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자녀양육 경험: 위계의 교차 위에 놓여있는 이중민족사회화

        이지연,Grace Chung 한국가족학회 2019 가족과 문화 Vol.31 No.2

        The current study sought to understand the parenting experiences of marriage migrant women from Vietnam in the Korean society by referring to the concept of bi-ethnic socialization. Participants of the present study were 22 marriage migrant women from Vietnam residing in the capital region of South Korea. They were raising at least one child attending elementary school or preschool aged over 5 who had a Korean biological father. Grounded theory method was used to collect and analyze the in-depth individual interview data with the participants. Firstly, the contents of parenting experiences that the marriage migrant women from Vietnam comprised of 4 categories. For the first category, the participants took part in economic activities to meet the financial needs of their families both in Korea and Vietnam and to become capable and proud mothers. However, due to the economic hardships that require immediate attention and the subsequent child care gap, the participants expressed difficulty in practicing ethnic socialization of their children. The second category represented the marriage migrant women from Vietnam who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as the mainstream experience of the Korean society. The way they supported their children’s academics varied depending on their financial situations, the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and the degree of family support. The third category depicted the limitations in practicing certain parenting behaviors due to the pervasiveness of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resulting from the marginalized status of the Vietnamese ethnicity in South Korea. However, they negotiated and adjusted their position as parenting agents and simultaneously performed preparation for bias as mothers raising bi-ethnic children. The fourth category characterized the practice of cultural socialization that transmitted Vietnamese culture and tradition to their children, which was deeply related to the attitudes of their family members toward the Vietnamese culture. Cultural socialization was not only a matter of preference but also a reflection of respect for the Vietnamese culture, and of power relationships among family members. Secondly, the core category discovered from this study was the bi-ethnic socialization at the intersection of hierarchies. In the four categories of parenting experiences discussed above, the practice of bi-ethnic socialization enacted by the marriage migrant women from Vietnam was observed. In addition, the specific contents of bi-ethnic socialization varied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e individual and the family. Therefore, depending on the hierarchical positions of various social roles/statuses in which each participant belonged, various forms of bi-ethnic socialization indicated the intersectionality does not exist in a single dimension but a matrix of multiple dimensions. The core category suggests that bi-ethnic socialization of the ethnic minority population could vary depending on their statuses on multiple social dimensions. 이 연구는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들의 자녀양육 경험을 탐색하여 이중민족가족이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결혼이주여성들이 수행해나가는 주체적인 양육에 대한 이론적인 이해를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 남성과의 사이에서 낳은 5세 이상 유아나 초등학생 자녀를 1명 이상 양육하고 있는 수도권 거주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 22명을 개별 심층면접하였으며, 근거이론방법에 따라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들의 자녀양육 경험은 크게 네 가지 범주로 구성되어 있었다. 첫째,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들은 가정의 경제적 필요를 채우고 당당한 엄마로 서기 위해 경제활동에 임하고 있었으나, 생계와 돌봄공백 앞에 이중민족사회화는 요원하였다. 둘째, 학습지도에 치우친 한국의 양육담론 속에서 자녀의 공부와 학업성취를 한국사회의 주류 경험으로 인식하였으나 이를 지원하는 방법에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베트남에 대한 한국사회의 차별과 편견, 주변화 되어 있는 베트남의 민족적 지위는 이들의 주체적 양육을 제한하였으나 이들은 양육자로서 자신의 위치를 협상하고 조정하였다. 넷째, 자녀에게 베트남의 문화와 전통을 전달하는 문화적 사회화의 실천에는 베트남 문화에 대한 가족들의 존중 정도와 가정 내 권력관계가 반영되어 있었다. 네 가지 범주를 종합하여 본 연구는 한국사회를 살아가는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자녀양육 경험을 아우르는 핵심범주가 ‘위계의 교차 위에 놓여있는 이중민족사회화’임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이중민족가족 내에서 자녀를 양육하는 민족적 소수자의 이중민족사회화가 개인이 처한 다양한 위계의 조합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조명하였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저소득층 국제재혼가족 전혼자녀(前婚子女)의 가족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안지영(Ji young Ahn),김지훈(Jee hun Kim) 한국가족학회 2014 가족과 문화 Vol.26 No.4

        본 연구는 한국인 부모에서 태어났으나 친부모의 이혼 후 아버지가 베트남 출신 여성과 재혼한 경우를 사례로 청소년의 시각에서 재구성된 가족의 가족 경험의 실제를 탐색하는 질적 연구이다. 가족의 과업은 협상가능 한 것이며 가족으로서의 도리(family obligations)는 장기적인 관계의 산물이기도 하다는 가족 이론(Finch 1989, Finch and Mason 1993)과 가족 내 청소년 자녀의 역할에 주목하는 시각(Dreby 2007, 2010; Orellana 2009: 1-3) 그리고 초국적 이주이론(Bryceson and Vuorela 2002; Heisler, 2008; Khagram and Levitt 2008)의 렌즈를 통해 청소년들의 입장에서 국제재혼 가족 생활과 가족 관계의 실제와 그 의미에 초점을 두고 저소득층 가족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응용적 질적 연구접근법(Guest et al., 2012)을 통해 여러 질적 연구 방법을 결합하였고, 총 8명의 중고생 연구참여자를 심층 면접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존의 계부모-계자녀 관계와 이복 형제자매 관계 관련 가족 이론(기든스, 2009: 339-340; 이여봉, 2014: 210-211)이나 한국의 국내재혼 연구(정현숙 외, 2000: 12-13)나 국제재혼 연구(장인실 외, 2012: 167-171)의 지적과는 달리 한국인 전혼자녀는 베트남 새어머니와 비교적 긍정적이고 친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특히, 국제재혼 여성에게 있어서 재혼 후 새로 출산한 자녀는 본인과 "한국 사회를 연결"하고 결혼 생활의 "정서적 지지" 역할을 하는 긍정적인 의미로 여겨지지만, 한국인 남편의 전혼 자녀의 경우 결혼 생활의 "갈등 요소"나 "스트레스 요소"로 작용한다(장인실 외, 2012: 167-171)는 지적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 한국인 전혼자녀는 저소득층으로서 어려운 경제 여건과 재혼 가족으로서의 어려운 가족 맥락 속에서 이복 새동생 돌봄의 주요 역할자이자 미래의 후견인으로서 재혼가족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제재혼가족의 다양한 구성원의 시각에서의 후속적인 연구 필요성을 제기한다. 또한, 저소득층 한국인 전혼자녀 청소년이 일반의 다문화가정 청소년만큼 적극적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상황에 처해 있음을 시사한다. This exploratory study examines meanings and lived experiences of family by Korean adolescents who are family members of low-income cross-border remarriage between Korean fathers and their Vietnamese step-mothers. Based on family theory perspective that takes family tasks are negotiable and family obligations are constructed over the life long experiences (Finch 1989, Finch and Mason 1993) and that considers the importance of children's role in the family (Dreby 2007, 2010; Orellana 2009: 1-3) and through the lens of transnational migration theory (Bryceson and Vuorela 2002; Heisler, 2008; Khagram and Levitt 2008), we focus on the lived experiences of low-income families, from the perspective of adolescent children. A total of 8 adolescent informant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as interviewed, using applied qualitative method (Guest et al. 2012).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family theory on step-parents and step-children relationships and on step-siblings relationships (Giddens 2009: 339-340: Lee YB 2014: 210-211), and cross-border marriage in Korea (Jang IS et al. 2012), this study finds that, in general, Korean adolescent children maintained either positive or at least neutral relationship with their step-mothers. Also, in contrast to the previous studies that step-children are viewed as "stumbling blocks of re-marriage" (Jung HS et al. 2000: 12-13), these Korean children provide pivotal role of important care-takers for their half-siblings from the current re-marriages and showed willingness to take up future patron/guardian-role of their half-siblings, even though many of these children live in a difficult financial and other familial conditions. These results call for further investigation of lived experiences of bi-ethnic cross-border remarriage families in diverse angles. Korean step-children in cross-border remarriage are situated in similar condition that requires proactive policy supports like their counterparts in cross-border marriage families in Korea.

      • KCI등재

        다문화가족에 대한 한국인 아버지의 정체성과 이중민족사회화

        장해진,그레이스 정 가정과삶의질학회 2022 가정과삶의질연구 Vol.40 No.2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한국인 아버지의 이중민족사회화 수행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적 이중민족사회화 개념에 대한 논의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캄보디아, 필리핀, 베트남, 태국, 네팔 국적 여성과 결혼한 한국인 아버지 14명을 2번씩 심층면담 한 결과, 면담에서 다문화가족에 대한 아버지의 정체성이 중요한 핵심적인 주제로 나타났고, 주제분석을 통해 정체성의 종류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다문화가족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지는 아버지 집단, 다문화가족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아버지, 다문화가족임을 거부하는 아버지 집단 총 3개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본 집단들은 양육참여, 자녀의 이중민족정체성에 대한 견해, 자녀가 아내의 모국어를 배우는 것에 대한 태도, 사회적 차별에 대한 인식, 자녀가 경험할 잠재적 차별에 관한 대처방식의 5개 영역에서 집단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중민족사회화를 살펴봄으로써 다문화가족 한국인 아버지의 현실적인 이중민족사회화의 수행을 탐구하고, 다문화가족에 대한 한국인 아버지의 정체성에 따라 수행에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을 제시했다. 둘째, 연구는 한국 다문화가족의 이중민족사회화에서 아버지의 역할에 관해 이론적 논의를 끌어냈다. 셋째, 연구는 동질적이고 단일한 집단으로 여겨져 왔던 다문화가족 한국인 아버지 집단을 입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넷째, 다문화가족 한국인 아버지에 대한 고정관념 해소에 기여하였다.

      • KCI등재

        한국판 가족의 민족사회화 척도(Korean version of Familial Ethnic Socialization Measure: K-FESM) 타당화: 중국 및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 어머니를 둔 초등학교 5-6학년 다문화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지연 ( Lee Jiyeon ),그레이스정 ( Chung Grace H. ) 한국가족관계학회 2019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3 No.4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Familial Ethnic Socialization Measure (K-FESM) for 5th and 6th grade multicultural adolescents of marriage migrant mothers from China and Vietnam in Korea. Method: The sample was 358 adolescents who have Korean fathers and marriage migrant mothers (mother’s country of origin: 157 Vietnam, 105 China, 56 Philippines, 40 Japan). The original FESM has 12 items but in K-FESM 3 items were replaced in consideration of uniqu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Analyses including internal consistency analyses, principal-component,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tests were conducted for 4 groups by the country of origin of participants’ mothers. Results: The results of internal consistency were good for each group. Adolescents with marriage migrant mothers from Philippines and Japan, however, were found to be inappropriate for factor analyses. Factor analyses showed that the one-factor model was suitable for adolescents of marriage migrant mothers from Vietnam and China separately. Criterion-related validity test using correlations between familial ethnic socialization and ethnic affirmation/belonging confirmed the validity of K-FESM. Conclusions: The Korean version of FESM was found to be a reliable and valid tool for measuring ethnic socialization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of marriage migrant mothers in Korea. Using K-FESM, research on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could be expanded and improved.

      • KCI등재후보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위한 학교적응력 향상 프로그램 구안

        손민정,유형근,신효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08 敎員敎育 Vol.24 No.4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construct a counseling program for biracial/bi-ethnic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enhance the adjustability to school , and to confirm its validity. The contents of this study was surveying of need on necessary contents for adjustment to school of biracial children, reviewing the literature and analysing result of survey, constructing the counseling program for enhance of adjustment to school, and confirming its validity. To achive this purpose,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exploring various materials and activity b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biracial/bi-ethnic children and classifying the difficulty in adjustment to school by school adjustment area. By reviewing the result of survey and the literature, the factors of the program were extracted, the object of each session were created, the program was composed with activities to achieve the object. After the program was corrected through professionals' consultation, the final counseling program was show.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or enhancing the school adjustability, biracial/bi-ethnic elementary school students must understand themselves, shape identity desirably and practi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to improve relation with classmate and teacher. And although the effect of this program was not verified, the constructed program was shown to be applicable to schools and to be possible to be generalized as a result of its review by a professional.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 program can response rapidly changing social need and in the way that counseling teacher can help the biracial/bi-ethnic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lower grade directly.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학교적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을 고찰하여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이 학교적응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분석하고,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1, 2학년 학생과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학교적응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은 학교적응에 있어 대인관계 및 학교수업 적응을 위해 보다 많은 도움을 필요로 하고 있었으며, 학교규칙에는 잘 적응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대인관계 및 학교수업 적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활동을 중심으로 잠정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이론 및 현장전문가의 자문을 바탕으로 수정․보완한 다음, 그 타당성을 확인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로 급변하고 있는 우리 사회의 요구에 시의적절할 뿐 아니라, 다문화가정 초등학생들이 학교생활에 적응하는데 직접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