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교내장학의 문제점에 관한 교사의 인식 분석

        이민희(Min Hee Lee),이국진(Kuk Jin Lee),신재철(Jae Cheol Shin)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0 교육연구 Vol.33 No.-

        이 연구의 목적은 교내장학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하여 중등교원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교육의 질 향상과 교수-학습 방법 개선이라는 교내장학의 본질적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내장학의 유형과 영역은 무엇인가? 둘째, 교내장학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하여 교사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교내장학의 유형(형태)은 추로 수업장학, 동료장학, 자기장학, 약식장학, 자체연수로 분류된다. 그리고 교내장학이 주로 다루는 영역은 크게 교사의 전문적 발달 영역, 교사의 개인적 발달영역, 학교의 조직적 발달의 세 가지로 구분된다. 다음으로, 교내장학의 문제점은 형식적이고 보여주기 위한 장학, 교내장학에 관해 교사들의 거부감, 수업과 업무의 부담, 일방적인 장학계획수립, 교사들의 소극적 참여, 평가위주의 권위적인 장학, 시설과 기자재 및 장학활동을 위한 자료 부족 등이다. 교내장학의 개선방안은 교내장학이 다루는 세 가지 영역의 조화 실시, 교사들의 필요와 요구 및 발달단계에 따른 다양한 운영, 교사의 자율성과 참여 유도, 시설과 기자재 및 자료 구비, 교사들의 업무경감, 장학담당자의 역량 강화와 역할 제고, 학교의 개방 풍토 조성 등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let teachers to achieve professional abi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skills and to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 by analyzing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school based autonomous supervision. To achieve the goals, following three questions were set. First, what are the types and domains of school based autonomous supervision? Second, how do teachers perceive problems and improvements on school based autonomous supervi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are five types of school based supervision: classroom supervision, collegial supervision, self supervision, informal supervision, and self training and that there are three different domains such as professional developmental domain, personal developmental domain, and organizational developmental domain. Moreover, these propose that the factors of problem of school based autonomous supervision are formal and token supervision, repulsion of teachers on supervision, burden for class and paper work, top down planning of supervision, passive participant of teachers, authoritative supervision by evaluation, and lack of facilities and materials for supervision. The study also suggests ways of improving school based autonomous supervision as follows: harmonizing three domains, various management based on teachers` needs and developmental stages, motivation for autonomy and participant, equipped facilities and materials, reduction of paper work, strengthened supervisors capacity and reconsideration about their roles, and setting an open school climates.

      • 어린이집 자율장학의 운영의 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권순애(Soon Ae Kwon),조안나(Anna Cho) 영곡사회심리발달학회 2022 사회심리발달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어린이집 자율장학 운영 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Y시와 I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 28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244부의 설문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대부분이 어린이집에서의 자율장학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율장학 활성화 방안으로 자율장학의 적극적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다양한 장학프로그램의 제공과 재정적 뒷받침의 증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효율적인 장학유형으로 자기장학의 활성화를 들었으며, 교직역량의 강화를 위해 교육연수 참여, 자기장학모형의 개발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율장학을 실시에서 준비과정을 최소화하고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참여함으로써 효과적인 장학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선행연구의 결과와 비교하고 자율장학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적인 제안과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stablished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to identify teachers' percep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autonomous supervision management of daycare centers and how to activate the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80 teachers working at 40 daycare centers located in Y city and I city, Gyeonggi-do, and a total of 244 copies of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shown that most teachers are importantly aware of and implement autonomous supervision in daycare centers. Second, it indicated the need to provide various scholarship programs and increase financial support to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in autonomous supervision as a way to activate autonomous supervision. Third, it was necessary to participate in educational training and develop a autonomous supervision model to strengthen teaching capacity. Fourth, it also emphasized the promotion of autonomous supervision through the preparation of high-quality scholarship programs, information provision and training at educational administrative agencies. Based on the results on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educational programs and policies that can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infant teachers will be needed and suggeste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유치원 지구별 자율장학 참여를 통한 유치원 교사의 좋은 수업 만들어가기의 의미

        이지현 ( Lee Ji Hyun ),정지현 ( Jung Ji Hyu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3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현장에서 근무하는 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의미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인 Y교사가 유치원 지구별 자율장학을 준비, 실행, 마무리 단계의 과정에서 겪게 되는 좋은 수업에 대한 의미를 참여 관찰과 심층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치원 지구별 자율장학 수업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교사는 좋은 수업을 해야 한다는 부담감으로 인해 교사 자신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자발적인 수업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둘째, 실행 단계에서 좋은 수업을 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전문성을 보장하고 컨설턴트와장학사 간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의견을 조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마무리 단계에서 교사는 ‘유아들이 즐거운 수업’에서 확장되어 ‘교사 또한 재미있고 즐거운 수업’이 좋은 수업이라고 생각하게 되었으며, 이를 위해 교사 자신의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는 인식의 변화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llected cases of classes given by a selected kindergarten teacher trying to conduct good instruction and the process of her actual efforts for creating good instruction in an attempt to explore her perception of the meaning of good instruction. After earlier studies were analyzed, her classes were observed, and in-depth interviews and data analysis were carried out. What experiences teacher Y, the subject of this study, had during her preparation for district-based autonomous supervision and what she thought good instruction should be like after giving an open class were investigated by making a participant observation and having in-depth interviews. After all the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open coding that was analytical induction was conducted to find or create terms that could correspond to the implicit meaning of the data.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thought she had to give good instruction in the preparatory stage for district based autonomous supervision. Accordingly, she was under pressure and then spontaneously put her efforts into class work study to take her own professionalism to another level. Second, the guarantee of teacher professionalism was necessary in the stage of acting out to ensure good instruction, and opinion coordination between the consultant and the supervisor on good instruction was required as well in that stage. Third, she just thought good instruction was to make preschoolers have a nice time, but she got to think it would be good instruction to make both preschoolers and teachers feel interesting and happy. And she realized that teachers themselves should make research efforts to create good instruction.

      • KCI등재후보

        가정 어린이집 자율장학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정해정 ( Hae Jung Jeong ),손은령 ( Eun Young Son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교육연구논총 Vol.3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자율장학에 대한 인식을 조사·분석하여 자율장학 프로그램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원장을 포함한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 243명을 대상으로 보육교사가 인식한 가정 어린이집 자율장학에 대한 인식, 보육교사가 인식한 가정어린이집 자율장학의 실태와 요구, 보육교사가 인식한 가정어린이집 자율장학에 대한 활성화방안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자율장학에 대한 인식정도는 낮았지만 보육활동의 개선을 위해 필요하다는 인식의 정도는 높았다. 보육교사들은 자율장학담당자가 효율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보유하기를 원했으며, 자기성찰 후 장학담당자의 소감발표를 통한 피드백 방식을 가장 선호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자의 42.4%가 자율장학을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들은 동료장학을 가장 적합한 장학형태로 인식하였고, 장학의 방법 중``수업연구``, ``초임교사지도``는 중요하게 인식하고는 있었으나 그만큼 실행되지는 않았고, ``반성적 저널쓰기``, ``동료 간 수업연구 및 공개``의 중요도는 중간정도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실행도는 낮았다. ``간헐적으로 일상생활에서 지도·조언``은 중요도 인식보다 실행도는 높게 나타났으나, ``상급학교 진학하기``는 중요도, 실행도 모두 낮게 나타났다. 장학내용면에서는 ``영유아문제행동지도 및 생활지도``, ``상호작용과 교수법``, ``안전한 보육환경`` 순으로 원했다. 셋째, 가정어린이집 자율장학 활성화를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인식전환 및 적극적인 참여 동기부여가 필요하며, 중앙행정기관에서 연구비, 프로그램 개발비 등을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한편 대체교사, 보조교사를 지원해줄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행정기관차원에서는 기관특성에 맞는 장학프로그램의 개발 및 지원, 그리고 장학 관련자료 및 정보를 제공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eacher`s need, performance level and priorities of autonomous supervision in home daycare center. 243 home daycare center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analysis showed following results. First, teachers generally knew the concept of autonomous supervision and they perceived the purpose of supervision as the revision of daycare and education. They preferred the feedback method through presentation of their reflection. Second, 64% of teachers performed the autonomous supervision and peer supervision was selected the proper method of supervision in home daycare center. But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level and performance level was high in some areas in peer instruction research, mentoring, writing a reflective journal. The most wishful areas of autonomous supervision was guidance to problematic children, interaction and teaching method, safe caring environment. Third, teachers wanted to get a fund from the government and to cowork with intern teacher or substitut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ications of management of supervision to home daycare teachers were discussed with relation to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기관규모에 따른 어린이집 교사의 자율장학에 대한 인식

        노영희,유현주 한국보육학회 2014 한국보육학회지 Vol.14 No.1

        본 연구는 기관규모에 따른 어린이집 교사의 자율장학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충남지역 어린이집 131개소의 어린이집 교사 470명으로 설문지방식으로 조사연구 하였다. 교사의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기 위해 Chi-Square Test 및 독립표본 t검증 등의 통계방법을 사용해서 처리하였다. 그 결과, 어린이집 교사의 자율장학에 대한 필요성은 기관의 규모와 상관없이 높게 나타났다. 자율장학 적용현황에서는 기관의 규모에 따라 자율장학의 시기 및 형태가 다르게 나타남을 살펴볼 수 있었는데 소규모 기관의 경우 자율장학의 적용 시기를 낮잠시간으로, 규모가 큰 기관의 경우 자율장학 적용 시기를 하루일과 후 실시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장학형태에 따른 문제점 인식에서 소규모 기관의 경우 보육환경 및 보육활동자료에 중점을 두고 있는 반면 규모가 큰 기관의 경우 보육과정 및 계획에 중점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hildcare center teachers' recognitions of autonomous supervision by the scale of daycare facilities. Thu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470 Childcare center teachers in 131 daycare centers, located in Chungnam Province. To analyze their recognition and demands, this study processed the survey results by using such statistical methods as Chi-Square Test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As a result, Childcare center teachers' need for autonomous supervision was high regardless of the scale of facilities. In actual states of the application of autonomous supervision, this study discovered that the period and style of autonomous supervision differ depending on the scale of facilities.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small-sized daycare facilities apply the period of autonomous supervision during children's nap time, while large-sized ones apply it after work. Besides, in teachers' recognition of problems related to the style of autonomous supervision, this study found out that small-sized daycare facilities focus on child-care environments and activity materials, while large-sized ones focus on child-care processes and plans.

      • KCI등재

        CIPP평가모형에 근거한 공립 유치원 원내 자율장학 평가도구 개발

        김현숙,이윤식 한국교육행정학회 2019 敎育行政學硏究 Vol.3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utonomous supervision evaluation tool based on the CIPP evaluation model for public kindergarte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evaluation factors composition stage, evaluation tool development stage, and validity verification stage. In the evaluation factors composition stage of the research, expert group were composed, Through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evaluation factors (draft) of in-kindergarten autonomous supervision evaluation tool were identified. Then evaluation factors were selected through expert council meeting and semi-structured survey. In the evaluation tool development stage,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the evaluation questions by assessment factor were derived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survey, ques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In the validity verification stage, this main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assessment tool selected through the preliminary survey and to verify the validity, ques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nstruct validity analysis were identifi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ree stages of research, the public kindergarten autonomous supervision evaluation tool developed 4 evaluation areas, 13 evaluation factors, total 60 evaluation questions. Second, The the public kindergarten autonomous supervision evaluation tool shown within the evaluation factor was .840~.918 with high reliability was high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has shown that the suitability of the evaluation model and construct validity analysis. 이 연구는 CIPP평가모형에 근거하여 공립 유치원 원내 자율장학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평가요인 구성 단계, 평가도구 개발 단계, 타당도 검증 단계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평가요인 구성 단계에서는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고, 선행연구 및 문헌 고찰을 통해 평가요인(안)을 마련한 뒤 전문가 협의회 및 반구조화 설문 조사를 통해 평가요인을 선정하였다. 평가도구 개발 단계에서는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공립 유치원의 원내 자율장학의 평가요인별 평가문항을 도출하고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해 내용타당도를 분석하여 선정된 문항으로 예비 조사를 통한 문항 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타당도 검증단계에서는 예비 조사를 통해 선정된 평가도구로 본 조사를 실시하여 문항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인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3단계의 연구진행을 거쳐 공립 유치원 원내 자율장학 평가도구는 4개의 평가영역, 13개의 평가요인, 60개의 평가문항으로 개발하였다. 둘째, 원내 자율장학 평가도구는 평가요인 내에서 신뢰도가 .840~.918로 높게 나타났으며,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평가모형의 적합성과 구인타당도 분석에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어린이집 교사의 누리과정 자율장학에 대한 경험

        서혜정,문혜경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9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8 No.1

        This study aimed explore the experience of teachers at different daycare centers who have participated in an autonomous supervision program of the Nuri curriculum. The materials were collected from four teachers through class meetings, autonomous supervision reports and in-depth interviews based on a narrative questionnaire from Feb. 26, 2014 to July 31, 2014. Results show that the process of autonomous supervision of Nuri curriculum is 1) negotiating, 2) executing, 3) reflecting, and 4) sharing. Nursery school teachers who experienced autonomous supervision of the Nuri curriculum developed into teachers who 1) converted their methods for infant participation in class, 2) aimed to conducted a class with an integrated approach, and 3) spreaded positive energy toward improving classes. The teachers were obligated to take part in the program but they became transformed in the Nuri curriculum reconstruction through participation. Therefore, the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for long-term, small-group, in-depth teacher education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본 연구는 J 도의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운영한 누리과정 자율장학을 경험한 어린이집 교사의 경험에 대한 탐구이다. 자료는 누리과정 자율장학에 참여한 어린이집 교사 4인을 대상으로 2014년 2월 26일부터 2014년 7월 31일까지 수업협의, 서술식 질문지, 자율장학 보고서, 인터뷰를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누리과정 자율장학은 1) 협의하기, 2) 실행하기, 3) 반성하기, 4) 공유하기의 과정을 가졌다. 누리과정 자율장학을 경험한 어린이집 교사들은 1) 유아 참여의 수업으로 전환하기, 2) 통합적 접근 수업 지향하기, 3) 수업 개선의 에너지 퍼뜨리기의 변화가 있었다. 교사들은 누리과정 자율장학에 자발적인 참여는 아니었지만 참여를 통해 누리과정 재구성에 대한 변화의 주체가 되어 지속적으로 변화의 주체가 되었다. 본 연구는 지자체 단위의 소모임 교사교육에 대한 장기적인 심화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동료장학과 자기장학이 교사학습공동체를 매개로 교사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오은석 ( Oh Eunseok ) 인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사회과학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지식과 정보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사회 변화의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는 현대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교사전문성 함양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여, 교사전문성 함양을 위한 방법으로 동료장학과 자기장학, 교사학습공동체가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경기도 소재의 40개 중학교 805명의 설문지 응답 자료를 상관관계 분석, 중다회귀분석,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료장학, 자기장학, 교사학습공동체, 교사전문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두 정적인 상관이 있었고, 둘째, 동료장학, 자기장학, 교사학습공동체는 교사전문성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구조적 관계 분석 결과 동료장학과 자기장학이 교사학습공동체를 매개로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직·간접 효과가 있었으며, 교사학습공동체는 동료장학, 자기장학과 교사전문성 사이에서 매개 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기 방안으로는 저 경력 교사와 일반교사가 동료장학과 자기장학, 교사학급공동체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적절한 교육지원과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교사가 혼자 수행하는 자기 장학 활동을 교사학습공동체 안에서 동료 교사와 공유하고 협력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사학습공동체의 운영 목적이나 주제가 교사전문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전해 나가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peer supervision, self-supervision,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teacher professionalism and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m. To carry out this research, a questionnaire was sent to 1,000 teachers in 40 middle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which resulted in 845 (84.5%) responses. We used 805 (80.5%)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excluding 40 responses with missing or incorrect answers.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influence of peer supervision, self-supervision, and teacher learning community on teacher professionalism, all the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regarding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peer supervision, self-supervision, teacher’s learning community, and teacher professionalism, all the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mediated a relationship of peer supervision and self- supervision to teacher professionalism.

      • KCI등재

        누리과정 자율장학에서 어린이집 교사의 현장견학 경험

        서혜정,문혜경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9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a daycare center’s teacher who improved the ‘trip experience’ through autonomous supervision and implementation the Nuri curriculum. Data collected included consultation materials, reports, reflective journals, and in-depth interviews based on a narrative to teachers questionnaire to teachers from February, 26, 2014, to July 30, 2014. As a result, the teacher changed the simple field trip through self-supervision. The teacher experienced the process of pre-activity using pre-exploration materials self-guided field trip post-activities to reconstruct the field trip experience. Consequently, the teacher 1) realized the importance of pre-exploration, 2) enjoyed autonomous field trips based on pre-activities, 3) realized the value of children's though processes, and (4) understood the value of small groups. Findings of this study point to the necessity of supervising small group instruction to utilize national curriculum meaningfully. 본 연구는 현장견학과 관련하여 누리과정 자율장학에 대한 어린이집 유아교사의 경험을 탐구한 질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2014년 2월 26일에서 2014년 7월 30일까지 자율장학 협의자료, 자율장학 보고서, 서술식 질문지, 인터뷰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는 누리과정 자율장학을 통해 단순한 현장견학에 변화를 가져왔다. 교사는 사전답사 자료를 활용한 현장견학 사전활동-자율적으로 즐기는 현장견학–현장견학 경험을 재구성하는 사후활동의 과정을 경험하였다. 둘째, 현장견학에 대한 누리과정 자율장학으로 연구 참여자는 1) 사전답사의 중요성 깨닫기, 2) 다양한 사전활동으로 자율적인 현장견학 즐기기, 3) 아이들의 사고 과정 가치 깨닫기, 4) 소집단의 가치 깨닫기를 경험하였다. 본 연구는 국가교육과정을 의미 있게 활용하기 위하여 소그룹 지도의 장학 체제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Learning-based catheter and guidewire-driven autonomous vascular intervention robotic system for reduced repulsive force

        송화섭,이병주,Won Jong Yun,우재홍 한국CDE학회 2022 Journal of 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Vol.9 No.5

        Manual vascular interventional radiology (VIR) procedures have been performed under radiation exposure conditions, and many commercial master–slave VIR robot systems have recently been developed to overcome this issue. However, master–slave VIR robot systems still have limitations. The operator must reside near the master device and control the slave robot using only the master device. In addition, the operator must simultaneously process the recognition of the surgical tool from the X-ray image while operating the master devic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master–slave VIR robot systems, we propose an autonomous VIR robot system with a deep learning algorithm that excludes the master device. The proposed autonomous VIR robot with a deep learning algorithm drives surgical tools to the target blood vessel location while simultaneously performing surgical tool recognition. The proposed autonomous VIR robot system detects the location of the surgical tool based on a supervised learning algorithm, and controls the surgical tools based on a reinforcement-learning algorithm. Experiments are conducted using two types of vascular phantom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utonomous VIR robot system.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vascular phantom show a comparison between the master–slave VIR robot system and the proposed autonomous VIR robot system in terms of the repulsive force, task completion time, and success rate during the operation. The proposed autonomous VIR robot system is shown to exhibit a significant reduction in repulsive force and a 96% success ratio based on a vascular phant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