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미래사회를 대비하는 아동기 부모진로교육의 도전과 과제

        황매향(Hwang, Mae-Hyang),하혜숙(Ha, Hye-Suk),유정이(Ryu, Jeong-Yi)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8 교육논총 Vol.38 No.3

        이 연구는 아동기 진로발달의 특성, 진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행동과 부모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변화하는 미래사회에 대비해 아동기 진로발달을 촉진할 수 있는 부모교육의 방향성과 내용 및 방법이 무엇인지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부모진로교육 구성의 근거가 될 수 있는 미래사회 변화와 진로발달이론을 검토하여 아동기의 진로발달과업과 이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진로교육의 목표를 도출하였다. 아동기 진로발달의 가장 중요한 환경 변인인 부모의 영향력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으며, 이에 기초하여 우리나라의 부모대상 진로교육의 실태를 파악하여 부모 진로교육의 현실을 점검하였다. 다음으로는 아동기 부모진로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는데, 아동기 부모진로교육의 내용, 형태, 운영방법을 제안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부모진로교육에서 고려할 문제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childhood career development, parental behaviors influencing career development, and the status of parent career education progra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directions, contents and methods of parent education that promotes the career development of children. First, we defined the foundational elements of parent career education such as the goals of childhood career development theories, and the tasks of childhood career development. Second, we reviewed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parents, which is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 in the development of childhood career, and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parent career education in Korea. Third, we discussed the ways to promote parent career education, focusing on its contents, frames, and management. Finally, we address issues to consider in parental career educ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도와 진로 성숙 관련변인에 대한 연구

        이효숙 한국보육학회 2011 한국보육학회지 Vol.11 No.4

        본 연구는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도와 진로 성숙 관련 변인을 알아본 것으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희망대학과 희망학과를 선택한 유아교육과 신입생일수록 대학생활 적응도가 높았고, 하위요인은 학업적, 사회적, 개인정서적 적응이 높았다. 둘째, 희망대학과 희망학과에 따른 진로 성숙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희망학과를 선택한 유아교육과 신입생인 경우는 진로 준비행동과 진로 의사 결정이 높았다. 셋째, 대학생활의 적응도가 높은 유아교육과 신입생일수록 대학생활 적응도가 높고, 진로 성숙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았다. 넷째, 대학생활 적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진로 성숙 변인은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이었고, 대학생활 적응도의 하위요인은 학업적 적응과 사회적 적응에 있어서 진로 준비와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 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도와 진로 성숙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집단 상담을 활용한 진로지도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investigated factors related to career-development and adaptation of college life for freshme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reshmen had adapted well to adaptation of college life which they were selected the hoped-for college and major. Second, the freshmen had not made career-development which they were selected the hoped-for college. But the freshmen had made career-development which they were selected the hoped-for major. Third, It was related to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adaptation of college life. And there were correlation betwee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academical/social adaptation. There were betwee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academical/social adaptation, either.

      • 4차 산업 기반 초등학교 진로교육프로그램 개발

        조붕환(Cho, Bung Hwan)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敎育論叢 Vol.58 No.4

        이 연구는 초등학생을 위한 4차 산업 기반의 진로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4차 산업 기반 진로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였으며, 초등학생 대상의 진로교육과 진로지도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영역과 목표, 내용 체계를 구성하고, 초등학생의 진로발달 특성에 적합한 4차 산업 기반의 진로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4차 산업과 자기이해’, ‘4차 산업과 직업세계 탐색’, ‘4차 산업과 진로정보 탐색’, ‘4차 산업과 직업관 형성’, ‘4차 산업과 진로계획’의 5개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진로발달 특성과 현장 초등교사의 요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초등학교 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진로교육 및 지도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4th industry-based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For this purpose, the awareness and the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the 4th industry-based career education program were examined. And the references and the previous programs for the elementary school career education were reviewed. Based on the results, the domains, the goals, and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made up, and the 4th industry-based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was developed. The program consisted of 5 domains-‘the 4th industry & self-understanding’, ‘the 4th industry & job world exploration’, ‘the 4th industry & career information search’, ‘the 4th industry & occupational view building’and ‘the 4th industry & career plan’. This program reflected the career developmental trai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 teachers’needs, so provided the useful materials for the elementary school career education and instruction.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교사발달단계, 직무수행능력 및 교사효능감의 관계

        김희수(Kim Hee-Soo),조은정(Cho Eun-Jung),최정선(Choi Jeong-Se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5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가 지각한 교사발달단계, 직무수행능력 및 교사효능감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규명하고, 교사발달단계에 따라 직무수행능력의 어떤 요소들이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유치원 교사의 전문적인 직무수행능력 향상 방안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 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국?공립 및 사립유치원 남녀교사 1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로는 강경석과 김영만(2006)의 교사발달척도, 이난숙(1991)과 윤홍주(1996)의 교사직무 능력척도, 김아영과 김미진(2004)의 교사효능감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로는 첫째, 교사발달단계의 구성 비율은 열중?성장단계, 능력구축단계, 입문?수용단계 순으로 나타났으며, 안일?안주단계의 분포 비율은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직무수행능력 수준은 중?소도시 이하의 지역보다는 대도시에 근무하는 교사들에게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는 직무수행능력 하위요인들과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 보였다. 따라서 안일?안주단계에 머물러 있는 유치원 교사들의 직무수행능력과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과, 유치원 교사의 직무수행능력 중 교사효능감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업무수행 능력과 교사로서의 자질 향상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제고될 필요성에 대하여 제언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career development stage, job capabilities, and teachers-efficacy in early childhood teachers. It also studied the effect of teachers’ job capabilities on the teachers-efficacy at different stages of their career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teachers were at the Growth-Enthusiasm, the Capability Development Stage, and the Entrance-Acceptance Stage. Only 11.5% of teachers were at the Ease stage. Second, the job capabilities of the chief teachers and the big city teacher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regular teachers and the local area teachers. Thus the plan should be drawn up to improve the job capabilities of the local area teachers. Third, the teachers-efficacies of chief teachers and the big city teacher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regular teachers and the local area teachers. Fourth, the Growth-Enthusiasm Stage, Capability Development Stage, and the Entrance-Acceptance Stage show the high correlation with job capabilities. This result is same to the teachers-efficacy. The teacher’s career development, their job capabilities, and their teachers-efficacies were interrelated to each other. Finally, the quality as a teacher and the job execution abilities are influential to teachers-efficacy for the Entrance-Acceptance Stage, and the job execution and guidance abilities are influential to teachers-efficacy for the Growth-Enthusiasm Stage. The job execution abilities affect teachers-efficacy for the Ease Stage. thus the teacher’ efforts to improve their job capabilities should be drawn up for their teachers-efficacy.

      • KCI등재

        커리어 포트폴리오(Career portfolio)를 활용한 예비유아교사 전문성 강화 프로그램 개발

        유수경(Yoo Soo-Ky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커리어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전문성 강화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예비유아교사의 전문성 강화와 교사교육의 효율성 극대화를 도모하는데 있다. 연구자는 최종 프로그램 개발에 앞서 1차 시안 개발을 위한 문헌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이후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고 수집된 결과를 분석?반영하여 프로그램 내용을 수정?보완하는 과정을 통해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는 예비유아교사, 유아교육기관장 및 현직교사, 유아교육전문가 그룹별 각 5명을 선정하여, 그룹별 2회 총 6회가 실시되었으며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분류체계방법에 의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과정을 통해 개발된 프로그램은 모두 7단계로 구성되어졌으며 각 단계에서 예비유아교사와 C?P(Coaching Professor)가 수행해야 하는 활동은 프로그램 운영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워크시트와 함께 제시되었다. 그리고 개발 프로그램의 교사교육 현장에의 적용 수월성을 높이기 위해 단계별 활동내용과 구성원의 역할 또한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geared toward bolstering the professionalism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y utilizing career portfolio. The literature analysis and a series of focus group interviews were implemented to determine, the objectives and content of the program. A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wice over three different groups respectively: 1)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2) principals and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3)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There were five people in each group, and the focus group interview was carried out six times in total.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making a taxonomic analysis.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seven stages, and the activities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perform in each stage were presented in detail along with the worksheets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program.

      • KCI등재

        창의성의 다측면적 요인과 경력개발역량의 구조적 모형 검증

        안동근,권유선,표정민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9 창의력교육연구 Vol.19 No.2

        This study examin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explaining the relations between creativity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for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xplored the influences of the belief, personality, and cognitive factors of creativity o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A total of 234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articipated in the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test the models including creative identity, openness, divergent thinking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Results showed that creative identity and openness significantly influence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s, but did not influence divergent thinking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Divergent thinking significantly influenced creative problem solving, but both variables did not influenc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과 경력개발역량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이 구조모형에서 창의성의 신념적, 성격적, 인지적 요인들이 경력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유아교육전공 대학생 234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정체감, 개방성, 확산적 사고, 창의적 문제해결과 경력개발역량을 측정하고, 구조방정식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측정모형 검증을 통해 잠재요인들의 구성타당도, 집중타당도, 변별타당도가 확인되었다. 구조모형 분석을 통해 경로계수의 유의미성을 검증한 결과, 창의적 정체감과 개방성이 경력개발역량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쳤지만 확산적 사고와 창의적 문제해결에는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지 않았다. 확산적 사고는 창의적 문제해결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쳤지만 이 두 요인 모두 경력개발역량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이론적, 실제적 함의와 향후 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커리어 포트폴리오(Career portfolio)를 활용한 예비유아교사 전문성 강화 프로그램 개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5

        <P>&nbsp;&nbsp;본 연구의 목적은 커리어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전문성 강화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예비유아교사의 전문성 강화와 교사교육의 효율성 극대화를 도모하는데 있다. 연구자는 최종 프로그램 개발에 앞서 1차 시안 개발을 위한 문헌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이후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고 수집된 결과를 분석․반영하여 프로그램 내용을 수정․보완하는 과정을 통해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는 예비유아교사, 유아교육기관장 및 현직교사, 유아교육전문가 그룹별 각 5명을 선정하여, 그룹별 2회 총 6회가 실시되었으며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분류체계방법에 의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과정을 통해 개발된 프로그램은 모두 7단계로 구성되어졌으며 각 단계에서 예비유아교사와 C․P(Coaching Professor)가 수행해야 하는 활동은 프로그램 운영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워크시트와 함께 제시되었다. 그리고 개발 프로그램의 교사교육 현장에의 적용 수월성을 높이기 위해 단계별 활동내용과 구성원의 역할 또한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P>

      • 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형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방향

        조붕환(Cho, Bung Hwan)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9 敎育論叢 Vol.56 No.4

        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 직업세계 변화에 따라 앞으로 초등학교 진로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시기 아동의 진로발달이론과 2015 개정교육과정을 반영한 진로교육의 구성 중점과 방향, 반영 내용을 살펴보고, 4차 산업혁명 시대 직업세계의 변화 동향을 개관함으로써 미래형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방향과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미래형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방향과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고력 증진과 함께 감성과 사회적 능력을 함양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둘째, 새로운 세계에 대한 호기심과 도전정신을 더욱 강조하며, 실패와 실수를 넘어 다시 시도하는 탄력성을 강화하는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셋째, 긍정적인 자아개념과 개성, 다양성을 발휘할 수 있는 안전한 심리적 토대를 마련해 주어야 한다. 넷째, 직무체험 형태의 개별 직업체험보다 포괄적 진로역량 체험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로젝트형, 테마형 진로체험 교육을 확대해나가야 한다. 다섯째, 일과 직업에 대한 가치관과 태도에 대한 새로운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여섯째, 진로교육을 위한 가정, 학교, 지역사회의 연계망이 더욱 촘촘하게 강화되고 활성화되어야 한다. This study aimed to present the direction and tasks of future career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For this purpose, the career development theories of childhood, the point and the direction of career education based 2015 Revision Curriculum, and the change of the job world in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were reviewed. The points of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the emotional and the social ability as well as the thinking power should be focused. Second, the curiosity, the challenge spirit for new world and the recovery resilience to failures and mistakes should be highlighted. Third, the secure psychological foundations should be provided to show the positive self-concept, the individuality and the diversity of children. Fourth, instead of the mere job experience, the project type and the theme type experiences have to be expanded for comprehensive career competencies. Fifth, the new discussion about the values and the attitude for work and vocation should be done to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Sixth, the network of family, school and community have to be elaborated and vitalized.

      • KCI등재후보

        커리어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예비유아교사 전문성 강화 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

        유수경 한국보육지원학회 2011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7 No.4

        커리어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예비유아교사 전문성 강화 프로그램은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이상적인 유아교사의 삶을 찾기 위한 다양한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교사로서의 교육신념을 확립하고 자신의 능력에 대한 객관적인 통찰을 하게 할 뿐 아니라 지속적인 자기반성 그리고 자기 계발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커리어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교사교육현장에 적용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 이후 바람직한 현장 적용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아교육과 재학생 26명을 대상으로 8주간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적용과정에서 수집된 양적·질적 자료 모두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전문성 강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적용된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원동력을 갖추어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를 통해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많은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바람직한 해결방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커리어 포트폴리오 제작 경험의 의미

        유수경 한국보육지원학회 2012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8 No.5

        본 연구는 유아교사 양성과정에 커리어 포트폴리오 제작 프로그램을 적용해봄으로써 예비유아교사들이 겪게 되는 다양한 경험의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커리어포트폴리오 제작 프로그램의 교육적 가치를 살펴보고자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은 K대학 3학년 1학기에 재학 중이면서교직실무 교과목을 수강하는 예비유아교사 23명에게 적용되었으며 연구자는 자료수집을 위해프로그램이 적용되는 9주 동안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저널, Coaching Professor 프로그램 지도 보고서, 소그룹 면담 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주제별 약호화의 방법으로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 8개 하위영역 즉, ‘시간의 흐름 지각하기’, ‘흩어진 경험 모으기’, ‘혼돈 속에서 나 찾아가기’, ‘함께임을 인식하기’, ‘심리적 안녕감 형성하기’, ‘유아교사로서 나의 모습 그리기’, ‘발전하는 나 설계하기’, ‘세상으로 나아가기’ 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커리어 포트폴리오 제작 프로그램의 참여가 예비유아교사들이유아교사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가치 있는경험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