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 사회관계 영역과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탐색

        안지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regards the articulation of curriculum to be revised between each level of school by analyzing the articulation between the social relations domai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2015 integrated curriculum for elementary education. Methods The data analyzed were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2015 elementary education integrated curriculum: Right Life, Wise Life, and Joyful Life. Tyler's organization principle for curriculum content was used as the criteria for analysis, and the articulation form was analyzed in terms of continuity and sequence highly related to articulation. Articulation that correspond to sequence were analyzed as deepening/expansion and retrogression. Expanding the scope of content or increasing the level of action was analyzed as ‘deepening/expansion’, and reducing the scope of content or lowering the level of action was analyzed as ‘retrogression’. Repeating at the same level without changing the scope of content or level of behavior was considered ‘repetition’, and this was considered as articulation in terms of continuity. Results First, the social relations domain of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is articulated to the ‘Right life’ and ‘Wise life’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Second, the field of social relations has articulation to school, family, village, and country, which are the spatial themes being part of the major themes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Third, the range of content and sub-contents of the social relations domain are similar to the expandability shown by the spatial themes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school-family-village-country’. Fourth, it hard to say that the social relations domain is not related to the ‘Joyful life’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and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rticulation with the ‘Joyful life’ that includes an expressive function. Fifth, the sub-contents of the social relations domain are intersected in a complex way to articulation and non-articulation, and sequence and continuity in the aspect of articulation. Conclusions It is not easy to match the articulation in a consistent and logical way because the composition systems of the two curricula are different. Educational contents related to social studies with continuously changing characteristics should be evaluated in the long term, and efforts to understand the mutual educational process for the articu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lementary education are necessary. 목적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사회관계 영역과 2015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이후 개정될 각 학교급간 교육과정의 연계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분석의 대상이 된 자료는 2019 개정 누리과정과 2015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인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교육과정이다. 분석 기준은 Tyler의 교육과정 내용 조직 원리 중 연계성과 관련 높은 계속성, 계열성의 차원에서 연계형태를 분석하였다. 계열성에 해당하는 연계는 심화⋅확대와 역행으로, 내용의 범위가 확장되거나 행위의 수준이 깊어지는 것은 ‘심화⋅확대’이며, 내용의 범위가 축소되거나 행위의 수준이 낮아지는 것은 ‘역행’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내용의 범위나 행위의 수준이 변화하지는않지만 동일 수준에서 반복되는 것은 ‘반복’이며 이는 계속성의 차원에서 연계에 해당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사회관계 영역은 초등학교 통합교과의 바른 생활과 슬기로운 생활과 연계되어 있다. 둘째, 사회관계 영역은 통합교과의 대주제 중 공간적 차원의 주제인 학교, 가족, 마을, 나라와 연계성을 갖는다. 셋째, 사회관계 영역의 내용범주와 하위 내용은 통합교과의 공간적 차원의 주제인 ‘학교-가족-마을-나라’가 보여주는 확장성과 유사하다. 넷째, 사회관계 영역은통합교과의 즐거운 생활과 비연계 된 것이라 보기 어려우며, 표현기능을 내포한 즐거운 생활과도 연계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사회관계 영역의 하위내용별 연계성은 연계와 비연계, 연계적 측면에서는 계열성과 계속성이 복합적으로 교차하고 있다. 결론 두 교육과정의 구성체제가 상이하므로 일관성 있고 논리성 있게 연계성을 맞추는 것은 쉽지 않다.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특성을지닌 사회 관련 교육내용은 장기적으로 평가해야 하며, 유아교육과 초등교육의 연계성과 그 실천을 위해서는 상호 교육과정을 잘이해하고자 하는 교육현장의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연인두폐쇄부전 아동의 낱말과 자발화수준에서 나타난 보상조음 출현율 비교

        정세아(Se-A Jung),박미경(Mikeung Park),황민아(Mina Hw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5 No.2

        배경 및 목적: 보상조음은 말 명료도를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말 산출에 필요한 연인두의 정상적인 움직임을 방해한다. 보상조음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정확한 청지각적 평가가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인두폐쇄부전으로 인해 보상조음을 하는 구개열 아동을대상으로 낱말검사와 자발화검사를 실시하여 두 검사 간에 보상조음 출현율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연인두폐쇄부전이 있고 주요 조음문제가 보상조음이며,만 3세-7세인 아동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현장에서 주로 사용하는 조음검사도구를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낱말수준의 말 표본을 얻고, 놀이를 통해서 아동의 자발화 표본을얻었다. 각각의 말 표본을 조음위치별?조음방법별?음소별로 분류하여 보상조음 출현율을분석하였다. 결과: 구개열 아동들은 낱말검사보다 자발화검사에서 더 높은 보상조음 출현율을보였고,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조음방법별 보상조음 출현율의 검사간 비교에서는 파열음과 파찰음, 조음위치별 보상조음 출현율의 검사간 비교에서는 경구개음과 연구개음의 보상조음 출현율이 두 검사 사이에서 유의미하게 차이를 보였다. 음소별 보상조음 출현율의 검사간 비교에서는 경음의 보상조음 출현율이 낱말검사와 자발화검사 모두에서 다른 말소 리에 비하여 높은 보상조음 출현율을 나타냈다. 논의 및 결론: 구개열 아동의 보상조음을 평가할 때에는 낱말검사뿐만 아니라 자발화검사를 통해서 얻은 말 표본으로 보상조음을 평가하는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children with velopharyngeal insufficiency due to cleft palate produce compensatory articulation at a different rate depending on the type of speech task. Specifically, we compared their frequencies of compensatory articulation in a single word production test and in connected speech.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ten children with velopharyngeal insufficiency of ages ranging from 3 to 7 and their main articulation problem was compensatory articulation. Cleft type, the time of surgery, and the method of primary palatal surgery were not controled. A single word production task was generated by adjusting three formal articulation tests. Each child was tested with the single word production task and was asked play with the examiner to obtain connected speech. The rate of compensatory articulation was calculated from the two types of speech samples. The occurrence of compensatory articulation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manner and the place of articulation. Results: In terms of the total number of compensatory articulation, the children with velopharyngeal insufficiency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compensatory articulation during connected speech relative to single word production. Further analysis based on the manner and the place of articualtion revealed that such difference was observed only in some specific types of phonemes. The children produced compensatory articulation more frequently in connected speech than in single word production, when they produced velar stops and affricates which are all palatal in Korean. Discussion &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it is recommended to obtain connected speech as well was single word production in order to evaluate compensatory articulation of children with cleft palate. It is also suggested that for planning effective intervention of compensatory articulation, an in-depth analysis of compensatory articulation is necessary rather than a binary analysis procedure such as percent correct consonant. In addition, a list of words oriented to pressure consonants needs to be developed for more efficient assessment of compensatory articulation.

      • KCI등재

        기능적 조음음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음운인식과 읽기능력의 비교 및 상관

        고유경(Yu Kyong Ko),김수진(Soo-Jin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5 No.2

        배경 및 목적: 기능적 조음음운장애아동에게 음운인식적 치료접근을 통해 조음에 개선이 있다는 주장은 있으나 조음음운장애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해 음운인식이 낮은지, 그리고 음운인식과 읽기능력 및 조음능력이 서로 상관이 있는지에 관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능적조음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음운인식능력 및 읽기능력이 차이가 있는지, 음운인식능력,읽기능력, 조음능력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방법: 학령전기인만 5세에서 6세 사이의 기능적 조음음운장애아동 20명과, 말과 언어발달이 정상적인 일반아동20명, 총 40명을 대상으로 음운인식과 읽기능력을 평가하였다. 음운인식은 음소와 음절수준에서 탈락, 합성, 분절과제를 통해 측정하였다. 읽기는 37개 낱말을 글자로 제시하고 재인에성공한 확률로 평가하였다. 결과: 첫째, 기능적 조음음운장애아동 집단은 일반아동 집단과 비 교했을 때 음절인식과 읽기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두 집단 간에 음소인식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기능적 조음음운장애아동에게 있어 음운인식과 읽기능력, 그리고음운인식과 조음능력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조음능력과 읽기능력은 상관이없었다. 일반아동에게 있어서도 음운인식과 읽기만이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기능적 조음음운장애아동들이 음절인식과 낱말재인을 통해 본 읽기과제에서 일반아동에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수행을 보이는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기존의 연구결과들은 낮은 음운인식능력이 읽기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지만, 조음장애와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결과가 분분하였었는데 이 연구결과는 어느 정도 조음장애와 음운인식 및 읽기문제가관련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결과는 중재계획을 수립할 때 음운인식이 지체된 조음음운장애아동에 대해서는 음운인식과 읽기발달 측면도 주의 깊게 살펴야 함을 시사한다. Background & Objectives: Our understanding of how phonological awareness and the articulation ability are related to the reading ability has been somewhat vague.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of all, is to find out whether differences in phonological awareness and reading skills exist between the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phonological disorder and age matched children without articulation disorder. Secondly the study examines whether any meaningful correlation exists between phonological awareness, reading skills, and articulation capabilities. Methods: To this end, the study evaluated the phonological awareness-phonemic and syllable levels- and reading skillsword recognition- of 40 children, from ages 5 to 6, half of whom suffered from functional articulation phonological disorder, the other half had normal articulation. Results: First, the group of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phonological disorder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syllable awareness and reading skills compared to the children with normal articulation. However, the two groups were indifferent regarding phonemic awareness, which neither group had yet to sufficiently develop. Second, the study showed that phonological awareness had a meaningful correlation with reading and articulation skills in functional phonological disorders. The reading skill was explained by phonetic awareness with 64% accuracy in functional phonological disorders(R2=.64). In the group of normal articulation, the phonological awareness had a meaningful correlation with only reading skills. Discussion & Conclusion: It is noteworthy that children with articulation phonological disorder performed well below than normal children in phonological awareness(syllable level) and reading disciplines. While existing research had shown that low phonological awareness could cause reading problems, its correlation with articulation disorder remained inconclusive showing inconsistent results.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articulation disorder and phonological awareness are indeed correlated to a certain degree. This study indicates that both phonological awareness and reading developmen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treating preschool children with articulation phonological disorder and low phonological awareness

      • KCI등재

        J-GAPを通して高等学校と大学と社会のアーティキュレーションを考える

        鄭起永,?校裕朗,金熙靜,車?禹,小野里?,松浦?子 대한일어일문학회 2015 일어일문학 Vol.66 No.-

        Articulation is not a familiar word in Korea to be used for Japanese education so far. Of course there are terms that are similar in meaning. However, the conception of “connection” is a term to bring together high schools, universities, and the society, and by actually performing out the “connection” will give significance to this research about articulation.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was introduced in high school education last year. From the introduction of this evaluation, students learned to “do” something than to “know” something, and they were evaluated with how much achievement they performed. This indeed, can be seen as a process to match up with articulation. It is highly idealistic that students learn basic Japanese in high school, and as they move on to university education, begin in earnest to learn Japanese. Nothing can be perfect, and it also has some problems to move on. The popularity of Japanese is keep on dropping, in a stalemate. To overcome this, articulation based on “achievement” is highly needed. Leading both high school teachers and university professors come together closely to collaboratively work on the research; this is articulation. Also, not only in high school and universities but articulation is important in societies as well. It is time to listen to the needs of learners, not teaching primarily basic Japanese usage or knowledge. In able to allow people to know Japanese well enough to cope in societies, articulation will surely become more in need. The importance of articulation in actual high schools are informed through J-GAP activities, and little by little the achievements are showing. The connection with universities is also an assignment from now on, but it certainly will bear fruit in the near future. Not all achievement from articulation can be shown in one time. Bottom line, as long as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in a process about to reach the goal would be fine. A bridge between high school, education department, university, and society, articulation should be an ongoing research for future Japanese education.

      • KCI등재

        오르가니스트를 위한 아티큘레이션 단상: 시대별 오르간 연주 이론서에 나타난 아티큘레이션의 의미와 적용

        안소이 한국음악학학회 2020 음악학 Vol.28 No.1

        Articulation is a indispensible element for organist. This term rather life-long intimate word comes from the very first organ lesson. It always stands with organist at the moment not only learning notes, but also having the last rehearsals before the concerts. Since the 20th century, many scholars have been discussing about articulation, but its definition even can not be clarified. Scholars make different categorization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but the meaning of articulation becomes very varied. It results in miscellaneous issues according to historical period which the scholar belongs to. This article discusses what the organ instructions tell us about articulation, beginning from Hans Buchner’s Fundamentum of 1523 to Hermann Keller’s Phraising and Articulation of 1955. Articulation can not be defined as single meaning or single action for certain practice, but become artistic process of organists how they interpret and approach to music. Articulation relates to every aspect, where organist attack and release the key in terms of phrasing, metrical and agogic accent, and fingerings. After examination of historical documents, organist can conclude that making articulation means taking a tool to interpret the music and to actualize it for listeners. 오르가니스트에게 아티큘레이션은 매우 중요하다. 오르간을 처음 접하게 되는 순간부터 모든 연주회의 최종 리허설에서도 늘 확인해야 할 가장 중요한연주관습이다. 20세기에 들어와서 많은 연주자들과 학자들은 아티큘레이션이무엇인가에 대해 논의해 왔지만 오르가니스트에게 아티큘레이션이란 여전히모호하고 다양한 의미를 포괄한다. 이 논문은 오르간 연주관습에 대해 최초로설명한 한스 부흐너가 『교본』(Fundamentum)을 출판한 1523년부터 음악학자 헤르만 켈러가 최초로 아티큘레이션과 프레이징에 대한 정의를 내린 1955 년까지 아티큘레이션의 흔적을 따라간다. 그 과정에서 아티큘레이션은 단일한의미로 정의할 수 없으며, 오히려 오르가니스트가 음을 끊고 붙이는 모든 연주동작과 연관되어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궁극적으로 아티큘레이션을 결정하는것은 어떤 방법으로 연주할 작품에 접근하느냐의 문제로 연결된다.

      • KCI등재

        『鍼灸經驗方』 ‘諸節皆屬膽’에 대한 고찰

        장희원(Jang Heewon),정상선(Jeong Sangseon),송지청(Song Jichung),엄동명(Eom Dongmyung)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016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29 No.4

        Objectives : This paper aims to study how ‘All articulations are controlled by the gallbladder’ as urged by Heoim in Chimgugyeongheombang was reflected in the clinical field, and look into the reason for his assertion. Methods : The paper looked into Chimgugyeongheombang and 1) found examples of how acupoints related to gallbladder were used to treat articulation-related diseases, and 2)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gallbladder and articulations through analyzing the acupoints used for treating articulation-related diseases. These are then compared with Zhenjiuzishengjing to see if the assertions made in ‘All articulations are controlled by the gallbladder’ were actually applied in clinical fields. Results & Conclusions : Heoim dealt with 20 points out of the 44 acupoints for gallbladder, and used 14 of them for treatments of articulation-related diseases. Gallbladder acupoints were used for ten illnesses, and four of them were related to articulation. Chimgujasaenggyeong showed a difference in that it did not utilize gallbladder acupoints to treat these illnesses. Out of 33 articulation-related illnesses, gallbladder meridians and acupoints were suggested as a means to treat them in 15 cases, and this is an increase in the usage of these points compared to Chimgugyeongheombang. In other words, Heoim actively utilized gallbladder meridian points in treating articulation-related illnesses. The reason Heoim drew a line between gallbladder and articulations is because gallbladder is categorized as a lesser yang pivot and articulations itself functions as a pivot by acting as a pivot for human body movement.

      • KCI등재

        증강현실을 이용한 중재가 조음음운장애 아동의 조음정확도 개선에 미치는 효과

        이창윤,박희준,김근효,권순복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9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8 No.1

        The treatment of articulation-phonological disorder has been mainly focused on traditional techniques such as phonetic placement procedure, paired-stimulus treatment. However, traditional techniques focus only on the accuracy of individual sounds, so there is a limit to the complex modulation of conversation and sentence level. We attemp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therapies by applying augmented reality, which is recently attracting attention, and to investigate the improvement of articulation accuracy and the mediation effect of rapid stimulation generalization by inducing active participation in therapy.The study was conducted on 10 children with articulation-phonological disorder aged 4 to 7 years, and the accuracy of articulation was less than -2 standard deviation. The group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and the accuracy of the articulation was measured at both word and sentence level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In both groups, we applied the articulation phonetic placement procedure and paired-stimulus treatment program, and used the augmented reality intervention program only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intervention,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articulation accuracy at word and sentence level.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number of treatments and treatment duration were shorter in the augmented reality group. Because the augmented reality program contains dynamic information based on the verb, the group applying the augmented reality is more generalized to stimulate the sentence level. Presenting the augmented reality stimulus corresponding to the target consonant enables the child to practice the sentence level at a higher concentration, and sometimes iteratively exercises in a longer sentence to show a faster intervention effect on the target sound will be. 조음음운장애 치료는 조음점 지시법과 같은 전통적 기법과 짝자극 기법 등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전통적 기법은 개별음의 정확성에만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대화 및 문장수준의 복합적인 조음변화에 대해서는 한계가 있다. 우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증강현실을 적용하여 기존 치료법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능동적인 치료 참여를 이끌어 내어 조음정확도의 개선과 빠른 자극 일반화의 중재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4세에서 7세의 조음장애 아동 1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조음정확도가 모두 -2 표준편차 이하의 수준이었다.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중재 전 후로 단어와 문장수준 모두에서 조음정확도를 측정하였다. 두 집단 모두 조음점지시법과 짝자극 기법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실험그룹에만 증강현실 중재 프로그램을 추가로 사용하였다. 중재를 실시 후, 두 그룹 모두 단어와 문장 수준에서 조음정확도가 유의미하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지만 증강현실을 적용한 그룹에서 치료 횟수와 기간이 더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증강현실 프로그램이 동사를 기반으로 하는 동적인 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에, 증강현실을 적용한 집단은 문장수준으로의 자극 일반화가 더 쉽게 이루어졌다. 목표자음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자극을 제시하는 것은 아동에게 보다 더 높은 집중력에서 문장수준의 연습을 가능하게 하며, 때로는 더 긴 문장에서 반복적으로 연습을 하여 목표음에 대해 더 빠른 중재효과를 보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시의 분행(分行)으로 살펴본 타이포그래피의 분절(分節) 유형 연구

        김효남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3

        Both poetry and typography are classified as art and design fields that deal with writing, a major material for work, in an elaborate manner. The two fields grew out of old strict rules under the influence of avant-garde in Europe and established modern theories during a turning point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early 20th century. These radical art movements gave birth to a myriad of work that crossed the line between the two fields, which also shared common attributes in the aspect of technique. This study focused on a common attribute of breaking lines in a text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linguistic meaning and visual formativeness of poetry and typography. After analyzing the line-break of poetry, the study aimed to analyze the articulation of typograph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scope of poetry spanned modern Korean poems from 1894 to the present day. The scope of typography includes work published since the 2000s. The study first examined the background of line-break in poems and articulation in typography. The study then distinguished the line-break of poetry according to its types and analyzed example work. There were three types of line-break in poems: a line-break to emphasize meanings, a non-syntactic line-break, and a formative line-break.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investigator divided the articulation of typography into different types and analyzed their effects theoretically. There were three articulation types of typography: first, functional articulation put an emphasis on the meanings of words; second, unconventional articulation helps readers appreciate meanings once more by breaking a line at points different from general typography rules; finally, formative articulation creates a visual form of the text.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study was able to demonstrate the articulation types of typography and their effects.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hopefully provide a discussion about the meanings of texts that vary according to line-break or articulation. 시와 타이포그래피는 작품의 주 재료인 글을 세밀하게 다루는 예술과 디자인 분야이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초에 두 분야는 유럽의 전위 예술 운동들의 영향으로 과거의 엄격한 규율에서 벗어나 현대적인 이론들을 정립하게 되는 중요한 전환점을 맞았다. 이런 국제적이며 급진적인 예술 운동들로 인해 시이면서 타이포그래피적인, 즉 두 분야를 넘나드는 작품이 많이 등장하게 되었으며, 기법의 측면에서도 공통적인 속성을 공유하게 되었다. 이 논문은 시와 타이포그래피가 언어적 의미와 시각적 조형성을 고려하여 시행(혹은 텍스트의 글줄)을 나눈다는공통적인 속성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시의 분행(分行)을 분석한 후, 그것을 바탕으로 타이포그래피의 분절(分節) 유형을 이론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대상은 국내작품으로 한정하였는데, 시는1894년 이후의 한국 근대시부터 현재까지의 시 전체이며, 타이포그래피는 2000년대 이후에 발표된 작품들이다. 연구 순서로는 먼저 시의 분행과 타이포그래피의 분절의 개념 및 배경을 살펴보았다. 이후 시의 분행을 유형별로 구분한 후, 해당하는 이론으로 예시작품을 분석하였다. 시의 분행 유형은 첫째, 의미강조의 분행이다. 둘째, 비통사적인 분행이다. 셋째, 조형적인 분행이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타이포그래피의 분절을 유형별로 나누어 작품에 적용되는 효과를 이론적으로 분석하였다. 타이포그래피의 분절 유형은 첫째, 기능적인 분절이다. 텍스트를 논리적이고 명료하게 배열하는 한편, 단어의 의미를 강조하는 분절이다. 둘째, 비관습적인 분절이다. 일반적인 타이포그래피 규칙으로는 끊지 않는 부분에서 글줄을 끊어서 독자들이 한번 더 의미를 음미하도록 하는 분절이다. 셋째, 조형적인 분절이다. 주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텍스트로 시각적인 형태를 만드는 분절이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타이포그래피의 분절의 유형 및 효과를 논증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가분행 혹은 분절에 따라 달라지는 텍스트의 의미와 배열, 시각적 형태에 대한 기초적인 논의가 되었으면 한다.

      • KCI등재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국제 비교: 광합성 개념 중심으로

        이효녕 ( Hyonyong Lee ),여채영 ( Chaeyeong Yeo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5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2007 개정 및 2009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개정 방향은 질 높은 교육과정을 위해 연계성 강화에 초점을 두었다. 교육과정에서 연계성은 미래 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교육과정의 설계 기준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이다. 연계성에는 계속성 및 계열성을 포함하는 종적 연계성과 통합성에 관한 횡적 연계성이 있다. 계속성과 계열성은 교과 내용이 반복되고 지속되는 위계를 의미하며, 통합성은 교과 간 내용의 수준, 범위, 관련성을 말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연계성을 분석하기 위한 기준을 세워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종적 및 횡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과학교육의 성취 수준이 높고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갖춘 국가(영국, 캐나다, 미국, 핀란드, 싱가포르, 대만)들을 대상으로 한 국제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생명과학 광합성 개념의 연계성을 국제 비교 함으로써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필요한 연계성 강화 근거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은 종적 연계성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횡적 연계성에 소홀하다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횡적 연계성이 높은 영국, 미국, 핀란드와 같이 ‘자연’, ‘환경’과 같은 관점을 도입하고 학생의 흥미와 관심을 고려한다. 둘째, 실제 교육 현장에서 개념의 단순 반복 또는 개념의 특정 학년에 집중으로 계속성과 계열성이 결여되어 있었다. 그 대안으로 Big Idea와 같은 내용 체계나 개념 구성의 기준을 마련하고 캐나다, 미국, 싱가포르의 교육과정에서 자주 등장하는 ‘시스템’의 관점 도입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횡적 및 종적 연계성의 공통 기준으로서 교육과정의 교육 내용이 학생들의 발달이나 수준에 적절한지 확인할 수 있는 근거가 부족하였다. 개념 위계와 교육 순서를 제시하는 근거로 최근 해외에서 학생의 학습발달과정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 적용이 가능한 학습발달과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그에 따라 교육과정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The Korean education curriculum is making efforts to improve education to foster competencies that the future society demands through the 2007 and 2009 revised curriculum. The revised curricula focus on enhanced articulation for the quality curriculum. In this study, the curriculum is analyzed for vertical and horizontal articulation. In addition, the study found a problem in Korea``s curriculum through international comparison and sought improvement. Furthermore, the study compared internationally articulation of the concept of photosynthesis, of which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ur science curriculum focuses on vertical articulation and has relatively neglected the problem of horizontal articulation. To compensate for this problem, curriculum design should introduce aspects of ‘nature’ and ‘environment’ and should consider the interests and concerns of students, as countries with high horizontal articulation do. Second, the actual education field has a problem with the a lack of continuity and sequence because of concentration of concept in a specific grade or simply repeating the concept across multiple grades. These results have led to alternative proposals that should arrange basis of concept configuration such as ‘Big Idea’ and should establish the adoption of ‘systems’ frequently appearing in the other curricula. Finally, there may be mentioned a lack of research on students`` learning progression, which can be a common standard of horizontal and vertical articulation. Research on learning progression has been a trend overseas, but there exists no study to fit Korea``s situation, so education fields need to conduct the appropriate research on learning progression as part of the commitment to high-quality curriculum.

      • KCI등재

        중국어 성모 조음 방법 설명 모형 연구

        유재원,한문정 중국학연구회 2019 중국학연구 Vol.- No.8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ost appropriate model that describes the manner of articulation of standard Chinese consonants. Accuracy is based on the description of the manner of articulation of consonants in the (Chinese) phonetic literature. In order to find the interface between accuracy and appropriateness, the manner of articulation of consonants presented in 32 high school textbooks of standard Chinese were reviewed. Through the review, the following models were proposed. 1) The plosive is pronounced by closely adhering the active articulator to the passive articulator and sending the air stream weakly(unaspirated) or strongly(aspirated). 2) The nasal is pronounced by closely adhering the active articulator to the passive articulator and sending the air stream through the nasal cavity and pulling the active articulator away from the passive articulator. 3) The fricative is pronounced by sending the air stream strongly with the active articulator almost touching the passive articulator. 4) The approximant is pronounced by the active articulator approaching the passive articulator. 5) The lateral approximant is pronounced by sending the air stream through both sides of the tongue while the active articulator is close to the passive articulator, and then pulling the active articulator away from the passive articulator. 6) The affricate is pronounced by closely adhering the active articulator to the passive articulator and sending the air stream weakly(unaspirated) or strongly(aspirated). 본 연구는 정확성과 적절성을 두루 갖춘 중국어 성모 조음 방법 설명모형을 찾아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정확성은 (중국어) 음성학 관련 논저에 제시된 자음 음소의 조음 방법 설명에 기초하였으며, 정확성과 적절성의 접점을 찾기 위하여 32종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서의 조음 방법 설명내용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다음과 같은 설명 모형을 제시하였다. 첫째,파열음은 능동부를 수동부에 밀착하였다가 이탈시키면서 기류를 약하게(무기음) 혹은 강하게(유기음) 탈출시키면서 발음한다. 둘째, 비음은 능동부를 수동부에 밀착한 상태에서 기류를 비강으로 흘려보내다가 능동부를 수동부로부터 이탈시키면서 발음한다. 셋째, ‘틈’ 형 마찰음은 능동부를 수동부에 살며시 접촉시킨 채 기류를 강하게 탈출시키면서 발음하고, ‘홈’ 형 마찰음은 능동부를 수동부에 거의 접촉할 정도로 접근시킨 채 기류를 강하게 탈출시키면서 발음한다. 넷째, 접근음은 능동부를 수동부에 접근시킨 채 발음한다. 다섯째, 설측음은 능동부를 수동부에 밀착한 상태에서 혀의 양옆으로 기류를 흘려보내다가 능동부를 수동부로부터 이탈시키면서 발음한다. 여섯째, 파찰음은 능동부를 수동부에 밀착하였다가 이탈시키면서 기류를 약하게(무기음) 혹은 강하게(유기음) 탈출시키면서 발음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