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활용한 협력적 현장 과학수업 분석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수업역량에 미치는 영향 과학수업 계획 ·실행 ·평가 역량을 중심으로

        안부금 ( An Bu Geu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5

        본 연구는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활용한 예비유아교사들 간의 협력적인 현장 과학수업 분석경험을 통하여 이들의 과학수업역량을 향상시키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40명을 대상으로 우선 대학에서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활용하여 3~4명 조별 협력적으로 과학수업 계획 및 실행을 실시하였고 이후 유치원 현장의 과학수업을 실제 분석하고 그 결과에 대해 서로 논의 및 협의하는 경험을 각각 총 4회 가졌다. 그 결과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활용한 협력적 현장 과학수업 분석 경험은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수업역량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수행능력 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그 구체적인 내용으로 과학수업 계획의 중요성 깨닫기, 과학수업 실행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자신의 과학수업 평가 반성하기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이 구체적인 수업분석도구를 가지고 현장의 과학수업을 들여다보고 그 결과에 대해 동료들과 논의 및 토의하는 과정을 통해 과학수업 역량의 향상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아울러 이러한 결과는 예비교사들의 효과적인 과학교수 이미지의 정립과 미래 교수학습 지도의 방향을 잡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nhance pre-service teachers’ science teaching competencies by having them encounter cooperative experience in analysis about field science class. For this purpose, forty(40) pre-servic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participated in a program in which they cooperatively engaged, utilizing science class analysis tool, in a group of three or four, followed by analyzing science class of kindergarten setting and discussing the results together; the routine was repeated four times. As results, cooperative analysis experience on science class in kindergarten setting positively affected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science teaching competency as well as ability to perform. Its detailed contents includ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science class plan, understanding of science class deeply, evaluating of science class reflectively. The present found its significance on the fact that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science class competencies had improved by having them analyze science class in kindergarten setting, using specific class analyzing tool, and cooperatively have discussion on its results. Further, these outcomes would be helpful for pre-service teachers establish a role model of an effective science teacher, as well as for teacher educators to determine direct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future.

      • KCI등재

        POCoM (Practical On-site Cooperation Model) 확장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햄의 개발과 적용

        정진수 ( Jin Su Jeong ),박종원 ( Jong Won Park ),박종석 ( Jong Seok Park ),김영민 ( Young Min Kim ),박영신 ( Young Shin Park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4 No.3

        본 연구에서는 과학수업의 실질적 개선을 위한 연구자-교사 협력모델(POCoM: Practical On-site Cooperation Model)을 확산시키기 위해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결과를 평가하였다. 연수 프로그램은 다음 3가지 특성을 가지고 개발되었다: (1) 실제 수업녹화 내용을 연수의 주요 소재로 활용한다, (2) 연구자와 교사, 교사와 교사간 활발한 의사소통과 의견교환을 강조한다, (3) 활동중심으로 진행한다. 9시간에 걸친 연수에는 17명의 교사가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연수과정에서 교사들이 실시한 분석결과에 대해 분석 일치도를 구해 본 결과, KTOP(Korean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을 이용하여 과학수업을 분석할 수 있는 교사 전문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들이 과학수업의 개선정도도 판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설문지를 통해서는 다양한 측면에서 연수에 대한 긍정적 응답을 얻을 수 있었다. 또 연수 중 교사활동에 대한 관찰을 통해, 교사가 제기한 질문, 교사가 어려워하는 점, 교사가 제안한 개선의견 등을 분석하였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좋은 연수가 되기 위해 고려할 측면들을 정리한 목록을 제안하였다. 이 목록이 앞으로 보다 효과적이고 의미있는 연수의 계획과 실행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to disseminate the Practical On-site Cooperation Model (POCoM) for practical improvement of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cooperation between researcher and teacher, an in-service program has been developed, applied and evaluated. The in-service program emphasizes the following three aspects; (1) video-recording of actual science teaching has been used as a primary resource, (2)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 and researcher and among teachers have been emphasized, (3) activities have been mainly included. The in-service program has been implemented for nine hours, and 17 science teachers have been recruited as volunteers. The result shows that, by checking the agreements between raters, we found that teachers` expertise in analyzing the science class using the Korean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 (KTOP) has improved, and we have confirmed that teachers are able to judge whether the science class has improved or not. Through the questionnaire, various highly positive responses could be obtained from teachers. And through the observation of teachers` activities during the in-service program, teachers` questions, their difficulties in doing activities, and their comments for improving the program has also been analyzed.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a list of recommendations for a more effective in-service program have been suggested. It is expected that this list can be utilized for more effective and meaningfu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service cour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