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학대 특례법 시행 후 현장변화와 대응체계의 개선과제

        전경숙 국회입법조사처 2016 입법과 정책 Vol.8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the child abuse preventive system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Special Act on the Child Abuse Crime initiated on September 29, 2014 to propose policies for child abuse prevention and support for child victims. As it is in the initial stage of the law enforcement, currently there is no sufficient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for policy and institutional realization. Further, its focus is on solving the intensified problems of various confusions and heavy workloads in the field. This study includes the sections of current conditions of child abuse, improvements of child abuse prevention, and plans to establish a system to prevent child abuse and to protect child victims. Study methods include various administrative and statistical data, legal provisions, reports from child protection agencies, and Delphi survey. The major policy suggestions based on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 poor environment to provide preventive education programs to raise social awareness on child abuse issue, inadequate counseling and education for child-batterers, insufficient child victim shelters and treatment services, difficulty of cooperation between police and National Child Protection Agency, improvement of counselors' working conditions and ensuring their professionalism. In summary of the study findings, presented are suggestions to prevent child abuse and to operate child victim protective projects effectively. 본 연구는 2014년 9월 29일부터 아동학대 특례법이 시행됨에 따라 현장에서 제기되고 있는 아동학대 대응체계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분석하여 법 제정의 취지를 효과적으로 발휘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였다. 현재 법 시행 초기단계로 정책과 제도를 실현하기 위한 제반 인적・물적 인프라가 충분하지 않은 상황이고, 다양한 혼란과 업무과중 현상이 현장에서 심화되고 있는 실태를 파악하여 정책적 개선점을 제안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연구내용은 아동학대 특례법의 제정취지와 주요내용, 특례법 시행 후 현장변화와 아동학대 대응체계의 개선점, 아동학대 예방 및 피해아동 보호체계 구축방안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종 행정・통계자료 분석 및 법률 검토, 현장실무자 의견조사(Delphi survey) 방법을 활용하여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도출된 주요 정책시사점은 사회적 인식개선을 위한 교육여건 미흡, 학대행위자에 대한 상담 및 교육의 한계, 피해아동 보호시설 및 치료지원 서비스 부족, 경찰과 아동보호전문기관 간 업무협력의 어려움, 상담원 근무여건 개선 및 전문성 확보방안 마련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향후 아동학대를 예방하고 피해아동 보호지원 정책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혼외 부자관계에서 인지성립요건론의 재고

        백승흠(Baek Seung-Heum) 忠北大學校 法科大學 法學硏究所 2010 法學硏究 Vol.21 No.3

        'A child born out of wedlock' means a child who was born while his/her father and mother is not being married. Korean Civil Law(hereafter "Civil Law") Article 844 (Presumption as Husband's Child) prescribed the father-child relationship as follows ; (1) A child conceived by a wife during the marriage shall be presumed to be the child of the wife's husband. (2) A child born after two hundred days from the day when the marriage was formed or born within three hundred days from the day when the matrimonial relation was terminated, shall be presumed to have been conceived during the marriage. Article 844 has not applicate, however, to a child born out of wedlock. According to the legal attitude which made the child in wedlock superior to the child out of wedlock on the assumption that marriage, the legislature don't have to make any prescription on presumption as husband's child for a child out of wedlock. Furthermore, Civil Law Article 855 (Affiliation) prescribed a child out of wedlock as follows ; (1) A child born out of wedlock may be affiliated by its natural father or mother. When the marriage of the parent becomes null and void, the child born between them shall be deemed to be a child born out of wedlock. (2) A child born out of wedlock, when its father and mother marry, shall be deemed to be a child born during the marriage from the time of the marriage. And cases and the majority of scholars have recognized a principle that a delivery makes mother-child relationship except an abandoned child and a missing child. Therefore a child born out of wedlock has not a father until a father acknowledged him/her. Are these provisions adequate nowadays? Do they accord with the Best Interest of the Children Rule? Especially, we can easily confirm blood relationship through DNA testing, therefore the acknowledgement system in Civil Law has to be reviewed.

      • KCI등재

        아동학대 처벌규정에 관한 비교연구 - 어린이집과 유치원 사례를 중심으로 -

        이춘화,이승남,최현경,김현수 한국아동권리학회 2015 아동과 권리 Vol.19 No.4

        There has been a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cases of child abuse in child-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To assure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social services such as child-care and education, there has been increased emphasis on the punishment regulations for child maltreat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application of punishment regulations to child maltreatment between child-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For this purpose, first, it compared applications of the penal provisions on teachers, directors, and institutions of child-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Second, it also compared reinforcement of the regulations of child abuse maltreatment after the enactment of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Child Abuse Crime.” Based on this comparison, implications for the enhancement of child rights and safety were discussed. 아동들이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의 학대발생건수가 증가하고 있다. 보육․교육과 같은 사회서비스가 가지는 사회적 책임을 담보하기 위한 최소한의 대응으로 아동학대 범죄에 대한 처벌규정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발생한 아동학대 사건을 보면, 같은 아동학대 행위임에도 불구하고 발생장소에 따라, 주무부처가 어디인지에 따라 처벌규정의 적용과 양형에 차이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발생한 아동학대사건 사례를 이용하여 첫째, 사례에 적용된 아동학대 처벌규정과 양형을 교사(아동학대 가해자), 원장(관련 책임자), 기관(어린이집, 유치원)으로 구분하여 비교해 보고, 둘째, 아동 권리와 보호 측면에서 아동학대범죄 특례법제정 이후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적용되는 아동학대 처벌규정이 어떻게 강화되어 적용되었는지 그 변화를 비교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권리’와 법적 보호의 미흡한 부분을 발견하고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한계에 직면한 어린이 전도, 그 진단과 대안 연구

        최광희(Kwang-hee Choi),김창훈(Chang Hoon Kim) 신학지남사 2019 신학지남 Vol.86 No.4

        The Korean church is now facing a sharp decline in the next generation and Child Evangelism in Korean churches is facing limitations. The biblical and theological basis for child evangelism is inconclusive and the idea of just maintaining the Sunday school is the norm of today. Therefore, reality of child evangelism has become much arduous and leaves us without a child evangelism strategy. In times like these, we should find God’s will for the children from the Bible and recognize throughout the history of the Church the importance of focusing on children. We should remember that the children are the good ground(Mt 13:8) to receive the gospel. It is true that child evangelism is difficult at present, but God will bring forth fruit if we make strategies based on the power of the Gospel, the child dynamics, and reflect on the current trends. So with much prayer and deliberation we must begin strategizing for child evangelism. The first part of the strategy is to go out and evangelize, specially focus on gradually developing relationships with children. The second is to have children come to enjoy and experience the church environment and eventually evangelize, specially focusing on helping the child to habituate. We also need to remember the guidelines for effective child evangelism. First, let the children be the subject of evangelism. Second, make church festivities and retreats a path of Child Evangelism. Third, pray for children with a loving heart. The Korean church should once again focus on child evangelism. Child evangelism is not over yet, we have much work to do. God will give us the wisdom, power, and fruits of evangelism to those who seek God’s love and love for children with passion.

      • KCI등재후보

        놀이와 학습을 위한 아동용가구의 디자인방향 모색

        이미혜,양승희 한국가구학회 2008 한국가구학회지 Vol.19 No.5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design on the basis of the children’ emotion, by instancing the child-oriented furniture that contributes to the healthy growing and emotion-development of children. This means the reflection of the will trying to see the main point of design for the child-oriented furniture and it’s possibility from another new standpoint. It will be understood how far the furniture influences the children and for that the furniture among others for the preschool children having playing & leaning functions is taken as an object of the study. The scope of study is the child-oriented furniture having playing & learning functions that has been presented for displaying as well as for a commercial use, since 2005. The attempt to find objective factors working positively for the emotion- & behavior development of children through seeking a new design of the child-oriented furniture for playing & learning is for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emotional function, not only the primary function of furniture, at designing the child-oriented furniture. The combination between applications of the specialized material for child education & studies, therefore, has to be handled more importantly. The child-oriented furniture for playing & leaning that stimulates a healthy growing of child not only physically, also emotionally should be constantly and more deeply specialized on child education and design aspects.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design on the basis of the children’ emotion, by instancing the child-oriented furniture that contributes to the healthy growing and emotion-development of children. This means the reflection of the will trying to see the main point of design for the child-oriented furniture and it’s possibility from another new standpoint. It will be understood how far the furniture influences the children and for that the furniture among others for the preschool children having playing & leaning functions is taken as an object of the study. The scope of study is the child-oriented furniture having playing & learning functions that has been presented for displaying as well as for a commercial use, since 2005. The attempt to find objective factors working positively for the emotion- & behavior development of children through seeking a new design of the child-oriented furniture for playing & learning is for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emotional function, not only the primary function of furniture, at designing the child-oriented furniture. The combination between applications of the specialized material for child education & studies, therefore, has to be handled more importantly. The child-oriented furniture for playing & leaning that stimulates a healthy growing of child not only physically, also emotionally should be constantly and more deeply specialized on child education and design aspects.

      • KCI등재

        아동학대행위자 분리방안을 위한 탐색적 연구

        황옥경(Ock-Kyeung Hwang),송미령(Mi Ryoung S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4

        본 연구는 아동학대 가해자를 가정에서 분리 조치할 수 있는 실효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피해아동과 아동학대행위자 분리조치에 관여하고 있는 사법 분야 및 아동복지 분야 전문가 8명을 대상으로 FGI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피해아동과 아동학대행위자 간의 분리 필요’, ‘분리 조치 과정에서 문제점’, ‘아동학대행위자 분리 및 격리를 위한 실질적인 대안’등으로 정리하였다. 아동 안전을 위해, 아동 최선의 이익 관점에서 아동학대행위자와 피해아동 분리 보호 우선 고려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분리조치 과정에서 현장 대응 인력이 갖게 되는 부담감, 아동학대행위자 분리 및 격리조치에 따른 대비책 미비, 현재 응급조치 및 긴급임시조치의 처벌 규정의 미비, 피해아동 보호를 위해 아동을 분리를 먼저 고려하는 것이 문제로 느끼지 못하는 인식 등이다. 이에 대해 아동학대행위자 분리 및 격리조치를 위한 실질적인 대안에 관하여서는 현장조사 시 활용할 수 있는 명확한 지침 마련, 아동학대행위자 분리 및 격리 조치 시행령 및 시행규칙 등 마련, 감호위탁 근거 규정 마련, 아동학대행위자 분리조치가 가능한 양육지원 서비스 강화, 아동학대사건을 바라보는 인식 전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피해아동의 이익 중심의 아동학대행위자 분리제도 도입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아동학대행위자 우선 분리에 대한 인식 제고, 아동 안전장치를 마련하기 위해, 가해자 분리하여 격리 방안으로 체포, 임시조치 강화와 감호위탁 근거 규정 마련, 감호위탁시설 및 격리를 위한 일시거주시설확대, 행위자가해자 분리조치 이후 원가정 양육기능 지원 등이 실효성 있는 제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effective measures to separate and isolate child abusers at home. focus group interviews (FGIs) were conducted on eight experts in the field of justice and child welfare who were involved in the separation of victims and child abusers. The FGI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need to separate the victim from the child abuser, problems in the process of separation measures, and practical alternatives for the separation and isolation of child abusers. Concerning child safety, it was responded that the separation protection of child abusers and victims should be considered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est interests of children. The burden of on-site response personnel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child abusers, lack of countermeasures for separating and isolating child abusers, lack of punishment regulations for emergency and emergency temporary measures, and the recognition that separating children first were not considered problematic. Regarding practical alternatives to the separation and isolation of child abusers, the need to prepare clear guidelines for the use of on-site investigations, implementation and enforcement regulations for separation of child abusers, strengthening child support services, and changing perception of child abuse cases were suggested by respondents. Based on these results, a plan to introduce a separation system for child abuse offenders centered on the interests of victims can be proposed as follows. To raise awareness of the separation of child abusers and provide child safety devices, effective systems should be implemented to separate perpetrators, strengthen temporary measures, and provide temporary residential facilities for custody and isolation.

      • KCI등재

        일본에서의 아동학대 대응체제와 현황

        최순자 한국일본교육학회 2018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2 No.3

        아동학대는 평생 트라우마로 남을 수 있고, 특히 아동기 학대 경험은 인격형성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심각한 문제이다. 본 연구는 일본 아동학대의 대응체제와 현황을 살펴보므로 한국의 아동학대 예방과 대응책에 시사점을 주고자 함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및 법률, 정부 통계 등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본에서는 1990년대부터 아동학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았다. 2000년에 ‘아동학대방지법’의 제정으로 그에 대한 예방과 대응에 본격적으로 임했다. 2017년 6월에는 아동학대 예방과 대응을 강화하기 위해 가정재판소가 지방자치단체에 보호자 지도를 권고할 수 있게 하는 등 법적 관여를 강화하는 내용의 법 개정이 이루어졌다. 아동학대에 대응하는 주된 기관으로는 아동상담소가 지방자치단체인 시정촌의 ‘요보호아동대책지역협의회’와 연계하여 학대 아동에 대해 체계적으로 대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문부과학성에서도 학교 교직원, 교육위원회, 학생,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아동학대의 조기예방과 발견, 대응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최근의 아동학대 현황을 살펴보면 계속 증가추세에 있으며, 유형별로는 심리적 학대, 학대자는 친엄마, 학대 받는 연령은 취학 전 영유아가 가장 많았다. 일본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도 아동학대는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친부모에 의한 아동학대가 가장 많다. 부모가 자녀를 하나의 인격체로 생각하는 자녀관을 갖도록 하는 인식전환 교육과 더불어 지역과 기관이 연계하여 아동학대를 예방하고 대응해야 할 것이다. Child abuse is a serious problem in terms of child abuse in terms of child abuse and child abuse, and this study aims to help children misunderstand their children's abuse of child abus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s through the use of Japanese child abuse. Child abuse prevention law was enforced in earnest in 2000 by child abuse prevention law, and in June 2017, the Family Court revised the law to strengthen child abus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s to strengthen child abus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s against child abuse. Child abuse centers have been able to systematically deal with child abuse in collaboration with municipal councils on child welfare countermeasures. The Ministry of Education, We learned that students are working toward early prevention and discovery of child abuse, education boards, students and local communities. The current situation of child abuse has continued to increase, with the prevalence of childhood abuse, abuse of children, and abuse of abused children. Like Japan, child abuse continues to increase, and children's abuse of child abuse is the most common way of child abuse. Along with the education of children who view children as one of the children's attitudes toward children as a personality trait, it will be necessary to prevent child abuse from being abused and to deal with child abuse.

      • KCI등재

        아동친화 도시환경을 위한 공공디자인 정책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김연주 ( Kim Yeonjoo ),장영호 ( Jang Youngho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4

        (연구배경 및 목적) 포용력을 갖춘 사회는 국가가 사회적 약자를 어떠한 방식으로 대하고 있느냐에 따라 그 척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는 성숙한 시민의식과 함께 사회적 약자를 보호할 수 있는 국가와 지방정부의 행정 능력을 요구한다. 하지만 오늘날 우리 사회는 사회적 약자에 관하여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게 되는데 그중 아동과 관련한 사고와 범죄 등에 있어서 만큼은 국가와 시민의식 모두에게 사회적인 경종을 울린다. 그리하여 아동의 양육은 더는 개인의 영역이 아닌 국가의 사회적 책임으로 전환되었으며 이를 위해 공공의 개입과 더불어 아동친화적인 도시환경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시대로 도래했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친화 도시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현재 국제사회가 추구하는 아동친화도시 계획과 함께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아동의 안전과 편의 등에 관하여 제시하고 있는 정책과 사업의 동향을 파악하여 공공디자인의 관점에서 아동친화 도시환경 조성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국제사회와 국가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의 아동친화 공공디자인 정책 동향을 도출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참고문헌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아동친화 도시환경과 공공디자인의 정의 및 의미를 고찰하였으며 국제사회가 추구하는 아동친화 공공디자인의 특징을 도출하기 위해 유니세프의 아동 대응 도시계획 지침과 아동친화 시범도시로써 선도적 의미가 있는 독일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둘째, 국제사회와 비견하는 국가 및 지방정부의 아동친화 공공디자인의 특징을 도출하고자 국가의 아동친화 정책, 국가 공공디자인 진흥 종합계획과 함께 광역지자체인 서울시와 경기도, 그리고 아동친화도시를 추진하고 있는 성남시와 안산시를 기초지자체의 사례로 선정하여 국가와 지방정부의 아동친화 정책과 공공디자인의 계획 현황을 비교·분석하여 살펴보았다. 셋째, 앞서 연구한 국제사회와 비교하여 국가 및 지방정부가 갖추어야 할 아동친화 도시환경을 위한 공공디자인 정책의 방향성을 검토하였다. (결과) 본 연구를 통해 국제사회와 국가 및 지방정부가 바라보는 아동친화 공공디자인의 관점이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국제사회는 도시환경 전반에서 아동의 관점으로 물리·비 물리적 정책과 계획을 마련할 때 아동의 참여와 거버넌스의 구축을 중요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던 반면, 국가와 지방정부는 정책과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보다 현재 사회문제에 기인한 대안적 방안으로 아동의 교육환경에 집중하여 정책에서는 아동 교육의 질적 제고를 목표로 하며, 계획에서는 아동 교육환경의 물리적 안전성의 강화를 목표하는 것을 도출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차회 공공디자인 정책은 아동친화 도시환경을 위한 공공디자인이 계획의 과정에서부터 문제의 정의와 이에 따른 공공디자인적 대안을 제시하기까지 아동의 관점이 반영될 수 있도록 국가와 지방정부 차원의 아동 참여 제도를 마련하고 확장된 범위로 아동의 생활 활동 전반을 포함하는 계획의 근거가 되는 폭넓은 정책으로 거듭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An inclusive society can measure its scale depending on how the state treats the socially disadvantaged. This requires a mature sense of citizenship and the administrative ability of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to protect the socially disadvantaged. However, among the various social problems facing our society today, child-related accidents and crimes are a social alarm for both the state and citizenship. Therefore, child rearing has been transformed into a social responsibility shared by the state and the local community, which has come to an era where public intervention and the need for a child-friendly urban environment are emphas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rends of policies and projects proposed by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on the safety and convenience of children, along with the child-friendly urban environment pursu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Method) In order to derive trends in child-friendly public design pursu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ways: First, based on reference and prior research, we reviewed the definition and meaning of child-friendly urban environment and public design, and looked at UNICEF guidelines for child-friendly urban planning and Germany's case of leading as a child-friendly city. Second, to draw characteristics of child-friendly public design by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compared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e selected Seoul, Gyeonggi-do, Seongnam and Ansan as examples of child-friendly policies and public design promotional plans. Third, the direction of child-friendly public design policies that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have compared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tudied earlier was reviewed. (Results) Through this study, we could see that different perspective of child-friendly public design betwee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Whil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as able to see the importance of child participation and governance in preparing physical and non-physical policies and plans throughout the urban environment, the nation and local governments focused 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children as alternative measures based on current social problems rather tha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policies and plans. The national policy aimed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ren's education, and the national plan aimed to strengthen the physical safety of the children's education environment. (Conclusions) Based on this study, we hope that public design for child-friendly urban environments will be transformed into a wider policy that will cover children's perspective from the planning process to the definition of problems and the public design alternatives as a basis that establishment of child participation systems at the national and local levels and a plan that includes the whole life activities of children.

      • KCI등재

        부모 자녀 의사소통과 자녀의 자아존중감: 순응, 저항, 화응, 무시 의사소통과 의사소통량이 여자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김반야 ( Banya Kim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5 No.1

        이 연구는 부모 자녀 관계에서 발생하는 서로 다른 성격의 의사소통-순응, 저항, 화응, 무시가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했다. 순응, 저항, 화응, 무시 의사소통은 부모의 행동적 통제와 지지에 대한 자녀의 수용 및 거절을 기준으로 구성되었다. 이와 함께 순응, 저항, 화응, 무시 의사소통이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가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량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12-15세 여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총 403명의 응답값을 통계적으로 분석했다. 어머니와의 대화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면대면 대화와 휴대전화 이용을 포함하였다. 그 결과 부모의 행동적 통제와 지지, 그리고 그에 대한 자녀의 수용 및 거절에 따라 부모 자녀 의사소통이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부모 자녀 의사소통량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부모 자녀 의사소통의 성격을 설명하는 기준으로서의 순응, 저항, 화응, 무시 의사소통의 타당성을 확인했다. 이는 부모 자녀 의사소통에서 자녀의 역할 및 중요성을 보여주며 부모 자녀 의사소통 연구를 다양한 관점에서 입체적으로 접근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 This research firs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four type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compliance,” “resistance,” “reciprocation,” and “ignorance”─and child`s self-esteem. These type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emerge from two parental behaviors─parental behavioral control and support─and the child`s reactions to them─ acceptance and denial. Child`s behaviors are considered as reflections of positive or negative perceptions toward parental behaviors. In addition, this research investigates mediating effect of the quantity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between the four type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child`s self-esteem. For this research, an online survey of middle-school girls aged 12 to 15 was conducted (N=403), and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is study was limited to mother and daughter communication, and it included both face to face and mediated communication. The results reveal that the effe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varies depending on not only subcategories of parental behaviors but also a child`s perception of and attitude toward them.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quantity among the communication types and child`s self-esteem was not established. The results confirm the validity of the four type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as a yardstick to explain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of each parent-child relationship. This study shows the importance of child`s role and reciprocity i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also provides a critical insight into future parent-child communication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