting that the foundation of productive knowledge teaching on scientific words is not well established, and by exploring ways to teach the relationship among words that constitute scientific concept in a productive and effective manner. To this end, we extracted the relationship among the words that make up the scientific concept from the text of science textbook by using quantitative text analysis methods, second, qualitatively examined the meaning of the word relationship extracted as a result of each method, and third, we proposed a writing activity method to help improve the productive knowledge of scientific concept words. We analyzed the text of the “Force and motion” unit on first grade science textbook by using four methods of quantitative linguistic analysis: word cluster, co-occurrence, text network analysis, and word-embedding. As results, this study suggests four writing activities, completing sentence activity by using the result of word cluster analysis, filling the blanks activity by using the result of co-occurrence analysis, material-oriented writing activities by using the result of text network analysis, and finally we made a list of important words by using the result of word embedding.

      • KCI등재

        Co-word analysis를 통한 가족 패러다임의 분석

        장임숙(Jang, Im Sook) 한국지방정부학회 2018 지방정부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가족 패러다임의 역학구조를 전체적으로 조망하고자 거시적이고 통시적인 관점에서 가족연구의 동향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코워드분석방법(Co-word Analysis)을 활용하여 가족 패러다임의 전체적 특성을 분석하고, 시기별·학문분야별 연구동향을 파악하여 시대적·학문적 흐름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분석대상은 2001년부터 2017년까지 발행된 KCI 등재학술지에 수록된 가족논문 5,171편을 대상으로 한다. 분석결과, 초기의 가족연구는 소수의 개념을 중심으로 집중적인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점차 다양한 개념들이 등장하면서 하위주제가 발전하고 심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그리고 학문분야에 따라 연구주제의 다양성과 키워드네트워크의 구조적 상이성이 발견되었다. This paper analyzes the trend of family studies from the perspective of macro and temporal perspective in order to overview the flow of family paradigm. First, This paper analyzes the evolutionary process of family paradigm using co-word analysis. Second,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temporal change and academic characteristics of family studi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by period and field. Analysis targets are for 5171 papers in the KCI Registration Journal published from 2001 to 2017.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arly family studies focused on a few concepts, but the sub-topics gradually diversified as a variety of concepts emerged. The diversity of study themes and the structural differences of keyword networks were shown according to the academic field.

      • KCI등재

        동시출현단어분석을 통한 데이터과학 분야의 지적구조에 관한 연구

        김현정 한국정보관리학회 2017 정보관리학회지 Vol.34 No.4

        Data Science is emerging as a closely related field of study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and as an interdisciplinary subject combining LIS, statistics and computer science in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value of data by applying what LIS has been doing for collecting, storing, organizing, analyzing, and utilizing information. To investigate which subject fields other than LIS, statistics, and computer science are related to Data Science, this study retrieved 667 materials from Web of Science Core Collection, extracted terms representing Web of Science Categories, examined subject fields that are studying Data Science using descriptive analysis, analyzed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field by co-word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and visualized the results as a Pathfinder network with clustering created with the PNNC clustering algorithm. The result of this study might help to understand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Data Science field, and may be helpful to give an idea for developing relatively new curriculum. 최근 문헌정보학의 관련 분야로 주목받고 있는 데이터과학은 오랫동안 문헌정보학에서 해오던 정보의 수집, 저장, 조직, 분석, 활용 등의 활동을 데이터에 적용하여 그 가치를 이해하려는 학문이며, 통계학과 컴퓨터공학 등 다른 학문분야와의 연계가 필요한 분야이다. 이러한 데이터과학 분야의 연구 영역을 파악하기 위하여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사용하여 Web of Science 핵심컬렉션에 수록된 문헌들 중 데이터과학 관련 자료들을 수집하고, 그 주제범주를 활용하여 네트워크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667건의 자료에 대한 159개의 주제범주를 기술분석하여 데이터과학 관련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학문분야를 조사하였고, 네트워크분석을 통해 데이터과학 분야 연구영역의 지적구조를 시각적으로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데이터과학 분야의 연구들은 2개 영역 9개 군집으로 구분되었으며, 주제범주의 용어들 중 중심성이 높은 용어들을 통해 각 군집의 대표적인 주제들을 선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데이터과학 분야의 연구들에 대한 지적구조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고, 문헌정보학과의 연계융합전공으로서의 데이터과학 교과과정 개발에 방향성을 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활용한 오픈액세스 분야의 지적구조 분석: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출판된 문헌정보학 저널을 기반으로

        김선겸,김완종,서태설,최현진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9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0 No.1

        Open access has emerged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crisis brought by scholarly communication on commercial publis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ntellectual structure that reflects the newest research trend in the field of open access, to identify how the subject area is structured by using co-word analysis, and compare and analyze with the existing study. In order to do this, the total number of dataset was 761 papers collected from Web of Science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2012 to November 2018 using information science and 2,321 keywords as a noun phase are extracted from titles and abstracts. To analyze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open access, 13 topic clusters are extracted by network analysis and the keywords with higher centrallity are drawn by visualizing the intellectual relationship. In addition, after clustering analysis, the relationship was analyzed by plotting the result on the multidimensional scaling map.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our research helps the research direction of open access for the future. 기존 상업 출판사 중심의 학술 커뮤니케이션 체제가 가져온 위기를 해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 오픈액세스가 등장하였다. 본 연구는 계량정보분석 기법 가운데 하나인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활용하여 오픈액세스 분야의 최신 연구 경향을 반영하는 지적구조를 제시하고 주제영역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두며, 기존에 수행되었던 오픈액세스 지적구조 분석 연구와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Web of Science로부터 오픈액세스 관련 키워드 검색을 통하여 2013년 1월 1일부터 2018년 11월 31일까지 출판된 문헌정보학 분야 논문 총 761편을 수집하였으며, 이들 논문 가운데 제목과 초록으로부터 명사구 형태의 키워드 총 2,321개를 추출하였다. 오픈액세스 지적구조 분석을 위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13개의 세부 주제영역이 추출되었으며, 지적관계를 시각화하여 전역 및 지역 중심성이 높은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또한 군집분석을 실시하고 이 결과를 다차원축적지도에 표시하여 키워드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앞으로 오픈액세스 영역에서의 연구 방향성 모색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통한 한국어교육에서의 챗봇 연구 방향 탐색-교육 분야 챗봇 관련 연구 동향 분석을 기반으로-

        허영수 국제어문학회 2023 국제어문 Vol.- No.98

        본 연구는 교육 분야에서 진행된 챗봇과 관련된 연구의 연구 동향을 살펴 한국어 교육에서의 챗봇 활용 및 연구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챗봇 관련 논문 148편을 선정하여, 동시출현단어와 네트워크 분석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논문 제목 기준 고빈도 단어 확인 결과 국내 챗봇 연구는 빌더 등을 사용한 ‘개발’ 연구보다 기존 상용화 챗봇을 이용한 ‘활용’ 연구가 더 많은 것으로나타났으며, 동시출현단어 분석에서는 국내 교육 관련 챗봇 연구가 ‘초등학생의영어 말하기 수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을 통해 논문 제목에서 고빈도로 나타났던 ‘영어, 초등, 활용’과 더불어‘정의’와 ‘어휘’도 핵심어임을 확인하였고, 서브그룹 분석에서는 ‘영어’를 중심으로하나의 그룹이, 그리고 ‘한국어’를 중심으로 또 다른 그룹으로 총 두 개의 서브그룹으로 분류가 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한국어 교육에서 챗봇 연구 방향에 관해 제안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교육 챗봇 연구에서는 상용화 챗봇을 활용하는 것보다는 챗봇빌더를 이용하여 개별적인 과업이나 학습자 상황에 맞는 목적형 챗봇을 개발하고 그 챗봇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더 의미가 있다. 둘째, 말하기 영역에서 챗봇 활용과 관련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학습자들의 발음 관련해서도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쓰기 기능에 대해서도 다양한 시도를 통해 챗봇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도출하는 연구를진행해야 한다. 넷째, 한국어 교육 챗봇 연구에서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에 관한분야에서도 좀 더 적극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use of chatbots andrelated research directi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examiningchatbot related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education. To this end,148 papers related to chatbots were selected and examined usingco-word and network analysis methods. First, by examining high-frequency words in paper titles, we wereable to determine that domestic chatbot research was conducted morethrough utilizing existing commercial chatbots than through theso-called “development” research using builders, etc. Additionally,through co-word analysis, it was observed that domestic chatbotresearch in the education domain primarily revolves around“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speaking classes.” Next, throughnetwork centrality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affective” and“vocabulary,” in addition to “English,” “elementary,” and “utilization,”were key words in thesis titles. In the subgroup analysis, two distinctsubgroups were identified: one centered around “English” and the otheraround “Korean.” Based on these analyses, the following proposals can be made regarding chatbot researc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irst, in the research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hatbots, it ismore meaningful to develop purpose-specific chatbots using chatbotbuilders for individual tasks or tailored to learner situations, rather thanrelying on existing commercial chatbots, and to derive ways toeffectively utilize the chatbots. Second, relatively numerous studieshave already been conducted on the use of chatbots in the speakingdomain,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concerning learners’pronunciation-related issues. Third, for the writing function, researchshould be conducted using various means to derive effective ways ofutilizing chatbots. Fourth, more proactive research is also needed in thefield of learners’ affective domai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chatbot research.

      • KCI등재

        국내 기업가정신의 연구동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동시단어분석 방법을 중심으로

        김영수,고종남,도만승 한국정보관리학회 2011 정보관리학회지 Vol.28 No.3

        This study conducted time-series analysis on domestic studies related to entrepreneurship for more than last 50 years by integrating the co-word analysis method of intellectual structure analysis into the study of entrepreneurship. The co-word analysis method is a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to analyze the overall trend of the study and further study topics by visualizing the information between study topics and arranging the topics on two-dimensional plane and the study result showed largely four phases and the direction of the study path.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study is started at embryonic study phase(third quadrant), the study topic of independent study phase(second quadrant) is a phase to be a settled independent area as a study and the topics of the study include topics of the study reflecting the situation of the times. At growing study phase(first quadrant) study topic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study topic are arranged, and the topics, the center of the study, are positioned at the study topics of maturity phase(4th quadrant). 본 연구는 지적구조분석의 동시단어분석(co-word Analysis)방법을 ‘기업가정신’의 연구에 접목하여 지난 50여 년 간의 ‘기업가정신’과 관련한 국내 연구를 단계별로 분석하였다. 동시단어분석 방법은 연구주제 간의 정보를 시각화하고 이차원 평면에 주제들을 배치하여 연구의 전체적인 동향과 향후 연구 주제를 분석하는 정량적 분석방법으로, 연구 결과 크게 4가지 단계의 연구 경로의 방향성이 도출되었다. 분석에 따르면, 태동기 연구단계(3사분면)에서 연구가 시작되고, 독자적 연구단계(2사분면)의 연구 주제는 연구로서의 독자적인 분야로 정착되는 단계이며,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는 연구의 주제들이 포함되어 있다. 성장기 연구단계(1사분면)는 연구주제에 가장 밀접한 관계에 있는 연구주제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성숙기(4사분면)의 연구주제들이 연구의 중심에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