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생의 논변활동을 강조한 개방적 과학탐구활동 모형의 탐색

        김희경,송진웅 한국과학교육학회 200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4 No.6

        전통적인 학교 과학 실험은 실제 과학 활동, 즉 참과학 탐구의 특징을 적절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며, 특히 토론이나 논변적 실제가 부족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의 목적은 학생들의 동료간 논변활동을 강조한 개방적 탐구 활동을 제안하기 위해, 그 조건 및 특징을 알아보고 적절한 모형을 제안하는 것이다. 문헌 분석 및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논변활동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논변적 과학탐구 활동이 가져야 할 조건에 대하여 살펴 본 결과, 인지적 측면에서는 '다양한 견해가 가능한 문제 상황', 학생 자신의 주장 펼치기', '효과적으로 조직된 논변 구성의 기회가 필요하며, 사회적 측면에서는 '수평적 관계 , '경쟁과 협력의 공동체 활동'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논변적 과학 탐구 활동은 실험활동과 논변활동으로 구성되며 논변활동은 동료 검토용 보고서 쓰기와 비판적 토론으로 조직되었다. 논변활동은 조 내부와 조 별간에, 그리고 쓰기와 토론을 통해서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며 되먹임을 통해 실험활동과 연계되어 있으며 전체 탐구 과정은 순환적인 특징을 갖는다. School science practical work is often criticized as lacking key elements of authentic science, such as peer argumentation or debate through which social consensus is obtain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recent studies about the argumentation and to explore the conditions and the model of argumentative scientific inquiry, which is specially designed open inquiry in order to facilitate students' peer argumentation. For this purpose, a theoretical discussion for the argumentative scientific inquiry as the way of authentic inquiry in schools was developed. The conditions for argumentative scientific inquiry were found to be the following: multiple arguments, students' own claims, opportunities for oral and written argumentation, equal status of debaters, and community of cooperative competition. For these conditions, the argumentative scientific inquiry was organized into experiment activities and argumentation activities. During argumentation activity, students should be guided to advance written argumentation through writing a group report for peer review and oral argumentation through a critical discussion. Through the argumentation between groups and in group, the students' arguments would be elaborated repeatedly. The feedback from argumentation links experiment activities to argumentation activities. Hence, the whole process of this inquiry model is circular.

      • 전문인으로서의 학습 과정 중 과학교사의 논증

        강남화 ( Nam Hwa Kang )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3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19 No.1

        This study examined the nature of the argumentation that science teachers engaged in individually and socially with their colleagues. Five secondary science teachers participated in argumentation activities about two topics on science and two topics on teaching science through argumentation. Findings showed that the teachers tended to construct more elaborate arguments in writing than in group discussions. When coded with argument components, individual written arguments had more components supporting each claim than verbal social arguments. With respect to topics of arguments, the nature of engagement in argumentation was different between arguing about science and arguing about teaching. The teachers tended to be quick in making a conclusive claim and justifying it without much argumentation when discussing science content. However, when arguing about teaching, the teachers made multiple claims and argumentation was more enthusiastic. When examining cognitive interactions, the teachers utilized their colleagues’ ideas less when constructing arguments about science content than about teaching. All the teachers in general didn’t want to convince others of their ideas, and in return didn’t try to understand different ideas when discussing science content. However, they were more open to ideas about teaching. Reasons for these differences, implications, and further research topics are suggested.

      • KCI등재

        소집단 논변활동에 대한 협력적 성찰을 통한 중학생들의 소집단 규범과 논변활동 능력 발달 탐색

        이신영 ( Shinyoung Lee ),박소현 ( So-hyun Park ),김희백 ( Hui-baik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학생들이 소집단 논변활동 수업과 협력적 성찰에 참여하면서 나타나는 논변활동에 대한 소집단 규범과 인식적 측면에서 이해 발달 과정 및 논변활동 실행에서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참여 학생들은 중학교 1개 학급 내 1개 소집단 구성원으로 선정되었으며, 이들의 학업 성취 수준과 학습접근방식은 다양하였다. 소집단 논변활동 수업은 광합성 단원에 대해 10차시 동안 이루어졌고, 협력적 성찰은 일주일에 한 번씩 총 7번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논변활동 수업과 협력적 성찰을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우선, 협력적 성찰과 소집단 논변활동 수업이 진행됨에 따라 참여 학생들의 논변활동 참여 형태와 관련된 사회적 규범이 발달하였고 논변활동의 인식적 측면에서 이해 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논변활동 산물과 논변활동 과정으로 살펴본 소집단 논변활동 능력도 향상되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논변활동 산물 측면에서는 반박 관련 발화의 수가 증가하였고, 논변활동 과정 측면에서는 다양한 학생들이 논변의 구조에서 증거, 정당화, 주장을 제시하면서 논변활동 과정이 복잡해졌다. 협력적 성찰을 통해 학생들의 소집단 규범 및 논변활동의 인식적 측면에서 이해가 발달하고 이와 더불어 논변활동 능력이 발달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는 학교 현장의 과학 수업에서 논변활동을 적용하기 위한 좋은 본보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econdary students` progression in group norms and argumentation competency through collaborative reflection about small group argumentation. The progression is identified as the development of group norms and an epistemic understanding of argumentation with the enhancement of group argumentation competency during collaborative reflection and argumentation lessons. Participants were four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different academic achievements and learning approaches. They participated in ten argumentation lessons related to photosynthesis and in seven collaborative reflections. As a result, the students` group norms related to participation were developed, and the students` epistemic understanding of argumentation was enhanced. Furthermore, the students` group argumentation competencies, identified as argumentation product and argumentation process, were advanced. As the collaborative reflection and argumentation lessons progressed, statements related to rebuttal increased and different students suggested a range of evidence with which to justify their claims or to rebut others` arguments. These findings will give a better idea of how to present an apt application of argumentation to science teachers and science education researchers.

      • KCI등재

        다양성 존중을 위한 논증 교육의 패러다임 탐색 - 설득적 논증으로부터 성찰적 논증으로의 전환 -

        장성민 ( Chang Sung-min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21 국어교육 Vol.0 No.172

        This study aimed to overview theories of reflective argumentation and explore methods that support teaching and learning. Reflective argumentation is an alternative paradigm that demonstrates the dialogic and dialectical nature of the argument through two-sided reasoning that weighs and synthesizes differences in diverse positions. A transition to reflective argumentation can contribute to resolving confirmation bias (from persuasive argumentation) and respecting diversity by acknowledging and responding to alternative positions. We proposed the following methods that support teaching and learning: multiple documents, graphic representational tools, explicit instruction in strategies with modeling, and collaborative discours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oints out the problems of existing education developed mainly based on persuasive argumentation (e.g., debate, refutation) and proposes an alternative paradigm that demonstrates the nature of argumentation. Focusing on the gap between social and cognitive approaches to argumentation and considering various responses to different positions would deepen the understanding of argumentation, a complex communicative activity in which comprehension, expression, and learning are intertwined.

      • KCI등재

        ‘반논항’과 ‘잠재논항’의 개념 규정 방식에 대한 재고

        조진수 택민국학연구원 2019 국학연구론총 Vol.0 No.2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stinction between ‘semi-argument’ and ‘implicit argument’ which has been previously recognized as being a similar concept. For this purpose, related studies were reviewed. In the case of semi-argument, we examined the issue of how to handle the case when it was realized as phonetic form in the sentence, and critically discussed how the theoretical model called ‘Variable Media Projection Hypothesis’ influenced the concept of semi-argument. In the case of implicit argument, it was revealed that the previous discussions have defined implicit argument on the basis of arbitrariness unlike the definition in general linguistic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view, it is revealed that the semi-argument is a concept based on arbitrariness, and implicit argument is a concept based on implicitness. We discussed how the arbitrariness and implicitness of the argument are conceptually distinguished. In addition, by suggesting that the implicitness of implicit argument is a matter of degree, this paper suggests a way to resolve the debate about semi-dispute and implicit argument. 본 연구는 그간 국어학계에서 유사 개념으로 처리되어 온 반논항과 잠재논항이 구분되는 개념임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반논항과 잠재논항에 관한 기존 논의를 검토하였다. 반논항의 경우 문장에 실현되었을 경우의 처리 방식에 관한 쟁점을 살피고, ‘가변중간투사론’이라는 이론적 모형이 반논항 처리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비판적으로 논의하였다. 잠재논항의 경우 그간의 논의가 수의성을 기반으로 잠재논항을 규정하는 방식을 취해 왔음을 밝히고, 이러한 방식이 일반언어학에서 잠재논항을 규정하는 방식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이러한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반논항은 수의성에 기반한 개념이고, 잠재논항은 잠재성에 기반한 개념이라는 점을 밝히고, 논항의 수의성과 잠재성이 개념적으로 어떻게 구분되는지를 논의하였다. 아울러 잠재논항의 잠재성이 정도성의 문제라는 점을 밝힘으로써 반논항, 잠재논항의 처리 방식에 관한 그간의 논행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비판적 사고의 개발에 대한 논의

        박유정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a preliminary investigation about making an curriculum "Critical Thinking" based on Argument. Critical Thinking as an curriculum has two parts, where one is about logical inference in Logics and the other is about contextual thinking in Humanities. So this paper is about to summarize these discussions. At first, the problem of Argument is dealt with definition of Argument, distinguishing Argument from Non-Argument, and Argument types. So the first teaching point is about knowing the composition of Argument(Premise and Conclusion) and distinguishing them in given statements. The second is about distinguishing Argument from Non-Argument, and the third is about understanding Argument types such as Induction and Deduction. And Critical Thinking as contextual thinking proceeds to Humanities Contexts through Argument. In other words, it applies Argument for Humanities Contexts in the form of Logical Essay and Debate. More and more the key point of Critical Thinking lies in contextual and reflective thinking about Humanities, not the logical thinking like Argument. So it is necessary that Critical thinking to be a good curriculum select good contents. To conclude, Critical Thinking as a curriculum has two parts, Argument and Humanities, and it should prepare many good contents for the key point of it lies in the latter. 이 글은 비판적 사고, 즉 논증을 통한 논술과 토론 교과목인 비판적 사고의 개발에 대한 논의를 정리하였다. 기존의 논리학은 논증에 기반 한 추론능력의 학습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면, 비판적 사고는 그러한 논증과 그것이 처해 있는 맥락에 대한 반성능력을 함양하는 데 그 초점이 있다. 이에 비판적 사고 교과목은 기존의 형식 논리적 논증보다는 논술과 토론과 같은 인문학의 기초능력과 연계된 융합적 논리학이고자 한다. 따라서 이 글은 비판적 사고 교과목이 갖는 두 축, 논리적 추론과 인문적 기초 양자에 대해 개괄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이 교과목 개발의 기초 작업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비판적 사고의 한 축인 논리적 추론과 관련하여 논증에 대해 고찰한다. 즉 논증의 정의, 논증을 논증 아닌 것과 구별하는 것, 그리고 논증의 종류에 대해 살펴본다. 논증은 전제와 결론으로 이루어진 말 묶음이라고 정의되므로, 제시문 속에서 논증의 전제와 결론을 찾는 연습을 한다. 그리고 논증을 논증이 아닌 것들, 즉 설명이나 기술 그리고 억지와 구별하는 연습을 하고, 이를 통해 논증의 성격을 보다 분명하게 이해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논증의 종류인 연역논증과 귀납논증에서 양자를 구별하는 것뿐만 아니라 각각의 종류 및 타당성을 판별하는 연습을 한다. 이렇게 논증에 대한 이해가 확실해지면, 그것을 인문적 맥락 속에서 이해하는 비판적 사고에 적용하는 데로 나아간다. 비판적 사고는 크게 두 영역, 즉 논증적 읽기와 쓰기 그리고 논증적 듣기와 말하기로 이루어진다. 전자는 ‘논술’이라고 불리고 후자는 ‘토론’이라고 하는데, 논술과 토론은 모두 인문적 텍스트를 통해서 그것의 논증적 맥락을 살펴보는 수순을 밟는다. 이러한 비판적인 맥락 파악에는 앞서 학습했던 논증에 대한 논리적 추론 지식이 활용될 것이다. 그리고 토론에서는 추론 지식 이외에도 말하는 상대에 대한 윤리적 태도 또한 함께 요구되므로 주의해야 한다.요컨대 지식 정보화 사회로 치닫는 요즘, 논리학은 이제 더 이상 아리스토텔레스적인 전통적 추론 능력으로 머물지 않고, 쏟아지는 무수한 정보들을 올바르게 판단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력을 닦는 중요한 기술로서 거론된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PSAT 등의 실용적 시험뿐만 아니라 대학의 교과목에서도 비판적 사고라는 언어 추론적 교과목이 개발되고 있는 것이다. 앞으로 비판적 사고는 논리적 추론 능력보다는 그것의 맥락을 파악하는 반성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력 함양으로 나아갈 것으로 예견된다. 이를 위해서는 논증을 훈련할 수 있는 보다 좋은 텍스트가 요구되는데, 그러한 텍스트로서 우리에게 인간성 함양이라는 기초적 자질을 제시하는 고전적 텍스트를 추천하고 싶다.

      • KCI등재

        논변, 논의 그리고 논증: 개념의 명료화를 위한 문헌조사 연구

        강남화 ( Nam Hwa Kang ),이은경 ( Eun Kyung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3 No.6

        국내 과학교육연구 문헌에서 argument와argumentation이 소개되고 연구되어온 지 거의 10년이 되었고, 그 용어가 크게 세 가지 단어로 번역이됨을 관찰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과학교육 문헌에서 두 용어가 어떻게 정의되고 있으며, 어떤상황에서 사용하는지를 고찰하여 다양하게 번역된 용어들의 의미를 명료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번역의다양성에 관한 철학적 관점에서 외국 과학교육 문헌에서 argument와 argumentation의 정의와 그 연구 맥락을 검토하고, 국내의 관련 문헌을 고찰하였다. 고찰된 문헌은 2000년 이후 제목에 argument와argumentation을 포함하는 79개의 외국 주요 과학교육저널에 실린 논문과 그 두 용어의 번역어를 제목에 포함한 37개의 국내 과학교육 논문이다. 분석 결과국내 연구자들은 연구 맥락에 따라 argument와argumentation을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정의 또는탐구의 한 측면과 같은 구체적인 상황에 기인한 정의를 제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대부분의 국내 과학교육 논문에서 번역 용어의 다양성에 관해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으며, 언급한 경우에도 하나의 예외를 제외하고 선택한 번역용어를 사용한 이유를 제시하지 않았다. 또한 argument 또는 argumentation의 정의를 위해 여러 연구자들이 동일한 외국 문헌을 고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연구자마다 서로 다른 번역어를사용하였다. 이는 그 용어의 정의와 특정 번역어의 사용은 연구자들에게는 관련이 없음을 보여주었다. 반면, 특정 연구 집단이 특정 번역어를 일관되게 사용하는 것으로부터 번역이 실천적 습관일 수 있다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부터 번역 용어의 결정에 관한 입장을 연구 전문성과 연구집단 간의 의사소통의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It has been a decade since argument and argumentation were introduced in science education literature in South Korea. The word “argument” has been translated into three different Korean terms in liter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ose translated terms by examining how the terms were defined and used in Korean education research literature. From a philosophical perspective on the diversity of translation, we examined definitions of argument and argumentation, research topics in papers published in major international journals on science education, and reviewed relevant science education papers published in South Korean journals. We reviewed 79 papers published since the year 2000 in major international journals on science education, whose titles have terms argument and/or argumentation and 37 Korean science education papers whose titles have terms translated from the two English words. Findings showed that Korean researchers defined argument and argumentation either in a general sense or in a specific sense such as science investigation or group work aspects, depending on research contexts. Researchers in Korea rarely mentioned the diversity of translation. If they mentioned it, justification for a specific translation of the term was not provided except for in one case. When the same foreign literature was reviewed to define “argument” or “argumentation, different Korean words were used to translate the same two terms. This indicated to the researchers that the translation of the terms was not related to their definitions of them. On the other hand, each research group used a certain translation of the term consistently, indicating that translations might be based on research tradition. Based on the findings, a position on translation of the term is proposed in terms of professionalism and communication between research groups.

      • KCI등재

        논증 담화 분석 연구의 방법론적 고찰 : 논증활동의 협력적 구성과 인식적 실행의 분석을 중심으로

        맹승호 ( Seung Ho Maeng ),박영신 ( Young Shin Park ),김찬종 ( Chan Jong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3 No.4

        This study undertook a methodological investigation on previous research that had proposed alternative methods for analyzing argumentative discourse in science classes in terms of collaborative construction and epistemic enactments of argumentation. The study also proposed a new way of analyzing argumentation discourse based on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previous research. The new method was applied to actual argumentation discourse episodes to examine its feasibility. For these purposes, we chose the studies employing Toulmin`s argument layout, seeking for a method to analyze comprehensively the structure, content, and justification of arguments, or emphasizing evidence-based reasoning processes of argumentation discourse. In addition, we contrived an alternative method of analyzing argumentative discourse, Discourse Register on the Evidence-Explanation Continuum (DREEC), and applied DREEC to an argumentative discourse episode that occurred in an actual science classroom. The advanced methods of analyzing argumentative discourse used in previous research usually examined argument structure by the presence and absence of the elements of Toulmin`s argument layout or its extension. Those methods, however, had some problems in describing and comparing the quality of argumentation based on the justification and epistemic enactments of the arguments, while they could analyze and compare argumentative discourse quantitatively. Also, those methods had limitations on showing participants` collaborative construction during the argumentative discourse. In contrast, DREEC could describe collaborative construction through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ES and RHEMEs and the links of data, evidence, pattern, and explanation in the discourse, as well as the justification of arguments based on the how of epistemic enactments of the argumentative discourse. 이 연구는 과학 수업에서 논증 담화를 분석하기 위한 대안적 방법들을 제안했던 최근의 주요 선행 연구들을 논증활동의 협력적 구성과 인식적 실행의 측면에서 방법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들에서 사용된 논증 담화 분석 방법의 성과와 제한점을 바탕으로 새로운 논증 담화 분석 방법을 제안하고, 이 논증 담화 분석법을 실제 과학 수업의 논증 담화에 적용하여 그것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해 과학 수업의 논증 담화에 대한 선행 연구 중 Toulmin의 논증 틀을 논증 담화 분석에 적용한 연구, 논증의 구조, 내용, 및 정당화 과정을 종합적으로 조사하는 논증 담화 분석 방법을 모색한 연구, 그리고 논증 담화의 증거에 기반한 추론 과정을 강조한 연구들을 선정하였다. 또한, 담화 레지스터와 증거-설명의 연속선에 기반한 대안적 논증 담화 분석 방법으로서 DREEC을 고안하였고, DREEC을 수업 담화 사례에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선행 연구들에 사용된 논증 담화 분석 방법들은 주로 Toulmin의 논증 틀에서 제시한 논증 구성 요소의 유무에 근거하여 논증의 구조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논증 담화의 정량적 분석 및 비교는 가능한 반면, 논증의 정당화 과정 및 인식적 실행의 전개 과정에 기반한 논증의 질적 기술 및 비교가 어려웠고. 논증 담화 참여 자들의 협력적 논증 구성 과정을 구체적으로 보여주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반면에 DREEC은 주제부/설명부 간에 형성된 연결 관계와 자료, 증거, 패턴, 및 설명에 이르는 연결 관계를 통해 논증의 협력적 구성과, 인식적 실행의 흐름에 기반하여 논증의 정당화 과정을 분석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원운동 학습 상황에서 Toulmin의 논의구조(TAP)와 다이어그램을 이용한 대화적 논의과정 분석틀 개발

        신호심 ( Ho Sim Shin ),김현주 ( Hyun Joo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2 No.5

        이 연구는 대화적인 논의과정의 상호작용적인 측면을 가시화하여 논의상황과 흐름을 나타내고 질적인 측면의 논의수준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논의 과정 분석틀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단순하면서도 요소들 사이의 상호관련과 흐름을 구조적인 형태로 가시화할 수 있는 다이어그램의 특성을 이용한 논의과정 다이어그램의 분석방법을 만들고, 이를 기반으로 논의과정의 질을 구체적인 논의수준 점수로 정량화하였다. 롤러코스터의 운동을 주제로 논의과정 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물리교육 전공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모둠별 전사본을 확보하였고, 이를 분석틀 개발에 이용하였다. 전사본으로부터 논의과정에 해당되는 진술들만을 추출하여 TAP 논의요소로 기호화하였고, 이 기호들을 효율적으로 배열하고 연결하여 논의과정 다이어그램의 분석방법을 만들었다. 논의과정 다이어그램을 이용한 분석 결과는 상호 작용적인 논의상황과 흐름의 파악에 유용하였고, 논의요소 빈도와 조합, 정성적인 논의수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정보들을 함께 제시해주었다. 질적인 측면의 논의수준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논의요소의 다양성, 정당화, 반박의 유무 등 질적인 면에서의 논의과정에 대한 지표를 반영하여 논의과정 다이어그램 내의 서로 다른 연결선들에 차등적인 점수를 부여하였다. 논의수준 정량화를 이용하여 논의수준을 확인하는 과정은 매우 간편하였고, 질적인 논의수준은 구체적인 점수로 표현되어 다양하면서 구체적인 논의수준을 제시할 수 있었다. 개발된 논의과정 분석틀은 대화적 논의과정 결과를 효과적으로 제시할 수 있어서 논의과정 연구 분야에 도움을 제공하며, 논의과정 학습 자료의 문항별 논의과정 특징과 구체적인 진술들은 효과적인 논의과정 수업 및 원운동 학습의 설계에 도움을 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alytic framework for dialogic argumentation to show the context and flow visualizing interactions of argumentation, to be able to present quality of argumentation specifically. For this, we formulated a method of the argumentation diagram using feature of diagram simple and structurally visualizing interrelation between argument components, and then quantified quality of argumentation to argument level score on this basis. We have developed the learning material for argumentation about a vertical circular motion and used the obtained translations from applying it in developing the framework. We chose argument statements among full transcript and then coded as Toulmin`s argument components, and these codes was effectively arranged and linked to show argumentation diagram. Results by argumentation diagram could be useful understanding of interactive argumentation context and the flow and present frequency, the combination of argument elements, rough qualitative level of argumentation. To quantify argumentation quality, we gave different scores to different link lines reflecting indication of argumentation quality like that diversity of argument component, justification, presence or absence of rebuttals. The process of identification of argument level is very simple, qualitative level of argumentation represented as concrete score could present various and concrete argument level. Developed analytic framework might contribute to argumentation research field, because it can present effectively dialogic argumentation result. Also, various analysis cases might guide designing an effective argumentation practice and circular motion learning.

      • KCI등재

        초기 독일아동의 선호 논항구조

        이해욱 한국독어학회 2009 독어학 Vol.20 No.-

        The present paper is concerned with the distribution of arguments across grammatical roles with respect to their referential forms and degree of recency of mention in spontaneous speech data from two German children aged 1;10, 2;5 and 3;0. The investigation aims to show how these children uniformly follow the statistical patterns of Preferred Argument Structure described by Du Bois (1987, 2003). Each main clause having an overt verb that was used correctly with respect to transitivity has been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core arguments (i.e. subject and for transitive verbs, direct object) of each of these verbs are coded ‘equational’, with core argument Se; ‘existential’, with core argument Sx; other intransitive, with core argument Si; and transitive, with core arguments A and O. The data included a total of 605 clauses, of which 50% were transitive, 7% equational, 11% existential, and 32% other intransitive. Three types of referential forms are distinguished: ellipsis, pronouns, and lexical noun phrases. All core arguments in the data that were codable as bearing A, O, or S grammatical roles have been included in the analysis. Any referent that was not mentioned previously during the recording session is coded as new. Du Bois’s ‘One Lexical Argument Constraint’ is supported in German child language, in that only 0,2% of all clauses have two lexical arguments. The ‘One New Argument Constraint’ is also supported by German data. 0% of all clauses have two new arguments. The German data is consistent with the pattern suggested by other languages (Inuktitut child data 0,04%, 0% for Sakapulteko data (Allen&Schröder 2003:313)). Du Bois’s ‘Non-Lexical A Constraint’ is supported by German child data since only 1% of all arguments in the A role are lexical. We turn finally to the ‘Given A Constraint’,which is also supported by German child data since only 2% of arguments in A position represent new referents. In sum, a fundamental relationship between referential form and information status is clearly evident in speech of these German children, and is clearly linked to grammatical role. Thus the two German children in this study exhibit Preferred argument Structure at a very early stage of acquisition. The data presented here add information to the growing body of research on Preferred Argument Structure in early child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