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행 및 전승 맥락에서 본 씻김굿의 예술성과 연희성

        이경엽 한국구비문학회 2004 口碑文學硏究 Vol.0 No.18

        Gut is not merely repeated but newly reproduced on the spot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We confirmed how artistic quality and dramatic quality of Sitkimgut was performed and transmitted in the context of performance and transmission.Artistic quality and dramatic quality which are referred as the characteristic of Sitkimgut are not defined as unchanged quality. Artistic quality and dramatic quality are changeable in existence, enlarged and reduced by character or scale of gut, and situation. One of the artistic qualities of sitkimgut is its continuous tradition. Traditionally, Sitkimgut of chindo has been transmitted with intention to pursue artistic quality strongly. Chingdo, a cultural zone, itself was the surroundings that enabled it. And in change of transmission circumstance, religious faith of residents or religious quality of gut became weakened. And with this background, artistic quality relatively has been stressed to maintain and reproduce the ritual of shamanism. Especially in connection with designation of cultural assets, such phenomenon was much more displayed. Like this the pursuit of artistic and dramatic quality of chindo sitkimgut has been in different position in relation with different part and was brought into the light as the important characteristic in the process of relative reinforcement. 굿은 단순히 반복되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현장에서 새롭게 재생산된다. 연행 및 전승 맥락 속에서 씻김굿의 예술성과 연희성이 어떻게 실현되고 전승돼왔는지 진도씻김굿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씻김굿의 특징으로 거론되는 예술성과 연희성은 고정적인 자질로 규정되지 않는다. 연희성이나 예술성은 굿의 상황이나 목적에 따라 다층적으로 존재한다. 굿의 성격이나 규모, 상황 등에 따라 확대되기도 하고, 축소되기도 하면서 가변적으로 존재한다. 씻김굿의 예술성은 지속적인 전통이기도 하다. 전통적으로 진도씻김굿은 예술적 지향성을 강하게 띠면서 전승돼왔다. 진도라는 문화권 자체가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환경이었다. 그리고 전승환경의 변화 속에서 주민들의 종교적 신심이나 굿의 제의성이 약화되어 가는 가운데, 무의식을 유지하고 재생산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특히 문화재 지정과 관련해 그런 현상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처럼 진도씻김굿의 예술적연희적 지향성은 다른 부문과의 관계 속에서 위상을 달리 해왔으며, 상대적으로 강화되어오는 과정 속에서 중요한 특징으로 부각되었다.

      • KCI등재후보

        가구의 예술성에 관한 연구 -현대 아트 퍼니처 작품분석을 중심으로-

        최병훈,홍민정 한국가구학회 2011 한국가구학회지 Vol.22 No.1

        This article aimed at identifying the concept of ‘artistic-quality’ of furniture and presenting the concept of ‘artistic-quality based furniture creation’ as the future direction of furniture design. For this, the authors approached to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concept of artistic-quality, and then examined the prospect of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concept by analyzing the tendencies in today’s art furniture. In this light, ‘artistic-quality’ of furniture could be understood as a quality that triggers the designer’s venturous spirit throughout the process of furniture creation, so that the designer keeps seeking for the novelty and innovation in his experimental design and process. The feature of the current tendencies of art furniture in terms of the expression and effect, which could explain this venturous spirit of artistic-quality based furniture creation,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igh-touch: Furniture that exemplifies the artistic-quality by specific texture of handmade quality, second, High-feeling: Furniture that arouses the new feelings and new concepts of furniture structure & function by experiments on new abstract forms of furniture, and third, High-mentality: Furniture that leads us to the sphere of subtle aesthetic recognition and mentality with its specific poetic expression and sensibility.

      • KCI등재

        “Qi(氣) as a Special Artistic Quality” and the Artistic Quality of Feng(風) and GU(骨) in Digital image

        ( In Hwan Kim ) 한국동양예술학회 2005 동양예술 Vol.10 No.-

        This paper is an investigation on the aspect of Qi from the point of ``Qi as a special artistic quality’. With particular emphasis upon ``Yi Qi(意氣)`` as ``Qi as a special artistic quality’. I will inquire into the essence of art disclosed in the modes of Yi Qi found in art theories and works. Moreover, the re-interpretation of ``the artistic quality of Feng(風) and Gu(骨)``and its action will show that they are also indispensable in modern digital image, for it should communicate with the universe. This communication will make this colloquium as a field of mutual understanding.

      • KCI등재

        교과와 미술 통합 수업에서의 예술적 특성

        김정선,박남정,박정유,연혜경,이은영 한국조형교육학회 2009 造形敎育 Vol.0 No.35

        The initiative of the research was to discover a way of instruction that teaches educational materials in artistic methods. Researchers studied the possibilities of integrating art into each educational subject through pre-education. Using the previous theoretical structure basis, researching instructors searched for models of art integrated educational instruction methods that can be executed within the limited class room perimeters, and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art integrated education through the instructional methods. Such method allows learning to take place as cohesion between intuition and reasoning, feeling and sensibility with knowledge occurs reciprocally; therefore when such knowledge expands to new horizons and education continuously deepens, it can be stated that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habe finally been attained. So, it has been deducted that for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the art-education incorporated instruction, that it should include processes of imagination, individuality, experiencing sense of the media, communication and sympathy, reconsideration processes, and questioning processes. All curriculum was designed to apply the above qualities. Classes were recorded by instructors and later analyzed based on the artistic qualities. The result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a more detailed methodology would be necessary to realize the artistic qualities within the course and to engage the student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has discovered the educational effect and meaning of artistic activities as a method of teaching-learning through empirical application.

      • KCI등재

        실용품의 저작물성 판단 시 예술성 요건에 관한 고찰 - Brompton Bicycle Ltd v. Chedech/Get2Get 사건을 중심으로 -

        조채영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외법논집 Vol.46 No.2

        Applied art works, which are useful articles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in industry, are recognized not only for the protection of the Design Protection Act but also for the protection under the Copyright Act. Applied art is recognized as a work to be protected, and this can be seen as a natural result required by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industries, where art works tend to be combined with useful articles, but if the boundaries between pure and applied art become ambiguous, problems may arise. Under the Korean copyright act, originality recognized apart from the articles is required to be protected as an applied art work, and the concept of originality recognized apart from the articles is similar to the separability test of the United States. According to the court decisions in the U.S., useful articles were recognized as applied art works when they had their own aesthetic value, but in recent case about copyrightability of bicycle in Europe, the court ruled that the copyright of useful articles should be judged only by their originality. The court explained that since aesthetic value is subjective effects felt by the audience and is not objectively identified, originality should be recognized if the subject matter reflects the personality of its author, as an expression of his free and creative choices unrelated to aesthetic value. However, in order to that useful acticles to be protected like works of art, it they meet the fundamental requirements of art works, and in this context, artistic quality is emerged. However, there is still criticism that the standards for artistic quality are not clear in the court decisions and copyright act as well. In the target judgment, it was judged that the copyrightability of useful articles should be judged expression of creator’s free and creative choices unrelated to aesthetic value, the artistic value as a work of art will have to be considered. This paper intends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on the artistic quality by applying the concept of an object of modern art to interpret artistic quality. 산업상 대량 생산되는 실용품인 응용미술저작물은 디자인보호법의 보호뿐만 아니라 저작권법에 의 한 보호까지 중첩적으로 인정된다. 응용미술은 보호받아야 할 저작물로 인정되고 있으며 이는 미술저 작물이 실용품과 결합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는 현대 산업의 특성에 의해 요구된 자연스러운 결과 로 바라볼 수 있지만, 순수미술과 응용미술의 경계가 모호해지면서 양자의 성격을 모두 보이는 경우 창작성 판단 기준에 대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우리나라 저작권법상 실용품이 응용미술저작물로 보 호받기 위해서는 독자성이 요구되는데, 독자성 개념은 미국의 분리가능성과 유사한 개념으로 미국 판 례에 따르면 실용품이 독자적인 미적 가치를 가질 때 응용미술저작물로 인정된다. 반면 최근 유럽에서 발생한 자전거의 저작물성에 관한 판례에서 법원은 실용품의 저작물성은 미적 가치를 배제하고 창작 성만을 판단해야 한다고 판시했다. 법원은 미적 요소는 관객이 느끼는 주관적 효과이며 객관적인 식별 력을 의미하지 않으므로 창작성은 미적 요소와 관련없는 창작자의 자유로운 선택과 개성의 발현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실용품이 예술작품과 같이 보호받기 위해서는 미술저작물의 근본 적인 요건을 갖출 것을 요구할 수밖에 없고 이러한 맥락에서 예술성 요건이 등장한다. 그러나 실용품 의 저작물성 판단 시 예술성을 언급한 판례에서 예술성의 구체적 판단 기준을 제시하지 않았고, 공예 저작물의 요건으로 예술성을 요구하는 영국과 호주에서도 여전히 예술성의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는 비판이 존재한다. 대상 판결에서 실용품의 저작물성은 미적 가치를 배제하고 창작성만을 판단해야 한 다고 판시했으나, 창작자의 자유로운 선택과 개성의 발현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결국 미술작품으 로서의 예술적 가치를 고려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현대예술의 오브제 개념을 적용해 예술 성을 고도한 창작성 또는 미적 수준이 아닌 독자적 감상 가치로 해석함으로써 예술성 요건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예술교육의 기초를 위한 보편적 예술성 발달 모델

        유혜경 한국문화교육학회 2012 문화예술교육연구 Vol.7 No.3

        Until now most studies on aesthetic development have been conducted in specific artistic domain, so to speak, in the fine arts, music, dance, and etc.. Arts, in any domains, can be said a symbolic system that develops along with human progress, therefore this study is to figure out if the general artistic qualities which incorporate all artistic domains exist, find out phase specific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a development model of general artistic qualities To achieve the purpose mentioned above, studies related to artistic development in fine arts, music, and dance were reviewed based on Hargreaves and Galton's aesthetic development theory focused on aesthetic cognition. They have proposed 'five phases of artistic development' as the development of general aesthetic qualities. Literatures related to aesthetic developments in fine arts, music, dance were reviewed and examined from cognitive aesthetic development viewpoint. As a result, the general aesthetic qualities and the phase specific modes of symbolic thinking were found, and artistic development model has been structured; precognitive phase(0~2 years), outline representation phase(2~5 years), the schematic phase(5~8 years), customary symbol phase, diverse views phase(15~+years). 예술교육에 있어서 예술성 발달은 마땅히 중시되어야함에도 불구하고 주지주의 영역의 발달 관련 연구에 비해 충분하다고 볼 수 없으며, 예술성 발달을 주제로 하는 연구의 경우에도 대부분 음악이나 미술, 무용 등 개별 예술 영역에 국한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예술 전반에 걸친 보편적 예술성의 존재 및 발달 특징을 규명하여 보편적 예술성의 발달 단계 모델을 구안함으로써 예술교육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그 뜻을 두었다. 전 예술 분야에 걸친 상징적 사고 양식으로서의 예술적 인지를 중심으로 미술, 음악, 무용 분야의 제 발달 관련 연구를 고찰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보편적 예술성의 발달 모델이 구안되었다. 첫째 전인지기(0~2세)는 인지적으로 아직 발달하지 않은 시기이므로 예술 전반에 있어서도 특정한 상징적 사고양식이라고 할 만한 것은 없지만, 유아의 신체적 행위가 타 영역의 발달과 관련된다. 둘째 개략적 개념 사용기(2~5세)에는 아동의 미술, 음악, 무용에 있어서 예술적 사고 양식의 특징은 총체적 또는 개략적 개념을 사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셋째 도식기(5~8세)에 속하는 아동들은 자신들이 성장한 문화권의 영향을 받아 해당 문화권의 예술적 관습 또는 규칙 체계에 일치하는 도식을 사용한다. 아울러 전인지기로부터 시작된 음악과 무용의 관련이 지속되어 더 뚜렷해진다는 것이다. 넷째 예술 관습적 상징 숙달기(8~15세)에는 미술, 음악, 무용 분야 공통적으로 청소년이 속한 문화권의 예술 규칙체계 또는 관습의 사용이 보편적이 되고 이를 풍부하게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다섯째 다관점기(15세 이상)의 청소년들은 이전 단계의 관습적 사고에서 더 나아가, 관습으로부터 독립된 시각으로도 볼 수 있게 됨으로서, 예술적 인지 발달상 가장 상위 단계의 사고양식을 갖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예술성에는 개별 예술 분야에 국한된 것 뿐 아니라 예술 전반에 걸친 보편적 예술성이 존재 가능하고 각 발달단계별로 특징적인 상징적 사고양식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예술교육의 기초로서 향후 예술 교과목의 교육과정 구성과 교수학습 지도 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는 동시에, 예술성 발달 관련 연구에 있어서 새로운 통섭적 시각을 열어주는 계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창조성의 경제학과 창조성생태계

        윤영득 한국문화산업학회 2018 문화산업연구 Vol.18 No.1

        21c can be called as the era of creativity economy as well as knowldedge-based economy and information society. Creativity economy can be considered as soft economy. In soft creativity economy, every component of economy becomes of high quality and convenient. In this kind of circumstance, the resourses of scaricity are creativity and artistic quality.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concept of creativity, which is in the center of new scarcity, and analyzed creativity system as creativity ecology of complex sytetem. For the theorical construction of creativity ecology, we operated economic analysis of creativity and connected the microeconomic analysis of the creatity motivation with the analysis of creativity ecology. We analysed the creativity ecology system both in regional level and in national level and especally argued that SECI model which is an integral model about creativity and three system analysises of creativy should be understood in compliment with creavitiy complex ecology analysis. 21c는 지식기반경제요 정보화사회이자 동시에 창조경제의 시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창조경제는 소프트경제라고 할 수 있다. 소프트한 창조경제는 창조성을 바탕으로 경제의 모든 부분이 고급스러워지고 편리해지는 경제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희소한 자원은 창조성과 예술성이다. 본고에서 이렇게 새로운 희소성의 중심에 있는 창조성의 개념을 살펴보고 창조성을 진작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창조성이 작동되는 시스템을 복잡계의 창조성 생태계로 이해하고 그에 대한 이론들을 정리하여 보았다. 창조성생태계에 대한 이론적 구축을 위해 창조성의 경제학적 분석을 하였으며 창조성의 동기와 관련된 미시경제적 분석을 창조성의 생태계 분석과 연결시켰다. 창조성생태계는 지역수준과 국가수준으로 나누어 창조생태계시스템을 분석하였으며 특히 창조성 발현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창조성의 통합 모델인 SECI모델과 창조성의 세가지 시스템분석을 복잡계 생태계 분석과 상호보완하여 이해할 것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정선군 <토방집짓기놀이>가 가지는 마당놀이로서의 성격과 개선점

        이학주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1 한국문학과 예술 Vol.40 No.-

        This studies the play of "Log-frame House Building" held annually in Nampyeong, Jeongseon as a Madang folk performanc. A log-frame house is Korean traditional house type in mountain villages. Nampyeong showed this play at the Gangwon Traditional Art Festival and Jeongseon Arirang Festival. It is studied in 3 categories. First, the play is studied in the view of Traditional Art Festival. The play didn't comply with the valuation points, the preservation of prototype and artistic quality. It looked noncommittal "Legitimate Complex Traditional Art Play." Second, the play is studied in the view of Madang folk performance. A pure Madang folk performance should be just like a scene of festival anyone can enjoy but a traditional cultural art festival should preserve a prototype and be somewhat competitive. Nampyeong play has a unified composition and its circumstance such as NongAk is focused rather than its native features should be. Third, this study compares Nampyeong play with plays of other regions. Its composition is, as a whole, same as those of the "Play of House Construction" of Hwasun, Jeolla, the "Play of Wooden Shingle House Construction" of Samcheok, and the "Play of Log-frame House Building" of Hongcheon. But it's regrettable that the scenario and the Rhyme of Base-hardening became artificially modified rather than preserved. Nampyeong's "Play of Log-frame House Building" will be posted as a traditional Madang performance if it complies with the valuation points and purpose of National Traditional Art Festival and keeps its indigenous aspects. 본고는 정선군 남평에서 연행하고 있는 <토방집짓기놀이>를 마당놀이 개념에서 그 성격과 구성을 통해 개선점을 살폈다. 이 논의는 한국민속예술의 보전과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토방집은 귀틀집의 다른 명칭으로 우리나라 전통적인 산간가옥이다. 남평에서는 토방집이 지어지는 과정을 민속놀이로 만들어서 정선의 향토축제 정선아리랑제와 강원도민속예술축제에 출품을 하였다. 이를 본고에서는 세 항목으로 나누어 고찰했다. 첫째, 민속예술축제 입장에서 <토방집짓기놀이>를 살폈다. 결국 정선 남평의 <토방집짓기놀이>는 심사에 필요한 경연종목에서 벗어났고, 그리고 심사기준인 원형보존과 예술성을 잘 보여주지 못했다. 남평의 <토방집짓기놀이>는 ‘정통복합민속예술놀이’라는 어정쩡한 모습이 되었다. 둘째, 마당놀이로서 남평의 <토방집짓기놀이>를 살폈다. 순수한 마당놀이는 신명나게 즐기는 축제의 판놀음과 같은데, 민속예술축제는 원형을 살리고 경쟁을 해야 하는 구조가 더 들어가 있다. 이에 남평의 <토방집짓기놀이>는 획일적 구성에 농악 등의 주변상황이 더 부각되었다. 그리고 남평 고유의 성격이 잘 드러나지 않았다. 셋째, 비교입장에서 남평의 <토방집짓기놀이>를 살폈다. 전라도 화순의 <집짓기놀이>, 삼척의 <너와집짓기>, 홍천의 <토방집짓기> 등과 비교결과 큰 틀에서는 다름이 없었다. 아쉬운 점은 시나리오와 터다지기소리가 고유성을 깨고 인위적인 모습으로 바뀌었다는 사실이었다. 정선 남평의 <토방집짓기놀이>는 전국민속예술축제의 목적과 심사항목, 그리고 정선 남평의 고유한 모습을 잘 맞춰 간다면 남평만의 멋진 민속마당놀이로 자리를 굳힐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김요섭 단편동화의 양상과 특질 연구

        서향숙(Seo, hyang-suk) 한국아동문학학회 2012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22

        김요섭은 시인이자 동화작가이다. 그는 처음부터 동화를 문학예술로 인식하고 동화의 문학적 특성에 부합하면서도 예술성을 잃지 않는 작품을 창작하기 위한 다양한 실험을 모색해왔다. 그는 특히 단편동화에서 예술적 경지를 뛰어넘는 독특한 문학 세계를 확립한 작가이다. 본 논문은 예술성이 뛰어난 그의 단편 동화를 대상으로, 그 양상과 특질을 규명해 보았다. 김요섭 단편동화의 양상은 시대 상황과 문학적 면모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한국전쟁 이전에 창작 된 작품으로, 주로 그리움의 세계를 담은 이야기들이고, 둘째는 한국전쟁 이후 창작된 작품으로, 절망과 암울함을 담은 현실적 이야기들이다. 셋째는 1968년 이후 창작된 작품으로, 그 절망을 극복하고자 한 환상적 이야기들이다. 김요섭 단편동화의 특질은 크게 네 가지로 집약할 수 있다. 첫째는 원형적 이미지와 아동문학에 적합한 주제를 결합시킨 점, 둘째는 현실인식과 역사인식에 뿌리를 두고 시적 환상을 추구하며 인간의 본질적인 문제를 다룬 점, 셋째는 전쟁의 참혹함 과 암울한 현실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끊임없이 작품으로 구현하고자 한 점, 넷째는 시적인 문장과 다양한 이미지, 반복과 나열 기법, 독특한 플롯 등을 도입하여 동화의 문학성을 확립하고자 한 점이다. 이와 같은 김요섭 단편동화의 양상과 특질은 한 국동화문학사에서 작가로서 그의 위상을 재확인시켜주는 일이기도 하다. Kim Yo-seop is a poet and writer of childrens stories. He, who recognized childrens stories as a literary art, attempted various experiments to create stories which have artistic nature while meeting their literary qualities. He developed his own literary style in childrens stories beyond the realm of art.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d the aspects and qualities of his short childrens stories, targeting his stories with excellence as an art. The aspects of his short childrens stories are categorized into three according to historical backgrounds and literary trends: First, the stories which were written before the Korean War, describe the world of longings. Second, those which were written after the Korean War, describe depression and despair of the society. Third, those which were written after 1968 are fantastic stories to overcome despair. The qualities of Kim Yo-seops short fairy tales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First, he combined archetypal images with subjects for childrens literature; Second, he dealt with human nature while seeking for poetic fantasy along with awareness on reality and history. Third, he continuously tried to realize his intention to overcome depressed reality due to the war ; and fourth, he introduced poetic sentences, various images, repetition, and distinctive plots to establish literary qualities of childrens stories. As above, such aspects and qualities of his childrens stories reconfirmed his status as a writer in the history of Korean childrens stories.

      • KCI등재

        사회문화예술교육 서비스품질이 자아존중감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울산광역시 지역특성화문화예술교육 참가자를 중심으로

        이희성(Hee-Sung, Lee) 한국문화교육학회 2021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문화예술교육 서비스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고유 서비스품질 요인을 도출하고, 이러한 품질요인들이 지역특성화문화예술교육 참가자의 자아존중감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여 사회문화예술교육 수혜자 중심의 궁극적 목적 달성정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사회문화예술교육 서비스품질이 참가자들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서비스품질 요인 중에 프로그램 품질과 정보안내가 자아존중감에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사회문화예술교육 서비스품질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서비스품질 요인 중 프로그램 품질 요인이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참가자들의 자아존중감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자아존중감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사회문화예술교육 서비스품질, 자아존중감, 행동의도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서비스품질 3개요인(프로그램 품질, 교육장소, 정보안내), 자아존중감, 행동의도 요인으로 개념화 하였으며, 사회문화예술교육 서비스품질 요인을 바탕으로 통계적으로 참가자들의 느끼는 반응에 대한 부분을 수치로 제시하여 기존 연구와의 차별화를 가질 수 있었으며, 사회문화예술교육 서비스품질에 대한 객관화를 제시함으로써 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unique service quality factors to evaluate the quality of soci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services, and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se quality factors on self-respect and behavior of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participants. First, after verifying the impact of social, cultural, and arts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participants self-respect, it was found that program quality and information guidance affect self-respect among service quality factors. Second, after verifying the impact of social, cultural, and arts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behavior, it was confirmed that program quality factors among service quality factors affect behavior.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participants self-respect on behavior, it was found that self-respec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 Through this study, based on prior research on soci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service quality, self-respect, information guidance, self-respect, and behavior factors, and based on soci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service quality factors, it can be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