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헌법의 기본원리, 기본질서 및 제도의 관계에 관한 일고찰

        정극원 ( Jeong¸ Kuk Won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20 국제법무 Vol.12 No.2

        The basic principle of the constitution as a guiding principle governing the constitution as a whole, firstly becomes interpretation standard of each clause and all legislations of the constitution, secondly, suggests limitation of legislative power and direction of national policy decision, thirdly, is the highest values and norms nation and the people respect and keep, and fourthly, is the object of prohibition of an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As the basic principle of the constitution, the sovereignty of people, the separation of power, the principle of liberal democracy, the principle of social state, the principle of cultural state, the principle of constitutional state, and the principle of peaceful state, and etc., can be mentioned. Especially, the principle of liberal democracy, the principle of social state, and the principle of peaceful state are to be specified and clarified by the basic order of the constitution and institutions on the constitution and then are applied due to the issue of abstractness of the content of norms. The principle of liberal democracy is specified by the democratic basic order as the basic order in political areas directly defined in the constitution and the basic principle is also further specified by the political party system which directly impacts on a political life of the people, the sovereigns. The principle of liberal democracy, the democratic basic order, and the political party system achieve realization of norms in a much complete form as they become mutually compatible and complementary by being composed with three connecting structures in their application and specific realization. The principle of social state as the basic principle of the constitution aiming at considering the socially marginalized and national realization of social justice is actualized in a specific form by escaping from the ideological character by the social market economic order which is the basic order in economic areas and guarantees freedom and rights of the people who are the ones holding basic human rights by the property system which does not make conflict against constitutional regulations such as the social market economic order and etc., which are the ground of economic democracy. Namely, democracy in economy must not be applied in a way of going beyond the private property system which i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Since the principle of peaceful nation which actualizes the will of realization of peace works in international relationships which go beyond one nation, the basic order of the constitution in international areas concerning this is a pacificistic international order. Peace is done by the military system in that peace can be ultimately achieved through national security and defense of the land. Putting the military system in the constitution is to achieve for the sake of national security and defense of the land. The military system is to maintain the pacificistic international order and the realization of the principle of peaceful state in nation can be possible through it. The basic principle of the constitution is further specified in link to the basic order of the constitution and it is important to define the content of norms in the connecting structure of principle-order-institution in that the basic order of the constitution is much specified again and then it is applied through institutions on the constitution.

      • KCI등재

        국가의 기본권개입의 한계와 정당성 심사

        표명환 ( Pyo Muoung Hwan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16 法과 政策 Vol.22 No.3

        This paper has investigated about the limits of intervention in basic right by the state, the criteria for judging the legitimacy and the problems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se criteria. The Intervention in the basic right by the state can be divided according to the nature and content of basic rights, the type of provisions on basic right in the Constitution and the content which comes from state guarantee obligations for basic rights in Article 10 Section 2. The Limit of the intervention in the basic rights of the state is to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intervention and the criteria for judging the legitimacy should also be applied differently. Principles for ensuring the basic rights by the state is a limitation of fundamental rights as an exception. Accordingly Constitution stipulates in Article 37, paragraph 2,concerning limits on the restriction of basic rights. The principle of excess prohibition restrictions as the criteria for judging the legitimacy about restriction of the basic rights in accordance with the Constitution Article 37, paragraph 2 are being treated seriously. On the other hand, there are the principle of excess prohibition restrictions as well as the principle of due process and principle for the protecting trust profit as criteria for judging the legitimacy about restriction of the basic rights. Thus, competition may occur between these criteria. To applying all competing criteria at the same time in this case is concerned about get a contradiction with one another and also uneconomical. In this case, the problem on the application that will be preferentially applied to any criteria is caused. When the principle of due process and the excessive prohibition is competition, the Constitutional Court applied them in order. In contrast, in contrast, in this paper we describe it only makes sense to apply the due process principle. This opinion was based on the constitutional status of due process. When the principle of the excessive prohibition and principle of the protecting trust profit is competition in area of the basic right, it applies the principle of the excessive prohibition with respect to the contents of the restriction first and principle of the protecting trust profit in connection with the law the facts of the past, which includes the facts of the past.

      • KCI등재

        본질적 내용 침해금지 원칙의 이론과 실제

        김대환(Kim Dai Whan) 한국헌법학회 2013 憲法學硏究 Vol.19 No.4

        1. The subject which 'the Principle of basic rights' essence guaranty(=Wesensgehaltgarantie der Grundrechte)114) will guarantee is to be understood in relation to the nature of the basic rights. The double character of basic rights means that the guaranteed subject is related to the both sides of the character of the basic rights, namely to the right and to the institution. The constitutional theories are divided on whether the double character of basic rights is acknowledged or not. The established position in the precedent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follows the double character of the basic rights. 2. In the middle of conflict between the absolute theory and the relative theory, the Constitutional Court takes sometimes the one and at other times the other still in the 2000s. The relative theory does not have to be taken, because the protection of basic rights could be done also by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t is important to make the Principle firmly ascribed in the constitutional text realized. 3. Although the Constitutional Court does not decide between the relative theory and absolute theory, many precedent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declare the Principle as independent standard for the constitutional review. In other many cases it considers the Principle as another expression of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This is, therefore, to be cleared in the near future by the Constitutional Court. 4. People could be subject of basic rights from his/her birth. If a fetus is regarded as subject of basic rights, the judges could be indulged in a dilemma not to be solved related to its mother in some cases. In spite of taking this stand, the protection for a fetus of the state is not to become weakened. The life of a fetus should be sufficiently guaranteed by the State's obligation for the protection of a fetus according the Paragraph 2 of Article 37 of Korean Constitution. 5. The right to life is not to be reserved by law, because the right to life itself is essence of the right. The life is not to be limited for any public interest, so to speak a national security, the maintenance of law and order or public welfare. If a person's life also could be restricted, it is only for another person's one. Thus, the death penality is to be abolished and in addition there, a specific reservation to the right of life could be provided consider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right to life. 6. To apply the principle of Untermaßverbot to the social basic rights(=the rights for survival) is the same as to apply Übermaßverbot to freedoms and liberties in terms of the application of the idea of proportionality. The difference of the characters between social basic rights and freedoms is here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be faithful to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social state that state intervention for the survival care of the people should stay at the level of a minimum guaranty, the Principle as minimum guaranty rather play a certain role. 7. To realize the state obligation for the basic rights guaranty often results in the restriction of private autonomy. The Principle means here the limitation of the private autonomy. The Principle should be respected not only by the government but also by the private persons. 8. Two kinds of direction appear in Praxi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inciple. The one is to identify the essence of the individual basic rights and then to applying it, the other is to determine whether the essence is infringed or not without identifying the essence. Especially the latter has meaning in normative life. Thus, the Constitutional Court should do its best in both directions in order to ensure the normative effect of the Principle. 1. 본질적 내용 침해금지 원칙의 보장대상이 무엇인가는 기본권의 성격과 관련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기본권의 양면성을 인정하는 입장에서는 원칙으로 보장하려고 하는 것은 기본권에 내포된 권리와 제도의 양 측면 모두에 해당한다. 학설에서는 기본권의 양면성에 대하여는 견해가 대립하고 있으나 헌법재판소의 판례에서는 이를 인정하는 것이 확립된 입장이다. 2. 원칙의 보장정도에 있어서 절대설과 상대설의 대립이 극심한 가운데 헌법 재판소는 2000년대에 들어서도 여전히 절대설을 취하기도 하고 상대설을 취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대설의 입장에서 의도하는 기본권적 성과는 이미 과잉금지 원칙으로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헌법에 명문으로 규정된 본질적 내용 침해금지 원칙의 헌법적 의미를 구현해 나가는 것이 타당한 방향이다. 3. 상대설과 절대설 사이에서 우왕좌왕하는 가운데 헌법재판소의 다수의 판결에서는 원칙을 독자적인 위헌심사기준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또 다른 판결들에서는 과잉금지원칙으로 환원하고 있기도 하므로 이 문제에 대해서는 향후 명확한 입장의 정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4. 사람은 출생하면서 기본권의 주체가 되는 것이 원칙이다. 태아를 기본권주체로 보게 되면 경우에 따라서는 산모와의 관계에서 해결할 수 없는 딜레마에 빠지게 될지도 모른다. 그렇게 보더라도 태아에 대한 국가의 보호는 결코 약화되지 않는다. 국가의 기본권보장의무의 이행으로서도 태아는 충분한 보호가 될 수 있다. 5. 생명권은 본질로만 이루어져있는 권리이므로 법률에 유보할 수 없는 기본권이다. 생명은 국가안전보장이나 질서유지, 공공복리 등 어떠한 공익으로서도 제한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다만 생명이 제한될 수 있다면 거기에는 타인의 생명이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고 그 범위 내에서 국가가 간섭할 수 있을 뿐이다. 따라서 사형제도를 폐지하면서 생명권의 이러한 특성을 고려한 특유의 법률유보조항을 둘 수 있을 것이다. 6. 생존권 등에 대하여 과소보호금지원칙을 적용하는 것은 자유권에 있어서 과잉금지원칙을 적용하는 것과 비례사상의 적용이라는 점에서 같다. 생존권과 자유권의 성격상의 차이를 고려하지 아니하고 모두 하나의 원리로 규율하려고 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생존배려에 대한 헌법적 개입은 최소한에 그쳐야 한다는 사회국가원리에 충실하려면 오히려 최소보장으로서 본질적 내용 침해금지 원칙이 일정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7. 국가가 기본권보장의무를 실현하려면 많은 경우에 사적자치에 대한 제한이 된다. 여기에서 본질적 내용 침해금지 원칙은 사적자치의 한계를 드러낸다. 원칙은 국가에 의해서도 존중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사인에 의해서도 존중되어야 하는 것이다. 8. 원칙에 따른 명령의 이행을 실무적으로 적용할 때에는 두 가지 방향으로 나타난다. 개별기본권의 본질 규명과 그에 따른 원칙의 적용이 그 하나이고, 본질 규명에 이르지 않더라도 일정한 경우들에서는 원칙의 위배여부를 판단해 낼 수 있는 경우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헌법재판소는 원칙의 규범성을 확보하기 위해 양방향으로의 노력을 경주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기본권보호의무 위반 심사기준으로서 과소보호금지원칙

        이민열 헌법재판연구원 2020 헌법재판연구 Vol.7 No.1

        If the constitutional standard for reviewing the basic rights protection duty is more precisely structured, there is a good possibility that various issues which have not been revealed in the past would be appropriately activated as constitutional matter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reexamine the framework of the duty to protect basic rights and propose more sound standard for the test. Among other things, it is very important to critically examine the current formulation concerning the principle of under-protection prohibition and to propose a new formulation. The existing formulat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have four problems. First, it implicitly assumes that a minimum level of protection is already identified, which is the very thing that should be searched by the principle. Secondly, this criterion is centered on the ambiguous concept of ‘insufficient’, which produce large grey areas, and can not derive a limit point. Third, the type of specific intensity of control (clarity control) is invariably applied no matter what kind of basic rights’ interest is at stake. Fourth, the argumentative structure of the principle is not publicly clear in this standard. The principle of under-protection prohibition proposed here follows the following steps: First, it examines the constitutional requirements of basic rights protection. Second, it examines whether measures of basic rights protection exist, whether those measures satisfy the requirements of appropriateness, effectiveness and balancing. The appropriateness test examines whether there are appropriate protective measures which corresponds to the types of interests and infringements. The effectiveness test examines whether there is no measure to more effectively protect the basic rights without restricting basic rights of the party or public interests more than those should be tolerated in similar cases. Balancing test examines whether course of actions in basic life needs’ sphere are blocked or hindered illegitimately by private actor and those hindrance can be removed either by similar or less cost to non-basic spheres or by much less cost to basic spheres. The under-protection principle, which is systematized discursively in this study, brings the practical issues of duty to protect basic rights which often overlooked visible and open to systematic review. 본 연구에서는 기본권보호의무 위반을 통제하는 심사기준인 과소보호금지원칙에 관한 기존 헌법재판소 설시를 비판적으로 검토한 다음, 명확한 부분원칙으로 구성되어 헌법적으로 요청되는 최소한의 보호를 도출할 수 있는 논증적 체계를 갖춘 과소보호금지원칙을 제시하겠다. 헌법재판소의 기존 과소보호금지원칙 정식은 네 가지 문제를 안고 있다. 첫째, 이 기준은 이미 최소한의 보호수준이 주어져 있다는 것을 은연중에 전제하고 있다. 둘째, 이 기준은 회색지대를 낳는 ‘불충분하다’라는 모호한 개념을 중심적으로 활용하고 있어 한계지점을 도출하지 못한다. 셋째, 특정한 통제강도의 유형(명백성 통제)의 일률적 적용을 그 내용으로 포함하고 있다. 넷째, 과소보호금지원칙의 논증적 구조가 명확히 드러나 있지 않다. 여기서 제시된 과소보호금지원칙은 구상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따른다. 첫째, 기본권보호의무 구성요건을 심사한다. 둘째, 기본권 보호조치의 존부, 보호법익 유형에 대응하는 적합성, 통상의 부담 한계 내의 효과성, 적정성 내지 기대가능성을 심사한다. 적합성 심사는 보호를 필요로 하는 보호법익 및 침해유형에 대응되는 적합한 보호조치가 있는지 여부를 살핀다. 효과성 심사는 유사한 사안에서 통상적으로 감수되어야 하는 부담의 한계를 넘어서 제3자의 기본권이나 공익을 더 강하게 제한함이 없이 기본권적 법익을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조치가 없는지 살핀다. 적정성 내지 기대가능성 단계에서는, 문제의 침해나 침해의 위험으로 인하여 입헌 민주주의 사회 구성원의 기본적 생활 필요 영역의 합리적 경로에 부당한 장애가 발생하였는데 이 장애를 비기본적인 영역에의 비슷한 수준 이하의 부담이나 다른 기본적 생활 필요 영역에의 그보다 훨씬 적은 부담만으로 제거할 수 있는지를 살핀다. 본 연구가 체계화된 과소보호금지원칙은, 종래 헌법의 문제가 아니라고 간과하기 쉬웠던 기본권보호의무의 실천적 쟁점들을 시야 내로 들어오게 한다.

      • KCI등재

        월드론의 기본평등론

        김주현 한국법철학회 2019 법철학연구 Vol.22 No.3

        The idea of basic equality regards the basis of human equality as the fundamental problem of egalitarianism. Although every human being is different, the basis of the idea that ‘all humans are fundamentally one another’s equal’ is one of the most discussed topics. Jeremy Waldron, a legal philosopher, argues that while basic equality is prescriptive equality, two kinds of descriptive facts are closely related: one is the fact that is the target of prescriptive equality, and the other the fact that is the reason of prescriptive equality. In turn, he discusses whether there are the properties commonly shared by all human beings as the fact that is the reason of prescriptive equality. He suggests that although the natural properties of human beings – pain and affection, reason, moral capacity, and individual autonomy – have various degrees, these properties can be the factual basis of human equality, expanding John Rawls’s concept of range property and providing the additional religious account. Furthermore, Waldron sets the principle of continuous equality and the principle of distinctive equality to strengthen the principle of basic equality, which dictates that human beings are one another’s equal. The principle of continuous equality states that unjust discrimination based on differences within groups of human beings cannot be justified, since human begins are not fundamentally differentiated from non-human animals. The principle of distinctive equality emphasizes human dignity the uniqueness of human beings by claiming that human beings have exclusive value and status, differentiated from non-human animals. The two principles help to harmonize the principle of basic equality, which dictates that all human beings are equal, and the individuality and diversity of each person by operating horizontally and vertically. Basic equality, however, has been criticized for two main reasons, the triviality of basic equality and the redundancy of basic equality. The triviality of basic equality means that basic equality cannot have the independent significance, compared with detailed rights. According to the redundancy of basic equality, basic equality is a redundant idea in that it also makes impossible to engage in any detailed discussion by overlapping with moral principles. In response, Waldron contends that basic equality reveals what the concept of right cannot capture and it can also be differentiated from moral principles since it makes prominent substantive affairs that people pay special attention to human beings only because they are human beings. 기본 평등(basic equality)은 평등주의의 근원적 문제를 인간 평등의 근거로 본다. 인간 존재의 수많은 차이에도 불구하고 ‘모든 인간은 근본적으로 서로 평등하다’는 생각의 근거가 무엇인지를 탐구한다. 법철학자 제레미 월드론(Jeremy Waldron)은 기본 평등이 규정적 평등(prescriptive equality)이지만, 규정적 평등이 목표로 하는 사실 및 근거로 하는 사실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다고 주장한다. 이에 따라 평등의 근거 사실로서 인간의 공통적 속성이 존재하는지 살펴본다. 그는 인간의 자연적 속성, 즉 고통과 애정 능력, 이성, 도덕적 능력, 개인의 자율성은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지만 롤스의 범위 속성(range property) 개념을 확장하고 종교적 설명을 추가하면 인간 평등의 사실적 근거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그는 연속적 평등과 구별적 평등 원칙을 정립하여 인간은 서로 동등한 존재라는 기본 평등의 원칙을 강화한다. 연속적 평등(continuous equality) 원칙에 의하면 인간 집단 간에는 동물과 구별될 만큼의 근본적인 차이는 없으며, 구별적 평등(distinctive equality) 원칙에 의하면 인간은 동물과 다른 특별한 가치 및 지위를 가진다. 이러한 두 원칙은 모든 인간은 서로 동등한 존재라는 기본 평등과 개인의 개성과 다양성에 대한 존중을 조화시키며, 수평적 수직적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기본 평등은 구체적 권리에 비해 독자적인 의미를 갖지 못하며, 도덕 원칙과 중복되어 어떠한 내용에도 관여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에 대하여 월드론은 기본 평등이 권리가 포착하지 못한 내용을 직접적으로 드러내거나 인간에 대해 특별한 관심을 가지게 하는 실질적 내용을 부여함으로써 도덕 원칙과 중복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기본소득에 대한 헌법적 고찰 -사회국가원리의 관점을 중심으로-

        홍석한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17 성균관법학 Vol.29 No.4

        Basic income is becoming a major social concern around the world, and academic discussions are actively being developed in various fields. This paper starts with the recognition that normative evaluation of the basic income based on the Constitution is necessary. Therefore, it focuses on finding constitutional grounds and legitimacy of basic income from the viewpoint of Social State Principle in the Constitution of Korea. Basic income is a periodic cash payment unconditionally delivered to all on an individual basis, without means-test or work requirement. That is, basic income has five characteristics: Periodic, Cash payment, Individual, Universal, Unconditional. Basic Income has emerged through reflection on the fact that the current welfare system has not solved the problems such as poverty and polarization and the recognition that a new welfare system is needed to cope with future society without being limited to a specific ideology. Basic income tries to ensure freedom and equality substantially by satisfying the conditions so that everyone enjoys human life. Also, it implies a strong sense of community and can be seen as an effort to pursue the integration and continued development of the political community. Therefore, Basic income meets the ideals of the Social State Principle that pursues the realization of social justice, the guarantee of real freedom and equality, and the integration and peaceful maintenance of the community. In addition, Basic Income can also be positively assessed in terms of proper distribution of income, employment promotion, growth and stability of the national economy, guarantee of substantial freedom of occupation and optimum wages. Thus, it can also contribut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Social State Principle expressed through the articles on the economy of the Constitution. Considering all these aspects,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Basic Income is based on the Social State Principle of Constitution and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the Principle. 세계 각국에서 기본소득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확대되고 있으며, 학술적 논의도 영역을 넘나들면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본 논문은 기본소득에 대한 헌법규범적 평가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이에 우선적으로 사회국가원리의 관점에서 기본소득의 헌법적 근거 내지 정당화 가능성을 고찰해본다. 기본소득은 자산에 대한 심사나 노동조건이 없이 개인을 단위로 하여 모든 사람에게 정기적이고 무조건적으로 현금을 지급하는 제도를 의미한다. 즉, 정기성, 현금지급성, 개별성, 보편성, 무조건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기존의 복지제도가 빈곤과 양극화 등 사회적 문제를 충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데 대한 반성과 미래사회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복지체제의 필요성을 배경으로 하며, 특정한 이념적 지향에 한정되기 보다는 좌우를 가리지 않고 다양한 관점에서 제기되는 개혁적 구상이다. 기본소득은 모든 사람의 인간다운 삶의 조건을 충족시킴으로써 자유와 평등을 실질적으로 보장하고자 한다. 또한 강한 공동체성을 내포하면서 공동체의 통합과 지속적인 발전을 추구하기 위한 노력의 하나로 볼 수 있다. 이에 사회정의의 실현, 실질적인 자유와 평등의 보장, 공동체의 통합과 평화적인 유지를 추구하는 사회국가원리의 이념에 부합한다. 이밖에 적정한 소득의 분배, 고용증진, 국민경제의 성장 및 안정, 실질적인 직업의 자유 및 적정임금의 보장 등과 관련해서도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경제에 관한 규정을 통해 수용되고 있는 사회국가원리를 구현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결국, 기본소득은 헌법상 사회국가원리로부터 근거를 찾을 수 있고, 그 실현에도 이바지할 것이라는 평가가 가능하다.

      • KCI등재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상 보충성 원칙의 적용에 대한 고찰

        홍석한 ( Hong Seok-han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法學硏究 Vol.26 No.3

        보충성의 원칙은 공공부조 입법의 중요한 원칙 가운데 하나로 평가되며, 기초생활보장법도 제3조 제1항에서 동법에 따른 급여가 수급자가 자신의 생활의 유지·향상을 위하여 그의 소득, 재산, 근로능력 등을 활용하여 최대한 노력하는 것을 전제로 이를 보충·발전시키는 것을 기본원칙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보충성의 원칙은 일반적으로 보다 큰 대규모의 사회적 기능단위는 상대적으로 보다 작은 소규모의 기능단위가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에만 관련 영역에 개입할 수 있다는 소극적 의미로 이해된다. 하지만 소규모 기능단위가 스스로 자신의 본질적인 목적을 달성하는데 장애를 겪지 않도록 대규모 기능단위는 그 기본적인 전제조건을 충족시켜주어야 한다는 적극적 의미를 포함하며, 그 궁극적인 목적은 실질적 자유를 보장하는데 있다. 따라서 공공부조 영역에서 보충성의 원칙을 구체적으로 적용하는 경우에도 이러한 소극적 측면과 적극적 측면을 아울러 고려해야 하며, 이는 모두 개인의 자유를 실질적으로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해야 한다. 또한 기초생활보장법은 “생활이 어려운자에게 필요한 급여를 행하여 이들의 최저생활을 보장”하는 것과 “자활을 조성하는것”을 가장 중요한 목적으로 하는 것이므로 보충성의 원칙이 최저생활의 보장과 자활조성에 우선될 수는 없다. 기초생활보장법상 보충성 원칙은 수급요건으로서의 소득인정액기준과 부양의무자기준, 그리고 조건부 생계급여 및 급여의 중지를 통하여 반영되고 있는바, 본 논문은 기초생활 보장법의 개별 규정을 통해 구체화되어 있는 이들 세 요소의 내용을 정리한 다음, 보충성 원칙의 의미 내지 근본적인 취지의 관점에서 평가하고 있다.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는 부분도 있지만, 보충성 원칙의 지나친 확대 또는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적용을 용인함으로써 수급요건을 까다롭게 만들고, 광범위한 사각지대를 양산하거나 불합리한 차별을 초래할 수 있는 부분은 개선되어야 한다. The Subsidiary Principle is considered one of the key principles of the public assistance acts. Th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Act also states in Article 3 (1), “In principle, benefits under this Act shall be provided on the premise that the recipients of benefits exert their upmost efforts to maintain and improve their lives by making the most of their income, and property and their ability to work, etc., and that the benefits serve only as a supplement to such efforts”. The Subsidiary Principle is generally understood in the passive sense that the intervention of a larger social unit can only be justified if a smaller social unit fails to fulfill its role. Also, the principle includes the positive meaning that a larger unit must satisfy the basic conditions necessary for a small unit to achieve its essential purpose by itself, and the ultimate goal of which is to ensure the actual freedom. Therefore, when the Subsidiary Principle is applied in the area of public assistance, both the passive and positive aspects with the fact that the ultimate end is to guarantee the actual freedom of individual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Moreover, because the purpose of th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Act is “to ensure the minimum level of living for the deprived and help them support themselves by furnishing them with the required benefits”, the Subsidiary Principle can not be given priority over the minimum level of living or help for the self-support. The Subsidiary Principle of th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Act is reflected in income recognition standard and family support obligations as eligibility requirements, and conditional livelihood benefits for those with work ability. This paper summarizes the contents of these three elements of the Act and then evaluates them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fundamental intents of the Subsidiary Principle. While there are some aspects that can be positively assessed, the Act has some elements that do not match reality and includes overextensions of the Subsidiary Principle. This problem should be remedied because it makes it difficult to meet the eligibility requirements so it can produce irrational discrimination and welfare blind spots.

      • KCI우수등재

        연구논문(硏究論文) : 통일헌법의 기본원리

        도회근 ( Hoe Kun Do ) 법조협회 2015 法曹 Vol.64 No.10

        언제일지 모르지만 통일은 이루어질 것이다. 통일의 과정에서 반드시 통일헌법을 제정하게 될 것이다. 이때 통일한국이 추구해야 할 가치와 원리들을 확정할 필요가 있고 그것이 통일헌법의 기본원리가 될 것이다. 통일헌법의 제정을 위해서는 충분한 연구검토와 토론이 필요한데 기존의 통일헌법에 관한 연구는 국가조직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상대적으로 기본원리에 관한 연구는 소수에 그치고 있어 이에 관한 좀더 깊고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통일헌법의 기본원리를 논의하기에 앞서 남북한헌법의 기본원리들을 살펴보았다. 현행 남북한헌법은 각각 양측이 추구하고자 하는 국가상과 가치가 포함되어 있다고 보고 통일헌법에서도 이 원리들을 바탕으로 논의가 전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통일헌법의 기본원리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하는 것이어야 한다. 첫째, 인류보편적 가치로 인정되는 것이어야 하고, 둘째, 남북간은 물론 남한 내부에서도 합의할 수 있는 원리이어야 하며, 셋째, 현행 헌법의 통일원칙에 위반되지 않는 것들이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기준에 맞추어 남북한헌법의 기본원리들을 비교검토해 보았다. 북한헌법의 기본원리들은 집단주의원리를 제외하면 사회주의, 주체사상, 인민민주주의독재 등 거의 모든 원리들이 보편성도 없고 합의가능성도 없어 통일헌법의 기본원리로 삼기에는 부적합하였다. 결국 통일헌법의 기본원리는 현행 남한헌법의 기본원리와 별로 다름이 없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통일헌법의 중심이 되는 정치적 이념은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자유민주주의)이어야 한다. 다만 그 명칭, 개념과 내용은 좀더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통일헌법에서 이른바 방어적 민주주의 제도를 수용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있는데 세계적인 추세와 자유민주주의의 본래의 의미에 따라 방어적 민주주의제도를 수용할 필요는 없고 헌정질서를 전복하려는 활동을 하는 정당이나 단체에 대해서는 위헌정당해산제도가 아니라 형법이나 국가보안법 같은 법률로 제재를 가하면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자유민주주의는 일부 학자들의 오해와는 달리 오늘날 사회민주주의적 가치까지를 수용하면서 진화해 온 가장 포괄적인 원리이고 현재 헌법의 기본을 이루고 있는 원리이다. 민주적 기본질서와 자유민주적 기본질서 중 어느 용어를 택하든지 헌법해석상 마찬가지이지만 자유민주적 기본질서가 더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한편 70여년간 이질화된 남북간의 통합과 현재 지나치게 파편화되고 개인주의화 되고 있는 자유주의의 문제를 수정 보완하기 위하여 북한헌법의 기본원리 중 하나인 집단주의원리의 수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개인과 집단의 조화와 공생을 강조하는 집단주의적 또는 공동체주의적 가치관으로서 논의되고 있는 공화주의, 공동체주의 등의 사상을 통일헌법의 기본원리로 추가하는 것도 적극적으로 연구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Unification will be achieve in the near future. The Constitution of unified Korea will be made in the process. At time it is needed to conform the values and the principles that a unified Korea should seek for, and these will be basic principles of the Constitution of unified Korea. The basic principles of the Constitution of unified Korea should meet the following conditions. Firstly, they should be recognized as a universal value, secondly, South and North Korea can agree with them, as well as inside South Korea, and thirdly, they should b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of the current constitutions of Both Koreas. According to these criteria I compared and looked into the basic principles of the Constitutions of two Koreas. Most principles of the Constitution of North Korea including socialism, the Juche Idea and peoples’ democratic dictatorship are not suitable to the principles of the Constitution of unified Korea, except for collectivist principle. In conclusion, the basic principles of the Constitution of unified Korea should be as same as those of the current Constitution of South Korea. Therefore, the main political principle of the Constitution of unified Korea should be the basic order of liberal democracy. But its name, the concept and its details are needed to be more clear. Liberal democracy is the most comprehensive principle that has been evolved accepting the values of social democracy, and forms the basis of the current constitution. I think that liberal democracy is more preferable than democracy. Furthermore, it should be studied that republicanism or communitarianism that emphasize the collectivist and communitarianist values should be added in the constitution of Unified Korea, in order to integrate South and North Korea that have lived differently for more than 70 years and to correct the problems of too atomized individualistic liberalism.

      • KCI등재후보

        현행 조세법상 신의칙에 관한 연구

        윤덕병 K기업경영연구원 2023 KBM Journal(K Business Management Journal) Vol.7 No.3

        Bona fider(in good faith) was originally a legal principle having the legal relationship in private law as its applicable target, but nowadays this principle is also being applied in tax law relationships between resident and revenue office, a public law relationship. In particular, recently, there are a lot of precedents which have applied the good faith principle in tax law relationships. Consequently, this treatise will examine the rationale and characteristic of Bona fider(in good faith),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egislation, relationship with Sections 15 and 18 of the Basic Law of National Taxes, application requirements and each effect of application. The Principle of Good Faith and Fair dealing is applicable to the case of public law as well as civil law. Also it is applicable to the tax payer as well as tax authorities. This principle has been adopted in the National Tax Law. If this principle is applicable to the tax payer, court should proclaim to maintain the administrative measure although it is illegality. Korean Supreme court required three necessary conditions, when the principle is applied. Tax payer's self-contradictory behavior, severe betrayal and worth of tax authorities's trust. But actually we can hardly find the case which maintain the illegal administrative measure in the name of that principle. The case would studied in this paper was about the principle. Supreme court was applicable the principle, so maintained the illegal administrative measure. It is so the extraordinary case. But it is more or less questionable that tax payer did the severe betrayal and whether protect the tax authority's trust.

      • KCI등재

        헌법의 기본원리로서 민족국가원리

        허완중(Heo, Wan-Jung)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법학논총 Vol.39 No.1

        한국 헌법학계에서는 그동안 민족에 관해서 거의 논의를 하지 않았다. 그러나 한국 헌법은 여러 곳에서 민족을 언급한다. 즉 헌법 전문에서는 “조국의 민주개혁과 평화적 통일의 사명에 입각하여 정의・인도와 동포애로써 민족의 단결을 공고히 하고”라고, 헌법 제9조는 “국가는 전통문화의 계승・발전과 민족문화의 창달에 노력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한다. 그리고 대통령은 취임에 즈음하여 “나는 헌법을 준수하고 국가를 보위하며 조국의 평화적 통일과 국민의 자유와 복리의 증진 및 민족문화의 창달에 노력하여 대통령으로서의 직책을 성실히 수행할 것을 국민 앞에 엄숙히 선서합니다.”라고 선서를 한다(헌법 제69조). 이러한 민족을 토대로 만들어진 이념인 민족주의는 한국 헌법학에서 더욱더 낯설다. 민족주의라는 용어는 일반인에게 친숙하다. 하지만 민족주의라는 용어는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그 의미가 다르고 그 쓰임새도 다양하다. 따라서 민족주의에 관한 논쟁은 서로 생각하는 의미가 달라 매번 접점을 찾지 못하고 어긋나는 때가 잦다. 민족은 같은 혈통과 언어, 문화 그리고 역사를 바탕으로 같은 지역에 살면서 강한 연대감이 있는 사람들의 정치적 공동체를 말한다. 민족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는 ① 공통된 혈연, ② 같은 언어, ③ 같은 문화, ④ 역사 공유, ⑤ 같은 장소적 생활 기반, ⑥ 연대감이다. 한국어에서 국가와 국민, 민족은 엄격하게 구별되고, 민족주의는 오로지 민족을 토대로 이해된다는 점에서 민족주의는 국가주의나 국민주의로 이해될 수는 없다. 게다가 민족주의는 고립적・폐쇄적 개념이 아니라 상관적・개방적 개념이다. 세계라는 전체를 구성하는 한 부분으로서 민족을 생각하며, 다른 민족 및 국가와 맺는 관계 속에서 민족의 의미를 찾는 것이 민족주의이다. 이처럼 민족주의는 다른 민족이나 국가와 공존을 도모한다는 점에서 민족우월주의나 배타주의 그리고 제국주의로 발전할 수 있는 국민주의와 명확하게 구별된다. 다만, 민족주의는 물론 국가주의와 국민주의도 자결원리에 기초한다. 이러한 점에서 민족주의에서 민족자결은 핵심적 내용이다. 민족주의는 ① 헌법이 지향하는 구체적 국가상을 제시하면서 그를 위해서 무엇을 하여야 하는지를 밝혀줌으로써 다양한 헌법적 과제를 수행하는 기준과 방향을 결정한다. 그리고 ② 민족주의는 국가의 정체성을 확정하고 국가의 기본3요소를 확정하는 객관적 기준을 세울 뿐 아니라 헌법의 기본원리를 하나로 연결하여 통일적으로 이해될 수 있게 함으로써 전체 헌법질서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중요한 뼈대가 된다. 또한, ③ 민족주의는 단순한 지향점이나 존재와 인식의 근거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현실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목표와 그를 실현할 구체적 방향과 수단을 확정할 수 있는 행위의 기준이 되므로 이념이 아니라 원리이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민족주의는 다른 기본원리들을 이끄는 지도적 임무를 수행하는 헌법의 기본원리로 볼 수 있다. 그동안 민족주의에는 너무도 많은 부정적 이미지가 붙어서 이를 벗겨낼 새로운 용어가 필요하다. 그리고 체계화한 이론이나 학설을 가리키는 주의는 헌법의 기본원리를 가리키는 명칭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점에서 공화국원리, 민주국가원리, 법치국가원리, 사회국가원리, 문화국가원리, 평화국가원리와 같은 다른 헌법의 기본원리와 같은 단어구성으로 이들과 잘 어울리는 민족국가원리라는 용어를 민족주의 대신 제안한다. 한국 헌법과 헌법사에서 도출할 수 있는 민족국가원리는 다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먼저 민족은 헌법의 효력을 확장하는 근거로 기능한다. 다음 민족 구성원 사이에서 평등을 실질적으로 보장하여야 한다. 그리고 민족과 민족이 만든 민족국가는 결정의 주체로서 자주성이 있다. 또한, 민족이 민족국가를 만든 이유는 민족의 정체성을 유지하려는 것이다. 끝으로 민족국가원리는 민족 단위로 하나의 국가를 형성하고 유지함으로써 대내적 평등과 통합을 실현하면서 민족의 자주독립과 통일 그리고 발전을 꾀한다. In the Korean constitutional academy, there has been little discussion about the nation. However, the Korean Constitution refers to the nation in many places. Nationalism, an ideology based on this nation, is even more unfamiliar in Korean constitutional law. The term nationalism is familiar to the general public. However, the term nationalism has different meanings and uses depending on the person who uses it. Therefore, controversies about nationalism differ from each other in the sense that they think about each other frequently. A nation is a political community of people who live in the same region and who have a strong sense of solidarity based on the same lineage, language, culture, and history. The important elements that make up the nation are ① common blood, ② the same language, ③ the same culture, ④ the sharing of history, ⑤ the place-based living foundation such as ⑥ a sense of solidarity. Nationalism is not an isolated or closed concept, but a relational and open concept. It is nationalism to think of the nation as a part of the whole of the world and to find the meaning of the nation in relations with other nations and nations. Thus, nationalism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exclusivism and imperialism in that it promotes coexistence with other nations or nations. Nationalism is based on self-determination. In this respect, national self-determination is a key issue in nationalism. Nationalism first determines the standards and directions for carrying out various constitutional tasks by revealing the specific national image that the Constitution is aiming at and revealing what to do for them. And nationalism is an important framework for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the whole constitutional order by establishing the national identity and establishing the objective criteria for establishing the basic elements of the nation, as well as connecting the basic principles of the constitution together so that they can be understood unifiedly. In addition, nationalism is not a ideology but a principle, because it is not a mere point of orientation or a basis of existence and recognition, but a goal that can be achieved realistically and a standard of action that can confirm specific directions and means of realizing it. In this light, nationalism can be regarded as the basic principle of the constitution that carries out the leadership task leading to other basic principles. Nationalism as the basic principle of the Constitution that can be derived from Korean Constitution and Constitutional History can be summarized in five ways. First, the nation serves as a basis for extending the validity of the Constitution. Equality should be substantially guaranteed among the members of the nation. And the nation-state created by the nation and the nation has independence as the subject of decision. In addition, the reason why the nation made the nation-state is to maintain the national identity. Finally, Nationalism as the basic principle of the Constitution is to form and maintain the nation-state, thereby realizing domestic equality and integration, while promoting independence, unification and development of the 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