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전적 기억의 과일반화와 반추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이혜림,최윤경 한국임상심리학회 2012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1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overgeneral autobiographical memory and rumination on depression. One hundred and seventy-nin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were tested for autobiographical memory(Autobiographical Memory Test) and also a completed self-report measure of depression(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rumination(Ruminative Response Scale). As the subtype of overgeneral memory might have different effects on depression, overgeneral memories were distinguished as categoric and extended memories, as positive cues and negative cues memories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by applying a personality vulnerability hypothesis(Beck, 1993), overgeneral memories were distinguished as interpersonal and achievement-failure memories. After reviewing the relevance between variables using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he results show that; overgeneral memory and ruminat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Particularly, categoric memory, extended memory, negative cues memory, and achievement-failure memory were significant. In the interaction with rumination along with categoric memory and achievement-failure memory were significant. That is, high rumination and categoric memory, achievement-failure memory were associated with higher depression.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cognitive intervention on depression. Finally, the limits of the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escribed.

      • KCI등재

        노화와 자전적 기억: 회상유형과 사상유형에 따른 일화 및 비일화 기억 양상 간 비교

        김영경,진영선,이장호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2 No.3

        자전적 기억은 자신의 삶에 관한 개인적인 기억으로, 주관적인 의식경험이 수반되며 자기도식에 의해 재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전적 인터뷰(Autobiographical Interview: AI)를 통해 자전적 기억의 일화 및 비일화적 요소의 인출 양상에서의 연령차를 인출지지와 함께 고찰하였다. 또한 사상의 정서에 따른 일화 및 비일화 회상량의 연령차를 살펴보았다. 노인은 탐문회상에서 청년보다 일화의 회상량이 적었고, 인출지지는 노인과 청년 모두에게 일화 및 비일화의 회상을 촉진시켰는데, 인출지지로 인해 증가한 일화기억의 범주유형 중 시간, 지각, 사고/정서에서 연령차가 나타났다. 그러나 비일화 회상에서는 연령과 회상유형 간 상호작용이 없었고, 자전적 기억의 회상에서 정서의 이득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와 그에 관한 논의를 통해 자전적 기억의 특성과 연령에 따른 기억체계의 변화, 정서와 기억 간의 관계에 대해 검토하고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추후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It has been postulated that as people get older, the episodic information in our auto biographical memory should be deteriorated faster than the semantic aspect of it. To examine the thesis, the present study measured the probed retrieval performances of young and old group in their autobiographical memory using a technique called, Autobiographical Interview(AI). It was also examined if the probed retrieval was in any way effected by the emotional valence of the events recalled. The results showed that: (1) There was clear age deficits in episodic memory but not in semantic memory. (2) Retrieval support helped young adults more in recalling episodic memories than older adults and this trend was quite visible in the category of time, perception and thought/emotion. (3) There was no evidence of the advantage in recalling the emotional events in both episodic and semantic aspects of autobiographical memory. (4) The recall for negative events in older adults interacted with rehearsal. It can be safely argued that the nature of tools and techniques administered to study cognitive aging will determine the level of validity of the data collected.

      • KCI우수등재

        관광객 자전적 기억에서 나타나는 관광경험 구조의 이해: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 접근

        한석호,윤지환 한국관광학회 2020 관광학연구 Vol.44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mmon and connotation structure of the autobiographical memory formed by tourism experience. Based on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the contents of common autobiographical memories in the retrospective of tourism experience was summarized in an intensive structure. Specifically, the autobiographical memory in the pre-trip stage was structured into three categories('Travel planning', 'Self-directed planning', and 'Expectation and anxiety'). The on-site stage was structured into a single category(‘Unusual experiences’). Lastly, the post-trip stage’s autobiographical memory was structured into three categories(‘Discovering new meanings’, ‘Positively distorted emotions’, and ‘Savoring memories’). The tourism experience shown in autobiographical memory is derived from experiences that have given subjective meanings according to cognitive and affective self-consciousness. It may include past experience or unconsciously, automatically, or reflexively by certain external conditions or stimulation. In particular, prior knowledge and external stimulation accumulated from past experience acted as crucial influence factors of tourist behavior and decision-making, and the process of such selection was also a part of the autobiographical memory. It was also identified that the autobiographical memory could be reconstructed and distorted by various factors. Our findings may help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understanding the decision-making mechanism in tourist autobiographical memory, and devise various theoretical and practical strategies for evoking and promoting memory. 이 연구는 관광객의 자전적 기억에서 나타나는 관광경험 구조에 대한 탐색과 함께 회고 내용에서 드러나는 관광객의 행동 기제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Collaizzi(1978)가 제안한 기술적 현상학 중 경험적 현상학적 심리학적 체험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관광경험에 대한 자전적 기억을 여행 전, 여행 중, 여행 후 단계에서 7개 범주, 13개 주제묶음, 29개 주제로 구조화하였다. 구체적으로 여행 전 자전적 기억은 ‘여행 계획 구상’, ‘주도적 계획 수립’, ‘여행 전 기대와 불안’의 3개 범주로 구조화되었으며, 여행 중 단계는 ‘비일상적 경험’으로, 마지막 여행 후 단계의 기억은 ‘새로운 의미 발견’, ‘감정의 긍정적 왜곡’, ‘기억의 저장 및 향유’의 3개 범주로 구조화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종합된 결과를 통해 자전적 기억에서 나타난 관광경험은 개인이 인지적, 정서적으로 자기의식에 따라 주관적인 의미를 부여한 경험 또는 과거 경험이나 외부의 특정한 조건이나 자극에 의해 무의식적, 자동적, 반사적으로 행해진 경험 등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과거 경험으로부터 축적된 사전지식이나 외부의 자극은 관광객의 행동과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으며, 자전적 기억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재구성 및 왜곡될 수 있는 것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관련 연구자 및 실무자들에게 관광객 자전적 기억에서 나타난 의사결정 구조나 작용 원리와 같은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기억의 환기 및 촉진을 위한 다양한 이론적, 실무적 전략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노래를 통한 초기 알츠하이머 치매환자의 자서전적 기억

        한승아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16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3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ong-induced autobiographical memory of patients with early Alzheimer’s Dementia (AD) by comparing the effects of patient-selected songs (M-AD) versus music therapist-selected songs (M-MT). A total of 19 patients with early AD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the M-AD and M-MT conditions, each participant listened to a song and was instructed to recall memory. The time to recall memory, the specificity of the memory, mood changes, and the type of recalled memory were measured. Perceived familiarity and preference of the used songs and association of the song with the recalled memory were also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M-AD condition elicited more specific memory and positive mood change than the M-MT condition. In addition, AD patients reported a higher level of familiarity with and preference of songs in the M-AD condition, compared to the M-MT condi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atient-selected songs, which have a personal meaning to an individual, could be effectively used for intervening with memory of this population, which would support music therapists to make better decision with regard to song selection. Further studies would be needed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autobiographical memory in older population with cognitive impairment and to propose more effective music therapy strategies for intervening with memory.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알츠하이머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본인이 선곡한 노래 조건과 치료사가 선곡한 노래 조건에서 자서전적 기억 회상의 내용, 회상하는데 걸린 시간과 기분변화를 측정하여 자서전적 기억회상에 효과적인 노래조건을 알아보는 것이다. 실험 동안 각 피험자는 자신이 선곡한 친숙한 노래(M-AD)와 치료사가 선곡한 노래(M-MT) 조건에서 노래를 듣다가 자신이 직접 경험한 기억이 떠오르면 손을 들게 하였고, 노래가 끝나면 인출된 기억을 이야기하도록 하였다. 피험자가 이야기한 내용은 녹음 전사하였고, 기억의 주체성과 내용, 회상 시간과 기분 변화 등과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M-AD 조건이 M-MT 조건에서 제공된 노래에 대한 친숙도와 선호도가 높았으며, 회상한 기억과 노래의 밀접함의 정도가 높았다. 또한 구체적으로 기억을 회상할 수 있었으며, 회상하는 데 걸린 시간도 짧았다. 또한 실험 전후의 기분변화 폭이 컸으며, 회상한 기억과 기분의 관련성에도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초기 알츠하이머 환자 본인이 선곡한 노래가 자서전적 기억을 회상하는 단서가 되어 구체적이고, 긍정적인 기억을 촉진하며 회상시간이 단축됨을 보여주어 임상에서 초기 알츠하이머 환자의 자서전적 기억을 회상할 때, 본인이 선곡한 친숙한 노래가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자서전적 기억 특성에 대한 사법적 함의 : 기억과 자아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이승진(Seungjin Lee) 한국자폐학회 2022 자폐성 장애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기억 특성을 기억과 자아의 관계에 초점을 두고 고찰하였다. 먼저 기억과 자아의 학문적 정의를 토대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가 보이는 자아의 이해 수준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자아에 관한 지각 수준, 거울 자기 인식, 지연 영상 자기인식, 자신의 이름에 대한 반응, 1인칭 대명사 사용 빈도, 자신의 감정에 대한 지각 수준, 상위 인지와 마음 상태 추론 능력, 사회적 기술, 성격에 대한 인식, 자기 개념 수준에 관한 연구를 고찰하였다. 또한, 자아에 관한 이해를 토대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일화 기억, 의미 기억, 자기 참조 효과와 소유 효과, 미래 기억 관련 연구를 살펴보았다. 본질적으로 기억과 자아의 관계는 다면적이고 복잡하며, 쌍방향적이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자아 인식능력에 관한 지식은 이들의 기억 특성을 이해하고, 나아가 사법적 맥락에서 이들 진술의 완전함과 신뢰성을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mory characteristics of autism spectrum disorder,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mory and self. First, the definitions of memory and self were examined, and based on these contents, the memory characteristics of autism spectrum disorder were considered, focusing on episodic memory, episodic foresight, semantic autobiographical memory, self-referencing effect ownership effect, and prospective memory-related studies. More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memory and self was classified into eight descriptive categories: self-perception degree, mirror self-recognition, delayed video self-recognition, response to own name and use of first-person pronouns, self-awareness and perception of one s emotions, metacognition and mental state inference, and self-concept. In conclusi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mory and self is multifaceted, complex, and interactive. The self-perception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autism spectrum disorder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ir memory patterns. Furthermore, this relationship is useful for judging the flexibility of investigative interview approaches and the reliability of these testimonies on autism spectrum disorders.

      • KCI등재

        외상 경험 및 우울과 자서전적 기억의 일반화

        도상금,최진영 한국임상심리학회 2003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2 No.2

        Recent studies found that depressed individuals had overgeneral memories to positive and negative cues. This study investigated overgeneral memory in depressed individuals and examined the Williams'(1996) hypothesis that this could mediated by childhood trauma. We assessed the autobiographical memory, clinical traits, such as, depression, history of childhood physical or sexual abuse,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Results support the general hypothesis that individuals with high depression scores reported more overgeneral autobiographical memories in negative episodes. Subjects who reported childhood physical or sexual abuse also produced more overgeneral memories in negative autobiographical memories. When levels of depression was controlled, abuse history showed few association with negative autobiographical memories. In addition, subjects with abuse history had high levels of depression, anxiety, and borderline personality tendency. They also employed wish-fulfilling fantasy strategies to stress.

      • KCI등재

        플라톤 철학에서 기억과 영혼

        조대호 범한철학회 2012 汎韓哲學 Vol.66 No.3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Plato’s conception of memory and soul from the perspective of his doctrine of transmigration. According to this doctrine, the soul is immortal, so that it is born many times and retains the memory of its previous lives. Of course, this memory is personal, and in that respect it essentially differs from the prenatal ‘eidetic memory’ assumed in Plato’ theory of recollection. To use modern psychological terms, each of these two types of memory might be characterized as ‘autobiographical’ and ‘semantic’. In the dialogues of Plato, however, we are not told about the relation between them; only in the Theaetetus he commits himself to some essential features of memory, without making any attempt to integrate them in a comprehensive theory of memory. No matter what it looks like, however, Plato’s concept of the ‘autobiographical’ memory and his remarks on it, esp. in Respublica X, are of great importance to our understanding his psychology. As we observe it there, the soul is a bearer of personal memories and it is able to retrieve its own past experiences with emotions and to choose a future life, which is beyond the pure intellectual capacity for apprehending eternal beings. In other words, the soul, in so far as it is the subject of transmigration, cannot be a pure intellect, but it must be a complex unity of the various capacities like the soul-chariot which is depicted in the Phaedrus. This observation gives us a vital clue to solve the crux of the Platonic theory of soul, i.e. the question about whether the soul, in its true nature, is simple or complex. 이 논문의 목적은 플라톤의 윤회론의 관점에서 기억과 영혼의 본성에 대한 그의 생각을 살펴보는 데 있다. 윤회론에 따르면 영혼은 불멸하기 때문에, 여러 번 태어나며 전생의 기억을 간직하고 있다. 물론 이 기억은 개인적이며, 그런 점에서 그것은 플라톤의 상기론이 가정하는 이데아들에 대한 기억과 다르다. 현대 심리학의 용어를 사용하자면, 그 두 기억은 각각 ‘자서전적 기억’과 ‘정보기억’으로 특징지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플라톤의 대화편들에서는 그 두 형태의 기억 사이의 관계가 해명되지 않는다. 그는 『테아이테토스』에서 기억 현상의 몇 가지 주된 측면들에 주목하지만, 두 형태의 기억에 대한 논의를 하나의 포괄적인 기억론으로 통합하려고 시도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플라톤의 기억론이 어떤 모습을 취하건, 윤회론의 맥락에서 제시되는 자서전적 기억에 대한 그의 생각이나 언급들은 그의 영혼론을 이해하는 데 큰 중요성을 갖는다. 특히 『국가』 X권에 따르면, 영혼은 자서전적 기억의 주체로서 감정을 동반한 상태로 과거를 되살려내고 이를 근거로 미래의 삶을 선택하는 능력을 갖는데, 그런 기능들은 순수 지성의 영역을 넘어선 것이다. 다시 말해서 윤회의 주체로서의 영혼은 순수 지성이 아니라 - 『파이드로스』에서 그려진 영혼의 마차처럼 - 다양한 심리적 능력을 가진 복합체일 수밖에 없다. 그런 점에서 자서전적인 기억에 대한 플라톤의 생각들을 살펴보는 것은 그의 영혼론의 난제, 즉 영혼이 본성적으로 단순한가 복합적인가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한다.

      • KCI등재

        청년기 애착과 자서전적 기억의 관계

        김지연,정윤경 한국청소년학회 2018 청소년학연구 Vol.25 No.5

        본 연구는 청년기 애착과 자서전적 기억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만 19~25세의 성인 12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으며 도구에는 자서전적 기억 과제(Autobiographical Memory Task; AMT, Williams & Broadbent, 1986)와 대인 관계 설문지(Relationship Style Questionnaire; RSQ, Griffin & Bartholomew, 1994)를 사용했다. 연구에선 청년기 애착을 안정과 불안정으로 나누었고 AMT의 결과는 과제 수행 시의 기술 양, 구체성 점수 그리고 정서 단어 발화 개수로 분류했다. 더불어 AMT 수행 직후의 긍정 정서와 부정 정서 강도 보고에 대한 애착과 성별의 주효과 및 상호작용 효과 또한 살펴보았다. 그 결과 AMT의 수행에서 애착의 주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안정 애착의 개인은 불안정 애착 보다 더 많은 자서전적 기억을 기술하고 더 높은 구체성을 나타냈다. 정서 단어의 사용 빈도에서도 애착은 주효과를 가졌으며 과제 수행 후의 정서 보고에서 또한 안정 애착의 참여자는 높은 긍정 정서와 낮은 부정 정서를 보고하는 경향이 있었다. 성별은 AMT의 구체성 점수와 부정 정서 보고에서만 부분적인 주효과를 가졌고 애착과 성별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후 추가적으로 애착을 네 유형으로 나눈 탐색적 분석을 실시하였고 거부형 애착(dismissing attachment)에서 다른 불안정 애착 집단과는 구분되는 과제 수행에서의 경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들은 청년기 애착과 자서전적 기억의 중요한 관련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ce attachment and autobiographical memory. In this study, 125 participants ages from 19 to 25 years participated in. During the experiment, Autobiographical Memory Task(Williams & Broadbent, 1986) and Relationship Style Questionnaire(Griffin & Bartholomew, 1994) were used. The data of AMT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which the amount of writing, the specificity score, and the number of emotional words typed. Also, the adolescents' attachment style was classified into secure and insecure. In addition, we measured the intensity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immediately after the autobiographical memory task was done. As a result, the main effect of attachment was found in the performance of AMT. the secure attachment described more autobiographical memories than insecure attachment and showed more specificity in AMT. The main effect of attachment was also found in the number of emotional words typed and in the emotional intensity reporting. Gender had a partial main effect on AMT specificity score and negative emotional reporting. In addition, we conducted the additional research obtained by dividing the attachment into four sty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attachment and autobiographical memory.

      • KCI등재후보

        자기초점주의가 우울집단에서 자서전적 기억의 과일반화에 미치는 영향

        박현,신현균 한국임상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focused attention on overgeneral autobiographical memory(AM) in depressive person through experiment. Overgeneral AM was classified as extended descriptions and categorical descriptions. The subjects(n=79) were divided into the depressive group and non-depressive group based on self-report measure of depression(BDI) scores and the participants of two group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he self-focused attention group and distracted group. Each group was manipulated in self-focused attention or distraction. Overgeneral AM were measured pre-and post-manipul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overgeneral AM was increased more in depressive group than non-depressive group and the increased overgenerality in depressive group was attributable to the excess of categoric descriptions. And extended memory was not significant in self-focused attention group and distracted group. This study has proved experimentally the relation of self-focused attention, overgeneral autobiographical memory. Finally, Implicat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유도된 자기초점주의가 자서전적 기억의 과일반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였고, 일반화 기억을 범주기억과 연장기억으로 나누어 자서전적 기억 변화의 구체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BDI를 실시하여 우울집단 40명과 비우울집단 39명을 선정하였고, 각 집단 내에서 자기초점조건과 주의분산조건으로 무선할당 하였다. 처치 전후에 각각 제시된 단어를 단서로 하여 자서전적 기억을 작성하였고. 처치조작은 지시에 따라 주의를 집중하도록 요구되었으며, 처치조작 설문으로 조작점검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초점조건에서 처치 후 우울집단의 일반기억이 증가하여 자기초점주의로 인한 자서전적 기억의 과일반화가 확인되었고, 비우울집단에 비해 그 증가량이 높았다. 또한 기억의 세부적 특징을 살펴본 결과, 이러한 변화는 연장기억이 아닌 범주기억의 증가에 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장기억의 변화량은 유의하지 않았으나, 범주기억은 처치후 우울집단과 비우울집단에서 모두 유의한 증가량을 보였으며, 비우울집단에 비해 우울집단에서 더욱 큰 변화량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청년과 노인의 자기존중기억의 심리적 거리로 살펴본 자전적 기억이 자기 개념에 미치는 영향

        김영경,김혜리 한국인간발달학회 2019 人間發達硏究 Vol.26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hemes of self-esteem memorie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memory quality, age of memory, participant age,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distance of memories. Self-esteem memory means the memory representing especially high and low moments about oneself. The participants were 37 young adults(12 males and 25 females) and 34 older adults(11 males and 23 females). They were asked to test cognitive ability, self-esteem and depression, and recalled four positive and four negative self-esteem memories and rated the qualities of each memory. The content analysis showed that positive and negative self-esteem memories of younger adults frequently focused on interpersonal themes rather than achievement themes and only negative self-esteem memories of older adults frequently focused on interpersonal themes. These findings reflect the collectivistic character of South Korea and compensation of ability decline by aging. The regression analysis also showed that while frequency of rehearsal, novelty and age of memory predicted the psychological distance of memories in the positive memories of young adults and valence, vividness and self-esteem predicted in the negative memories of young adults, only the importance of events predicted the psychological distance of memories in positive memories of older adul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edicting variables of psychological distance are simplified by ag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