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평가’ 방법의 재고

        이명실 한국작문학회 2008 작문연구 Vol.0 No.6

        In this study, it was discussed about how to evaluate the academic writing. Is there a standardized index to evaluate the academic writing made by learners in university? If so, what items are those standardized index made up of? Can we prove the fairness and objectivity of those items without raters' subjectivity? It was discussed about what must be considered, for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academic writing educational programs in university, to have objectivity, validity, and reliability. To be considered in the first place is the fairness and objectivity of those evaluation methods. This is due to alterability and ambiguity of those raters' standards, which means that learners don't agree with the standards of evaluation methods. But if those standards are clear enough to obtain learners' consents, there will not be “right and wrong” on the fairness and objectivity of the evaluation methods. It was suggested that educational objectives should be defined in behavior terms to present clear standards. These behaviorally stated objectives can make learners know what behavior they should do and participate in an active process which involves active efforts of the learners themselves. Secondly, evaluation methods have to include various kinds of evaluation methods, which means learners' academic writing abilities should not only be evaluated by their written results, but also by their writing process. That is, more reasonable evaluation methods of the academic writing in university must not only contain evaluation of written results, but also that of writing process. And it also needs not only summation evaluation method, but also formative evaluation method, diagnostic evaluation method and ability/growth referenced evaluation method. Usually, evaluation is used to measure the achievement of educational goals or objectives after completion of the whole educational process. However, in other words, evaluation can be starting point of whole educational process. The contents of evaluation can be helpful to decide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to achieve defined goals. It can also afford materials to meet the next educational courses. Therefore, the meaning of “evaluation” needs to be changed into “evaluation on the whole edu- cational processes.” 본 연구에서는 대학 글쓰기에서 평가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가지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학생들이 쓴 글을 평가하는데 표준화된 지표는 존재할 수 있는가? 있다면 그 항목은 어떻게 설정되어야 하나? 평가자의 주관을 배제한 공정성·객관성은 담보될 수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현재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글쓰기 교육에서 평가가 객관성, 타당성, 신뢰성을 갖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의 측면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았다. 먼저, 평가에서 많이 지적되는 점은 평가의 객관성, 공정성의 문제이다. 이는 평가의 기준이 분명하게 제시되지 않거나 기준이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에 기인한다. 즉 평가자의 기준에 학생들이 동의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학생들도 공감할 수 있는 분명한 기준을 제시한다면 공정성, 객관성의 시비는 줄어들 수 있을 것이다. 분명한 기준을 제시할 수 있는 방법으로 수업 목표를 구체적인 행동적 용어로 진술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는 학생이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가를 분명히 제시해 주어 학습 참여도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된다. 다음으로 다양한 평가 방법을 동원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는 완성된 글만을 가지고 학생의 전체 글쓰기 능력을 측정할 것이 아니라 글쓰기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중시해야 한다는 논리에 근거한 것이다. 즉 결과 평가만이 아니라 과정 평가도, 총괄평가만이 아니라 형성평가와 진단평가도, 그리고 능력참조평가와 성장참조평가도 활용한다면 평가의 적절성이 보다 담보될 수 있으리라 본다. 흔히 평가는 학업 성취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고 모든 수업 활동이 일단락 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바꾸어 생각하면 평가는 모든 수업활동의 출발점이 되기도 한다. 평가의 내용은 당연히 수업에서 도달해야 할 목표이며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진 수업 내용이 되며, 다음 수업의 목표 설정과 수업 내용의 결정에 기반 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따라서 ‘평가’의 의미를 수업이 이루어지는 전체 과정이라는 측면에서 재설정하는 관점의 전환이 요구된다.

      •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평가" 방법 재고

        이명실 ( Myung Sil Lee ) 한국작문학회 2008 작문연구 Vol.0 No.6

        본 연구에서는 대학 글쓰기에서 평가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가지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학생들이 쓴 글을 평가하는데 표준화된 지표는 존재 할 수 있는가? 있다면 그 항목은 어떻게 설정되어야 하나? 평가자의 주관을 배제한 공정성·객관성은 담보될 수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현재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글쓰기 교육에서 평가가 객관성, 타당성, 신뢰성을 갖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의 측면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았다. 먼저, 평가에서 많이 지적되는 점은 평가의 객관성, 공정성의 문제이다. 이는 평가의 기준이 분명하게 제시되지 않거나 기준이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에 기인한다. 즉 평가자의 기준에 학생들이 동의하지 않는 다는 것이다. 그러나 학생들도 공감할 수 있는 분명한 기준을 제시한다면 공정성, 객관성의 시비는 줄어들 수 있을 것이다. 분명한 기준을 제시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수업 목표를 구체적인 행동적 용어로 진술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는 학생이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가를 분명히 제시해 주어 학습 참여도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된다. 다음으로 다양한 평가 방법을 동원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는 완성된 글만을 가지고 학생의 전체 글쓰기 능력을 측정할 것이 아니라 글쓰기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중시해야 한다는 논리에 근거한 것이다. 즉 결과 평가만이 아니라 과정 평가도, 총괄평가만이 아니라 형성평가와 진단평가도, 그리고 능력참조평가와 성장참조평가도 활용한다면 평가의 적절성이 보다 담보될 수 있으리라 본다. 흔히 평가는 학업 성취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고 모든 수업 활동이 일단락 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바꾸어 생각하면 평가는 모든 수업활동의 출발점이 되기도 한다. 평가의 내용은 당연히 수업에서 도달해야 할 목표이며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진 수업 내용이 되며, 다음 수업의 목표 설정과 수업 내용의 결정에 기반 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따라서 ‘평가’의 의미를 수업이 이루어지는 전체 과정이라는 측면에서 재설정하는 관점의 전환이 요구된다. In this study, it was discussed about how to evaluate the academic writing. Is there a standardized index to evaluate the academic writing made by learners in university? If so, what items are those standardized index made up of? Can we prove the fairness and objectivity of those items without raters` subjectivity? It was discussed about what must be considered, for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academic writing educational programs in university, to have objectivity, validity, and reliability. To be considered in the first place is the fairness and objectivity of those evaluation methods. This is due to alterability and ambiguity of those raters` standards, which means that learners don`t agree with the standards of evaluation methods. But if those standards are clear enough to obtain learners` consents, there will not be “right and wrong” on the fairness and objectivity of the evaluation methods. It was suggested that educational objectives should be defined in behavior terms to present clear standards. These behaviorally stated objectives can make learners know what behavior they should do and participate in an active process which involves active efforts of the learners themselves. Secondly, evaluation methods have to include various kinds of evaluation methods, which means learners` academic writing abilities should not only be evaluated by their written results, but also by their writing process. That is, more reasonable evaluation methods of the academic writing in university must not only contain evaluation of written results, but also that of writing process. And it also needs not only summation evaluation method, but also formative evaluation method, diagnostic evaluation method and ability / growth referenced evaluation method. Usually, evaluation is used to measure the achievement of educational goals or objectives after completion of the whole educational process. However, in other words, evaluation can be starting point of whole educational process. The contents of evaluation can be helpful to decide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to achieve defined goals. It can also afford materials to meet the next educational courses. Therefore, the meaning of “evaluation” needs to be changed into “evaluation on the whole edu- cational processes.”

      • KCI등재

        수능 영어 20년 : 회고와 전망

        김용명(Yong Myeong Kim) 한국영미어문학회 2015 영미어문학 Vol.- No.119

        This study has attempted to explore a desirable direction for English evaluation in the future. In exploring into this, it surveyed the history of the English Domain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s (CSAT) for the last 20 years. On the basis of these transition processes, it discussed the merits and the demerits of the CSAT that has had effects on English education and Korean society. Through these discussions and taking consideration into the changes of educational and social environment such as the introduction of criterion-referenced evaluation into the English Domain of CSAT in 2018 school year and the rapid developments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n recent years, this study has proposed a new paradigm of English education from which the three directions for English evaluation in the future can be derived: the shift from the normreferenced to the criterion-referenced evaluation, from the evaluation of learning to the evaluation for learning, and from the collective and uniformed evaluation to the individual and diversified evaluation based on the ICT.

      • KCI등재

        영어 절대평가 체제 하에서 고등학교 내신 성적의 의의

        김용명,권영준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2017 영어어문교육 Vol.23 No.4

        In Korea, two major criteria for student selections are utilized in university admissions systems: the scores of classroom English tests in high school, the scores of English Test in CSAT. Under this situation, this study has attempted to explore the consequences of the scores of English classroom tests in high school on classroom English education and college admissions under the criterion-referenced English Test in CSAT implemented in 2018 school yea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scores of classroom tests and those of the English Test in CSAT from 400 students of a high school.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two scores is 0.77. It is expected that this high correlation entails high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the high school grades, which shows the high probability for the English test in CS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