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경 히브리어 동사 체계 내에서의 발화수반행위 이론과 양태성 개념에 기초한 텍스트의 기능에 대한 소고

        장성길(박사) ( Sung Gil Jang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0 성경과신학 Vol.54 No.-

        텍스트의 의미를 찾는 데 있어서 성경 히브리어 동사체계와 그 기능은 어떤 상관관계가 있을까? 본 논문은 히브리어 동사체계 내에서 yiqtol과 weqatal유형의 동사들이 구약 성경 텍스트 상에서 무슨 기능을 하는지를 규명해 내는 데 있다. 히브리어 동사 체계에 대한 이전의 연구들과 비교했을 때, 본연구는 하나의 문법적 현상으로서 시제나 상의 관점보다는 양태 개념에 논의의 초점이 있다. 그러나 이 말은 필자가 시제나 상의 중요성을 간과한다는 의미가 결코 아니다. 무엇보다 성경 히브리어의 yiqtol과 weqatal 동사들의 주기능을 밝히려면 양태 개념이 필수적이라는 말이다. 일찍이 일반 언어학계에서는 양태를 두 가지 서로 다른 범주(인식 양태와 의무 양태)로 구분하였다. 인식 양태는 주어진 명제가 참인지 아닌지 그리고 그 명제의 사실성에 대한 화자의 시각과 가치 판단을 비쳐준다. 반면에 의무 양태는 지식이나 정보의 사실성보다는 행위자의 개인적인 동작 수행에 초점이 있다. 한편, 필자는 히브리어 동사 체계의 기능에 대한 우리의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또 하나의 언어분석 장치인 화행 이론을 도입하고자 한다. 화행이론은 언어철학자 오스틴(Austin)과 그의 제자 설(Searle)에 의해 체계화된 언어 철학 개념이다. 오스틴은 모든 발화는 본질적으로 수행적이라는 생각에서 언어 행위를 세 가지 범주(발화 행위, 발화수반 행위, 발화수단 행위)로 구분하였다. 화행 이론의 핵심 원리는 이것이다. 화자는 발화시에 명제 내용과 함께 화수력을 통하여 자신의 의도를 전달한다는 가설이다. 설에 의하면 각각의 발화 행위는 언어 사용에 있어서 주장, 약속, 지시, 표현, 또는 선언행위와 같은 화수점들을 갖고 있다는 이론이다. 그런데 필자가 화행 이론에 관심을 두는 이유는 발화수반행위이론이 양태성 개념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사실에서다. 이러한 이론적 바탕 위에서 히브리어 동사 체계의 기능은 언어의 문법적 현상인 양태와 화수력을 통하여 설명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즉, 성경 히브리어의 동사 체계 내에서 yiqtol과 weqatal 동사들의 주 기능이 양태의 속성을 나타내는 데 있음을 알게 된다. 이러한 분석 과정을 통하여 우리는 화자의 발화 의도와 텍스트의 기능을 좀 더 분명하게 설명해 낼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describe a new system of textual analysis of yiqtol and weqatal in Biblical Hebrew verbal system(BHVS). What distinguishes it from previous studies is that the intention is not on the grammatical concepts of tense and aspect but that of modality. I am also agreed significance of tense and aspect in BHVS. However, the reason I have focused on modality is that modality is a key device to explain functions of yiqtol and weqatal in BHVS. In general linguistics, modality system can be illustrated by two different categories: deontic and epistemic modality. Epistemic modality is concerned with the speaker’s attitude to factual status of the proposition. By contrast, deontic modality relates to the speaker’s internal ability or personal activity. In this respect, recently some Biblical Hebrew linguists suggest that deontic modality is expressed by the verbal forms of yiqtol and weqatal. In order to set this study, however, another linguistic device is primarily necessary. That is speech act theory which focuses on the character of actions of performative utterances. Speech act theory has its roots in J.A. Austin’s and J. Searle’s philosophy of language. In speech act theory all utterances are performative in nature. According to Austin, there are three distinctive component acts: locutionary act, illocutionary act, and perlocutionary act. In this category, a fundamental idea is that in utterances speaker makes his intention as propositional contents with a certain illocutionary force. According to Searle, individual utterances have primary illocutionary points of language use, such as assertive, commissive, directive, expressive, and declarative. So, my hypothesis is that these illocutionary acts are deeply connected with a grammatical concept of modality in Biblical Hebrew. As I mentioned above, the main function of yiqtol and weqatal verbs in BHVS is to describe the character of modality. On this basis, we can interpret the speaker’s intention and textual function of yiqtol and weqatal verbs in Biblical Hebrew.

      • KCI등재

        의무 양태의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이동혁 우리말학회 2017 우리말연구 Vol.5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establish the concept of deontic modality by analyzing critically the existing concept of deontic modality and to show that the concept of existing deontic modality is function of speech act, and then to check the relationship between modified deontic modality and speech act. Modality is a linguistic category referring to the factual status of a state of affairs, and modality is understood as subjectively qualifying the proposition to the possibility or necessity. ‘Affecting the act’ is known as the core concept of the deontic modality, but there are some problems. First of all, it is not consistent with the traditional concept of modality. Next, ‘-eoya hada’ and ‘-eodo doida’ combined with an adjective or a copular are not regarded as deontic modalit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Lyons (1977) was used as a clue to define the deontic modality as follows. The deontic modality is a language category that indicates the speaker's judgment of the possibility and necessity of condition. ‘Affecting the act’ is not deontic modality but an aspect of speech act. Deontic modality means ‘the hearer does not know the result of what (s)he did after (s)he did, but the speaker knows the result’ in the scenario (i). The deontic modality is related to the assertive act as well as to the directive act. 명제나 사태의 사실성 위상을 지시하기 위한 언어 범주가 양태다. 미결정 상태의 명제는 현실의 시·공간을 배경으로 하여 사태를 서술할 수 없어서 화자가 자신의 태도나 판단으로 그 사태를 가능세계나 정신공간 속에서 한정하게 되는데, 이 일을 양태가 담당한다. 그리고 양태가 표현할 수 있는 명제의 양상은 가능성과 필연성으로 한정된다. ‘행위 부과’와 ‘행위에 영향을 미침’은 가장 잘 알려진 의무 양태의 핵심 개념이었으나 몇 가지 문제를 갖는다. 우선 명제에 대한 화자의 태도라는 전통적인 양태 개념과 정합되지 않는다. 또 의무 양태가 한정하는 명제 내용을 ‘행위’로 특정하여서 형용사나 계사와 결합한 ‘-어야 하다’, ‘-어도 되다’의 문장을 의무 양태의 문장으로 볼 수 없게 된다. 이에 의무 양태와 미래성 사이에 내적인 연관성이 존재한다는 Lyons(1977)의 주장을 실마리 삼아 ‘De가 Fe를 실현시키기 위한 조건이 될 수 있는지, 만약 된다면 조건의 강도는 얼마나 되는지, 즉 가능성과 필연성에 대한 화자의 판단’을 의무 양태의 개념이라고 보았다. ‘행위 부과’와 ‘행위에 영향을 미침’은 의무 양태가 아니라 화행의 한 양상이다. Nuyts(2008)에 따르면, 의무 양태와 화행은 개념 체계와 행위 체계의 관계에 있다. 특히 의무 양태의 의미는 시나리오의 (i) 이전 부문의 내용에 포함되는데, ‘청자가 어떤 행동 A를 한 뒤의 결과를 청자는 모르지만 화자는 안다’가 의무 양태의 의미와 통한다. 그리고 ‘행위 부과’와 ‘행위에 영향을 미침’은 지시 화행으로 환원해 볼 수 있겠으나 이는 ‘-어야 하다’와 ‘-어도 되다’의 일부 화행일 뿐이다. 형용사와 계사가 결합한 ‘-어야 하다’와 ‘-어도 되다’는 지시 화행을 수행할 수 없고 대신 단언 화행을 수행한다.

      • KCI등재

        ‘화행 이론(Speech Act Theory)’으로 풀어 본 ‘명령문+吧’ 통사구조 사용 기제

        진준화 중국학연구회 2023 중국학연구 Vol.- No.105

        This paper examined the usage principle of the "command sentence + ba" syntactic structure, which has a relatively high use rate in modern Chinese, from a Semantics and Pragmatics perspective by applying the "Speech Act theory" of linguistic usage theory. Therefore, the discussion of this paper is summarized as follows. ①. The use of the syntactic structure of ‘command sentence + ba’ is very closely related to ‘Speech Act’. ②. The use of the syntactic structure of ‘command sentence + ba’ is to perform ‘illocutionary act’ and ‘perlocutionary act’ at the same time among ‘harmony actions’. ③. In the syntactic structure of ‘command sentence + ba’, the ‘command sentence’ used as a ‘perfomatives sentence’ was used to perform ‘illocutionary act’ based on ‘illocutionary speech power’ such as ‘[+command/application/ request/recommendation]’. ④. The use of ‘ba’ in the syntactic structure of ‘command sentence + ba’ was used to perform the ‘perlocutionary act’ of ‘[+polite]’. In other words, the speaker used ‘ba=[+polite]’, a grammatical ‘Speech Act Marker’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perlocutionary act’. ⑤. The structure of ‘command sentence + ba’ is very closely related to ‘speaker-oriented modality’ and ‘agent-oriented modality’, and they form a 1:1 correspondence relationship with ‘illocutionary act’ and ‘perlocutionary act’.

      • KCI등재

        시나리오 접근법을 통한 중국어 요청 화행의 유형 및 특징 분석 -관습적 간접 화행을 중심으로-

        임소정 ( Sojeong Lim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15 中國硏究 Vol.64 No.-

        This research has taken notice of the speech act, in that it is not always used as the imperative form, but also used for various sentence forms such as the descriptive and interrogative, as well as being a proper pattern of modality marker. Therefore, this paper has tried to explain the non-consistency phenomenon (the so-called indirect speech act), which has existed in the speech act of Chinese between the pattern (type of sentence) and its meaning through the request scenario model of Panther & Thornburg (1998). There is not only a predicted, non-conventionalized indirect speech, which depends entirely on the context and speech act environment, among the requests of indirect speech act. There is the common speech act medium, used from the cross-linguistic perspective, and the universal mechanism for the speech act being implemented. Of course, there are slight differences in each language in that such a medium is actualized in a material way. Therefore, this paper has revealed the pattern and characteristics of each pattern of request speech act in Mandarin Chinese through the review of usage pattern of requested speech ac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are some cases of request speech act implemented as a single medium of speech act, which is a part of the manner element being relevant to Chinese request speech act of request scenario of "Before-Core-Result-After", and there are several cases in which each of the manner elements is relevant to more than two parts of a scenario that have been actualized in a single speech act, as complex mediums of speech act which implements the request speech act.

      • KCI등재

        양상과 화행

        이남경(Lee Nam Kyung) 한국노어노문학회 2009 노어노문학 Vol.21 No.4

        본 연구에서는 양상을, 문장 전체에 있어 해석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여 담화의 의미를 보완하고, 의사소통의 성사에 기여하는 수단으로 이해한다. 언어적 표현이 언어층위 전반에 분포하여 다른 의미범주와 쉽게 융화되고 교차되는 양상의 특성 상, 보다 정확한 의미 해석은 소통 속에서, 그리고 화행 맥락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인식하에, 본 연구에서는 러시아어 양상술어를 중심으로 그것이 소통적 맥락에서 새롭게 의미를 부여받는 의미적 메커니즘과 화행적 측면에 초점을 두고, 양상이 대인적 담화 기능을 갖게 되는 배경과 동인을 진단하고자 하였다. 양상의 체계적 설명을 위해서 양상 의미를 유형별로 나누어 각 유형간의 의미적 상관관계를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우선 양상 의미를 행위자 중심 양상, 인식양상, 화자 중심 양상으로 나누고 각 유형의 특징과 의미 확장의 규칙성을 살펴보았다. 양상의미는 보편적인 은유와 추론의 추이에 따라 행위자 중심 양상에서 인식 양상으로 이행되고 더 나아가 화자 중심 양상으로 이행된다. 화자 중심 양상은 소통 속에서 청자를 염두에 둔 대인적 속성을 드러내는데, 이것의 보다 구체적인 발현은 화행양상, 증거성, 의지발현 양상, 공손성으로 나타난다. 의사소통 상황에서 화자는 양상술어를 사용하여 화자의 주관적인 관점, 견해의 불일치, 양보적 문맥에 대한 단서를 주거나 어떤 행위의 이행과 관련하여 청자에게 지침을 준다. 또한 청자의 체면을 고려한 간접화 전략을 이용하여 공손성을 도모하거나, 전달하는 내용에 대한 화자의 확신을 증거성의 의미로 발전시키는 등 다양한 대인적 기능을 지시하게 된다. 이처럼 양상 의미는 고정된 의미가 아니라 소통의 맥락에 따라 또는 언어내적 체계화에 기인한 문법화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화하고 다른 의미와 융합하며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semantic and pragmatic range of the russian modal predicates and define their place within the broader framework of the category of modality. The modal predicates in Russian has not been given much linguistic attention due to fact that Russian does not have a distinct morphological category of modal verbs. In Russian, the forms capable of expressing the modality are spread across various levels of language structure and are normally described in different sections of the grammar depending on their morphological and syntactical characteristics. It is suggested that it is useful to distinguish various type of modality, and because these types of modality correlate with their specific function. Agent-oriented modality reports to the completion of the action expressed in the main predicate. Epistemic modality applies to assertions and indicates the extent to which speaker committed to the truth of the propositon. And speaker-oriented modality do not report the existence of conditions of agent, but rather allow the speaker to impose such conditions on the addressee. Recent research on semantic development of modal predicates has established the direction of their semantic expansion from agent-oriented meaning to epistemic uses. Further more this direction reaches to speaker-oriented use. Speaker-oriented modality is connected with interpersonal function such as speech act modality, evidentiality, volitional modality, politeness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In case of interpersonal use of modal predicates the role of the communicative context is crucial for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the utterance, which acquires its actual reading relevant to a particular context.

      • KCI등재

        ‘-어야 하다’의 양태 의미에 대하여

        이동혁 ( Lee Dong-hyeok ) 국어학회 2015 국어학 Vol.76 No.-

        이 글은 ‘-어야 하다’의 양태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어야 하다’는 의무 양태에 속한 언어 표현이라고 알려져 왔다. 그 때문에 ‘-어야 하다’의 양태 의미는 의무 양태의 기능에 연동되어, ‘의무’나 ‘의무 부과’ 등으로 해석되어 왔다. 그런데 명제에 대한 화자의 주관적 태도를 양태의 정의로 고수하는 이상 의무 양태는 양태와 정합적이지 않으며, 이에 따라 ‘의무’나 ‘의무 부과’는 ‘-어야 하다’의 ‘양태’ 의미라고 할 수 없다. 또한 ‘의무’나 ‘의무 부과’를 ‘-어야 하다’의 의미라고 해 놓아서는 형용사나 계사와 결합하는 ‘-어야 하다’의 용례에는 이 의미를 적용할 수 없다. 이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글에서는 양태의 개념과 정합적인 의무 양태의 개념을 찾으려고 하였다. 의무 양태는 미래성 사이에는 내적인 연관성이 존재한다는 Lyons (1977)의 주장을 받아들여, ‘-어야 하다’가 관할하는 사태가 그 이후에 발생하게 될 사태에 대하여 필수 조건이 된다는 것을 화자가 판단하고 이를 ‘-어야 하다’에 담아 양태화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처럼 ‘-어야 하다’의 양태 의미는 화자의 주관적 판단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그런데 기존의 논의에서는 일반적 규범이 의무를 부과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점을 들어서 ‘-어야 하다’가 객관적 양태로 쓰일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일반적 규범이라고 한 것도 화자의 주관적 판단이 개입한 것이어서 객관적 양태라고 할 수 없다. 그 대신 이런 예들에 쓰인 ‘-어야 하다’는 상호 주관적 양태라고 따로 불렀다. 문제가 되었던 ‘의무’나 ‘의무 부과’는 ‘-어야 하다’의 양태 의미가 아니라 다른 차원의 의미다. ‘의무’나 ‘의무 부과’는 발화수반 행위 차원의 ‘지시’에 속하는 의미다. ‘-어야 하다’의 양태 의미는 ‘지시’로서의 ‘의무 (부과)’와 연관되는데, 이 관계는 개념 체계와 의사소통 행위 체계의 대응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al with a modal meaning of -eoya hada. It has been widely known that -eoya hada is an expression of deontic modality and its meaning is obligation. There are severe problems for this claim. Most of all, the deontic modality signifying obligation is not matched with the modality. Modality has been defined as a speaker's attitude towards the world, but obligation is not a modal meaning or function but a kind of illocutionary act. In addition, -eoya hada combined with an adjective word or a copula has no meaning, obligation. There is an intrinsic connexion between deontic modality and futurity(Lyons 1977). Speakers judge that the state of affairs of -eoya hada is an essential condition for subsequent events, and they can modalized it with -eoya hada. -eoya hada both subjective use and intersubjective use which some researchers considered the latter as objective use based on general norms that can be elements for imposing an obligation. As a matter of fact, obligation is a kind of directive act. The modal meaning of -eoya hada is a source of a directive act, which can be explained with the relation between conceptual system and communicative action system.

      • KCI등재

        명제와 양태

        이선영 한국어의미학회 2014 한국어 의미학 Vol.43 No.-

        This paper aims to redefine the concept of ‘modality’ and ‘attitude of the speaker’ in terms of the proposition. The modality is grammatical category which expresses “a sperker cannot assert that the sentence is a proposition.” Therefore negation, tense, aspect, speech acts and sentence type cannot be modality because a sentence with negation, tense or aspect still represent truth values, speech acts presupposes that content with proposition isn’t the world, and sentence type is necessary in Korean. The modality represents irrealis as subcategory of mood and can be divided into epistemic modality and deontic modality.

      • KCI등재

        양태와 관습적 간접 화행의 환유적 연계 - 요청 화행을 중심으로 -

        박재연 ( Bak Jae-yeon ) 국어학회 2015 국어학 Vol.73 No.-

        이 논문은 관습적 간접 화행에서 양태와 화행이 환유적 관계를 가진다고 보고 ‘요청(request)’의 관습적 간접 화행에서 양태 형식이 수행하는 역할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논의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요청의 관습적 간접 화행에 ‘소망, 능력, 허가, 금지, 의무, 의도’ 등의 양태 요소가 사용되는 이유는 이러한 양태 의미가 요청 시나리오의 일부분과 관련되기 때문이다. 둘째, 요청의 관습적 간접 화행에서 어떤 문장 유형이 사용되는가는 간접 화행 환유의 매체로 선택되는 양태의 성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셋째, 요청 상황의 하위 유형에 따라 선호되는 양태 표현이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요청 시나리오의 ‘이전 부문’과 관련되는 ‘소망, 능력, 허가, 금지’의양태 표현은 화자 수혜 요청에서 좀더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요청 시나리오의 ‘결과 부문’과 관련되는 ‘의무’ 표현은 청자 수혜 요청에서 좀더 자연스럽다. ‘이후 부문’과 관련되는 ‘의도’ 표현은 두 유형의 요청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넷째, 통사적 구성의 양태 표현보다는 문법화가 완료된 양태 어미가 요청의 관습적 간접 화행에서 선호된다. 이는 문법화가 진행됨에 따라 문법 형식이 화·청자 지향성을 띠면서 수행성을 가지게 된 것과 관련이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modality and speech act in the conventional indirect speech act of ‘request’. Firstly, it is assumed that conventional indirect speech act can be considered as a kind of metonymic phenomenon in that modal meanings are metonymic vehicles for speech acts which are metonymic targets. In conventional indirect speech act of ‘request’, it is observed that several modal meanings such as ‘desire, ability, permission, prohibition, obligation, intention’ are used. This is because the speech act scenario of ‘request’ is closely related to modal meanings. Secondly, the sentence type which is used in the indirect speech act of ‘request’ has the close relationship to the modal expression used in the sentence. Thirdly, the sentences including ‘desire, ability, permission, prohibition’ expressions which are related to ‘The BEFORE component’ of scenario are preferred in the “speaker-benefited request”, while the sentences including ‘obligation’, which is related to ‘The RESULT component’ of scenario are preferred in the “hearer-benefited request”. The sentences including ‘intention’ are used generally in both types of request. Fourthly, more grammaticalized forms are preferred as metonymic vehicles for indirect speech act of request. This is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grammaticalized endings have the performative property, while periphrastic constructions are descriptive in principle.

      • KCI등재

        인식·행위 양태 다의성 어미의 의미와 억양

        조민하(Jo, Minha) 한국어학회 2017 한국어학 Vol.77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workings of intonation realized in the endings through the spoken language.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paper has analyzed 300 minutes of spontaneous speech by women from Seoul and discussed the meanings of modality and their relationship with intonation. Intonation functions significantly in polysemous modal endings in epistemic and act modality. Epistemic modality is usually expressed through indirect and soft intonations such as L:, M: and LH, whereas act modality is expressed through direct and strong intonations such as H, HL and LHL. Intonation appears to be related to the Certainty degree of information, rather than classification of modality, Lengthening relate to indirectness, H with uncertainty, L with statements or affirmation, and HL and LHL relates to assertive attitude. This paper is significant as it has overcome the abstractness of existing modality studies and has engaged in objective and comprehensive analysis with actual spontaneous speech data.

      • KCI등재

        ‘-어도 되다’의 양태 의미와 허가 화행, 그리고 공손성의 관계에 대하여

        이동혁(Lee, Dong-hyeok) 우리말글학회 2016 우리말 글 Vol.69 No.-

        이 글은 ‘-어도 되다’의 양태 의미를 분석하고, 이 양태 의미가 허가 화행과 공손성 전략에 어떻게 쓰이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어도 되다’는 ‘허가’의 의무 양태 표현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허가’의 의무 양태로 규정해 놓고서는 양태와 정합적일 수 없고 형용사나 계사와 결합하는 ‘-어도 되다’의 분포를 설명할 수가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무 양태와 미래성 사이에 내적인 연관성이 존재한다는 주장에 주목하였다. 그래서 어떤 명제에 대하여 그것이 미래의 일을 참이 되게 하는 예외적인 조건임을 ‘-어도 되다’의 양태 표현을 통해 언어화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런 ‘-어도 되다’의 양태 의미는 허가 화행의 시나리오에서 이전 부문에 기록되어 있다. 대화 참여자들 간에 양태적 판단 능력의 있고 없음은 대화를 진행하게 하는 동기가 된다. 그리고 ‘-어도 되다’의 양태 의미가 허가 화행의 시나리오를 구성하는 일부일 뿐이지만 ‘-어도 되다’의 표현으로 허가 화행을 나타낼 수가 있다. 이는 화 · 청자의 환유 작용으로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허가 화행의 시나리오를 보면 청자는 A를 하고자 하나 양태적 판단 능력이 없는 [-MK] 상태라서 행동이 부자유스럽다. 이는 청자의 체면이 손상된 원인이다. 이에 대해 [+MK]의 화자는 ‘-어도 되다’를 사용하여 청자가 알지 못한 양태 정보를 알려줌으로써 청자가 원하는 행동을 할 수 있도록 만들 수 있고, 이는 곧 청자의 체면을 보호하게 된다. 또한 ‘-어도 되다’가 갖는 예외 조건은 청자가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더 줄 수가 있어서 청자의 체면을 보호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al with how the modal meaning of -eodo doida is used to permissive speech act and politeness. The deontic modal meaning known as permission is not coherent with modality. In addition, -eodo doida combined with adjective or copula is not able to mean permission. -eodo doida verbalizes the exceptional condition for which De2 realizes Fe. Permission is a kind of speech act. Even though the modality has no illocutionary force, it can be the pragmatic condition for a particular speech act. The modal meaning of -eodo doida is a part of the scenario of permissive speech act. The difference of the modal judging ability between participants produces the power of conversation. The modal -eodo doida can function as permissive speech act with the metonymy. The hearer has been already in restricted before performing permissive speech act. The speaker using -eodo doida can solve the hearer’s problem and protect the hearer’s negative face. What the modal meaning of -eodo doida can give more alternatives to the hearer rather than -eoya or -myeon can be another strategy of politeness to the hear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