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債務不履行과 背任罪(再論)

        문형섭(Moon, Hyung-Sub)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법학논총 Vol.27 No.2

        The perpetrator of criminal breach of trust, per the statutory elements of this offense, is the person who handles another’s matters. The Supreme Court, however, actually determines the existence of criminal breach of trust liability not by finding whether such elements are satisfied, but by finding whether there has been a violation of trust relationship with a certain scope. As for the standard to determine whether there has been a violation of trust relationship, resulting in the criminal breach of trust liability, it has been proposed to ask whether the duty was a substantial one or whether the duty has any importance. However, this standard is vague and not actually functional. In actuality, the real standard is whether it deserves social punishment on the case-by-case basis. This phenomenon make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and the limits of non-performance of obligations blur, and applies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to the areas governed by the non-performance of obligations, thereby having a potential to threaten the principle of nulla poena [nullum crimen] sine lege. Theories are supposed to guide, and if necessary, to criticize the cases. However, there is a serious concern that theories are in fact simply rubberstamping the cases. This concern is well-founded, as the Supreme Court has recognized a breach of trust liability in a case involving non-performance of delivery obligations of a piece of property. Parties to a purchase and sales contract owe only the duty to perform the contractual obligations, not the duty to manage and protect each other’s property. Acknowledging a party as a trustee of the other, thereby imposing breach of trust liability upon the same is nothing but creating a crime of non-performance of obligations. Although theories and cases recognize the person who manages and protects another’s property, in actuality, it means the person who takes care of another’s matters on his or her behalf. Such interpretation appears to have been influenced by German and Japanese breach of trust theories. It should be, however, noted that Korea’s breach of trust crime has different elements than those of those two countries and that in Germany and Japan, it is proper to interpret the crime in that way. Our version of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provides for a person who handles another’s matters, not for a person who breaches another’s trust. It therefore needs to be interpreted differently. Cases and theories, relying upon the theory of breach of trust(Treubruchstheorie), recognize the subject of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pursuant to the degree of breach of another’s trust, without being limited by the statutory elements. However, there is no room in Korean law to interpret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under the theory of Treubruchstheorie. Setting aside the substances of breach of trust, we should at least note that the theory of Treubruchstheorie prevailed during the Nazi era. It forces us to consider the fundamental problem of whether to pursue the society of freedom or the society of state socialism.

      • KCI등재

        부동산의 이중매매와 배임죄의 성립에 관한 검토 - ‘타인의 사무’의 유형화와 효율적 계약파기론을 중심으로 -

        한상훈 한국법학원 2022 저스티스 Vol.- No.192

        Recently, the Supreme Court has been very active in changing precedents regarding the scope of the offense of breach of trust prescribed in Article 355 (2) of the Criminal Act. The provision states: The preceding paragraph shall apply to a person who, administering another's business, obtains pecuniary advantage or causes a third person to do so from another in violation of one’s duty, thereby causing loss to such person. A big trend is the tendency to narrow the scope of the previously recognized breach of trust. In this regard, in this paper, we briefly review the recent precedent trends on the offense of breach of trust and, in particular, focus on the 2018 Supreme Court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which confirmed the conventional affirmative theory regarding double sales of real estate, in the case of breach of trust in real estate “handling the affairs of others”. I would like to review how much the thinking that considers the results has an impact in interpreting the constituent element of “the person who does it”. As society constantly changes and develops, the legal system, precedents, and theories that govern human behavior are also constantly changing. As an example of this, this paper examines cases of breach of trust and double trading, which are undergoing rapid changes in recent years. The Supreme Court denied the establishment of the offense of breach of trust in the double sales of movable property, double mortgage, reservation for repayment of property, and double sales of movable property requiring registration. However, in the 2018 Supreme Court ruling on May 17, 2018, the 2017 Do 4027 All-in-One Consensus Judgment <Real estate double sales decision> reconfirmed the establishment of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in real estate double sales, and this was also applied to written donation of real estate and real estate exchange contract. The basis of the Supreme Court's attempt to reduce and limit the scope of such offenses of breach of trust and embezzlement is thought to be related to the atmosphere of restraining the criminal law from intervening in civil cases. The Supreme Court's opposing views and some theories against the Supreme Court's precedent that affirmed the establishment of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in the double sales of real estate are strongly criticized based on the lack of logical consistency, the principle of contract freedom, and the principle of criminal justice. However, it was examined that understanding the affairs of others in the breach of trust clause as a broad theory including ‘business for others’ does not go against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analogy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criminal justice. Furthermore, since the affairs of others and one's own affairs should be viewed as overlapping relationships, not as mutually exclusive relationships, the seller's affairs in the double sales of real estate can be seen as both one's own affairs and the other's affairs. According to the theory of negligence of breach of trust, if default does not constitute breach of trust in a bilateral contract, logically, the offense of breach of trust should not be established even in the case of double sales of real estate. Rather than accepting exceptions due to practical necessity or real estate transaction practices, it emphasizes logical causality. However, in the case of double sales of real estate,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ults that requires an exception. As it is said that there is no principle without exceptions, the law has a fragmentary character to prevent crime and damage and protect legal interests in reality, and it is not a complete logical system. Even if it sacrifices the logical integrity of the law, if it can wash away the people's bloody tears, I think we should be willing to choose that path. The wisdom of former U.S. Supreme Court Justice Oliver Holmes, who said that “the life of law is experience, not logic,” is a good bea... 형법 제355조 제2항이 규정하는 배임죄의 성립범위에 관하여 최근 대법원은 대단히 적극적으로 판례를 변경하고 있다. 큰 흐름은 종래 인정되던 배임죄의 범위를 축소하는 경향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고에서는 배임죄에 관한 최근의 판례경향을 간단히 살펴보고, 특히 부동산의 이중매매에 관하여 종래의 긍정설을 확인한 2018년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 을 중심으로, 부동산 관련 배임죄 사건에서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라는 구성요건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결과를 고려하는 사고가 얼마나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검토해보고자 한다. 사회가 끊임없이 변하고 발전함에 따라 인간의 행위를 규율하는 법제도와 판례, 학설도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대한 하나의 예로 본고에서는 최근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는 배임죄와 이중매매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동산의 이중매매, 이중저당, 대물변제예약, 등록을 요하는 동산의 이중매매 등에서 대법원은 배임죄의 성립을 부정하였다. 하지만, 2018년 대법원 2018. 5. 17. 선고 2017도4027 전원합의체 판결<부동산 이중매매 판결>에서는 부동산 이중매매에 대한 배임죄의 성립을 재확인하였고, 이는 부동산의 서면증여, 부동산의 교환계약에도 적용하였다. 이렇게 배임죄, 횡령죄의 적용범위를 축소, 제한하려는 대법원의 바탕에는 민사사건에 형사법이 개입하는 것을 자제하려는 분위기와 관련된다고 사료된다. 부동산의 이중매매에 배임죄의 성립을 긍정한 대법원의 판례에 대하여 대법원의 반대의견이나 일부 학설은 논리적 일관성의 부족이나 계약자유의 원칙, 죄형법정주의 등에 근거하여 강하게 비판한다. 하지만, 배임죄조항의 타인의 사무를 ‘타인을 위한 사무’를 포함하는 광의설로 이해하는 것이 죄형법정주의 유추적용금지의 원칙에 반하지 않음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타인의 사무와 자기의 사무는 서로 배타적인 관계가 아니라, 중첩적인 관계로 보아야 하므로, 부동산의 이중매매에서 매도인의 사무는 자기사무이자 타인사무라고 볼 수 있다. 배임죄 부정설은 쌍무계약에서 채무불이행이 배임죄가 성립되지 않는다면, 논리적으로 부동산 이중매매의 경우에도 배임죄가 불성립해야 한다고 본다. 현실적 필요성이나 부동산 매매의 거래관행에 따르는 예외를 인정하기 보다는 논리적 인관성을 중시한다. 하지만, 부동산의 이중매매의 경우에는 예외를 인정해야 하는 중대한 결과의 차이가 존재한다고 본다. 예외 없는 원칙은 없다는 말과 같이, 법은 현실에서 범죄와 피해를 예방하고 법익을 보호하려는 단편적인 성격을 갖는 것이지, 완결된 논리체계가 아니기 때문이다. 오히려 법의 논리적 완결성을 희생하더라도 국민들의 눈물을 씻어줄 수 있다면, 기꺼이 그 길을 택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법의 생명은 논리가 아니라 경험”이라고 하는 올리버 홈즈(O. Holmes) 전 미국연방대법관의 혜안은 우리에게 좋은 등대가 될 것이라고 본다. 결과를 중시한다고 하여, 구체적, 개별적 사건마다 서로 다른 법리가 적용되어 법적 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을 감소시키고 법관의 자의적 판결을 허용하게 된다면, 그것도 국민의 행복과 복지에 기여하지 못할 것이다. 여기에서 필요한 것이 법리의 분류와 유형화일 것이다. 유사한 법리와 효과를 가져오는 사안들을 유형화하여 같은 유형에 대하여는 동일한 법리를 적용하되, 그와 다른 유형의 사안들에...

      • KCI등재

        대표권 남용과 배임미수

        남기정 사법발전재단 2016 사법 Vol.1 No.38

        대법원 2012. 5. 24. 선고 2012도2142 판결은, “배임죄에서 재산상 손해를 가한 때에는 현실적인 손해를 가한 경우뿐만 아니라 재산상 실해발생의 위험을 초래한 경우도 포함되나, 그러한 손해발생의 위험조차 초래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배임죄가 성립하지 아니한다. 이에 따라 대표권 남용행위가 무효가 되는 경우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로 인하여 법인에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거나 발생할 위험이 있다고 할 수 없으므로 그 대표자의 행위는 배임죄를 구성하지 아니한다.”라고 하면서, 무효인 대표권 남용행위로 인해 재산상 실해발생의 위험이 초래되지 않은 경우 배임죄의 성립을 부정하여 무죄를 인정한다. 그런데 ‘재산상 실해발생의 위험이 초래’되는 경우 배임죄의 ‘기수’를 인정하는 기존 판례의 입장과, ‘재산상 실해발생의 위험이 초래되지 않는’ 경우 배임의 ‘무죄’를 인정하는 위 2012도2142 판결의 입장이 합하여져, 재산상 실해발생의 위험의 초래 여부에 따라 ‘기수인가 무죄인가’만이 문제 됨으로써 배임미수로의 처벌은 실종(失踪)되는 결과가 발생하였다. 재산상 실해발생의 위험은 배임죄의 재산상 손해에 포함되는 구성요건적 결과에 불과하므로, ‘배임행위가 있었음에도 이러한 위험이 초래되지 않은 경우’에는 ‘배임미수’의 성립이 검토되어야 한다. 또한 재산상 실해발생의 위험이 초래되면 기수로, 초래되지 않으면 무죄로 판단하는 것은 구성요건적 결과발생 여부에 따라 ‘기수인가 미수인가’가 아닌 ‘기수인가 무죄인가’를 결정하는 셈이 되어 부당하다. 위 2012도2142 판결의 ‘그러한 손해발생의 위험조차 초래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배임죄가 성립하지 아니한다’는 설시는, 재산상 실해발생의 위험이 초래되지 않은 경우에는 배임죄의 ‘기수’가 성립하지 아니한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그럼에도 위 판결이 재산상 실해발생의 위험이 초래되지 아니한 경우 배임미수에 대하여 검토하지 않은 채 배임죄의 성립을 부정하여 무죄라는 결론을 도출한 것은 위 설시를 잘못 적용한 것이다. 또한 ‘대표권 남용행위가 무효가 되는 경우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로 인하여 법인에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거나 발생할 위험이 있다고 할 수 없다’는 설시는, 법률적 재산개념에 입각함으로써 기존의 주류적인 학설과 판례의 입장과 배치될 뿐만 아니라, 무효인 대표권 남용행위 또한 실제 손해발생의 개연성을 가지고 있고 실제로 그러한 사례가 판결에서 다루어지고 있음에도 그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태도를 취하는 등 그 타당성이 미약하다. 즉, 위 2012도2142 판결은 위 각 설시를 잘못 적용하거나 타당하지 못한 설시에 근거하여 대표권 남용행위의 배임미수로의 처벌을 봉쇄시키고 있어, 위 판결의 설시는 미수가 실종된 상황을 정당화할 이론적 타당성을 갖추고 있지 못하다. 오히려 실행의 착수시기에 관한 절충설 및 종래 판례의 입장, 그리고 대표자와 거래상대방의 공범관계 등을 고려해 볼 때, 대표권 남용행위가 있는 시점에서 배임죄의 실행의 착수가 자연스럽게 인정되고, 이는 대표권 남용행위가 무효인 경우에도 동일하다. 다시 말해 무효인 대표권 남용행위가 이루어진 시점에서 이미 배임죄의 실행에 착수한 것으로 인정함이 타당하므로, 더 이상 배임미수의 적용을 주저해야 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요컨대 첫째, 대표권 남용행위가 있으면 배 ... In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2Do2142 Decided May 24, 2012, the Court held as follows: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is established in cases where such breach caused actual property damage or caused the risk of such occurrence, but not in cases where there was no risk of occurrence of actual property damage. Accordingly, if the act of bearing obligation under an entity’s name by the representative of such entity (abuse of representative authority) has no legal validity, it cannot be deemed that the entity incurred or faced the risk of incurring damage therefrom barring special circumstances, and thus, the representative’s act does not constitute a breach of trust.” However, both the aforesaid ruling and previous judicial precedents, whereby the Supreme Court acknowledged the “consummation” of breach of trust if such breach caused the risk of occurrence of actual property damage, focused only on whether a crime (breach of trust) was consummated and failed to examine whether the relevant act constituted an attempted breach of trust. Inasmuch as the risk of occurrence of actual property damage is merely an element for establishing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involving the occurrence of actual property damage, whether the abuse of representative authority is punishable as an attempted breach of trust should be considered if there was no risk of occurrence of actual property damage despite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having been consummated. In short, it is deemed untenable to conclude that a crime (breach of trust) was consummated solely on the basis that such breach caused the risk of occurrence of actual property damage. As delineated in the Supreme Court Decision, supra, the Court held that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was not established in the event that such breach did not cause the risk of occurrence of actual property damage, which can be interpreted as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not having been consummated. In that context, the Court was wrong to have rendered that breach of trust was not committed without considering the probability of attempted breach of trust. Furthermore, the Court’s position (“...if the representative’s abuse of authority has no legal validity, the entity cannot be deemed to have incurred damage or faced the risk of incurring damage”) is based on the legal concept of property and therefore contradicts not only with conventional academic theories and previous judicial precedents, but lacks reasonableness in that there exist actual cases where causation was found between abuse of representative authority (albeit having no legal validity) and occurrence of actual damage. In short, the aforementioned Supreme Court Decision lacks the theoretical basis justifying the Court’s disregard as to the probability of punishing a representative’s abuse of authority as an attempted breach of trust. A more reasonable approach would be to acknowledge that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was consummated and/or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was attempted at the time when the representative began to abuse authorit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onventional theories and judicial precedents regarding the period of beginning consummation of an offense (abuse of representative authority), the complicity between the representative and the counterparty, etc. To sum up: (i)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should be deemed consummated if there was abuse of representative authority, thereby acknowledging that breach of trust was attempted; (ii) whether a representative’s abuse of authority, albeit having no legal validity, can cause damage should be examined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and (iii) the court should refrain from readily concluding that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was not established in cases where such breach did not cause the risk of occurrence of actual property damage, and should consider the probability of attempted beach of trust in cases where there was no risk of such occ...

      • KCI등재

        형법상 배임죄 규정의 입법론적 개정방안에 관한 연구

        김재윤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一鑑法學 Vol.- No.54

        Due to the vagueness of the provision of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in the Korea Criminal Code art. 355 (2), various views are presented in its interpretation. Compared to the crime of theft,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seems to be more detailed and clearly defined in terms of formality. Nevertheless, whether or not an act constitutes a breach of trust is ambiguous and unclear to the extent that neither the prosecution nor the court can easily determine guilt or innocence. For this reason, criticism is being raised that the scope of punishment for breach of trust is wide and the boundary of criminal punishment is very ambiguous. It is difficult to find simple breach of trust in most advanced capitalist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except for Korea, Germany, Austria, Switzerland, France, Belgium, Spain and Japan. Criminal punishment for simple breach of trust is highly likely to violate the principle of individual private autonomy, a core principle of modern civil society. In the meantime, the theory of abolition of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and the theory of existence (the theory of reinterpretation) have been proposed in order to suppress the so-called ‘criminalization of civil cases’ due to the expanded application of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However, the theory of abolition creates a vacuum in punishment if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which has been maintained for more than 50 years in Korea, is abolished instantly. Also, reinterpretation theory cannot solve the essence of the problem by adding another interpretation to the current complicated interpretation theory. Therefore, it is now necessary to propose a legislative amendment to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rather than the theory of abolishment or existence (reinterpretation) of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In this paper, the elements of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under Korea Criminal Code were reviewed, and based on this, specific legislative Revision is proposed. It is hoped that there will be more active discussions on the revision for the regulation of on breach of trust in the future and that there will be a forward-looking change in the legislature’s attitude. 형법상 여러 구성요건 가운데 배임죄만큼 그 해석을 둘러싸고 논란이 큰 구성요건도 없다. 배임죄 구성요건은 절도죄 구성요건과 비교할 때 형식적인 면에서 보다 상세하고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는 듯 보인다. 하지만 동산 이중매매, 부동산 이중매매, 부동산 이중저당, 동산 또는 주식 이중 양도담보 등의 행위가 (업무상)배임죄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이를 기소하는 검찰은 물론 재판부도 대법원까지 이르러서야 그 성립 여부를 알 수 있을 만큼 모호하고 불명확하다. 이에 배임죄는 ‘재산적 비행의 하수종말처리장’ 이라는 비난을 받을 만큼 처벌 범위가 넓고 가벌성의 경계가 매우 모호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우리나라와 독일형법, 오스트리아형법, 스위스형법, 프랑스형법, 벨기에형법, 스페인형법, 일본형법을 제외하고 영국이나 미국 등 대부분의 선진 자본주의 국가에서 단순배임죄는 찾아보기 어렵다. 단순배임죄에 대한 형사처벌은 근대 시민사회의 핵심 원리인개인의 사적 자치의 원칙을 침해할 소지가 크기 때문이다. 그 동안 형법학계와 상법학계에서는 배임죄의 확대 적용에 따른 이른바 ‘민사의 형사화’를 억제하기 위해 배임죄를 전면적으로 폐지하자는 폐지론과 배임죄 구성요건의 엄격한 재해석을 통해 극히 제한적으로 운용하자는 존치론(재해석론)이 제시되어왔다. 하지만 폐지론은 50년 이상 유지한 배임죄를 일순간 폐지할 경우 처벌의 공백과횡령죄와의 불균형이 발생하며, 재해석론은 현재에도 백가쟁명식으로 제안되는 복잡한 해석론에 또 다른 해석론을 추가하는 것으로 문제의 본질을 해결할 수 없다. 따라서 이제는 배임죄 폐지론 내지 존치론(재해석론)이 아니라 형사불법이 인정되는 최소한의 범위 내에서 배임죄를 적용함으로써 자본주의 시장경제질서를 유지할 수 있는 최후수단으로 작동할 수 있는 새로운 배임죄 구성요건으로 재탄생할 수 있도록 배임죄에 대한 입법론적 개정안의 제시가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형법상 배임죄 구성요건요소를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구체적인개정방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배임죄의 해석론에 대한 논의도 중요하지만 개정론에 대한 논의가 보다 활발히 진행되고 입법부의 전향적인 태도 변화가 있길 기대한다.

      • KCI등재

        상법상 특별배임죄규정의 개정방향

        최준선 한국경제법학회 2012 경제법연구 Vol.11 No.2

        A series of provisons on Breach of Trust as a crime are provided in the Korean Criminal Code, the Korean Commercial Code and in a Special Act. First of all, the Article 355 (Embezzlement and Breach of Trust)of the Korean Criminal Code provides “Breach of Trust”. A person who, administering another's business,obtains pecuniary advantage or causes a third person to do so from another in violation of ones duty, thereby causing loss to such person, shall be punished by imprisonment for not more than five years or by a fine not exceeding fifteen million won. The Article 356 (Occupational Embezzlement, Occupational Breach of Trust) of the Korean Criminal Code also provides “Occupational Breach of Trust”. A person who commits the crime as prescribed in Article 355 in violation of the duties of ones occupation, shall be punished by imprisonment for not more than ten years or by a fine not exceeding thirty million won. In addition, similar clauses exist in the Korean Commercial Code as “Special Breach of Trust” applicable to managers of corporations (Article 622: Crimes of Special Misappropriation by Promoters, Directors, and Other Officers,etc.) and in “the Act on the Aggravated Punishment, etc. of Specific Crimes” (Article 3). The original form of Breach of Trust in the Criminal Code was introduced from the German Criminal Code § 266 via Japanes Criminal Code Article 247. These series of Breach of Trust press strongly managers such as directors of corporations in the Korean business community. Many substantial owner of large enterprises or conglomerates were arrested or punished on a charge of commitment of Breach of Trust. This writer suggests that Korea shall adopt the business judgment rule in the Commercial Code. The business judgment rule in the United States specifies that the court will not review the business decisions of directors who performed their duties in good faith, with the care that an ordinarily prudent person in a like position would exercise under similar circumstances and in a manner the directors reasonably believe to be in the best interests of the corporation. These situation arises when directors make a venture in their business although they can not ensure success. Along with adoption of the business judgment rule, the directors shall be exempted from both civil and criminal responsibility. This goal could be achieved by adding a proviso at Article 622 of the Commercial Code that the directors shall be exempted from the punishment of Breach of Trust when they acted on the base of the business judgment rule. 기업인에 대한 배임죄의 처벌이 점점 강해지고 있고, 경제민주화법안은 기업인에 대한 배임죄의 경우 집행유예와 사면을 금지하는 입법까지 추진하고 있다. 배임행위는 경영상 판단에 의한 예기치 않은 결과로 밝혀지는 경우가 많아서 “업무상 배임”인가 아니면 “경영상 판단”인가는 검찰의 자의적 판단의 여지가 상당히 크다는 점에서, 그리고 기업경영자에게 형사벌로 의율하는 것이 과연 타당한가 하는 점에서 현재의 기업경영자들에 대한 엄격한 법집행은 재고의 여지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더구나 단순한 경영상 판단 실패인지 위법행위에 의한 것인지를입증하기도 쉽지 않다. 기업의 경영활동에 대한 과도한 형사적 개입은 자율성과 창의성이 존중되어야 할 이사의 경영활동을 위축되게 함으로써 기업은 물론이고, 국가 경제에도 상당한 불이익을 초래할 수 있다. 이 글에서 필자는 (1) 경영판단의 원칙을 상법에 명문으로 규정하면서, (2) 경영판단의 원칙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상법상 특별배임죄의 성립을 부정하는 방향으로의 상법개정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상법 제382조 제2항에 제2문을 신설하여, 경영판단의 원칙을 명문으로 도입하는 것이다. 상법에 경영판단의 원칙을 명문으로 도입하는 것은 이미 독일 주식법이 그렇게 하고 있다. 이를 모델로 하면 좋을 것으로 본다. 둘째, 상법상 특별배임죄에서 “다만, 경영판단의 경우에는 벌하지 아니한다”라는 단서를 삽입하는 것이다. 경영판단으로서 민사적으로 손해배상의무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형사처벌도 면제되어야 한다. 기업인의 업무상 배임죄의 본질이 명백하지 않기 때문에 법원의 업무상 배임 판결이 유사한 상황에서 일관성을 상실하고 있는 것처럼 비쳐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범죄와 비범죄의 경계가 모호한 경우는 죄형법정주의에 위배된다고 보아야 한다.

      • KCI등재

        대표권남용에 의한 약속어음 발행행위가 법률상 무효인 경우 배임죄의 기수 시점

        이현석 사법발전재단 2017 사법 Vol.1 No.42

        Breach of trust is an offense established when a person administering another’s business derives property interest or has a third party do so by an action in violation of his/her duty, thereby inflicting loss on the principal. Deeming breach of trust as a risk offense, precedent holds that “infliction of property loss” includes those cases where the perpetrator caused the risk of incurring actual property loss, while limiting said risk to such specific and practical risk as to be evaluated from an economic standpoint as virtually the same as incurring property loss in fact. Precedent has consistently held as follows: (a) if a corporate representative director assumes an obligation in the name of the company in violation of his/her duty, the company incurs obligation insofar as said action is valid, and thus, breach of trust is consummated even before the obligation is actually performed; (b) but when the assumption of obligation is legally void, the property loss requirement for the establishment of breach of trust is not met, and thus, barring any special circumstance, breach of trust is not consummated. Yet, one of the Supreme Court cases held: (a) unlike general assumption of obligation, in cases where the corporate representative director issued a promissory note in the name of the company in violation of his/her duty; (b) even where the issuance of a promissory note is void for reasons of the transferability of promissory note and the break in personal defense; (c) barring any special circumstance, such as where the promissory note so issued is not negotiated with a third party; (d) breach of trust is immediately consummated on the ground that the perpetrator caused the risk of actual property loss. However, deeming the perpetrator to have caused the risk of actual property loss just because the chances are not negated for the void promissory note to be negotiated with a third party, although in fact it was never so negotiated, is not in conformity with the precedent limiting the risk of incurring actual loss, which constitutes property loss in breach of trust, to a specific and practical risk. Thus, the subject case overruled the precedent by holding as follows: (a) when the issuance of a promissory note is void and said promissory note is not negotiated with a third party; (b) barring any other special circumstance, the perpetrator cannot be deemed to have caused the risk of actual property loss; and therefore, (c) breach of trust is not consummated, and the offense can only be punished as an attempted breach of trust. The significance of the subject case is that it safeguarded against an excessive expansion of the scope of consummation of breach of trust in the context of the issuance of a promissory note, by applying a more substantial and strict standard when determining the property loss requirement for breach of trust. 배임죄는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가 그 임무에 위배하는 행위로써 재산상 이익을 취득하거나 제3자로 하여금 이를 취득하게 하여 본인에게 손해를 가한 때에 성립하는 범죄이다. 판례는 배임죄를 위험범으로 보아 ‘재산상 손해를 가한 때’에는 재산상 실해 발생의 위험이 초래된 경우도 포함된다고 보면서도, 그 위험은 경제적 관점에서 재산상 손해가 발생한 것과 사실상 같다고 평가될 정도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위험만을 의미한다고 보고 있다. 회사의 대표이사가 임무에 위배하여 회사 명의로 의무부담행위를 한 경우, 그 행위가 유효하면 회사의 채무가 발생하므로 그 채무가 현실적으로 이행되기 전이라도 배임죄의 기수에 이르지만, 그 의무부담행위가 법률상 무효인 경우에는 배임죄의 재산상 손해 요건이 충족되지 않으므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배임죄의 기수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 일관된 판례의 입장이다. 그런데 종래의 대법원판결 중에는 일반적인 의무부담행위와 달리 대표이사가 임무에 위배하여 회사 명의로 약속어음을 발행한 사안에서는, 약속어음의 양도성과 인적 항변의 단절 등을 이유로 약속어음 발행이 무효이더라도 그 약속어음이 제3자에게 유통되지 아니한다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재산상 실해 발생의 위험이 초래되었다고 보아 곧바로 배임죄의 기수가 성립한다고 본 판결이 있다. 그러나 무효인 약속어음이 실제로 제3자에게 유통되지 않았음에도 유통될 가능성이 부정되지 않는다는 이유만으로 재산상 실해 발생의 위험이 초래되었다고 보는 것은 배임죄의 재산상 손해에 해당하는 실해 발생의 위험을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위험으로 제한하여 온 그동안의 판례에 잘 부합하지 않는다. 이에 대상판결은 종전 판례를 변경하여, 약속어음 발행행위가 무효이고 그 약속어음이 제3자에게 유통되지도 않은 경우에는 다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재산상 실해 발생의 위험이 초래되었다고 볼 수 없으므로, 배임죄의 기수범은 성립하지 않고 배임미수죄로만 처벌할 수 있다고 판시하였다. 대상판결은 배임죄의 재산상 손해 요건을 보다 실질적이고 엄격한 기준에 따라 판단함으로써 약속어음 발행 사안에서의 배임죄의 기수 범위가 지나치게 확장되는 것을 차단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이사의 경영판단과 업무상 배임

        강동범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0 法學論集 Vol.14 No.3

        In connection with the debate whether director’s business judgment constitutes a crime of occupational breach of trust or not,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issue that the crime of occupational breach of trust depends upon the acceptance of business judgment rule. Without considering the principle of the business judgment rule, ⅰ) the majority’s point of view is that it is not a trust breaching, based upon one’s own agreement or a presumption of consent to the risk transactions. The others view this matter from a different standpoint, too. ⅱ) A risk transaction which directors pass careful judgment under the reasonable information for the good of the company is not a trust breaching at all or at least without an intention. ⅲ) A transaction in the director’s normal business operation is an acceptable reason for the exemption of illegality. On the contrary, some people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the crime of occupational breach of trust with considering the business judgment rule, because of the unification of the law and order, the specialty of the business judgment and the needs to restrict the trust breaching. From this perspective, the concrete views are as follows: ⅰ) it is necessary to have deliberate intentions. ⅱ) it is appropriate to act as a principle of limitation, in case that it causes overburden to directors when considering the crime of occupational breach of trust. ⅲ) there is a need to extend the case, which is not accepting the violation of a regulation of the crime of occupational breach of trust. There is an argument whether the court accepts the business judgment rule or not. However, the court does not seem to accept it until now, because there is no comment about its requirements and so on. Nevertheless, the court says that the strict level of translation should be maintained that the intention of crime is submitted just in case intentional behavior is identified. In this sense, it seems like “deliberate” intention is required. These views have problems as follows: based on one’s own agreement or a presumption of consent, it is virtually unacceptable to the corporate. According to the deliberate intention theory or precedent, the intention consists of willful negligence as well. However, there are few business judgments which don’t care about the possibility of making loss (Common business judgments are based not on risk-avoiding but on risk-taking). Ftakinat rn ris, it is impossible to deny the intention.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business judgment rule is alrn dy rnflected on the translation of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There-tae, it is not necessary to intrlluce this principle to the Criminal Law so that to limitking).stablishment of the crime. Furthermoae, it is not logical to say that the business judgment rule should be considered by translating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restrictively. Because this rule is already reflected to the translation of the crime and there is no specific standard to limit it. Besides, it is not proper to limit the crime just a case of business judgment. Therefore, director’s sincere and fair business judgment is not applicable to trust breaching. 이 글은 이사의 경영판단이 업무상배임죄를 구성하는가와 관련하여, 미국판례에서 유래하여 우리 상법은 물론 형사법에도 최근 그 도입이 논의되고 있는 경영판단원칙의 도입 여부가 업무상배임죄의 성부에 영향을 줄 것인가를 검토하였다. 다수 견해는, 특별히 경영판단원칙을 고려하지 않고 모험거래에 있어 본인의 동의 또는 추정적 승낙을 근거로 배임행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 외에 이사가 회사의 이익을 위해 합리적인 정보에 기하여 신중하게 판단한 모험거래는 배임행위가 아니거나 고의가 없는 결과가 된다는 견해, 이사의 정상적인 업무수행 과정에서의 거래행위는 위법성이 조각된다는 견해가 있다. 이에 반해 법질서통일, 경영판단의 전문성・특수성 존중, 배임행위의 제한필요성을 이유로 경영판단원칙을 업무상배임죄의 해석에 고려하여야 한다는 입장도 있다. 그 구체적인 방법으로, 의도적 고의가 필요하다는 견해, 배임죄의 성부에 있어 이사에게 과중한 책임이 지워질 경우에 한계원리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함이 타당하다는 견해 그리고 본인동의이론과 경영판단원칙을 도입하여 경영의 논리를 기초로 업무상배임죄의 구성요건해당성을 인정하지 않는 경우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는 견해가 있다. 판례가 이사의 업무상배임죄와 관련하여 경영판단원칙을 수용하고 있는가에 대해 논란이 있으나 문제된 사례에서 경영판단원칙의 요건 및 그것에 해당하는지를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아직은 이 원칙을 형법에 수용하지 않았다고 할 것이다. 다만 판례는 의도적 행위임이 인정되는 경우에 한하여 배임죄의 고의를 인정하는 엄격한 해석기준이 유지되어야 한다고 하여, 업무상배임죄의 고의에 관하여 ‘의도’적 고의를 요구하는 듯한 설시를 하고 있다. 이들 견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동의나 추정적 승낙을 근거로 할 경우 법인인 회사는 사실상 동의할 수 없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의도적 고의필요설이나 판례와 같이 고의제한으로 접근할 경우 고의는 미필적 고의를 포함하는데 손해의 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전혀 없는 경영판단은 거의 없으므로(통상의 경영판단은 위험의 회피가 아닌 감수를 전제) 고의를 부정하기는 불가능하며, 경영판단에 대해서만 의도적 고의로 제한해서 해석할 이론적 근거가 없으므로 타당하지 않다. 또한 경영판단원칙이 추구하는 목적은 이미 배임죄의 해석론에 반영되어 있으므로, 이 원칙을 직접적으로 형법에 도입하여 배임죄의 성립을 제한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나아가 배임죄를 제한해서 해석하는 방법으로 경영판단원칙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주장 역시 타당하지 않다. 왜냐하면 이 원칙은 이미 배임죄의 해석에 반영되어 있고 제한할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하지 않고 있으며, 경영판단의 경우에 한하여 배임죄를 제한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즉 배임죄(업무상배임죄 포함)의 구성요건 중 타인의 사무처리를 엄격하게 해석하고, 손해발생을 법문언대로 침해범으로 해석하여야 한다는 것은 경영판단에 대해서만 적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사의 성실하고 공정한 경영판단은 배임행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한다.

      • KCI등재

        판례에 나타난 배임죄의 손해 판단기준에 대한 검토

        안경옥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경희법학 Vol.51 No.4

        Breach of trust is established by a failure to act responsibly for someone who has given duty and acquire the property benefit himself or by letting a third party acquire property benefit as a reslult establish damage for himself (Article 355(2) of the Criminal Act). Supreme Court is criticized for expanding the scope of punishment or establishment of breach of trust by acknowledging not only from occurrence of loss regarding interpretation of ‘when property is damaged’ which is component required in breach of trust, but also from possibility of ‘risk of damages’ before it occurs. In this paper, the contents and the flow of ‘property damage’ of breach of trust seen the case will be reviewed. Due to the Supreme Court is taking a consistent view of not only including actual damage but also risk of damages, there is criticism that Supreme Court is expanding the interpretation of establishment of breach of trust or admit it ahead of consummated time or brings the effect of punishing breach of trust as dangerous criminals. Evaluation of each case whether risk of property damage is in similar level of specific risk and admitting damage and evaluation by the Supreme Court is valid. However, there is a problem with the attitude of the Supreme Court, when the do not punish even if there is possibility of risk equivalent to damage or there is no possibility of damage. Since our penal code has an unrecognized provision of breach of trust, even in such cases, intentional or unlawful infringement will be accepted, therefore, it can be punished as an offense of breach of trust. It should be not result in excessive intervention in private autonomy or business management by unfairly expanding the scope of punishment for establishment of breach of trus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the constitutional elements of breach of trust in a limited manner. However, fundamentally, through reviewing whether the constitutional requirement of breach of trust is vague, legislative efforts to continuously rearrange the constitutional elements is essential. 배임죄는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가 그 임무에 위배되는 행위를 하여 재산상 이익을 취득하거나 제3자로 하여금 취득하게 하고 본인에게 손해를 가함으로써 성립하는 범죄이다 (형법 제355조 제2항). 대법원은 배임죄의 구성요건 요소인 ‘본인에게 재산상 손해를 가한 때’의 해석과 관련하여서는 손해가 발생한 경우뿐만 아니라 손해발생 이전의 ‘손해가 발생할 위험’이나 가능성만으로 배임죄(기수)를 인정함으로써 배임죄의 성립이나 처벌의 범위를 확대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판례에 나타난 배임죄의 ‘재산상의 손해’의 내용이나 흐름을 검토하고자 한다. 그것은 대법원은 일관되게 현실적인 손해뿐만 아니라 손해(실해)발생의 위험도 포함한다는 견해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대법원이 배임죄의 성립을 확대하여 해석한다거나, 기수시기를 앞당겨 인정한다든가 배임죄를 위험범으로 처벌하는 효과를 가져온다는 등의 비판이 있기 때문이다. 대법원이 재산상 손해 발생의 위험이 손해와 동등한 정도의 구체적인 위험이 있는가를 각 개별사례에서 평가하여 손해를 인정하는 것은 타당하다. 그러나 손해와 동등한 위험이 없다거나 손해가 생길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경우라고 하여 배임죄로 처벌조차 하지 않는 대법원의 태도는 문제가 있다. 우리 형법은 배임죄의 미수범 규정이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도 고의나 불법영득의사는 인정할 수 있으므로 배임죄의 미수범으로는 처벌 가능하다고 하겠다. 배임죄의 성립이나 처벌범위를 부당하게 확대하여 사적 자치나 기업경영에 과도하게 개입하는 결과를 가져와서는 안된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배임죄의 구성요건요소에 대해 제한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으나, 보다 근본적으로는 배임죄의 구성요건 자체가 불명확한 것은 아닌지 검토하여 구성요건 자체를 재정비하는 입법론적인 노력도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기업집단 내 계열회사 간 지원행위의 업무상배임죄 성립 여부

        이완형 사법발전재단 2018 사법 Vol.1 No.43

        Thus far, the Supreme Court’s judgment on whether breach of trust is established by cross subsidization within a corporate group has based on a strict theory of independent corporate person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individual affiliates. Today, however, many companies run their businesses as corporate groups. In corporate accounting as well, consolidated accounting practice such as the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IFRS) is widely adopted, under which the parent and subsidiary are treated as a single unit. In this respect, the Supreme Court precedent has been criticized for its failure to adequately reflect the evolving trends in business activities. Internationally, legislation and case law have already reflected today’s evolving business activities centered on corporate groups. Cases in point include: (a) the Rozenblum decision in France, holding that financial subsidization between subsidiaries for the common interest of a corporate group may be exempt from the purview of the abuse of corporate asset; and (b) the Konzern system under German company law, which legally institutionalized the permission for a parent company to issue a directive to the detriment of its subsidiary. The subject case held: (a) determination whether cross subsidization within a corporate group for common interest constitutes a breach of trust deserves more caution, as it may give rise to a risk of pecuniary loss to the subsidizing affiliate; and yet, (b) the intent in breach of trust may be denied as within the reasonable scope of discretion under business judgment, insofar as the cross subsidization is for the common interest of all the affiliates instead of the interests of a specific company or person, and meets the standards delineated under the subject case regarding such matters as designation of the subsidizing affiliate, determination of the subsidization volume and method, and feasibility of adequate reward for subsidization. The subject case is the first ever case to deny the intent in breach of trust regarding business judgment aimed at the common interest of a corporate group. It is viewed that the case recognized the territory of business judgment unique to a corporate group, which had been hard to explain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 of independent corporate personality, and reflected the evolving trends in business activities centered on corporate groups. Another significance of the subject case is that it delineated concrete standards for determining whether cross subsidization within a corporate group constitutes a breach of trust. Breach of trust has been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offenses. In particular, criticism abounded that the frequent application of breach of trust to entrepreneurs’ decision-making on business activities may undermine free and creative entrepreneurship. Against this backdrop, the subject case is deemed to have put forward a relatively clear and concrete set of standards on business activities, at least regarding whether cross subsidization within a corporate group constitutes a breach of trust. These standards would hopefully help protect legitimate and sound entrepreneurship and alleviate controversy surrounding the application of breach of trust. 종래 대법원은 동일한 기업집단에 속한 계열회사 사이의 지원행위에 대해 엄격한 법인격 독립론의 입장에서 개별 계열회사를 기준으로 배임죄의 성립 여부를 판단하여 왔다. 그러나 오늘날 많은 기업들이 기업집단을 이루어 기업활동을 영위하고 있고, 국제재무보고기준 등 기업회계에서는 지배회사와 종속회사를 포괄하여 단일체로 취급하는 연결회계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종래의 대법원판결들은 변화하는 기업활동의 실태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외국에서는 이미 기업집단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오늘날 기업활동의 변화를 입법이나 판례를 통해 반영하여 왔다. 기업집단의 공동이익을 위한 계열회사 사이의 재정적 지원에 대해 회사재산남용죄가 배제될 수 있음을 밝힌 프랑스의 로젠블룸 판결이나 지배기업이 종속기업에 불이익한 지시를 할 수 있도록 법제화한 독일 기업법의 콘체른 제도가 대표적이다. 대상판결은 기업집단 내 계열회사들의 공동이익을 위한 지원행위라 하더라도 지원 계열회사에 대해서는 재산상 손해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위와 같은 행위가 배임에 해당하는지는 보다 신중하게 판단하되, 특정회사나 특정인의 이익이 아닌 계열회사들의 공동이익을 위한 것으로서 지원 계열회사의 선정 및 지원 규모의 결정, 지원 방법의 결정, 지원행위에 대한 적절한 보상의 실현가능성 등에 관한 대상판결이 제시한 기준을 충족하는 것이라면 합리적인 경영판단의 재량범위 내에서 행하여진 것으로서 배임의 고의가 부정될 수 있다고 판시하였다. 대상판결은 기업집단의 공동이익을 위한 경영상의 판단에 대해 배임의 고의를 부정한 최초의 판결이다. 종래의 법인격 독립론을 고수하는 입장에서는 설명하기 어려운 기업집단에 특유한 경영상의 판단 영역이 있음을 인정하고 기업집단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변화된 기업활동의 실태를 반영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대상판결은 기업집단 내 계열회사 사이의 지원행위가 배임죄에 해당하는지에 대하여 구체적인 판단 기준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있어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배임죄는 가장 논란이 많은 범죄 중 하나이고, 특히 기업활동에 있어서 기업경영인의 의사결정에 대해 배임죄가 적용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자유롭고 창의적인 경영활동에 장애가 된다는 비판도 많다. 대상판결은 기업활동 중 적어도 기업집단 내 계열회사 사이의 지원행위가 배임죄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비교적 명확하고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기준이 기업가의 적법하고 건전한 경영활동을 보호하고 배임죄의 적용에 관한 기존의 논란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LBO에 대한 배임죄의 예측 가능한 적용을 위한 검토 - 배임죄의 구성요건 중 손해와 범의를 중심으로 -

        황지환 ( Hwang Ji Hwan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글로벌비즈니스와 법센터 2020 연세 글로벌 비즈니스 법학연구 Vol.12 No.1

        Korean criminal law regulates ‘breach of trust’ as a crime applicable to a person who, administering another’s business, causes loss to such person by breach of trust, and punishes such acts. Therefore, directors in charge of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need to pay particular attention when executing their duties in order not to be punished for breach of trust. In particular, whether the act of the director of an acquired company can constitute a breach of trust regarding ‘LBOs’ seems to be the issue in M&A business circles. ‘LBO’ is a type of M&A in which a buyer obtains the right of management of the acquired company by using the assets of the acquired company when borrowing the acquisition funds. As to whether or not such actions constitute a breach of trust in relevant LBO cases, the court currently takes the position that they should be judged on a case-by-case basis on specific facts. However, even though this court's position can be seen as a desirable dire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romoting specific validity or making juridically correct judgments in matters related to LBO and breach of trust, it functions as one of the reasons why from the position of manager and corporation, choosing LBO is rejected as a means of M&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redictable level of legal principles in relation to which criteria will determine whether or not to judge the fulfillment (or accomplishment) of the breach of trust in M&A by means of LBO. According to this need, this article attempts to set predictable criteria for the fulfillment (or accomplishment) of a crime by synthesizing the Supreme Court precedents and existing theories regarding the component of article of a breach of trust against the LBO. In particular, among the elements of breach of trust, this article will primarily review i) the scope of the ‘principal’ as the subject of the fiduciary duties of directors, ii) the scope of the subject to which damage occurs and the content of such damage, and iii) the ‘intent to breach’ in relation to business decisions, and will finally suggest the criteria for judging the establishment of breach of trust regarding LBO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