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東漢 書論에 관한 儒家 ‧ 道家 美學的 고찰

        이순옥 한국서예학회 2023 서예학연구 Vol.43 No.-

        중국서예사를 通觀하면, 唐代에 오면 이미 張懷瓘, 虞世南 등을 비롯하여 많은 인물들이 서예에 관한 매우 정치하면서도 철학적인 견해를 밝힌다. 그런데 당대의 이같은 서예에 대한 심도 있는 견해는 이미 동한시대에 그 싹을 보인다. 이미 揚雄이 毛筆로 쓰여진 문자로 이루어진 ‘書[원래는 책이지만 후대에서는 서예로 이해한다.]는 마음의 그림[心畵]이다’라고 하여 서예가 갖는 마음 표현을 밝힌 바가 있는데, 이런 점을 실질적으로 서예에 적용하여 이해한 인물은 동한시대의 崔瑗과 蔡邕이다. 최원은 「草書勢」에서 서예를 실용적 공능성에서 해방시켜 독립적인 심미가치를 부여하였다. 아울러 개체의 자각에 의한 예술성을 나타내는 내용을 담고 있다. 즉 서예의 기원과 초서의 발생, 초서의 형상과 그 기세에 대한 느낌을 통해 초서의 예술적 특징을 서술하고 있다. 蔡邕은 「筆論」을 써 이제 서예창작에서 어떤 마음가짐과 붓놀림을 했을 때 진정한 아름다움이 담긴 서예창작이 가능한 것인지를 말한다. 이른바 ‘서예란 마음의 긴장을 풀고서 창작에 임하는 예술이다[書者, 散也]’라는 발언이 그것이다. 즉 어떤 창작 태도를 통해 어떤 마음을 담아내고 아울러 붓을 어떻게 놀렸을 때 진정으로 아름다운 글씨가 써지는 것인지를 최초로 밝히고 있다. 이런 점에는 일정 정도 도가미학적 사유에서 서예를 인식한 것이 담겨 있다. 최원과 채옹은 서예기법, 운필법 등 실질적인 서예창작과 관련된 언급은 물론 한 걸음 더 나아가 서예가 어떤 예술이어야 격조 있는 예술인지를 밝히고 있다. 그런데 이같은 최원과 채옹의 발언에는 도가철학을 운용하여 서예를 이해한 내용이 담겨 있다. 이런 최원 등의 서예에 대해 趙壹은 비판적 시각을 보내는데, 이처럼 동한시대 최원·조일·채옹 등의 서예에 대한 견해와 인식을 통해 서예미학적 차원에서 볼 때 ‘서예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다양한 답을 종합적으로 얻을 수 있다. An overview of the history of Chinese calligraphy shows that many people in Tang Dynasty such as Zang Huaiguan(張懷瓘), Yu Shinan(虞世南), expressed very precise and philosophical views on calligraphy. Yet, there have already been discussions related to calligraphy in thr Eastern Han Dynasty before such in-depth views of calligraphy in Tang Dynasty. Yang Xiong(揚雄) has already clarified the espression of the mind of calligraphy by saying that 'Shu(書)〔originally a book, but later understood as a calligraphy〕is picture of the mind, which is composed of characters written with a brush. however, people that understood and practically applied it to calligraphy are the Cui Yuan(崔瑗) and Cai Yong(蔡邕) in the Eastern Han Dynasty. In「Caushushi(草書勢)」, Cui Yuan gave calligraphy an independent aesthetic value that deviated from practical functionality. Moreover, it contains content that shows the aftistry of the individual's self-awarenss. In order words, it describes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the cursive script through the origin of calligraphy, the occurrence of the cursive script and the feeling of the shape and its force of the cursive script. Cai Yong wrote「Bilun(筆論)」, and it says what kind of mindset and brushstroke is used in calligraphy creation to make calligraphy creation with true beauty possible. It is the so-called ‘calligraphy is an art that works on creation by relaxing the tension of the mind 〔書者, 散也〕’ In other words, it revealed for the first time what kind of mind could be conveyed through what kind of creative attitude and what kind of movement of the brush could be used to write truly beautiful writing. It shows that the recognized calligraphy in Taoist aesthetic thought. Cui Yuan and Cai Yong not only mentioned calligraphy techniques and the method of wielding brush related to actual calligraphy creation but also clarified what conditions must be met for calligraphy to become a magnificent art. Such remarks by Cui Yuan and Cai Yong contain. the contents of understanding calligraphy through the taoist philosophy, on their views. Thus, from the perspective of calligraphy aesthetics, various andswers to the question 'what kind of art is calligraphy can be obtained through the views and perceptions of calligraphy by Cui Yuan, Zhao Yi and Cai Yong in the Eastern Han Dynasty.

      • KCI등재

        禪과 書藝의 상관성 연구

        이승연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60 No.-

        Calligraphy is an art which has established much organic connection with many kinds of philosophies and thoughts. The correlation with Buddhism has been made mutually in the process of recording the contents of sutras or Buddhist's achievements, etc, through the copying of sutras, documents about the origin of statues, the epigraph for Zen priests, documents in the sarira casket, and documents carved on the sarira casket. Since then, calligraphy became a means of religious austerities. Especially Prajna-samadhi(般若三昧) which is called in the Zen sect has applied to the mental absorption in the calligraphy. For writing the characters, if we make the mind empty and handle the brush with the energy from the original place of mind, we can fall into the world of incorporation of objects and ego and can reach in a frame of mind void of all ideas and thoughts. And in that state we can finally make the best work. This is the very same reason as to enter into the perfect state of spiritual concentration in Zen. We can also call it the absorption in the calligraphy. In the incorporated state of objects and ego, in the perfect state of spiritual concentration on the calligraphy and on the copying of sutras, to write with a stroke of the brush or to kneel down and bow three times after writing a character is the same as to move the state of freedom from all ideas and thoughts into the paper. The result in the paper will reach the best state of writer's art and will reveal the lively motion of the spirits in himself. And the product will receive much recognition of a masterpiece. The perfect state of spiritual concentration on the calligraphy became one soundlessly with the absorption in Zen. I think this is the necessary choice for art and the fruit of the great wisdom from writer. Calligraphy has been approached on a side view of religious austerities and the copying the sutras was regarded as a kind of Buddhist's Mass, and building of temple was considered as a great contribution for Buddha, as well. So people thought that the calligraphy was the direct expression for the nature of Buddha. They made strokes in writing characters comparing the calligraphy to practice of Zen meditation and then to the sudden enlightenment. Therefore, In this thesis, I tried to survey the relation between Buddhism and calligraphy, the correlation between Zen and calligraphy, and the paradoxical relation between Zen and calligraphy. I examined the thoughts of Zen in the arguments for the calligraphy and the calligraphers who wrote the calligraphy about Zen. 서예는 여러 철학과 사상 등과 많은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형성되어 온 예술이다. 특히 불교와의 연관성은 寫經 및 造像記⋅禪師들의 碑文⋅舍利記⋅舍利銘 등을 통해 경전의 내용이나 행적 등을 기록하는 과정에서 상호 밀접한 관계가 이루어 지다가 서예를 수행의 방편으로까지 여기게 되었다. 특히 선종에서 말하는 般若三昧는 서예에서의 정신적 몰입에도 적용되어 글씨를 쓸 때면 텅빈 마음으로 마음의 본래자리에서 나오는 기운으로 運筆을 할때 물아일체의 寂靜의 세계에 빠져서 無我⋅無念의 상태가 되어 최고의 작품이 탄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선에서 말하는 선정삼매에 드는 것과 같은 이치이며, 서예삼매라 불러도 될 것이다. 이러한 물아일체⋅서예삼매⋅사경삼매에 들어 一筆揮之하거나 一字三拜하는 상태는 바로 무념무상의 상태를 화면에 옮긴 것으로 그 결과물은 예술의 최고 경지인 기운생동으로 드러나게 되며 神品으로 인정받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서예삼매는 禪의 삼매와 더불어 소리없이 하나로 합하여져서 나온 것으로 이는 예술의 필연적인 선택이며, 또한 이는 예술가가 超穎悟性 으로써 획득한 성공인 것이다. 또한 서예를 수행의 측면으로 접근하여 종교행위와 대상으로 삼아 사경을 함은 큰 불사로 여기고, 사찰을 만드는 것과 같은 큰 공덕을 이루는 것으로 여기는 것에서 바탕하여 진행되었으며, 마땅히 서예 또한 佛性의 직접표현이라 여기고 참선하는 것에 비유하여 頓悟식의 깨침과 같이 획을 구사함에 비유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佛敎와 書藝와의 관계, 禪과 書藝의 상관성, 禪과 書藝의 역설적 관계,書論中의 禪思想을 연관지어 살펴보고 禪筆을 쓴 서예가들을 고찰하여 보았다.

      • KCI등재

        캘리그래피 확산에 따른 제문제

        한소윤(Han so-youn) 한국서예학회 2020 서예학연구 Vol.36 No.-

        Calligraphy is defined as a compound word originated from the Greek word κάλλος, kállos, which means beauty, and the Greek word γραφή graph, which means writing, which means the art of writing beautiful letters. World Art Glossary defines the art of writing beautifully, broadly generally non-letter typeface, or narrowly calligraphy. When translated from English, calligraphy is called ‘calligraphy’. In the Orient, traditional calligraphy means calligraphy. Since the mid-1990s, the term calligraphy no longer refers to calligraphy. Calligraphy is currently used in advertising, publishing, and performance. Using the title of the product as a calligraphy, and with the popularity of calligraphy, the enthusiasm for calligraphy has increased. Application for Calligraphic Trademarks In 2008, more than 14,000 applications were registered with the Patent Office. The cover of the book consists of calligraphy more than 50% of the 300 rankings according to the domestic novel sales volume from January 2003 to September 2005. In the case of movie posters, more than 60 films released in the first half of 2017 were used as calligraphy. Education status includes calligraphy companies, private calligraphy studios, lifelong education centers, libraries, department store culture centers, mart culture centers, vocational training center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lasses, community centers, women s halls, education and cultural centers, etc. Calligraphy training is taking place. More than 300 cases of calligraphy have been registered for civilian certification since 2020. Calligraphy-related books have grown rapidly since 2013, starting in 1992, and about 250 books have been published as of 2020. More than 250 dissertation-related dissertations and more than 220 domestic journals were able to confirm the spread of calligraphy. Also, a calligraphy competition was created with a squirt. But the proliferation of calligraphy has caused a number of problems. Calligraphy similar to the indiscriminate use of calligraphy obscures the uniqueness of calligraphy, which has been distinguished from typefaces. The appearance of the calligraphy was enlarged, but the quality declined. Increasingly, the works violated the character of calligraphy, the character, and made it less readable. Qualitative decline is a problem for the curriculum. It is a low-cost tuition and consists of about 8 to 15 lessons per step. Compared to the calligraphy curriculum, the calligraphy curriculum is poor. It is often the case that classes are omitted without basic font features and theories. In this curriculum, the process of repeating the qualifications of those who got the certificate as an educator was repeated. Such a process is causing a decline in calligraphy, which causes a decline in the quality of calligraphy. Calligraphy s institutional method of education has led to similar calligraphy work, and the side effects of loss of uniqueness by mass production of works that do not meet the concepts of calligraphy and loss of uniqueness by those who do not master the basics of calligraphy. It was. The proliferation of calligraphy has certainly created a culture that represents this era, but the problems in the process remain a challenge to be solved and solved at the present time. 캘리그래피는 “아름다움을 뜻하는 그리스어 칼로스(κάλλος, kállos)와 글쓰기를 뜻하는 그리스어 그라페(γραφή graphẽ)에서 비롯된 합성어로서, 아름다운 서체를 고안하여 글씨를 쓰는 예술을 뜻함”이라고 정의를 하였다. 『세계미술용어사전』은 “글자를 아름답게 쓰는 기술, 넓게는 일반적으로 활자에 의하지 않은 서체, 좁게는 서예를 의미한다.”고 정의하였다. 서예를 영문으로 번역할 때 ‘calligraphy’라고 한다. 동양에서 전통적인 캘리그래피는 서예를 의미한다. 1990년대 중반 이후로 캘리그래피라는 용어는 더 이상 서예를 지칭하지 않게 되었다. 캘리그래피는 현재 광고, 출판, 공연 등에 활용되어진다. 상품 제목을 캘리그래피로 활용하고, 이것이 큰 인기를 끌면서 캘리그래피에 대한 열기는 더욱 높아졌다. 광고에 캘리그래피 상표출원 2008년 기준 14000건이 넘게 특허청에 등록되었다. 책표지는 2003년 1월부터 2005년 9월까지 국내 소설 부문 판매량에 따른 300순위 중 50%이상이 캘리그래피로 이루어져 있다. 영화포스터의 경우 2017년 상반기 개봉 영화 중 60건 이상이 캘리그래피로 활용되었다. 교육현황으로는 캘리그래피 회사, 개인 캘리그래피 공방, 평생교육원, 도서관, 백화점문화센터, 마트 문화센터, 직업훈련원, 초·중·고 방과후 수업, 주민자치센터, 여성회관, 교육문화회관 등과 온라인에서 캘리그래피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민간자격증에 캘리그래피를 등록한 사례는 2010년을 시작으로 2020년 현재 300건 이상이 되어있다. 캘리그래피 관련 단행본의 경우 1992년을 시작으로 2013년 이후로 그 수가 급증하여 2020년 현재 약 250여권이 출판되었다. 캘리그래피 관련 학위논문은 약 250건, 국내학술지 논문도 220건이 넘어 캘리그래피 확산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캘리그래피 공모전도 우후죽순으로 생겨났다. 그러나 캘리그래피의 확산은 여러 가지 문제들을 야기시켰다. 무분별한 캘리그래피의 남용과 유사한 캘리그래피들로 인하여 활자체에 대별되었던 캘리그래피의 고유성이 사라지고 있다. 캘리그래피의 외관은 커졌으나 질적하락이 나타났다. 캘리그래피의 특성인 문자성에 위배되는 작품이 증가하여 가독성을 떨어뜨렸다. 질적 하락에는 교육과정의 문제가 크다. 저가의 수강료로 단계마다 약 8~15강으로 이루어져 길게는 일년 정도면 모든 과정을 수료하게 된다. 서예의 교과과정과 비교하여 볼 때 캘리그래피의 교과과정은 빈약하다 볼 수 있다. 기본적인 서체 특징과 이론을 생략하고 수업을 진행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런 교육과정 속에서 자격증을 취득한 사람들이 교육자로서 현장에 나가는 과정이 반복되었다. 이런 과정은 질적하락을 야기시켜 서예의 본질을 저해시키는 캘리그래피가 난무하고 있는 실정이다. 캘리그래피의 제도식 교육방식으로 인하여 유사한 캘리그래피 작품이 만연하게 되었고, 캘리그래프의 질적 하락과 서예의 기본을 체득하지 않은 사람들의 작품이 콘셉트에 맞지 않는 작품을 양산해 고유성을 상실시키는 부작용도 초래하였다. 캘리그래피의 확산은 분명 이 시대를 대표하는 문화를 창출하였지만, 그 과정에서의 문제는 현재의 시점에서 고민하고 풀어야 할 숙제로 남아있다.

      • KCI등재

        『金石集帖』 碑文의 隸書 연구

        유지복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2 民族文化硏究 Vol.9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in Ye・seo (隷書: Chin. Li shu; the plain square style Calligraphy) of the 17th and 18th centuries of the Joseon Dynasty by targeting the inscriptions included in Geumseokjipcheop (金石集帖). In Geumseokjipcheop, inscriptions belonging to the Kim Soo-jeung (金壽增) family account for the largest number of inscriptions engraved in Ye・seo. Among them, there are a number of Calligraphy following Kim Soo-jeung's Ye・seo style, including an inscription engraved by collecting letters written by Su-Jeung Kim. This indicates that he was a calligrapher who brought Ye・seo in the 17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After Kim Su-jeung, Kim Jin-gyu (金鎭圭) and Kim Yang-taek (金陽澤) and Kim Jin-sang (金鎭商) of the Gwangsan Kim clan were the famous calligraphers who distinguished themselves with Ye・seo calligraphy. Among them, Kim Jin-sang's Ye・seo writings are the second most numerous after Kim Soo-jeung's in Geumseokjipcheop. He deviated from the Ye・seo style of Kim Soo-jeung and embraced Tang dynasty calligraphy, pioneering a new realm of Ye・seo calligraphy in the 18th century. In particular, Kim Yang-taek removed the transitional habits revealed in 17th century calligraphy and presented elegant Ye・seo calligraphy based on the Later Han's Jojeonbi (曹全碑). In that Kim Yang-taek was never mentioned in the history of Joseon calligraphy, his Ye・seo calligraphy is worth supplementing an important point in the history of calligraphy in the 18th century. In addition, in the calligraphy of Nam Yu-yong (南有容), Song Mun-heum (宋文欽), and Lee In-sang (李麟祥), traces of mastering the inscriptions of the Later Han, such as Haseungbi (夏承碑) and Eulyeongbi (乙瑛碑), are found. This means that the reception of Han Dynasty inscriptions began in earnest in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Among the best Ye・seo calligraphers included in Geumseokjipcheop, the final calligrapher is Lee Gwangsa (李匡師). He first established a model of Ye・seo style of the late Han Dynasty in the 18th century by learning various inscriptions from the Han Dynasty, including Yegibi (禮器碑). 이 연구는 『금석집첩』에 수록된 비문의 隸書를 대상으로 조선 17⋅18세기 예서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금석집첩』에는 김수증 계열에 속하는 예서비가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다. 그중에는 김수증의 글자를 모아 만든 집자비를 비롯해 김수증의 예서풍을 따른 필적도 다수 포함되어 있다. 이는 김수증이 17세기 조선에 예서를 흥기시킨 서가였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김수증 이후 예서로 두각을 나타낸 명서가로 광산김씨 집안의 김진규⋅김양택 부자와 김진상을 들 수 있다. 이 중 김진상의 예서는 『금석집첩』에 김수증 다음으로 많이 실려 있다. 그는 김수증의 예서풍을 벗어나 唐隸를 수용하여 18세기 예서의 새로운 경지를 개척하였다. 특히 김양택은 17세기 예서에서 드러났던 과도기적 습성들을 덜어내고 東漢의 <조전비>를 기반으로 격조 있는 예서를 선보였다. 김양택이 조선 서예사에서 전혀 언급된 바 없다는 점에서 그의 예서는 18세기 서예사의 중요 지점을 보완하는 가치가 있다. 이 밖에 남유용, 송문흠, 이인상의 예서에서는 동한의 <하승비>를 비롯해 <을영비> 등의 漢碑를 익힌 흔적이 발견된다. 이는 18세기 중반에 이르러 한비의 수용이 본격적으로 시작됐음을 의미한다. 『금석집첩』에 수록된 예서 명필 중 대미를 장식하는 서가는 이광사이다. 그는 <예기비>를 비롯해 다양한 한비를 익혀 18세기 조선에 동한 예서풍의 전형을 처음으로 확립하였다.

      • KCI등재

        如初 金膺顯의 書藝精神 意義와 展望

        유성선,박승용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1 No.-

        Calligraphy is the ultimate of narrative art composed of deep academic cultivation and moral completion, not a mere technical art. In this respect, life and theory process of Yeocho Kim, eunghyeon (1927~2007) became not only the root of calligraphy activity through his life, but also the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his calligraphy view was evaluated to be great and positive. Yeocho Kim, eunghyeon wrote all of Chinese calligraphy Oche(五體) very well, and was excellent in Chinese calligraphy as well as Jeongak. It is not excessive to say his calligraphy activity as this was the trace of Korean modern calligraphy history. This research aimed at considering Yeocho's calligraphy spirit, and this research was progressed in order of 1. Introduction/ 2. Theoretical basis of calligraphy spirit/ 3. Sinocentrism of calligraphy/ 4. Yeocho's Hwahaeron/ 5. Significance and prospect of calligraphy spirit. Yeocho's theory of personality and Hwahaeron implies Seoyeoguiyin(書如其人) and Jawegongbu(字外功夫), Seoyeoguiyin is the viewpoint that writing style is his personality, and Jawegongbu means studying outside of calligraphy. The former means Confucian calligraphy spirit of a Andong Kim family, and the latter took his academic significance that he constantly cultivated through his life as calligraphy view. Yeocho concentrated on new creative discussion while he emphasized basic principle of calligraphy. Also, Yeocho could be confirmed in cultural activities that belong to Jawegongbu besides calligraphy. Yeocho Kim, eunghyeon was the pioneer of modern calligraphy as well as an arranger. Also, Yeocho prepared the basis of exchange cooperation of East Asian calligraphy among Korea, China, and Japan, as a calligrapher as well as an educator. The researcher expects Yeocho's calligraphy spirit could be recovered as the 21st century's spirit of period through various activities to celebrate Yeocho Kim, eunghyeon currently. 書藝는 단순한 技巧的 藝術이 아닌 깊은 學問的 修養과 人格的 完成으로 이루어지는 서사예술의 극치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如初 金膺顯(1927~2007)의 생애 및 학서과정은 일생에 걸친 서예활동의 뿌리가 되었음은 말할 것도 없고, 또한 그의 서예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고 또 긍정적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여초 김응현은 한문서예 五體를 두루 잘 썼고, 한글서예 및 전각에도 뛰어났다. 이러한 그의 서예 활동은 바로 한국 현대 서예사의 발자취라 하여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본 논고는 여초의 서예정신을 고찰하는데 있으며, 논문의 차제는 1. 序論/ 2. 書藝精神의 理論的 基礎/ 3. 書藝의 中和思想/ 4. 如初의 和諧論/ 5. 書藝精神의 意義와 展望으로 전개한다. 여초의 인품론과 화해론을 書如其人과 字外功夫 두가지로, 書如其人은 書品이 곧 人品이라는 관점이고, 字外功夫는 서예 밖에서의 공부를 말하는 것이다. 전자는 안동김씨 가문의 유가적 서예정신을 의미하고, 후자는 평생 책을 통하여 끊임없이 닦은 그의 學養을 서예관으로 삼고 있다. 여초는 서예의 기본원칙을 중시하면서도 새로운 창작의 논의에 매진하였다. 여초는 또한 서예 뿐만 아니라 字外功夫 에 해당하는 문화 활동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여초 김응현은 근대 서예의 선구자이자 정리자이다. 또한 여초는 서예가이자 교육자로서 韓中日 동아시아 서예의 교류협력 기틀을 마련하였다. 현재 여초 김응현을 기리는 다양한 사업 등을 통해서 여초 서예 정신이 21세기 시대정신으로 회복되기를 전망해 본다.

      • KCI등재

        明代 項穆의 서예비평과 미학

        이정호,장지훈 한국서예학회 2013 서예학연구 Vol.23 No.-

        본고는 明代 項穆의 서예비평과 미학을 규명한 글이다. 이를 위해 항목의 書論書인 『書法雅言』을 분석하여 그에 내재된 서예비평론과 서예미학론을 조명하였다. 明代는 宋代 이후 성행한 帖學을 그대로 계승하여 전반적으로 帖學이 풍미한 시대였다. 첩학의 성행은 수많은 서예가의 탄생과 동시에 서예의 저변을 확대시켰고, 서예인구가 확산되어 서예가 발전하기에 매우 적합하였다. 다만 심미적 범주가 광범위하지 못하였고 元代 趙孟頫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다. 그러다 명나라 중기에 이르러서야 吳門書派를 중심으로 비교적 자유로운 서예사상과 창작이 자리 잡았다. 명대의 자유로운 서예사상과 창작이 서서히 자리 잡히는 가운데 항목은 전통적인 서예복고주의를 지향하였다. 항목의 書論은 전통적인 유가적 서예이론이다. 그는 명대의 혼란한 심미사조 속에서 『서법아언』을 통해 帖學書統을 정리하고 王羲之를 書統의 지존으로 삼아 서예에 道統을 세우고려고 했다. 항목의 항목은 전통 유가적 관점에서 서예의 기법적 측면 보다는 본질을 강조하여 사상과 철학에 큰 비중을 두었다. 王羲之를 古雅의 전형으로 삼아 古法을 중시하였고, 낭만적 서예사조 속에서 고법을 기초로 서예의 전통을 올바르게 계승해야 한다는 서예본질에 대한 인식이 강하였다. 이러한 인식은 ‘天圓地方’의 전통적 세계관 속에서 서예가 기본적으로 方과 圓의 조형을 통해 자연의 조화로운 형상과 음양의 이치를 담아내어야 한다는 의식이었다. 나아가 서가비평을 통해 道統과 書統을 직결시켜 王羲之를 正宗에 두고 여타의 서가를 아류로 삼아 철저한 유가적 서예비평관을 확고히 하였다. 항목은 書如其人의 심미관을 견지하여 인간이 타고난 성품, 즉 기질에 따라 글씨의 특징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현상을 분석하였다. 그의 書如其人的 사유는 예술의 정신을 더욱 중시하는 정신우위론으로 발현되어 神彩의 발현을 形質 표현보다 우선시하였다. 즉, 서예에서 신채의 발현을 단순히 글씨의 뛰어남에 의한 것이 아님을 전제하고 공자의 ‘從心所慾不踰矩’와 같은 無法而法의 심리적·정서적 예술경계의 표현이 가능할 때 신채가 발현된다고 여겼다. 마지막으로 中庸的 사유와 中和를 최고의 심미범주로 삼고 中和思想을 통해 서예의 이상적인 예술경지도 中和美임을 확신하였다. 이처럼 항목은 서예본질에 대한 復古的 이해와 天圓地方의 서예인식론, 道統과 書統의 一元的 비평관, 書如其人의 심미관, 서예의 정신우위론, 中和의 심미이상 등을 지향하고 있었다. 이는 서예 전통에 대한 철저한 인식과 기초적 이해를 강조하는 서예철학이다. 따라서 항목의 書論은 역대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서예본질과 근원을 탐구하는 데 규범적 가치가 있으며, 유가적 서예비평과 미학의 전형으로서 의의가 있다.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Calligraphy Criticism and Calligraphy Aesthetics of Hangmok(項穆) in Ming Dynasty. Through in-depth analyses on Seobeobaeon, Hangmok's professional writing on calligraphy, this study examines calligraphic criticism and aesthetics inside the writing. By Ming Dynasty's inheritance of Song Dynasty's flourished Cheophak (帖學, one academic group in Chinese calligraphy with Wang Xizhi as a representative calligrapher), it was the time for Cheophak to be predominant. The flourished Cheophak fostered numerous calligraphers and expanded the base of calligraphy and it was very proper for calligraphy to develop with increased number of people involved in calligraphy. The aesthetic category was not so much diversified during the Ming Dynasty and it did not go much beyond Zhao Mengfu from Yüan. It was not until the middle of Ming Dynasty that relatively free calligraphic ideas and creation were settled with Omunseopa (吳門書派) as the center. Seobeobaeon on Ming Dynasty's calligraphy by Hangmok was writing with the tendency of reactionism in Ming based on traditional Confucian ideas. Hangmok tried to arrange calligraphic system in Cheophak (帖學書統) through his Seobeobaeon and to establish the system of calligraphic techniques with respecting Wang Xizhi as the best in the field. Hangmok put a great weight on ideas and philosophy by emphasizing essence of calligraphy from traditional Confucian perspectives. His consciousness on essence of calligraphy was to regard old techniques as important with making Wang Xizhi as a model for old-fashioned elegance and to properly inherit tradition of calligraphy based on old techniques. With this consciousness, he considered that calligraphy should include harmonious forms in the nature and reason for yin and yang in the traditional world view of 'Cheonwonjibang' (天圓地方, round sky and square ground) by calligraphy's forming the square (方) and round (圓). In calligraphic criticism, he put Wang Xizhi as the top and classified calligraphers of all time into the tradition and the cult in correlation of calligraphic system and the system of calligraphic techniques. With these procedures, he firmed up thorough Confucian calligraphic criticism. Hangmok analyzed phenomenon of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calligraphy based on calligraphers' nature with applying aesthetic perspectives of Seoyeogiin (書如其人, an idea that calligraphy follows the calligrapher's nature). He also put an emphasis on importance of qualities and learning in calligraphy expressing one's nature, especially in learning between the two. His idea of Seoyeogiin was expressed as the theory focusing on the spirit which regards the spirit of art as more important and put expressions of spirit and presence before those of characteristics and traits. He was with a premise that expressions of spirit and presence in calligraphy were not done only with excellence of calligraphy. He considered that the spirit and presence were expressed only when expressions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rtistic boundaries of Mubeobyibeob (無法而法, There are and are no rules.) like ‘Jongsimsoyokbulyugu' (從心所慾不踰矩, There are nothing wrong with doing anything as one pleases) of Confucius became possible. Lastly, Hangmok was convinced that ideal artistic stage of calligraphy was beauty from moderation by considering the Confucian idea of moderation as the best aesthetic category.

      • KCI등재

        서예 미학 관점에서 본 두 번째 서예수업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명숙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7 미술교육연구논총 Vol.48 No.-

        본 연구의 목적은 서예 미학 관점에서 본 예비교사들과의 두 번째 서예수업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이다. 이를 위해 서예 창작에 관한 미학적 검토를 한 후에 3명의 연구 참여 학생을 선정하여 내러티브 탐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미래 서예교육의 방향성’과 ‘서예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두 측면에서 탐색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생들은 임서(臨書)에 대한 서로 다른 태도를 보였다. 우리는 학생들에게 서예의 정신성과 형태를 함께 강조하면서도 전통서예 방식에만 치우치지 말고, 보다 자유로운 현대서예 방식을 제안해줄 필요가 있다. 둘째, 학생들은 서예 쓰기에서 자신만의 방법으로 법칙을 찾아갔다. 학생들이 자신만의 방법으로 법칙을 찾아가는 과정은 서예가 놀이임을 깨닫게 한다. 서예는 정답이 없다고 본다. ‘어떻게’보다 ‘무엇이’ 우선되어야겠다. 그리하여 서예를 하고 난 연후, 학생들의 가슴에 무엇이 남아있는가가 중요한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search for the narrative of the second calligraphy class with pre-teachers from the viewpoint of calligraphy aesthetics. For this purpose, the theoretical examination was made on three aspects of calligraphy creation in terms of calligraphy aesthetics, ie, spirit and forms, philosophy and rules, and inherence and struggles. Three students participated in order to proceed the narrative inquiry in this research. The researcher focused on two issues: 'direction of future calligraphy education' and 'calligraphy instruction and method of learning'. As a result, first, students showed different attitudes toward Imseo(臨書). A more modern method of calligraphy should be suggested while we emphasize the spirituality and the form of calligraphy to students, but do not just rely on the traditional calligraphy style. Second, the students found rules in their own way in writing calligraphy. While the students are in the process of finding the rules in their own way, they figure out calligraphy as a play. There is no right answer in calligraphy. 'What' should take precedence over 'How'. Therefore, it is important what remains in students' hearts. after writing calligraphy.

      • KCI등재

        캘리그라피의 표현형식 고찰

        손동준 ( Son Dongjun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20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3 No.-

        최근 20여 년 동안 서예와 디자인을 접목한 상업적 캘리그라피가 광고, CI, BI, 영화포스터, 편집디자인, 책표지디자인, 패키지디자인 등에 이르기까지 시각디자인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그 이유는 정형화된 활자와는 다르게 광고의 콘셉트나 제품의 성격을 글꼴 안에 담아낼 수 있다는 점과 광고나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호감 도를 높이고 기억을 촉진시키는 역할뿐 만 아니라 타제품과의 차별화된 전략에 기여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언어적인 메시지 전달을 뛰어넘어 시각적 매력성에서 캘리그라피는 정보전달의 기능뿐 아니라 예술적인 감동과 흥취를 제공함으로써 감성가치(E-value)를 높여주기도 한다. 그러나 현재의 캘리그라피는 양적 팽창은 가져왔지만 캘리그라피의 개념은 물론 표현형식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캘리그라피의 예술적 인식의 범위를 확장하기 위해 캘리그라피의 예술표현과 감성표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현대의 캘리그라피는 아름다움을 결정짓는 심미성, 모방이 아닌 독창성, 광고나 글의 내용에 맞는 표현의 적합성, 소비자의 시선을 사로잡는 주목성, 기억을 촉진하는 상징성, 판독을 가능케 하는 가독성, 즐거움을 안겨주는 음악성 등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요소들의 복합적인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창작 영역이다. 따라서 캘리그라피는 그 표현형식을 이해하고 파악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한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캘리그라피의 존재 이유이자 본질적인 문제라 할 것이다. 이러한 캘리그라피는 동양의 전통 서예를 근간으로 한 작가의 예술 정신을 표출하는 감성의 산물이자 일필휘지(一筆揮之)의 추상적 예술로써 작가의 생체적 리듬을 동반하는 감성적 조형예술이라고 할 수 있겠다. For the past 20 years, commercial calligraphy, which is a combination of traditional calligraphy and design, has been used widely in many areas of visual design,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advertising, CI, BI, movie posters, editorial designs, book cover designs, and package designs. The reason behind this is that, unlike printed letters, it is capable of delivering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advertisement in the font, while it is also possible to increase the attractiveness of the product to the consumers, help them remember the product more, and contribute to a differentiated strategy from that of competing products. By going beyond the linguistic message delivery, the visual attractiveness of calligraphy serves not only as of the medium of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but also as the provider of artistic movement and taste, increasing the emotional value (or the E-value). However, while calligraphy grew in volume so far, the concept of calligraphy has not been studied by many when it comes to the mode of expressions. For this, the researcher examined the artistic expression and emotional expression of calligraphy in order to expand the range of artistic recognition of calligraphy. The modern calligraphy is an area of creation in the midst of a complicated relationship between aesthetics that determines the beauty, creativity that is not an imitation, relevance to the contents of the advertisement or text, the visibility that grabs the attention of the consumers, symbolism that helps with remembering, readability that makes it possible for the readers to read, musical nature that gives us pleasure, and many others. Therefore, calligraphy starts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mode of expressions, and this is the very reason why calligraphy exists. It is also relevant to the very essence of it. Calligraphy is the product of the emotion of the artist who expresses the spirit of art based on the traditional calligraphy of Asia, which is a form of abstract art that is created in a rush of strokes and a modeling art which corresponds to the biological rhythm of the artist at the same time.

      • KCI등재

        서예(書藝)와 한시(漢詩)

        심경호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서강인문논총 Vol.22 No.-

        Calligraphy(書藝, Seo-ye) is one of the most beautiful art of East asia. We use the term ""Seo-ye(書藝)"", ""Seo-byeop(書法)"" or ""Seo-do(書道)"". We think that ""Seo-byeop"" is used in Chinese, ""Seo-do"" is Japanese term, and ""Seo-ye(書藝)"" is made in these days. But this is only a common saying. There is a close connection between Calligraphy and Chinese poetry(漢詩) in several important ways. Poets mentioned artistry of calligraphy on their poetry, and calligraphers adapted Chinese poetry for their calligraphy, or harmonized their art with Chinese poetry. In this paper, I mentioned how we apply a scrapbook of calligraphy(書帖) to study Chinese poetry. We should create the catalog of Chinese poetry appeared in a scrapbook of calligraphy, and compare Chinese poetry appeared in a scrapbook of calligraphy with a collection of works(文集) which carries the poetry. Meanwhile, if we analyze Chinese poetry appeared a scrapbook of calligraphy, sometimes we can discriminate truth from falsehood of calligraphy. We sometimes see mistakes on scrapbooks of calligraphy published in these days. Therefore, I think that maker of a scrapbook of calligraphy should ask for assistance to researchers getting Chinese literature degrees. 문서예는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에서 가장 아름다운 예술 가운데 하나다. 붓과 먹으로 이루는 ‘서(書)의 예술’을 서예(書藝)ㆍ서법(書法)ㆍ서도(書道) 등으로 부른다. 흔히 중국에서는 ‘서법’이라 하고 일본에서는 ‘서도’라고 하며, ‘서예’라는 말은 근래에 만든 말이라고 간주하고는 한다. 하지만 그 통념은 속설일 따름이다. 서예와 한시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깊이 관련을 맺어 왔다. 시인들은 한시를 통해서 서예의 예술성을 논하였고, 서예가는 한시의 고전들을 필의(筆意)에 담거나 자작시 혹은 타인의 시를 ‘서(書)의 예술’과 조화시켰다. 사실, 서예와 한시의 창작 과정은 유비적(類比的)이라고 파악할 만하며, 전범을 중시하면서 창견을 이루어내는 창작 방법도 서로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관련 양상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현전하는 서첩(書帖)을 한시 연구에 운용하는 방안에 대해 규견(窺見)을 피로하였다. 현전하는 서첩에 필의와 함께 제시된 중국 고전의 한시나 우리 나라 한시의 목록을 작성하여, 시대별로 그리고 각 서예가별로 애송시의 현황을 알아보는 것은 시풍의 시대적 변화나 문인 개인의 취향을 이해할 때 매우 중요하리라고 본다. 또한 한국 한시를 적은 서첩이나 자작시 서첩의 경우는 그 한시를 본집(本集, 개별 문인 자신의 문집)이나 시화(詩話)ㆍ시선집(詩選集)에 수록된 시와 대조하여 개작(改作)이나 오기(誤記)의 사실을 밝히는 데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거꾸로 서첩에 적혀 있는 한시를 분석함으로써, 수적(手迹)의 진위를 감별하는 데 일정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서첩류의 도록을 제작하기 위해 탈초나 해설 등 여러 면에서 한문학 전공자들의 협조를 구하는 것이 도록의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된다.

      • KCI등재

        고령신씨 서예의 형성과 전승 : 신공제를 중심으로

        손한빈 한국서예학회 2024 서예학연구 Vol.44 No.-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the formation and transmission of calligraphy within the Goryeong Shin Family, with a focus on Shin Gong-je as the central figure. It explores the specific content and influence of academic pursuits and calligraphy among previous generations, as well as the process and significance of their transmission to subsequent generations. In the social context of the Joseon Dynasty, where communal consciousness within clans and social recognition were paramount, maintaining academic traditions and transmitting them to posterity through means such as legal text compilations were vital tasks for enhancing the family's status and reputation, as well as for practicing Confucian filial piety. These actions served as significant driving forces, leading to the diverse development of Joseon calligraphy culture. The Goryeong Shin Family, as one of the families engaged in calligraphy activities, demonstrates a clear lineage and influence, supported by numerous records regarding the transmission and impact of their calligraphy. The lineage and academic pursuits of the Goryeong Shin Family began with Shin Deok-rin and continued through his son, Shin Po-si, and grandson, Shin Jang. These individuals were proficient in calligraphy, with both Shin Deok-rin and Shin Jang having their calligraphy documented in historical records. Their lineage naturally transitioned to Shin Suk-ju and Shin Mal-ju, who displayed similarities or even greater maturity in their calligraphy compared to their predecessors. Furthermore, Shin Suk-ju's transmission of Shin Jang's calligraphy to his son marked the evolution of the lineage into a complete academic tradition. Subsequently,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Shin Gong-je's calligraphy and the compilation of the "Haedong Myeongjeok". Like his predecessors, Shin Gong-je learned and respected the calligraphy traditions of previous generations, compiling the "Haedong Myeongjeok" to perpetuate the Goryeong Shin Family's calligraphy and honor the calligraphic achievements of his ancestors. Following him, figures such as Shin Jam, Shin Dam, Shin Heop, Shin Geuk-cheong, Shin Sok, and Shin Il-cheong continued calligraphy activities, maintaining the lineage and academic pursuits. Through records of previous generations' calligraphy learning, the specific content and significance were confirmed. Finally, it is emphasized that research addressing gaps or approaching the essence and development of Joseon calligraphy culture from the perspectives of academic pursuits and transmission should continue persisten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