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책임능력의 법적⋅심리학적 판단기준

        정혜욱 중앙법학회 2019 中央法學 Vol.21 No.4

        형법 제10조 제1항에서 말하는 ‘심신장애로 인하여 사물변별능력이나 의사결정능력이 결여된 행위’란 생물학적 측면에서 정신장애(Mental Disorder)가 전제되고 이로 인하여 심리학적 측면에서 위법성인식능력이나 행위통제능력이 상실되어 있는 경우를 말한다. 여기서 정신장애에 대한 판단은 미국정신의학회(American Psychiatry Association / APA)가 제정한 진단기준인 DSM-5(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Version)가 사용된다. 생물학적 요소는 의학적 관점에서 진단되는 요소를 의미하는 것이고, 이러한 진단을 임상심리학에서 하고 있으므로 심리학적 판단기준이라고 할 수도 있다. 정신의학이 인간의 심리적인 측면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생물학적 요소는 정신의학적⋅심리학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정신장애 여부와 함께 위법성인식능력이나 행위통제능력이 결여되었는가의 여부에 대한 판단은 심리학적 판단기준을 원용할 수밖에 없어 보인다. 그렇게 한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판단은 형법 제10조 제1항 또는 제2항에 해당하는가에 대한 결론을 내리는 것이어서 법해석학의 영역에 속한다. 판례도 이 점을 명확하게 하고 있다. ‘형법 제10조에 규정된 심신장애의 유무 및 정도의 판단은 법률적 판단으로서 반드시 전문감정인의 의견에 기속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정신질환의 종류와 정도, 범행의 동기, 경위, 수단과 태양, 범행 전후의 피고인의 행동, 반성의 정도 등 여러 사정을 종합하여 법원이 독자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고 한다. 대법원 1999. 8. 24. 99도1194. 법원이 책임지고 판단하여야 할 사항이기는 하지만 심리학적 판단기준을 잘 활용할수록 바람직하다는 절충이 가능하다. 심신상실⋅심신미약의 생물학적 요소인 정신장애의 인정 여부는 일단 DSM-5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정신장애의 핵심 내용은 ‘중대한 정신적 변성(Profound Mental Abnormality)’이다. 책임능력과 관련해서 문제가 될 수 있는 정신장애의 유형을 분류해 보면 다음과 같다. ① 제1 유형 : 병적 정신장애 / 조현병 증상 중 피해형 망상장애② 제2 유형 : 심한 의식장애 / 혼미, 반혼수, 착란, 섬망③ 제3 유형 : 지적장애 / 고도 또는 최고도의 지적장애④ 기타 유형 : 기타 중대한 정신적 변성 / 품행장애 기준 고도의 충동조절 장애이러한 정신장애가 위법성인식능력이나 행위통제능력의 흠결로 연결되었는가에 대한 판단은 유형별로 기준이 달라져야 한다고 본다. 먼저 위법성인식능력의 경우에 대한 판단기준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① 제1 유형 : 병적 정신장애는 위법성인식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함② 제2 유형 : 심한 의식장애도 위법성인식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함③ 제3 유형 : 고도⋅최고도의 지적장애에 해당하면위법성인식능력 없음④ 기타 유형 : 기타 중대한 정신적 변성으로서 고도의 충동조절 장애가 위법성인식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함이어서 행위통제능력의 경우에 대한 판단기준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제1 유형 : 피해형 망상장애가 단독으로 행위통제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함② 제2 유형 : 혼미⋅착란의 경우 행위통제능력 저하됨, 반혼수⋅섬망의 경우에는 행위통제능력 상실됨③ 제3 유형 : 규범의 통제력이 확보되지 않아 행위통제능력에도 결함이 있음④ 기타 유형 : 규범의 통제력이 작동하지 않아 행위통제능력에 결함이 있음 The term 'act that lacks discrimination or decision making ability due to Mental Disorder' in Article 10 (1) of the Criminal Code presupposes Mental Disorder from the biological point of view, and therefore, psychologically loses the ability to recognize illegality or control behavior. If it is. Here, the judgment for mental disorders is based on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Version (DSM-5), a diagnostic standard established by the American Psychiatry Association (APA). Biological element refers to an element diagnosed from a medical point of view, and may be referred to as a psychological criterion because such diagnosis is made in clinical psychology. Since psychiatry is to study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human beings, biological factors can be said to be psycholog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As a result, judgment on whether mental disorders and lack of illegality or behavioral control ability seems to use psychological criteria. Even so, it is within the realm of forensic interpretation, as it concludes whether the judgment falls under Article 10 (1) or (2) of the Penal Code. Cases also make this point clear. 'The judgment of the presence and extent of mental and mental disorders under Article 10 of the Criminal Code is a legal judgment, and it is not necessarily bound to the opinion of a professional appraiser. The court can make independent judgments of various circumstances, including the post-war defendant's behavior and the degree of reflection. ' Although the court is responsible and judged, there is a trade-off that the better you use psychological criteria, the better. The recognition of mental disorders, a biological component of mental and mental weakness, is inevitably dependent on DSM-5. The core content of mental disorders is 'Profound Mental Abnormality'. The types of mental disorders that can be a problem in terms of responsibility are as follows. ① Type 1: Morbid delusional disorder among pathological mental disorders / schizophrenia symptoms ② Type 2: Severe Consciousness Disorder / Confusion, Semi-colon, Confusion, Delirium ③ The third type: intellectual disability / high intellectual disability ④ Other types: Other severe mental abnormality / behavioral disorder criteria High impulse control disorder The judgment as to whether such mental disorders are linked to defects in illegal perception or behavioral control should be different for each type. First, the judging criteria for the case of illegal recognition ability are as follows. ① Type 1: Pathological Psychological Disorder Does Not Affect Illegal Recognition Ability ② Type 2: Severe cognitive impairment does not affect illegal perception ③ The third type: Unlawful recognition ability in case of high intellectual disability ④ Other Types: Other serious mental abnormalities, and impulse control impaired by high impulse control. Subsequently, the criteria for the case of behavior control ability are summarized as follows. ① Type I: Damaged delusional disorder does not affect behavior control ability by itself ② Type 2: Deterioration of behavior control ability in case of confusion and confusion. In case of anti-colon and delirium, behavior control ability is lost. ③ Type 3: Defective behavior control ability due to lack of control ④ Other Types: There is a deficiency in the ability to control behavior because the control of the code does not work

      • KCI등재

        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차명상활용 사례 연구

        최혜경(Hye-Gyeong Choi) 국제차문화학회 2019 차문화ㆍ산업학 Vol.45 No.-

        급격하게 변화하는 현대사회에서 한국대학생들이 문제해결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필요한 자기관리 요건과 차명상의 적용 사례를 고찰하였다. 급격하게 변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물결 안에서 신체적으로나 경제적인 면에서 아직 독립성을 확보하지 못한 대학생들이 현실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문제해결능력을 함양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본다. 이에 있어서 자신을 이해하고 관리할 수 있는 자기주도적인 행동과 사고방식은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는 기본 요건이라고 할 수 있다. 자신의 상황을 파악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하는 문제는 현재 자기관리를 어떻게 하는 가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자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편의 하나로 차명상을 선택하여 이를 학생들에게 적용한 사례를 중심으로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술해 보았다. 문제해결능력을 기르기 위한 자기관리의 매개체로서 차명상을 적용하는 것은 차의 명상적 효과가 문제를 해결하는 사고능력을 기르는데 효율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차를 통한 명상은 단순히 차를 마시는 것이 아니라 차를 마시는 행위를 집중적으로 바라봄으로써 심리적 안정을 꾀하고 자신을 관리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는 도구로 활용하였을 때 그 효과가 나타난다. 차명상을 하는 동안 느낌과 감각을 알아차리고 자신을 객관적 시각에서 통찰하여 자신의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의미를 두었다. This study aimed to look into requirements for self-control needed to cultivate problem-solving ability in Korean college students and cases where tea meditation was applied to enhance the abilit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Innovation facing sharp social change, self-control ability is important to college students who have not yet acquired ability to control themselves in physical and financial aspects. To cultivate effective problem-solving ability, they should have self-leading behaviors and ways of thinking through which they can understand and control themselves. Self-control to overcome problems between themselves and organizations begins from knowing their position and needs. The ability to control thinking, emotion and behaviors is an important factor in evaluation of personality. The self-control ability is important because it has an absolute influence on formation of personal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s in this society. The application of tea meditation as a medium of self control is efficient for cultivation of problem-solving ability. Tea meditation can be a means to help the students hav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enhance self-control ability when they see tea-drinking behaviors as well as when they drink tea. They can be aware of feeling and senses accompanied by tea meditation when they acquire ability to see through themselves in an objective perspective.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meaning in that it was discovered that tea meditation can work as an effective medium for self-control to enhance problem-solving ability in college students.

      • KCI우수등재

        책임능력의 의의와 심신장애의 정합적 판단에 관하여

        김연지 한국형사법학회 2019 형사법연구 Vol.31 No.1

        법은 시대에 따라 변용될 수 있는데, 특히 책임능력에 관한 개념은 ‘미개척 분야’이자 항상 재고되어야 하는 문제영역이다. 현대사회에서 정신의학이나 심리학이 발전함에 따라 그 영향을 받으면서 새롭게 전개되는 것이 예정되는 분야이기 때문이다. 현행법에 책임원칙에 대한 명시적인 규정은 없지만, 책임주의가 형법의 근본원칙이라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일반적으로 구체적 행위자는 도덕적 사고를 함을 전제로 그가 한 행위에 대하여 그 책임을 귀속시킬 수 있다고 본다. 이를 범죄의 원칙형인 고의범에 대입하면, 구체적 행위자에게 책임비난을 할 수 있는지 여부와 관련하여 주관적 요소로서 (1)인식능력 (2)제어능력 (3)구성요건의 객관적 요소에 해당하는 모든 사실에 관한 의미의 인식 (4)그 구성요건해당사실에 해당하는 행위를 할 의사를 충족하여야 한다. 이 중 (3)과 (4)의 요건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고의’나 ‘행위’ 자체가 부정되므로 기본적으로 (3)과 (4)의 요건은 충족한다는 전제하에 (1)과 (2)의 요건 충족 여부를 살펴보아야 한다. 결국, 우리 형법은 심신장애로 인하여 인식능력이나 제어능력이 손상된 경우를 가정하여 그 정도가 심각한 경우에는 책임능력을 부정하는데 반하여, 미약한 경우에는 책임능력이 존재하지만 형을 감경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 규정에 대한 해석에 앞서 먼저 심신장애의 개념을 통일적으로 정의하고, 심신장애를 합리적으로 판단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즉, 정신의학적 진단이 심신장애를 판단하는 전제조건으로 1차적으로는 정신의학전문가가 사실적으로 판단하고, 2차적으로는 법관이 규범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야만 심신장애로 인하여 책임능력을 부정하기 위한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형법 제10조 제1항의 심신상실자는 구성요건에 해당하는 위법한 행위를 하여도 심신장애로 인하여 자신의 행위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제어할 수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그에게 책임능력을 부정하는 것이 일면 타당해 보인다. 하지만 제2항의 심신미약자는 심신장애 상태에 있기는 하나 그 정도가 미약하여 자신의 행위에 대한 인식과 제어가 가능하다고 보아 일단 책임능력을 긍정하면서 다만, 형에 있어서 특별한 배려를 하고 있다. 엄격한 의미에서 심신미약자에 대한 배려는 책임주의 원칙에 대한 예외이므로 그 타당성을 증명할 필요가 있다. 오늘날 정신질환이나 정신병적 문제는 더 이상 남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문제가 되어버렸다. 우울증, 단순 성격장애, 분노조절장애, 반사회적 인격장애(사이코패스) 등 새로 등장한 정신적 장애의 문제를 모두 책임능력의 손상의 예로 보아 가해자가 마치 피해자인 양 취급되는 것은 다시 생각해 보아야 할 문제이다. 심신상실자는 인식능력과 제어능력이 아예 결여되었기에 책임능력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 일면 타당하지만, 심신미약자는 자신의 행위에 대한 책임능력이 존재하므로 책임주의 원칙에 따라 마땅히 형벌로서 그 책임을 다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심신미약자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도 없이 법관이 임의적으로 형을 감경하도록 허용하는 규정은 국민들의 법감정에 반할 뿐만 아니라, 현 사회에서 더 이상 의미가 없다. 심신미약자에게는 적절한 치료를 제공함으로써 배려를 하면 충분하고, 형을 감경하는 혜택을 주어서는 안된다고 생 ... aw can be changed over time, especially the concept of responsibility ability is an ‘unexplored field’ and a problem area that must always be reviewed. This is because it is expected to be newly develop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development of psychiatry or psychology in modern society. Responsibility ability is derived from accountability. There is no explicit rule on the principle of responsibility in current law, but it is obvious that responsibility is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criminal law. In our penal code, it is defined as a responsible incompetent. In particular, Article 10-1 of the Criminal Code stipulates that a person who does not have the ability to distinguish objects due to physical or mental disorders or does not have the ability to make decisions is not punished. In other words, the concrete actor is a question whether he can assign responsibility for an act he assumed, based on moral thought. If the crime is affirmed intentional as a principled type of crime, subjective factors should be examined to see (1) cognitive ability, (2) the ability to control, (3) the recognition of the meaning of all facts corresponding to the objective element of the compositional requirements, and (4) the intention to de act compositional requirements of the act. If the requirements of (3) and (4) do not exist, ‘intention’ or ‘act’ itself is denied. So it needs to look into (1) and (2), provided that the requirements of (3) and (4) are met. In the end, our law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cognitive ability or the control ability is impaired due to mental or physical disability. If the degree is serious, it negates the responsibility ability. However, if there is a weakness, it has. Prior to the interpretation of this regulation, it is first necessary to define the concept of mind and body disability and to judge the mind and body disorders rationally. In other words, a psychiatric diagnosis is a precondition for judging mental and physical disabilities. Firstly, psychiatrists should be judged by facts and secondarily judges should judge normatively. In order to say that the ability of responsibility is impaired due to mental or physical disability, it should not be possible to blame the actor specifically. A person who has lost his or her status under Article 10-1 of the Criminal Code meets a compositional requirement and illegality but he or she can not control his or her own conduct. The feeble-minded person of 10-2 is affirmed with the recognition ability and the control ability. In the end, the rules that allow a person who is in the mental and physical condition to be able to reduce his or her penalty under the current law are contrary to the principle of responsibility and it has to solve the problem through treatments or therapy. Today, mental illness or psychiatric problems are no longer a problem others but a problem that can be easily encountered around us. As an example of impaired ability to account for all of the newly emerging mental disorders such as depression, simple personality disorder, anger-control disorder, and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psychopathology), it is a question to be reconsidered that the perpetrator is treated as a victim. The mind and body of the lost person should negate the responsibility ability because it lacks the cognitive ability and the control 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mind and body of the weak should be responsible for their actions as punishment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responsibility because of the responsibility. Therefore, the regulations allowing the judge to randomly reduction of penalty under the circumstances without any concrete standards are no longer meaningful in the present society, and this should be considered as a treatment, and it should not give the benefit to them.

      • KCI등재후보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자기조절력의 관계에 대한 조망수용능력의 매개효과

        김해정,권연희 한국생애학회 2015 생애학회지 Vol.5 No.2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young child’s perspective taking ability on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verbal control styles and child’s self-regulation ability. Participants were 162 mother-child dyads at two kindergartens and three daycare centers located in Busan, Korea: 82 boys and 80 girls at the age of 4-5 yr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mother’s imperative verbal control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hild’s self-regulation ability, whereas positional and personal verbal control styles were not. In respect to the child with higher perspective taking and self-regulation abilities, his/her mother’s imperative and positional verbal control negatively correlated with his/her perspective taking ability. Furthermore, child’s emotional perspective taking ability fully mediated in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imperative verbal control style and child’s self-regulation ability.

      • KCI등재

        성별에 따른 유아의 대상통제운동능력과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지성애,윤현숙,박은영,홍지명,문수강,공진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6 유아교육학논집 Vol.10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ender difference in young children's object-control motor ability and self-regulation ability. Also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object-control motor ability and self-regulation ability.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104 five-year-old children; 52 boys and 52 girls. The Object-Control Motor Ability Test and The Self-Regulation Ability Test were used in collection of data. It used t-test and co-relation analysis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current study indicate that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young children's object-control motor ability and self-regulation ability. The score of the boys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girls in object-control motor ability while the score of the girls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boys in self-regulation ability. It also reveals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object-control motor ability and self-regulation ability in boys while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ose abilities in the girls group. 본 연구는 유아의 대상통제운동능력과 자기조절능력이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대상은 만 5세 남아 52명, 여아 52명 총 104명이었으며 ‘대상통제운동능력검사’와 ‘유아 자기조절능력 평정지’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는 t­검증과 상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른 유아의 대상통제운동능력과 자기조절능력은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통제운동능력은 남아가 여아보다 높게 나타난 반면, 자기조절능력은 여아가 남아보다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성별에 따른 유아의 대상통제운동능력과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는 남아의 경우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여아의 경우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이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과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채영란,장문영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Effect of Mother’s Language Control Style on Infant’s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Peer Play InteractionYoungran Chae & Munyoung Ja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mother’s language control style on infant’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peer play inter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0 children aged 4-5 who were hospitalized in G city and their mothers. For the collected data,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by-step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4.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imperative control, a sub-factor of mother’s language control typ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Command control and positional control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lay interference, which is a sub-factor of peer inter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among the types of mother’s language control, imperative control had a negative effect on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positive play interaction, and positional contro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positive play inter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arent education conduct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knowing the importance of mother’s language control type. Key Words: Mother, Language Control Type, Infant,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Peer Play Interaction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이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과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채 영 란*ㆍ장 문 영** 요약: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이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과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G시의 재원중인 만 4, 5세 유아 250명과 그들의 어머니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분석과 단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의 하위요인인 명령적 통제는 정서조절 능력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명령적 통제와 지위적 통제는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하위요인인 놀이 방해와 정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 중 명령적 통제가 정서조절 능력과 긍정적 놀이 상호작용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지위적 통제는 정서조절 능력과 긍정적 놀이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의 중요성을 알고 유아교육현장에서 실시하는 부모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핵심어: 어머니, 언어통제유형, 유아, 정서 조절 능력, 또래놀이 상호작용 □ 접수일: 2022년 5월 11일, 수정일: 2022년 6월 6일, 게재확정일: 2022년 6월 20일* 주저자, 호남대학교 유아교육학과 교수(First Author, Professor, Honam Univ., Email: orange7421@naver.com)** 교신저자, 호남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Corresponding Author, Doctoral Course, Honam Univ., Email: 144014@hanmail.net)

      • KCI등재

        중학생의 미술표현능력, 미술감상능력, 심리적 안녕감, 자기효능감이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박외영 ( Woe-young Park ),문승한 ( Sung-han Moo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5

        본 연구는 중학생의 미술표현능력과 미술감상능력 심리적 안녕감 자기효능감이 정서조절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차이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경상남도에 소재한 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생 494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조절 전체에는 자기효능 중 자기조절 효능감이 가장 크고, 다음에 심리적 안녕감 중 대인관계의 영향력이 크다. 따라서 중학생의 정서조절 향상을 위해서는 자신의 자기조절 효능감의 증대와 대인관계의 개선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둘째, 정서조절에 미치는 심리적 안녕감 및 자기효능감의 효과는 정서조절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다. 따라서 능동적 정서조절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과제달성을 위해 자기 판단, 자기 관찰인 인지과정과 자기반응 동기과정을 잘 사용할 수 있는 효능기대감인 자기조절 효능감을 훈련하며, 과제난이도 선호에 적극적 태도를 길러 줄 필요가 있다. 셋째, 회피 정서조절에는 자기효능 중 자신감과 심리적 안녕감 중 삶의 목적이 그 영향력은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의 삶의 목적 설정에 대한 교육과 자신감 향상이 필요하다. 넷째,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에는 심리적 안녕감 중 대인관계와 자기효능 중 조절효능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지지추구적 정서조절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도 자기조절 효능감의 훈련이 필요하다. With a view to analyzing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art expressive ability, appreciation abilit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fficacy of adolescents and their emotional control and relativ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the foregoing factors on the emotional control,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494 middle school students in middle schools located in Gyeongsangnam-do.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 control efficacy among the sub factors of self efficacy has the largest effect on the entire emotional control follow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the sub fa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refore, to improve the emotional control of middle school students, we should focus on improving self-control 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cond,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fficacy on emotional control differ according to the type of emotional control. Therefore, to improve active emotional control, training on self-control efficacy, which is efficacy expectation that enables using cognitive processes that are self-judgment and self-observation and self-response motivational processes well is necessary for task accomplishment and attitudes active for preference for task difficulty levels should be fostered. Third, evasive-distributed emotional control is negatively affected by self-confidence and the purpose of life,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establishment of the purpose of life and improvement of self-confidence are necessary. Fourth, training on self-control efficacy training is necessary to improve support seeking emotional control and training to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s also necessary.

      • 모애착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검증

        이지연(Lee Jee Yon),백정빈(Baek Jung Bin)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한국교육포럼) 2009 韓國敎育論壇 Vol.8 No.1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있어 모애착과 자기조절능력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자기조절능력이 모애착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5개교 5ㆍ6학년 남녀 학생 6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그중 595명의 설문지 결과를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WIN 12.0과 AMOS 4.0을 사용하였다. 모애착, 자기조절능력, 학교생활적응능력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설시하였고,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애착, 자기조절능력은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 능력과 정적 상관이 있어 모애착이 안정적일수록 자기조절능력이 우수하였고, 학교생활적응도 잘 하였다. 둘째, 모애착은 자기조절능력을 매개로 하여 학교생활적응능력에 영향을 주었다. 모형검증 과정에서 모애착은 학교생활적응능력에 직접적 영향 뿐 아니라 자기조절능력을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도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examined how these two factors,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ther attachments and self control ability have influence on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and how their self control ability has an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ttachments and school life adjustment. Six hundred and twelve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 of 5 elementary school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were surveyed and of these 595 cases were analyzed. The data was processed by SPSS WIN 12.0 and AMOS 4.0.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 attachments, self-control ability and school adjustment. Finally, the structural equating model was verified to figure out the self-control ability as the medi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re mother attachments are stable, the more self-control ability is. And the more mother attachments are stable, the easier the students adjust themselves to school life. Self-control ability can easily be predicted through communication and sense of alienation which are dependent variables of the mother attachments. Second, mother attachments had a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ability by the medium of the self-control ability. In the process of the structural equating model verification, it was confirmed a partial mediation effect that mother attachments had direct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ability as well as in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by the medium of the self-control ability. Based on the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어머니의 내,외통제성과 자녀의 창의적 인성 및 창의적 사고력과의 관계 -아동학과 유아교육과 학생을 대상으로-

        성은현 ( Eun Hyun Su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04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1 No.4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others`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daughters` and sons`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The 62 students majoring in child studie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well as their mother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others` internal locus of control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to the autonomy, openness, curiosity and total score of creative personality of their daughters and sons. And it was also correlated with the flexibility, originality and total score of creative thinking ability of their daughters and sons. But the mothers` external locus of control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ose factor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demonstrated that the mothers` internal locus of control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daughters` and sons` creative personality (autonomy, openness, curiosity and total score)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total score), while the mothers` external locus of control wasn`t a significant predictor of those factors. Finally the daughters` and sons`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belonging to the high mothers` internal locus of control group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low internal locus of control group. In contras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high mothers` external locus of control group and the low mothers` external locus of control group, in the daughters` and sons`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thers` internal locus of control is a very important factor to facilitate their daughters` and sons`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 KCI등재

        보육교사의 소진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유연성에 의한 분노조절능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현순,서주현 가정과삶의질학회 2023 가정과삶의질연구 Vol.41 No.4

        This paper attempted to verify the controlled mediating effect of anger control ability by cognitive flexibility in the effect of child care teacher burnou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To this end,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370 childcare teachers currently serving as homeroom teachers in the infant class at the daycare center from October 18, 2022 to November 7, 2022, and the final 325 copies were analyzed except for the questionnaire of unfaithful answers. For data analysis, model No. 4 and No. 14 of SPSS PROCESS macro were verified using the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and the SPSS PROCESS macro 4.2 program. The main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burnout on active participation in activities, diversity of experiences, responsive attitudes, and acceptable attitudes, which are sub-factors of teacher-child interaction, is mediated by anger control ability. This suggests that policy efforts should be made to prepare and provide ways to improve the anger control ability of childcare teachers so that they can help the development of infants through enhancing interaction with teacher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anger control ability by cognitive flexi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care teachers’ burnout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including its sub-factors active participation in activities, diversity of experiences, and responsive attitudes. This suggests that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at can improve cognitive flexibility is needed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infants and toddler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bility to control oneself and solve problems in difficult situations experienced by childcare teachers. This study verified a specific path of mediation of anger control ability and controlled mediation of anger control ability by cognitive flexibility on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burnou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Through this, it will contribute as basic data for intervention to promote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and infants. 본 논문은 보육교사의 소진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 유연성에 의한 분노조절능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에서 현재 영아반 담임으로 재직 중인 보육교사 370명을 대상으로 2022년 10월 18일부터 2022년11월 7일까지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한 답변의 설문지는 제외하고 최종 325부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통계 프로그램과 SPSS PROCESS macro 4.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ronbach’s α, Pearson의 상관계수, SPSS PROCESS macro의model 4번, Bootstrapping, PROCESS macro의 model 14번, Johnson-Neyman을 분석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와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 소진이 교사-영아 상호작용 하위요인인 적극적인 활동 참여, 경험의 다양성, 반응적 태도, 허용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분노조절능력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와의 상호작용증진을 통해 영아의 발달을 도울 수 있도록 보육교사의 분노조절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제공할 수 있는 정책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보육교사의 소진과 교사-영아 상호작용 전체 및 하위요인 중 적극적인 활동 참여, 경험의 다양성, 반응적 태도 간의 관계에서인지적 유연성에 의한 분노조절능력의 유의미한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영유아의 발달을 지원하는 보육을 위해 인지적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사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운 상황에서 스스로를 통제하여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소진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이 분노조절능력에 의해 매개되며 인지적 유연성에 의해 조절되는구체적인 영향의 경로를 밝혔다. 이를 통해, 보육교사와 영아 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기 위한 개입의 기초자료로 기여하게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