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search on the Differences of Aesthetic Judgment between Visual and Cognitive Aspects Based on Evolutionary Psychology and Cognitive Neuroscience

        류신,조택연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3

        This thesis based on the theory of evolutionary psychology and cognitive neuroscience, with aesthetic theory studies the differences of aesthetic judgment between visual and cognitive aspects in the context of biological evolution theory. Currently, most studies on aesthetic still lie on aesthetic perception, aesthetic emotion, and aesthetic form, which interpret the aesthetic response as only subjective consciousness judgment. So this research aims to clarify the cognitive and aesthetic consciousness structure of aesthetic judgment and analyze the process of aesthetic, and according to prior research of cognitive neuroscience analyze the neural structure of aesthetic judgment. Use the principle of evolutionary psychology to study objectivity aesthetic judgment and subjective aesthetic judgment. And make a natural scientific explanation for the aesthetic judgment and aesthetic differences between visual and cognitive aspects. Aesthetic preference is an adaptive mechanism designed by the psychological mechanism to solve specific problems. Aesthetic judgment is a crucial capability for human survival and adaptation to the environment. It develops and evolves on the choice of biological evolution, and the basis of the combined influence of social instinct and group psychology. In this study, the evolutionary and aesthetic theory is used as the basis, and cognitive neuroscience is applied to explain the evolution of aesthetic judgment and the structure of aesthetic consciousness, an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evolutionary brain structure on the aesthetic judgment. Then,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ural structure of perception and cogn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aesthetic consciousness and experience, summarizes the structure of aesthetic judgment in visual and cognitive aspects, as well as the scope and elements of the two aspects. Finally, two aspects of aesthetic difference verification experiments are carried out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aesthetic judgment between the two aspects. The experimental results verify the aesthetic differences between visual and cognitive aspects. The final aesthetic judgment can be summarized into two aspects, namely, the aesthetic judgment of vision and the aesthetic judgment of cognition. The research conclusion summarizes the structure of the two aspects of aesthetic judgment.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on the aesthetic judgment can give a reasonable explanation for the aesthetic phenomena prevalent in modern society. Provide theoretical help for the practice of art and design, and provide a new way of thinking for the understanding structure of the aesthetic judgment in aesthetics research.

      • KCI등재

        Research on the Differences of Aesthetic Judgment between Visual and Cognitive Aspects Based on Evolutionary Psychology and Cognitive Neuroscience

        Lyu, Xin(류신),Cho, Taig Youn(조택연)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3

        본 논문은 진화심리학과 인지신경과학 이론에 근거해서 진화론에서 미학 원리를 적용하여 시각 층위와 인지 층위의 심미 차이를 탐구하려 한다. 지금까지 대부분 심미 연구는 미의 감성과 정서, 미의 형식 등에 대한 반응이 단순한 주관적인 의식 판단으로 해석하는 단계에 머물러 있다. 그래서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심미 판단의 인지 층위와 미의식 구조를 고찰하고 심미 의식의 발생 과정을 정리하며, 인지신경과학의 선행연구에 따라 심미 판단의 신경 구조를 분석하고 진화심리학 원리를 이용해 객관방면의 심미와 주관방면의 심미를 연구한다. 또한, 시각 층위와 인지 층위의 심미 판단 및 심미 차이에 대해 자연 과학적인 해석을 한다. 심미의 취향은 심리적 메커니즘이 어떠한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한 어댑터, 그리고 인류가 생존하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중요 능력이다. 심미의 진화는 생물의 진화적 선택 작용 때문에 이루어지며, 군집 본능과 집단 심리의 공통적인 영향 하에 발전과 진화를 한다. 본 연구는 먼저 진화론과 미학 이론을 기초로 인지신경과학을 적용해 심미 판단의 진화와 심미 의식 구조를 설명하고, 진화하는 두뇌 구조가 심미 판단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을 한다. 다음은 감지와 인지의 신경 구조적 관계, 심미 의식과 경험의 관련성 등을 통해 시각 층위의 심미 판단과 인지 층위의 심미 판단의 구조를 찾고 두 층위의 범위와 요소들에 대해 개괄한다. 마지막에 두 층위의 심미 차이 검증적 실험을 해서 두 층위의 심미 판단 차이를 분석한다. 실험 결과가 시각 층위와 인지 층위의 심미 차이는 존재를 검증하였다. 최종적으로 심미 판단은 시각 층위의 심미 판단과 인지 층위의 심미 판단 두 단계로 통괄할 수 있다. 연구 결론은 심미 판단의 두 층위에서의 구조적 프레임을 총괄하였다. 본 논문의 심미 판단의 차이에 관한 연구 결과는 현대 사회에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심미 현상에 대해 합리적인 해석을 내릴 수 있으며, 예술과 디자인의 실천을 위한 이론적 도움을 제공하며, 미학 연구에 심미 판단의 인식 구조를 위한 새로운 사고의 방향을 제공할 수 있다. This thesis based on the theory of evolutionary psychology and cognitive neuroscience, with aesthetic theory studies the differences of aesthetic judgment between visual and cognitive aspects in the context of biological evolution theory. Currently, most studies on aesthetic still lie on aesthetic perception, aesthetic emotion, and aesthetic form, which interpret the aesthetic response as only subjective consciousness judgment. So this research aims to clarify the cognitive and aesthetic consciousness structure of aesthetic judgment and analyze the process of aesthetic, and according to prior research of cognitive neuroscience analyze the neural structure of aesthetic judgment. Use the principle of evolutionary psychology to study objectivity aesthetic judgment and subjective aesthetic judgment. And make a natural scientific explanation for the aesthetic judgment and aesthetic differences between visual and cognitive aspects. Aesthetic preference is an adaptive mechanism designed by the psychological mechanism to solve specific problems. Aesthetic judgment is a crucial capability for human survival and adaptation to the environment. It develops and evolves on the choice of biological evolution, and the basis of the combined influence of social instinct and group psychology. In this study, the evolutionary and aesthetic theory is used as the basis, and cognitive neuroscience is applied to explain the evolution of aesthetic judgment and the structure of aesthetic consciousness, an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evolutionary brain structure on the aesthetic judgment. Then,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ural structure of perception and cogn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aesthetic consciousness and experience, summarizes the structure of aesthetic judgment in visual and cognitive aspects, as well as the scope and elements of the two aspects. Finally, two aspects of aesthetic difference verification experiments are carried out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aesthetic judgment between the two aspects. The experimental results verify the aesthetic differences between visual and cognitive aspects. The final aesthetic judgment can be summarized into two aspects, namely, the aesthetic judgment of vision and the aesthetic judgment of cognition. The research conclusion summarizes the structure of the two aspects of aesthetic judgment.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on the aesthetic judgment can give a reasonable explanation for the aesthetic phenomena prevalent in modern society. Provide theoretical help for the practice of art and design, and provide a new way of thinking for the understanding structure of the aesthetic judgment in aesthetics research.

      • KCI등재

        흄의 감성 미학과 공감의 원리

        맹주만(Maeng, Jooman),김다솜(Kim, Dasom)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5 철학탐구 Vol.38 No.-

        이 글은 미적 판단의 상호주관적 일치와 불일치 문제를 다룬다. 근대미학도 미의 정의 및 취미의 다양성과 차이를 둘러싸고 벌어진 논쟁과 함께 성장해왔다. 흄의 미학은 이 문제를 인간 본성에 관한 탐구의 연장선상에서 다루고 있다. 우리는 이 글에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를 논구한다. 먼저, 미의 정의 문제와 관련해서 미를 사물 자체도 감정 자체도 아닌 쾌락을 매개로 하는 주관과 대상 사이의 관계적 속성에서 성립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이러한 해석에 따르면 흄의 감성 미학은 곧 관계 미학의 성격을 갖는다. 다음으로는 흄의 공감의 원리를 미적 판단의 일치와 불일치 문제를 설명해주는 열쇠로 해석한다. 흄은 보편적인 미적 판단의 가능성을 인간의 본성에 내재하는 보편적 감정으로서 공감의 원리에서 발견한다. 그러나 보편적 판단의 원천으로서 공감의 원리가 개인과 상황에 따른 평가의 변화 가능성을 허용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판단의 일치와 불일치 문제를 충분히 해결할 수 없다는 견해도 있다. 이에 대해서 이 글은 취미의 기준과 비평가의 자격 조건에 관한 흄의 주장을 통해서 미적판단의 경우 그와 같은 문제를 피해갈 수 있다고 주장한다. This paper aims to inquire into the problems of disaccord between aesthetic judgments. The problem of aesthetic judgments and their disaccord is one of the core themes in western modern philosophy, especially aesthetics or theory of taste. Modern aesthetics has developed with disputes about this problem. Hume stands at the peak in the course of their studies. In his ‘A Treatise of Human Nature’ and essay ‘Of the Standard of Taste’ Hume shows why this matter happens, and how we can dissolve this. We interpret Hume’s aesthetic as sentimental aesthetics, relational aesthetics, and aesthetics of sympathy. Hume’s aesthetics is based on a viewpoint which sense of beauty operates in aesthetic judgment, and its contents are relational properties like utility and convenience that is felt in both of subject and object. According to Hume, the beauty is an indefinable power in objects which causes a pleasurable sentiment, and beauty is not itself a sentiment, nor even a property discernible by the five senses, but rather a property whose presence is felt only when objects with certain detectable properties causally interact, under specifiable conditions, with minds having certain properties. In other words, aesthetic judgments express sentiments reflecting cognitive valuation just as much as universal moral judgments do not directly express desires or aversions, but rather feelings like sentiments of approval and disapproval. Hume’s concept of sympathy is a basic principle which aesthetic judgments can accord with each other. His standards of taste show that the universal accords with aesthetic judgments between different people are practicable, differing from moral judgments having not universal accord of judgment in spite of possible correction of sympathy.

      • KCI등재

        공연예술로서 댄스스포츠의 미적 향유

        이경숙(KyungSookLee) 한국체육학회 2014 한국체육학회지 Vol.53 No.3

        연구는 공연예술로서 댄스스포츠의 미적 향유에 주목하여, 자연과학적 방식으로서의 칸트의 인식 일반에 근거하는 입장에 따른다. 즉 칸트의 『판단력 비판』 중 심미적(asthetisch)판단력의 비판을 중심으로 어떻게 주관적인 미적 쾌감이 공연예술로서 댄스스포츠의 미적 향유를 통해 객관성을 확보하는가의 문제에 초점을 두고, 미학적 의의를 밝혀 보았으며 어떠한 구조 아래 일어나는가를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공연예술로서 댄스스포츠의 미적 향유는 궁극적으로 댄스스포츠작품에 대한 감정에 기초하여 가치를 발현하는 것이며, 무수한 체험(경험)들 가운데에서 대상이 주체에게 어떠한 느낌으로 다가와 내적 경험들과의 관계에서 생기는 판단은, 댄스스포츠작품이 갖는 미적 요소로부터 혹은 심미적인 것을 느끼는 주체의 감정으로부터 판정한다. 좀 더 명확히 말해서 칸트가 논하는 판단은 취미능력의 판단으로부터 심미적 판단이 행하는 가치 평가로서, 대상의 예술적 체험에 시작하여 아름다움을 향유하고 공연예술로서 댄스스포츠의 현재적 의미를 재조명한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aesthetic enjoyment of dance sport as performing art, and follows the standpoint of general recognition of Kant as a method of natural science. That is, the focus is on how the subjectivity is secured through aesthetic enjoyment of dance sport as performing art based on Kant’s critique of aesthetic judgment in Critique of Judgment. Also, its aesthetic significance and structure are examined. In conclusion, aesthetic enjoyment of dance sport as performing art manifests its value ultimately based on feelings about the work, and judgment that forms in a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experience makes judgment with the subject’s aesthetic feeling from the work’s aesthetic elements. To be precise, Kant’s sense of judgment is an act of aesthetic judgment evaluating value, and such analysis begins from artistic experience, enjoys the beauty, and re-illuminates modern significance of dance sport as performing art.

      • KCI등재

        칸트의 미학적 비인지주의 미적 경험과 판단에서 `관심` 및 `개념`의 지위와 역할에 관하여

        김상연 ( Kim Sang-yeon ) 한국미학회 2017 美學 Vol.83 No.1

        칸트에게서 “관심”은 실천적 판단의 본질을, “개념”은 이론적 판단의 본질을 이룬다. 그는 이론적, 실천적 계기들을 미[감]적인 것으로부터 떼놓음으로써 `미적인 것`에 고유성과 자율성을 마련해 주고자 했다. 하지만 여전히 의심스러운 건, 우리가 해당 대상, 특히 `자연물`을 미적으로 경험함에 있어 그 대상에 대한 모종의 관심 및 그것의 특정 개념을 사전에 철저히 배제하면서까지, 과연 우리의 취미능력이 오직 그 대상의 “한갓 표상”하고만 관계를 맺을 수 있을까 하는 점이다. 이상적이고도 규범적인 미적 상황에 도달하려고 `관심` 및 `개념`의 표상을 억누르다 보면, 미적 주체는 본의 아니게 그 대상의 개념을 자꾸 떠올리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의식적인 노력이 칸트가 상정한 이상화된 미적 상황에 도달하는 데 걸림돌이 된다면, 순수한 취미판단을 위한 이상적인 주관적, 객관적 조건은 도리어 스스로가 장담한 규범성마저 잃게 될 것이다. 본 논문은, 현대미학에서 인지주의와 비(非)인지주의 간의 논쟁-모델이 칸트 미학의 한 난제를 재확인케 해줄 거라는 기대 아래, 왜 미적 자연의 감상과 경험에 있어서 `관심`과 `개념`의 계기가 쉽사리 배제될 수 없는지, 나아가 자연미의 경험이 실제로 자연적 대상의 `한갓 표상`하고만 순전히 관계할 수 없는지를 입증해 보이고자 한다. In Kant`s transcendental philosophy `interest` is the essence of practical judgment, whereas `concept` makes up that of theoretical judgment. He apparently wanted to provide some uniqueness and autonomy to the `aesthetic` by releasing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moments from the aesthetic. But still questionable is whether our `taste` ist capable of making some kind of relationship only with “the mere representation” of an object-especially any natural object-in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at, by going so far as throughly to exclude any interest as well as concept of that object. In suppressing the representations of `interest` and `concept` in order to reach an ideal, as well as normative aesthetic situation, a certain concept of that object paradoxically might continues to come to mind. If such series of conscious efforts would hinder the attainment of the idealized aesthetic situation as assumed by Kant, then the ideal subjective and objective conditions for pure judgment of taste will lose even the normativity promised by themselves. With the hope that the cognitivism vs. non-cognitivism debate in contemporary aesthetics will let us reaffirm some kind of frailty immanent in the Kantian aesthetics, this paper aims to give an explanation why the moments of `interest` as well as `concept` can not easily be excluded in the aesthetic experience and appreciation of nature (or natural thing), and why the experience of natural beauty really can not relate only to “the mere representation” of some natural object.

      • 심미적 판단력 형성을 위한 기업예술교육 연구

        유영만 (You, Yeong-Mahn),남윤후(Nam, Yoon-Hoo)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5 학습과학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인적자원개발활동에서 구성원들의 창조적 역량을 함양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기업예술교육이 시도되고 있는 가운데, 기업예술교육의 본질적 의미를 탐구하고, 새로운 가치창조의 근원이 되는 심미적 판단력의 형성 원리와 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예술교육은 꼭 필요한 것 이상의 것을 하는 미(美)적 행위를 통해 가치창조의 근간이 되는 심미적 판단력을 형성하는 과정으로서 그 의미가 있다. 둘째, 심미적 판단력은 공동의 선(善)을 추구하는 마음을 바탕으로 자신의 일을 통해 자기다움을 찾아가고자 노력하는 과정에서 형성된다. 심미적 판단력은 교수자가 자신의 전신체적 반응을 통해 학습자에게 현재 상태 이상의 것을 감각하게 함으로써 익숙한 것을 낯설게 만들고 낯선 것을 익숙하게 만드는 내적 갈등 및 해소의 과정을 통해 한 단계 높은 수준으로 도약한다. 본 연구는 기업교육 분야에서 미(美)를 기반으로 기업예술교육이 갖는 본질적인 의미를 탐색했다는 데 있어서 이론적 의의가 있으며, 심미적 판단력 형성을 위한 기업예술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실제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Corporate Aesthetic Education and look into the formative principles and process of aesthetic judgment that becomes a source of creating new values amid various forms of attempts for the Corporate Aesthetic Education for the cultivation of workers’ creativity in human resources-developing activitie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Corporate Aesthetic Education has its meaning as a process of forming the aesthetic judgment that becomes the base of creating values through aesthetic behaviors that do more than what’s necessary. Second, aesthetic judgment gets formed in the process of trying to find what matches oneself through one’s own works on the basis of the heart seeking common good. Aesthetic judgment leaps to a step higher through the process of inner conflicts and their settlement that makes what’s familiar strange and what’s strange familiar by having learners feel more than status quo through trainers’ own whole body reactions. This study has its theoretical meaning in that it explored the essential meaning found in the Corporate Aesthetic Education on the basis of beauty in the field of the corporate training and its practical meaning in that it presented the directionality of the Corporate Aesthetic Education for the formation of aesthetic judgment.

      • KCI등재

        레빈슨(J. Levinson)의 절충적 실재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미적 판단의 일치와 불일치를 중심으로

        김진아 ( Jin Ah Kim ) 한국미학회 2012 美學 Vol.69 No.-

        본 논문은 미적 판단의 일치와 불일치 문제를 모두 포섭시켜 설명할 수 있는 포괄적이면서도 정합적인 이론을 찾아보기 위한 작업의 일환이다. 우리는 특정 예술작품에 대해 "우아하다"거나 "역동적"이라거나 또는 "균형이 잡혀 있다"는 등의 술어를 사용하면서 이러한 판단을 한다. 이때 우리 각자의 판단은 다른 사람들의 판단과 일치할 수도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미적 판단은 어떤 경우에는 상당히 객관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는 것 같으면서도 동시에 또 어떤 경우에는 주관적인 성격이 강한 것도 같다. 미적 판단이 지닌 이와 같은 이중적 성격을 양립 가능한 것으로 해명해보고자 하는 이론적 시도들이 있어 왔다. 레빈슨은 미적 성질과 미적 판단을 다른 수직적 층위에 위치시키고, 미적 판단에 대해서는 반실재론을, 미적 성질에 대해서는 실재론적 입장을 견지한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서 레빈슨은 두 가지를 입증하는 데 주력한다. 첫째, 우리가 미적 판단을 내릴 때 사용하는 술어들이 일견 가치-적재된 용어들인 것 같지만 사실상 그 용어들에서 판단자의 호감적 태도나 비호감적 태도만 제거하면 가치-중립적인 술어들로 환원될 수 있다. 둘째, 미적 성질 자체는 객관적인 것이고 미적 대상 안에 실재하는 것임에도 그에 대해서 상이한 미적 판단들이 나올 수 있는 이유는 미적 성질이 성향의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레빈슨의 주장에는 문제점이 있다. 첫째, 레빈슨이 주장하는 바대로 대부분의 미적 용어들이 가치-중립적인 용어들인가 하는 점이다. 둘째, 레빈슨의 주장대로 미적 용어들에서 판단자의 명제적 태도만 제거하면 남게 되는 핵심적 내용이 있다 해도, 용어의 의미가 있다는 사실이 성질의 존재 자체를 입증해주지는 못한다는 사실이다. 미적 성질에 대해서는 실재론을 유지하면서 미적 판단에 대해서는 반실재론적 입장을 수용함으로써 미적 판단의 일치와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던 레빈슨의 시도는, 취지는 좋았으나 아직까지는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레빈슨과 대조적인 입장, 즉 미적 성질에 대해서는 반실재론적 입장을 고수하면서도 미적 판단의 일치와 불일치 문제를 보다 설득력있게 설명해주는 이론을 찾아보는 작업이 더 흥미로울 수도 있다. 앞으로 남은 과제는 레빈슨의 이론 대신 미적 판단의 일치와 불일치 문제를 더 잘 설명해줄 수 있는 이론을 찾아내는 일이 될 것이다.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possibility of a reasonable position about aesthetic properties capable of incorporating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elements of aesthetic judgments. Aesthetic perceptions and judgements as well are a matter of fact for realists. For anti-realists, by contrast, our respond to the work as powerful makes it so. Aesthetic judgements are not a matter of fact but a matter of taste or sensibility. It is subjective and respond-dependant. Then, which position seems more reasonable? It is hard to decide for us because both positions may have considerable simultaneous appeal. That is, one could say that elements of both realism and anti-realism about aesthetic properties, or objectivism and subjectivism about aesthetic judgements, concur with our intuitions. So we may well be loath to give up either of the two suggestions. But how are we to make sense of this duality? Levinson tries to overcome the weak points his ontological position is supposed to have. Hence, Levinson should be able to explain why there are irresolvable disagreements among even ideal critics if aesthetic qualities are real. And we have to examine whether Levinson gives us convincing explanations. Levinson has much works to be done to make his account plausible. For, if he couldn`t demonstrate the presence of "phenomenal impressions" first, then not only his whole account would be implausible, but also his position as a realist would be at stake. And,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raised in his account. First, Levinson puts much effort on showing that even in evaluative terms, there is a purely descriptive content isolated of the evaluative content. But the presence of descriptive content itself doesn`t automatically prove the existence of aesthetic properties. Second, Even if there are descriptive contents of an aesthetic property, what exactly does the descriptive component consist in? Is it in fact a unitary impression as Levinson insists, or is it rather a plurality of combinations of formal features that a work might posses? Levinson says that "the phenomenological conception comports better with the semantics of aesthetic attributions." But if he wants to establish that the descriptive contents come not from the combination of the formal features of the work but from phenomenal impressions, he should be able to give additional reasons besides the reason he gave us. As noted earlier, it`s not easy for us to give up either of that two positions since they both concur with our intuitions and with phenomena in art criticism. Thus, we should keep looking for ways by which ``inclusive`` aesthetic realism can be sustained, and Levinson would be one possibility who can show the way.

      • KCI등재

        교과의 내면화의 의미에 관한 소고: 판단력과의 관련

        노철현 한국인격교육학회 2021 인격교육 Vol.15 No.4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briefly explore what Kant's reflective judgment has on the internalization of school subject matter. The principles of aesthetic judgment and teleological judgment―these judgments are examples of reflective judgment―are generally the principles of harmony between nature and the faculties of our mind, the principles that nature accompanies our purposes or the principles of experience as a system. Or, they can be expressed as the principles of the possibility of knowledge. According to I. Kant, when performing reflective judgment based on these principles, our imagination and understanding flow freely. However, criticism is often raised that the principles of reflective judgment cannot have epistemological significance in the full sense because it has a purely subjective character. In this regard,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issue of whether reflective judgment can be interpreted as the principle of 'reflective orientation'. When interpreting reflective judgment as the principle of orientation, imagination is understood to play the role of constantly producing imaginary counterparts of ideas, which give systematization to the concept of the understanding, in which case our understanding is thought to extend through 'aesthetic discrimination'. If aesthetic discrimination is to some extent related to the expansion of our thinking or understanding, I think that it may have some implications for thinking about the internalization issues of school subject matter along with the epistemological significance of reflective judgment. 본 연구에서는 칸트의 반성적 판단이 교과의 내면화 문제에 어떤 시사를 주는지를 간략히 탐색해 보고자 합니다. 반성적 판단의 예시인 심미적 판단과 목적론적 판단의 원리는 대체로 ‘자연과 우리 마음의 능력들 사이의 조화라는 원리’, ‘우리의 목적에 자연이 보조를 같이해 준다는 원리’ 또는 ‘체계로서의 경험 또는 지식의 가능성이라는 원리’ 등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칸트에 의하면, 이러한 원리에 입각하여 반성적 판단을 수행할 때 우리의 ‘상상력과 오성은 자유롭게 유동합니다.’ 그런데, 통상 이러한 의미에서의 반성적 판단의 원리는 순전히 주관적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온전한 의미에서의 인식론적 의의를 지닐 수 없다는 비판이 종종 제기됩니다. 이 점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반성적 판단을 ‘정향’(reflective orientation, 또는 ‘지향’)의 원리로 해석할 수 있는가의 문제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반성적 판단을 정향의 원리로 해석할 때 상상력은 오성의 개념에 체계성을 부여하는, 이념의 상상적 대응물을 끊임없이 생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이 경우에 우리의 이해는 이념에 관한 ‘심미적 식별’을 통해서 확장되는 것으로 이해됩니다. 심미적 식별이 우리의 사고 또는 이해의 확장과 다소간이나 관련된다면, 그것은 반성적 판단의 인식론적 의의와 함께 교과의 내면화 문제를 생각하는 데에 다소간 시사를 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 KCI우수등재

        환경미학의 다변화와 일상미학의 부상 - 유리코 사이토의 일상미학 이론의 의제와 쟁점을 중심으로 -

        배정한 한국조경학회 2023 韓國造景學會誌 Vol.51 No.2

        This paper explores the recent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aesthetics and critically examines the main agendas, claims, issues, and implications of everyday aesthetics, which is emerging as an important branch of environmental aesthetics. Environmental aesthetics began in the context of cultural change and environmentalism in the 1960s and expanded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with a solid theoretical foundation. At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it entered a process of diversification of objects and subjects. Having reached academic maturity, environmental aesthetics has expanded into theoretical territory considering the urban environment and the human environment, providing practical coordinates as a discourse for planning and designing urban environments and landscapes. The most notable achievement of environmental aesthetics since the mid-2000s is the establishment of ‘everyday aesthetics’. Yuriko Saito, who is leading the research on everyday aesthetics, expanded the objects and scope of aesthetic theory to everyday objects, events, activities, and environments. She excavates the microscopic and sensory aspects of everyday life, which have been overlooked by conventional art-centered aesthetics, through the lens of aesthetics. She reinterprets various layers of phenomena in contemporary urban landscapes and analyzes how the ‘power of the aesthetic’ hidden in everyday life profoundly affects the quality of life and the state of the world. Saito examines the appreciation of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nd ambiance inherent in everyday objects and environments and proposes a ‘moral-aesthetic judgment’ to alert citizens to the environmental, social, and political consequences of everyday aesthetic appreciation and response. This paper identifies the issues and implications of everyday aesthetics as first, the expansion of aesthetics and the ambiguous everyday, second, the moral-aesthetic judgment and the aesthetics of care, and third, urban regeneration landscapes and aesthetic literacy. In particular, the moral virtues of everyday aesthetics that Saito proposes, such as care, thoughtfulness, sensitivity, and respect, provide a critical reference for the practice of contemporary urban regeneration landscapes. The ‘aesthetic literacy’ is a key concept demonstrating why an environmental aesthetics perspective is necessary to interpret everyday urban environments and landscapes.

      • KCI등재

        칸트의 미적 세계관은 비판적인가 탈비판적인가

        김기수 ( Ki Soo Kim ) 한국칸트학회 2009 칸트연구 Vol.24 No.-

        칸트의 `비판철학`은 순수이론이성을 선험적 관념론의 관점에서 비판함으로써 비판적 인식론을 수립한 『순수이성비판』에 정초되어 있다. 이러한 칸트의 비판적 인식론은 코페르니쿠스의 혁명에 비유되는 혁명적 세계관을 개진하는 것과 직접 관계한다. 본 논문이 제기하는 문제는 `비판철학`을 완결하는 『판단력비판』에서 배태된 칸트의 미적 세계관이 과연 그의 인식론적 세계관과 어떤 관계에 있는가이다: 즉, 연장이나 확장인가 아니면 재구성이나 탈피인가? 연장으로 보는 기존의 체계적 해석자들에 반하여, 필자는 칸트가 미적 판단의 원리를 -`(보편 없는) 반성적 판단력,` `목적 없는 합목적성,` `일체의 관심을 떠난 무관심성` 등에서 보듯- 오성과 이성에 대한 부정적(negative) 관계를 통해 미학을 자율적 담론으로 수립하고 있음에 주목하여, 칸트가 「미적 판단력 비판」에서 그의 `비판적 인식론`과는 대조적인 새로운 인간관(觀)과 주객의 관계를 정식화하고 있음을 밝힌다. 나아가 필자는 반성적 판단력과 자연의 합목적성이 미적으로 적용될 때 그 바탕으로서 상상력과 오성의 자유로운 유희가 -인식적 판단에서는 이 관계가 가부장적 수직적 통일로 규정되어 있는데 반해- 주체의 내면세계나 주객의 관계를 자발적인 수평적 조화로 수립하는 토대가 되고 있음을 논증함으로써 어떻게 미적 세계관이 인식론적 세계관으로부터 벗어나 있는지를, 따라서 탈비판적 인지를, 보여준다. 그리하여 필자는 『판단력비판』에서 개진된 칸트의 비판미학이 비록 체계적 취지에서 비판적으로 정향되어 있다할지라도 세계관적으로는 탈비판성을 지향하고 있는 것으로 -즉 주체와 객체, 자아와 타자 사이의 관계에서 탈주체중심주의, 탈자아중심주의를 제창함으로써 근대철학의 주관주의, 이성주의의 문제를 극복하려는 것과 연관된 것으로- 판명될 수 있고, 바로 거기에 칸트미학의 현대적 의의가 있다고 주장한다. Kant`s critical philosophy is founded o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wherein his critical epistemology is established by virtue of a critique of pure theoretical reason from the standpoint of transcendental idealism. Kant`s critical epistemology is concerned with putting forward an epochal worldview analogous to the Copernican revolution in astronomy. The question is: How is Kant`s epistemological worldview related to his aesthetic worldview advanced in the Critique of Judgment? An extension or abandonment? Contrary to the systematic commentators who see this as an extension, I observe that Kant establishes aesthetics as an autonomous discourse by pitting aesthetic judgments against the concepts of understanding and reason in the Critique of Judgment -as is the case of `reflective judgment,` `purposiveness without purpose,` `disinterestedness`- and thereby formulates a conception of humanity and a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in contrast with his critical epistemology. For this purpose, I ascertain that, in the aesthetic enactment of `reflective judgment` and `natural purposiveness,` a free play of imagination and understanding constitutes their respective grounds upon which to promote a spontaneous and horizontal harmony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whereas the subject-object relationship features as a paternalistic and vertical unity in case of cognitive judgments, and show how Kant`s aesthetic worldview entails an abandonment of his epistemological worldview and thus can be regarded `post-critical.` All in all, I argue that Kant`s critical aesthetics, albeit systematically oriented toward the completion of critical philosophy, takes a post-critical stance insofar as it is concerned with a worldview, a stance that is relevant to dealing with problems of modern subjectivism and rationalism by propounding a balanced view on the relation between the self and the other, and that this may account for the significance of Kant`s aesthetics in light of our post-modern discour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