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사회 복지태도 변화의 역동성: 개인 복지태도 변화에 대한 종단자료 분석

        이상록,이순아,김형관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7 사회복지연구 Vol.48 No.4

        Changes in the public welfare attitudes are very important to the welfare politics and policy. Considering that variability of public welfare attitudes has been ignored in previous studies, we analyzed welfare attitudes changes at individual level in Korea. Using the longitudinal data from the Additional Survey of 2010/2013/2016 Korea Welfare Panel Survey, we analyzed the changes in public welfare attitudes during 2010th-2016th year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ne of the findings from analysis is that the public welfare attitudes are very active and dynamic in Korea. This finding is contradiction to the results of the previous researches that are point to the stability or inertia of the public welfare attitudes in western welfare states and also in Korea. Second, occurrences of the welfare attitudes change are related with various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come status, occupation status, age, region, sex, political ideology, etc. These results from this study on the welfare attitudes change suggest that dynamics of the Korea welfare politics in recent years reflected the dynamic changes in public welfare attitudes. And, they suggest that Korea welfare politics are transformed from the traditional classes welfare politics to the new welfare politics which are influenced by various interests of the socio-demographic groups. 개인 복지태도의 변동성은 해당 사회의 복지태도 양상 및 특성, 이의 정치적 영향 등을 파악함에 있어 주목되어야 할 부분이다. 이러한 점에 입각하여, 본 연구에서는 개인 복지태도의 종단 변화에 대한 분석 및 고찰을 통해 한국사회 복지태도 변화의 양상 및 특성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에는 2010년, 2013년, 2016년도 한국복지패널조사 복지인식 부가조사를 활용하였으며, 개인 복지태도의 변화는 ‘소득격차해소의 정부책임성’, ‘복지증세’ ‘보편(선별)복지’ 등의 3개 주요 복지태도 항목들에서 지지 상태의 변화 뿐 아니라 다양한 변화 유형들(친복지적 태도 변화와 반복지적인 태도 변화; 미온적인 지지태도 변화와 극적인 지지태도 변화)로 측정,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서는, 복지태도 항목들의 미약한 평균치 변화와는 달리 개인 수준의 지지 태도의 변화는 매우 활발하여, 한국사회에서 개인 복지태도 변화의 역동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개인 특성에 따른 복지태도 변화 분포는 복지이슈 및 시기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여, 복지태도의 변화는 특정 집단에 국한되지 않고 정치사회적 상황 및 이슈에 따라 역동적으로 발생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이항 및 다항 로짓 모델들의 분석에서 복지태도 변화는 성별, 연령, 거주지역, 고용지위, 소득계층, 정치이념 등의 다양한 개인 특성과 유의하게 관련된 것으로 나타나, 복지태도 변화에는 계층 및 계급적 이해 뿐 아니라 다양한 측면의 개인적 이해가 개입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사회에서 개인 수준의 활발한 복지태도의 변화 혹은 역동적 변화를 확인하는 바로, 정태적인 분석 접근에서 벗어나 한국인의 활발한 복지태도 변화에 대한 학술적, 정치적 주목의 필요성을 환기하여 준다.

      • KCI등재

        한국사회 복지태도 유형의 변화와 영향 요인 - 복지확대와 복지증세에 대한 이중적 복지태도를 중심으로 -

        이상록 ( Lee Sang-rok ),김형관 ( Kim Hyeong-kwan ) 한국자치행정학회 2021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5 No.4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회의 주요 복지이슈인 복지확대와 복지증세에 대한 대중 복지태도 유형들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특히, 이중적 복지태도가 한국 복지정치에서 논란이 되고 있음에 주목하여, 이중적 복지태도의 변화 양상 및 이와 관련된 영향 요인을 분석,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분석자료로 2013-2019년도 한국복지패널 조사자료를 결합한 종단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복지태도 유형의 이행 양상 및 태도 변화에의 영향 요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복지태도 유형들의 태도 변화율은 50-7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 대중 복지태도 변화의 역동성이 두드러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복지태도 유형 변화의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결과, 소득계층 및 정치이념 보다는 성, 연령, 학력, 거주지역 등이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이중적 복지태도는 전체 태도 유형의 40%에 이르러 한국사회의 주요 복지태도 유형으로 파악되었지만, 두 시점(T-T+3)에서 이들 태도의 유지 비율은 30% 이하에 불과하여 이중적 복지태도의 불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이중적 복지태도 변화의 영향 요인에 대한 분석에서는 이해관계에 따른 태도 변화의 발생이 두드러지고, 이중적 복지태도 집단의 구성이 이질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복지확대와 복지증세의 복지이슈를 둘러싼 대중의 복지태도 유형이 이해 관계에 따라 역동적으로 변화되는 양상임을 확인하는 바로, 한국사회 복지태도 특성 파악에 이와 같은 복지태도의 가변성에 대한 고려가 요청됨을 시사한다. 아울러, 한국 복지정책 및 복지정치의 향후 전개양상은 대중 복지태도 변화의 역동성에 의해 좌우될 수 있기에, 이에 대한 정치적 및 정책적 관심이 제고될 필요가 있음을 환기하여 준다. In this article, we study changes of the welfare attitude types over the welfare expansion and tax-increase so as to investigate changing patterns and peculiarity of the attitude about welfare issues in Korea. Especially, we examine changes of the ambivalent attitudes because they have been the controversial and important issue in welfare politics in Korea. Using the data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urvey 2013th~2019th, we investigate the change patterns of attitudes types and determinants of their chang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stimates of the changing ratio in four attitude types are about 50~70%. This results suggest that dynamic changing of the attitudes is a peculiarity of Koreans’ welfare attitudes. Second, results of the logistic models shows that the socio-demographic factors(ie. gender, age, education, living area) are more important to change of the attitude types than political ideology, income class. This result suggests that changes of welfare attitude types are more strongly related with individual or group interests in Korea. Third, from the result that ratio of maintaining ambivalent attitudes from T to T+3 are about 40%, we found that ambivalent welfare attitudes is very unstable in Korea. This study findings suggest that dynamic changes of the welfare attitudes toward the welfare issues is a peculiarity of the korean’s welfare attitudes. And they imply that considerations of the volatility and multi-dimensionality of welfare attitude are necessary to advance in-depth understandings of the korean’s welfare attitudes.

      • KCI등재후보

        환경교육 직무연수를 통한 교사들의 의식변화와 양면가치태도 변화 분석

        이진헌,성정진,최진하 한국환경교육학회 2005 環境 敎育 Vol.18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of consciousness and ambivalent attitudes about the important environmental issues among the teachers who enrolle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raining.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composed with 47 and 30 person, respectively. Environmental issues were constructions of sea-wall, nuclear power plant and dam. Cronbach alpha of the self-developed questionnaire was 0.6909∼0.8992. Score were made with 5 Likert scales for consciousness, and with semantic differential half scale for ambivalent attitudes. Almost teachers(94.0% and 97.1%) have above 10 years teaching career. Strangers in environmental program were 53.2%.After environmental training, teachers' consciousness was significantly changed to negative about the construction of sea-wall for the farm field and industry complex area(p= 0.019), and about the construction of dam for disaster like flood(p=0.026), and for adverse effects of citizen by fog(p=0.042). They were also significantly changed to negative about the construction of nuclear power plant for economical energy(p=0.004)', no-emission of greenhouse gases(p=0.033)', 'alternative energy(p=0.000)', 'destruction of ecology(p=0.052)' and 'social fear (p=0.009)'. The consciousness of teachers who have the experience of environmental training, were significantly changed to negative about the construction of nuclear power plant.Scores of teachers' ambivalent attitudes were made lower in experimental than control group about the construction of sea-wall and nuclear power plant. After education training, they were made lower so much as -10.0% in control, but higher much as +4.4% in experimental, and severely higher much as 86.5% in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the environmental training about construction of sea-wall. Their scores were made lower so much as -3.3% in control, but much as -6.4% in control.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태도 변화에 관한 연구

        이목자 ( Li Muzi ) 한국어교육연구소 2019 한국어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서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 거주 기간별로 갖고 있는 학습 태도가 어떤지를 밝힘으로써 그들의 학습 태도 변화 과정을 추출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 연구를 참고하면서 학습자의 학습 태도를 측정하는 설문지를 만들어 중국인 학습자 126을 대상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서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 생활 1년 차 때 가지고 있는 학습태도는 긍정적이었지만 한국에서 2년에서 4년 정도 지내면서 한국어 학습 태도가 부정적인 방향으로 변하게 되었다가, 한국 생활 5년 차 때부터 다시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하게 된 것을 확인되었다. 그리고 성별 요인이 학습 태도 변화와의 관계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남성 학습자의 학습태도 변화 과정은 전체 학습자의 학습 태도 변화 과정과 비슷하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여성학습자들이 한국 유학 생활 1년차 때는 긍정적인 학습태도를 갖고 있다가 2-4년차 때는 학습태도가 부정적인 방향을 변하게 되고, 그 이후에도 계속 비슷한 태도가 유지되어 있다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t검증을 통해서 본고에서 설정하는 한국인에 태도는 한국어 학습 태도에 영향을 가장 많이 줄 수 있는 태도 유형이라는 것을 확인되었고, F검증을 통해서 연령 요인이 중국인 학습자의 학습태도 변화에 영향을 끼치지 않은 것도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학습자의 한국어 성취도와 한국어 학습 태도 간에 반비례적인 관계를 갖고 있다는 연구 결과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the process of change of learning attitudes by explaining the learning attitudes of Chinese learners in the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through questionnaire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conducted questionnaires to measure learners' attitudes toward learning by referring to previous research. As a result of the survey data, it was found that Chinese learners had a positive attitude toward learning in their first year of life in Korea. However, their attitudes toward Korean language changed in the negative direction from 2 to 4 years in Korea, It turned out that it changed again in the positive direction from the fifth year.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factors and learning attitude change was also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cess of change of learning attitude of male learners is similar to that of change of learning attitudes of all learners. However, female learners have a positive learning attitude at the first year of studying in Korea, It seems that the negative direction has changed, and there has been a similar attitude since then. In addition, through the t - 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attitude toward Koreans set in this paper is the attitude type which give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attitude of Korean learning, and the F factor affects the change of learning attitude of Chinese learners . Finally, the study also showed that the learners had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achievement and the Korean learning attitude.

      • 태도와 태도변화

        이수원,박광엽 영곡사회심리발달학회 2020 사회심리발달연구 Vol.1 No.1

        인간의 사회적 행동을 결정하는 핵심변인 중 하나가 태도라는 것에 많은 연구자가가 동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태도와 관련된 연구결과들을 종합 분석하여 연구의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태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분석 정리하였고, 태도변화와 관련된 연구결과들을 통해 태도변화 결정요인들에 대한 쟁점들을 제시하였다. 또한 태도변화 관련 핵심이론을 세 가지 제시하여 후속 연구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A number of researchers have agreed that an attitude, as the primary variable, determines social behaviors. In this research, the authors aim to suggest future research areas by analyzing the extensive literature regarding attitudes. With this objective, the authors aim to achieve followings in this research : a) analyze the structure and the functions of attitudes by reviewing extensive articles in this field, b) point out the factors of attitude change utilizing the literature regarding attitude change, and c) suggest future research areas in the attitude change study by providing three significant theories dealing with attitude changes.

      • KCI등재

        태도 변경을 통한 체육수업전문성의 개념 탐색

        이영국(YoungKukLee) 한국체육학회 2012 한국체육학회지 Vol.51 No.2

        최근 학교현장에 교원평가제가 적용되면서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지만 해당 교과에 대한 수업전문성 연구가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수업전문성을 바라보는 지배적인 태도들의 특징과 한계점 등을 제시하는 작업과 함께 대안적인 태도로의 변경이 의미 있는 일임을 밝히는 데 있다. 먼저, 체육교사의 지배적인 태도로서‘운동 중시형’ 태도와‘심성 중시형’ 태도의 사회적, 역사적 배경과 체육교사의 관심을 다룬다. 이어서 두 가지 태도를 비판하고 대안적인 태도로서‘의미 중시형 태도’의 철학적 배경과 체육교사의 관심을 제시한다. 말하자면 태도의‘배경’과 교사의‘관심’이라는 두 가지 개념틀로써 체육수업전문성의 개념 탐색을 시도했으며 마지막 절에서는 의미 중시형 태도가 체육을 가르치는 사람에게 어떤 기여를 하는지 밝혔다. Although the interest in teachers'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is now increasing as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has been conducted, PE teachers'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has been out of focus until now. This paper aimed to explore the ground of PE teachers'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in the context of attitude changes which mean the phenomenological reduction. As a result, the shape of PE teachers'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was uncovered by 3 attitude changes that was composed of 'sport-centered attitude' and 'character-centered attitude' which had been dominant at a field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and 'meaning-centered attitude' that was an alternative one. The method of describing each of 3 attitudes included discussing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background of attitudes and interest of PE teachers. Finally, this paper described the essence of meaning- centered attitude to allow PE teachers to improve their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 KCI등재후보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변화

        조규영,서석진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8 특수교육논총 Vol.34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경북에 소재한 K대학교 유아교육과 2학년 학생 79명을 대상으로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이 장애인에 대한 태도 변화에 양적인 변화와 질적인 변화 모두를 일으킬 수 있는 지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K대학교 유아교육과 2학년 학생 79명을 대상으로 특수교육학개론 수업 이전에 장애인 태도 척도를 사전 조사한 후에 15회기의 수업이 종료하고 사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전사후 조사에 대한 통계처리를 하였다. 그리고 장애인에 대한 태도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서술한 기술지에 대한 질적 분석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양적인 변화로 장애인에 대한 척도 조사에서 사전 결과보다 사후 결과가 더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인 유의함을 보였다. 기술지 분석에서도 장애인에 대한 태도가 변화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결론: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은 예비유아교사들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변화를 가져왔다. 장애인에 대한 태도 척도가 제시된 설문조사에서의 6가지 하위영역 모두 통계적인 유의함을 나타내었다. 질적인 분석에서 장애인에 대한 지식, 정서, 행동의 세 가지 측면에서 변화가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결론을 근거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79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of K University's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in Gyeongbuk Province to see whether the special education introductory class can cause both quantitative change and qualitative change in attitude chang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Method: After examining the attitude scale of the disabled before the special education introductory class to 79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of K Univers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15th class was completed and the follow-up survey was conducted. We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of post-mortem surveys, and also conducted qualitative analysis of the technical journals describing how attitude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changed. Results: Quantitative changes showed higher post-results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than the preliminary results in the measure of the disabilities. In the technical analysis, the attitude toward the disabled was changed. Conclusion: Special education introductory class brought about a change in the attitud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the disabilities, and all six sub-domains in the survey showing the attitude scale for the disabilitie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qualitative analysis, we found that there were three aspects of knowledge, emotion, and behavior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based on the conclusions, we made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 KCI등재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태도 변화에 대한 학습환경의 원인 분석

        권치순,허명,양일호,김영신 한국과학교육학회 200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4 No.6

        최근 학교교육에서 학생들의 과학 태도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학생들의 과학 태도는 학업 성취도, 교육 프로그램의 일관성, 수업의 질뿐만 아니라 과학 교육의 관점과 과학 관련 직업 선택에도 영향을 준다. 그 동안의 과학 태도에 대한 선행 연구와 국제 비교 연구에 의하면,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 태도는 점차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초ㆍ중ㆍ고 학생들의 과학 태도 변화 과정을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환경 변인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 학생 약 6,925명을 대상으로 2003년 3월부터 3회에 걸쳐 학생들의 과학 태도와 학습 환경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의 과학 태도는 일년 중 6월 이후에 낮아지고, 초등학교 4학년에서 중학교 2학년까지 과학 태도가 크게 변하였다. 과학 태도가 1학기보다는 2학기에 더 많이 하락하였으며, 초?중학교 학생들보다 고등학생들의 과학 태도 하락 폭이 더 컸다. 학생들의 과학 태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과학에 대한 경험이고, 교사, 학급 분위기 등이 과학 태도 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환경 변인은 과학 태도가 하락한 학생과 과학 태도가 상승한 학생이 각각 다르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과학 태도에 영향을 주는 범주는 초등학교에서는 성, 학년, 지역, 중학교에서는 학년과 지역, 그리고 고등학교에서는 지역으로 나타났다. The importance of science attitudes is more increasing in science education. Science attitudes may influence students' attainment, consistency and quality of classwork as well as their later views of science education and scientific occupations.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comparative researches and longitudinal studies on Korean students' science attitudes, it has shown that the more grade, the less science attitude. This research was survey the science attitudes and learning environment variables, and then make a inquiry that causes of decline of science attitudes. To study this purpose, the participating students in this study will be selected from 3th to 11th grade. 6,925 participants were administered 3 times in questionnaires of science attitudes and learning environment variables during a year.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science attitude got low after June. Science attitude was changed from 4th grade to 8th grade students. Science attitude much more decrease second semester than first semester, high school students' science attitude fell much. It was experience about science that cause the biggest effect in science attitude and other learning environment variables influence in science attitude change. Learning environment variables made different influence from students of increased and declined science attitude. As category that influence in science attitude, in elementary school were gender, area and grade, in middle school were grade and area, and in high school was area.

      • KCI등재

        원자력 수용성 태도변화에 대한 탐색적 분석

        Seoyong Kim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5 Crisisonomy Vol.11 No.11

        정부가 추진하는 많은 정책은 국민들의 태도변화를 그 목표로 하는 경우가 많다. 원자력과 관련된 정책도 원자력 수용성과 관련된 대중들의 태도변화를 목적에 두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다양한 정책도구가 실제 정책대상인 국민들의 태도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지에 대한 실증연구는 소수에 불과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중들의 태도변화 가능성과 변화과정에서 개입하는 변수들의 영향력을 다섯 가지 조건적 자극문항 제공을 통해 분석하는데 있다. 조건적 자극문항 제공에 기초한 분석결과를 볼 때 첫째, 태도변화와 관련해 조건적 자극별로 태도변화 정도가 달라진다는 점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신뢰와 안전규제 자극이 태도변화를 위한 효과적 자극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태도변화에 개입하는 영향요인을 볼 때 조건적 자극 유형별로 영향력의 정도와 유의미한 변수구조가 달라지고 있다. 특히 기존 태도와 낙인이 태도변화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아울러자극 제공 前 기존 태도는 찬성과 반대, 반동과 반응, 중립을 결정하는 데 구조적 영향을 행사하고 있었다 Like many other governmental public policies, nuclear power policies often aim to change the attitudes of people on nuclear power's acceptability. However, very few empirical studies have demonstrated how policy instruments change people’s attitudes. Our study addresses this topic using five conditional stimuli questions.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show that the degree of attitude change varies by the types of conditional stimuli. In particular, the stimuli stressing trust and safety regulation were found to be more effective in attitude change. As for independent variables influencing attitude change, there are variations in both degree of impact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Among others, the existing attitude and stigma take a critical role in changing attitudes, and the previous attitude prior to receiving stimuli has an important influence in determining ‘agree or disagree’ and ‘reactance, response or neutrality’.

      • KCI등재

        Analyzing Attitude Change towards Nuclear Energy after the Fukushima Accident - An Application of Multilevel Modeling -

        Sangseok Bae,Donggeun Kim,Seoyong Kim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8 Crisisonomy Vol.14 No.12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원자력 에너지에 대한 태도변화에 매우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태도변화는 탈원자력이라는 에너지전환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태도변화 의 결정요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태도변화는 단순히 개인적 차원의 변수뿐만 아니라 맥락적 차원의 변수들로부터 영향을 받기 때문에 미시적인 개인적 수준의 변수뿐만 아니라 거시적인 국가수준의 변수를 태도변화의 원인변수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태도변 화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으며, 개인수준에서 인구학적 변수, 매스미디어 변수, 지각변수 등, 국가수 준에서는 원전의존성, GDP, 후쿠시마 원전으로부터의 거리, 환경의 질 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다수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개인적 수준에서는 남성(-), 교육수준(+), 종교(+), 위험지각(+), 신뢰(-) 등이 원자력에 대한 지지에서 반대로의 태도변화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국가 수준에서는 원전운영(-), GDP(+)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ttitude change toward nuclear energy. This attitude change critically influences the energy transition, in particular, phaseout of nuclear ener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attitude change toward nuclear energy after the Fukushima accident. Since the attitude change is influenced not only by the individual variables but also by the contextual variables, it is necessary to set both the macro country-level variables and the micro individual-level variables as the causal variables of the attitude change. Empirical findings summarize that male, education, religion, risk perception, and trust at the individual level, and operation of nuclear power plant, GDP per capita at the country level had a crucial impact on attitude change from supporting to oppo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