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수련시설에 대한 시설운영자 및 청소년 요구 분석

        김경준,강경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6

        Objectives According to the recent changes in the policy environment change and the ever shifting needs of the times and society, this study aims to prepare for such changes by examining plans for youth facilities and space innovation. Methods n order to come up with innovative measures for youth facilities and spaces, an opinion survey was developed as the main methodology. The final 523 case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by conducting an online survey of 799 youth training facilities nationwide. The youth demand survey was conducted with teenagers who have used youth training facilities to better understand and possibly incorporate their needs for facilities and spaces, and 1,028 cases were finally investigated and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activity level of workers in youth training facilities, it was necessary to review the installation and standards. Second, as a result of the fitness of the youth training facility common standards, the fitness of the facility was found to be relatively low. Third, regarding the facilities and spaces of youth training facilities to be improved, ‘the location is far and difficult to find’, ‘the facility is old’, ‘the facility or space is narrow’, etc. Conclusions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new classification of youth training facility types is required. Second, revision of facility standards for future-oriented youth facilities is required. For future-oriented innovation of youth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common standards and individual standards of youth training facilities by collecting opinions of youth and related experts.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youth-friendly facility spaces, and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nd arrange flexible and youth-led facilities and spaces.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정책 변화와 시대적⋅사회적 요구에 따른 청소년수련시설에 대한 기능과 역할 변화를 모색하고, 청소년수련시설 및 공간 혁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청소년수련시설 종사자 및 청소년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청소년수련시설 종사자 의견조사는 전국 799개 청소년수련시설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하여 전수 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523 사례가 조사⋅분석되었다. 청소년요구조사는 청소년들의 수련시설의 시설⋅공간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청소년수련시설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청소년들을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028개의 사례가 조사⋅분석되었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수련시설에 대한 종사자를 대상으로 중요도와 활동도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설치 및 기준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였다. 둘째, 청소년수련시설 공통기준 적합도 결과, 시설의 적합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수련시설의 시설⋅공간에 대한 개선해야 할 사항에 대해서는 ‘위치가 멀어서 찾아오기가 어렵다’, ‘시설이오래되었다’, ‘시설이나 공간이 좁다’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 및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수련시설 유형의 새로운 분류가 요구된다. 둘째, 미래지향적인 청소년수련시설을 위한 시설 기준의 개정이 요구된다. 미래지향적인 청소년 시설의 혁신을 위해서는 청소년과 관련전문가의 의견 수렴을 통한 청소년수련시설의 공통기준과 개별기준의 개정이 필요하다. 셋째, 청소년 친화적 시설공간의 확대가 필요하며, 가변적이고 청소년 주도적인 시설 및 공간의 구성과 배치가 필요하다.

      • ⻘少年修錬活動の満⾜度に関する研究 -釜山・慶南地域を事例として-

        鄭徹相 한국이벤트학회 2019 융합콘텐츠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청소년 수련활동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모색해 만족도 향상에 관한 연구를 위해 현장조사방법을 적용하고 구체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였다. 부산과 경상 남도에 소재한 총 10개의 청소년수련시설을 이용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 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과 경상남도의 청소년수련시설 이용실 태 및 개선점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둘째, 청소년들이 수련활동에 참여하고 지도하는 지도사에 대한 요구와 요구도를 조사 분석 하였다. 셋째, 생활권 수련시설 프로그램에 대한 청소년들의 만족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년시설이 청소년에게 전반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고 이를 수련활동에 전념하는 문화 공간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시설의 적극적인 개선과 홍보가 필요하다. 수련시설에 있어서 는 직접적인 활용과 운영절차를 통해 문화인으로서의 청소년의 자부심을 높이고, 불편함 의 파악과 개선점 및 운영상 반영을 통해 청소년 문화의 메카로 자리잡기 위한 편의성 제고 노력이 필요하다. 부산과 경상남도 생활권에서의 청소년수련활동 활성화를 위해서 는 각 지역의 청소년전문가, 학교교육자, 건축가 등 전문가의 행보가 수련활동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또한, 취미활동, 영상매체 이해 왈동, IT캠프활동, 장애청소년 의 스포츠활동을 이해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할 것이다. 청소년의 주요 목표인 창조, 진보적 도덕, 미래를 위한 준비에 보다 다양하고 매력적인 시설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지도사에 대한 재교육과 함께 다양한 활동 장비와 교보재를 친숙하게 해야 하며, 필요한 지도사를 위한 원활한 교수법과 재교육 시설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plores ways to enhance the youth’s satisfaction by locating problems with the training activities for the youth, and seeks to suggest reform plans for them. The study applied a field investigation method and used a questionnaire survey. The youth using 10 youth training facilities located in Busan and Gyeongsangnam Province were surveyed with a questionnaire. For the study purpose, first, the study looked at and analyzed the status of use and reformative points for the youth training facilities in Busan and Gyeongsangnam Province. Second, the youth's demand and the degree of their demand for instructors participating in guiding training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ird, the youth's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s at training facilities in their living areas was explored and analyzed.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ctive improvement and promotion of facilities is necessary for the youth facilities to produce an overall mood and for the youth to perceive them as a cultural space dedicated to training activities. As for training facilities, through direct utilization and management procedures, efforts should be made to elevate the youth's pride as civilized people, and to secure these facilities as the mecca of the youth culture by understanding convenience and reformative points in them, and reflecting these in operating them.In order to vitalize the youth training activities in living areas in Busan and Gyeongsangnam Province, each group of experts like the youth specialists, educators at schools and architect specialists of the regions, will have to raise the youth’s satisfaction with training activities. More programs to help the youth understand hobby activities, image media, IT camp activities, and sports activities for the youth with disabilities should be developed and made available. In addition, more diverse and attractive facilities for the youth's main goals, such as preparations for creation, progressive morals and future, recreation, need to be provided. The instructors should be re-trained and get familiar with various kinds of activity equipment and aid tools, and smooth teaching methods, as well as the re-training facility for the instructors, are necessary.

      • KCI등재

        청소년 수련활동의 인식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반건우,박종운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020 水産海洋敎育硏究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youth training activities as part of a basic study to find ways to promote them in general. In order to achieve research purposes, the survey on overall training activities was conducted on students,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who use training facilities to analyze data on their responses. T- or F-testing was performed to analyze differences in preference for training activities. For the analysis of the above mentioned data, the SPS 24.0 Statistical Pekage was used. First, after analyzing the purpose of participating in the training activities, 33.2 percent of teachers and 30.4 percent of parents choose career and academic guidance for the purpose of participating. Second, after analyzing the timing of their desire to participate in training activities, everyone preferred fall. Third, an analysis of places where people want to participate in training activities showed that the most preferred mountain areas (47.1 percent) were the entire subjects. Based on what has been studied so far, the following results can be made. First, standards for training facilities should be set up at a broader level and the utilization rate of secured training facilities should be improved and increased as well as quantitatively secured. Second, training facilities are desperately in need of serious research on training activities, abandoning stereotypes. Third, youth training facilities consisting of public institutions should be lavishly provided with institutional and mater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s a venue for the youth’s all-round lifelong education activities.

      • Research on The Enlightenment of High-Level Sports Teams to Grassroots Youth Training——Based on the Successful Experience of Chinese Track and Field Team in Recent Years

        Yang Qian(杨,乾),Li Liqiang(李利强),Zhang Junxiao(张,君孝) 아시아사회과학학회 2022 International Science Research Vol.2 No.1

        近年来中国田径在世界大赛中的成绩突飞猛进。剖析近年来中国田径成绩飞速增长的主要原因,整理并研究其训练方法和训练理念,对服务青少年运动日常训练,助推基层青少年田径训练的新路径意义重大。本文通过查阅文献资料逻辑分析等方法,对中国田径取得成绩进行了经验总结,以求为青少年训练获得启示。研究表明:国家队运动员训练目的很明确,注重技术训练、节奏训练;准备活动在训练中占比很大,跟基层训练有着较大的差距,注重训练的细节化;有先进的训练理念,并且不断尝试创新训练。 In recent years, China s track and field achievements in the world championships have made rapid progress.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o analyze the main reasons for the rapid growth of China s track and field achievements in recent years, and to sort out and study the training methods and training ideas, so as to serve the daily training of youth sports and boost the new path of track and field training of grassroots youth. This paper summarizes the experience of China s track and field achievements through logical analysis of literature, in order to get enlightenment for youth training. The research shows that: the national team athletes have a very clear training purpose, pay attention to technical training, rhythm training; Preparation activities in the training accounted for a large proportion, with the grassroots training has a large gap, pay attention to the training of the details; Have advanced training concept, and constantly try innovative training.

      • KCI등재

        청소년이 바라는 청소년수련시설의 공간에 대한 탐색적 연구: 마포구 청소년 인터뷰를 중심으로

        조미영,장여옥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24 청소년시설환경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서 청소년이 바라는 공간과 관련하여 실제적인 일상을 조사하고 청소년수련시설에서 청소년들이 이용하고 싶은 공간에 대한 생각과 의견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청소년수련시설을 알고 있거나 이용 경험이 있는 청소년 30명을 선정하여 2023년 8월 30일부터 9월 16일까지 그룹별 표적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인터뷰 질문은 연구진간 논의를 거쳐 만든 반구조화 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3개의 대주제와 9개의 하위주제, 21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첫째, ‘일상에서의 일화’에서는 마음 편하게 휴식할 공간을 찾아서, 폐쇄적 공간부터 개방적 학습공간까지, 골목에서 체육시설까지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둘째, ‘부족한 청소년 공간’에서는 휴식과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공간 부족, 고비용과 알맞지 않은 학습공간, 거리‧환경의 제약 없는 스포츠공간 부재가 드러났다. 셋째, ‘바라는 이용공간의 형태’에서는 머무를 수 있고 자유로운 휴식공간, 집중할 수 있고 학교급이 분리된 학습공간, 청소년 전용 실내 스포츠 공간이 제시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휴식공간의 확장과 적극적 홍보 방안 모색, 청소년 친화적 학습공간 구성, 청소년이 바라는 스포츠 공간으로의 재구성 등이 논의되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이 바라는 휴식, 학습, 스포츠공간과 관련하여 실제 청소년들의 일상 경험을 조사하고 탐구하면서 그 실상을 드러나게 하였으며, 청소년수련시설의 기능 중 하나인 청소년 이용 시설 측면에서 휴식, 학습, 스포츠 기능을 갖춘 공간에 대한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daily life in relation to the space desired by youth in the community and to explore in-depth thoughts and opinions about the space that youth want to use in youth training facilities. To this end, 30 youth who know or have used youth training facilities were selected and a focused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for each group from August 30 to September 16, 2023. The interview questions in this study used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created through discussions between researche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interview, 3 main topics, 9 sub-themes, and 21 semantic units were derived. First, 'everyday incidents' derived from finding comfortable spaces for relaxation, ranging from enclosed areas to open study spaces, from alleys to sports facilities. Second, 'the lack of youth spaces' revealed a shortage of spaces for relaxation and stress relief, inadequate and inappropriate study spaces due to high costs, and a lack of sports spaces without constraints of distance or environment. Third, 'the desired forms of utilization spaces' included a comfortable and free relaxation area, a focused and school-grade separated study space, and a dedicated indoor sports space for youth. Based on these findings, discussions were held on expanding youth relaxation spaces, exploring active promotional strategies, creating youth-friendly study environments, and reconstructing sports spaces according to the preferences of youth.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a specific plan for a space with rest, study, and sports functions in terms of youth facilities, one of the functions of youth training facilities.

      • KCI등재

        청년고용정책 관련 법률에 관한 소고

        양승광(Yang, Seunggwang)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法學論叢 Vol.37 No.-

        대한민국 헌법 제32조 제1항은 근로를 모든 국민의 권리로 규정하고, 이를 보장하기 위해 국가에게 고용 증진 노력 의무를 부여한다. 이에 따르면 모든 국민은 근로할 수 있는 권리를 보편적으로 보장받아야 한다. 만일 모든 국민들 중 어떤 특정 계층의 실업률이 두드러지게 높다면, 이들에 대한 국가의 고용 증진 노력이 미흡하거나, 노력의 방향 설정에 오류가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도 있다. 이 글은 청년고용정책 관련 법률 및 이에 근거한 사업들을 살펴봄으로써 현행 청년고용정책 방향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법률에 나타나는 청년고용정책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보조금 지원 및 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직업능력개발훈련의 지원으로 구성된다. 중소기업에 보조금을 지원한다면, 그리고 청년구직자의 능력이 신장된다면, 청년취업이 늘어날 것이라는 생각이 전제되어 있어 보인다. 청년실업의 원인을 산업수요와 교육훈련의 괴리에서 찾고 있다. 이는 문제를 청년이 아닌 기업 관점에서 바라보았기 때문이다. 산업수요와 교육훈련의 괴리를 강조하면 할수록 효과성 있는 정책의 발견은 요원해진다. 전체 개인의 직업능력이 향상된다고 해서 일자리의 숫자가 늘어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근로가 국민의 권리임을 상기한다면, 청년실업의 원인 또한 청년의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한다. 이럴 경우에야만 청년들의 구직준비기간과 이직률을 줄여 청년실업률을 완화시킬 수 있는 정책이 나올 수 있게 된다. 청년의 관점에서 청년실업의 가장 큰 원인은 양질의 일자리 부족에 있다. 청년실업의 원인 중 하나로 이야기되는 학력 과잉 역시 양질의 일자리 부족에서 기인하는 청년들의 전략적 선택에 불과하다. 산업훈련과 교육훈련의 괴리 역시 일자리 부족을 전제로 청년들의 낮은 직업능력을 탓하는 것 역시 일자리 부족에서 기인한다. 따라서 청년고용정책의 방향은 양질의 일자리 공급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Article 32 (1)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stipulates that all citizens shall have the right to work and the State shall endeavor to promote the employment. Therefore, all citizens should be guaranteed a universal right to work. If a ceratin social stratum’s high unemployment rate is particularly high, it may signal the government’s lack of endeavor to promote employment or a misguided policy. This paper aims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the current youth employment policy of the government by examining related laws and the government programs implemented on the basis of the laws. Youth employment policies stated in laws are either in the form of providing state subsidies or supporting job skill training programs for the youth. These policies seem to have an assumption that state subsidies to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ies and the enhanced capabilities of young job seekers would lead to growth in youth employment, concluding that youth unemployment is attributable to the training programs failing to meet employer needs. However, this approach is too focused on employer perspectives. Highlighting the failing training programs makes it only difficult to develop an effective youth employment policy because enhanced individual capabilities do not translate into job creation. As all citizens have a right to work, we should recognize the cause of the youth unemployment problem from the viewpoint of the youth. This is the only way we can formulate an effective policy that can help decrease the duration of job-searching the labor turnover rate, thereby reducing youth employment. From the standpoint of the youth, the main culprit of the problem is a shortage of decent works. Overeducation is often cited as a cause of youth unemployment. Nonetheles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youth, receiving higher education is just one of the strategies to land a decent work. The real cause of youth employment lies in job shortages, not in training programs or skill mismatch. Thus, youth employment policy should shift towards providing decent works.

      • 청소년 수련활동에 대한 인식과 만족에 관한 연구

        반건우 ( Ban Gun-woo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인성교육연구원 2019 인성교육연구 Vol.4 No.1

        오늘날 우리나라의 청소년들은 급변하는 사회의 시대변화와 학력, 학벌 중시에 따른 학업 부담에 적응해나가기 위해 매우 혼란스럽고 어지러운 시기를 보내는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대적 배경을 바탕으로 청소년 수련활동 전반에 대해 연구해보자 한다. 먼저 초·중·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청소년 수련활동 전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수련활동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수련활동 후 만족도를 분석하여 현재 운영되고 있는 수련활동의 문제점을 제시하여 청소년 수련활동의 활성화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수련활동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학생들의 수련활동 인식과 만족도는 학생 변인별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그에 따른 개선방안은 첫째, 수련시설 기준을 좀 더 광범위한 차원에서 마련하고 양적 확보 뿐 아니라 확보된 수련시설의 이용률을 향상·증대시켜야 한다. 둘째, 수련시설은 고정관념을 버리고 수련활동에 대한 진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 끝으로 공공기관으로 구성된 청소년 수련시설은 청소년의 전인적인 평생교육 활동의 장으로서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제도적, 물질적인 실질적 지원을 아낌없이 제공 받아야 할 것이다. The results of the study derived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me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found that the youth participants felt satisfactory with the training activities; Its whole satisfaction degree was higher than average. It was disclosed that their satisfaction on the trainers was the highest among four factors which gave them satisfaction.It shows the fact that the quality and orientation of the training depend on the role of the trainers who can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the trainees during the training period. The differences of satisfaction degre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not conspicuous. The result of analysis according to school grades showed that the eighth grade students got the highest satisfaction degree. The questionnaire needed to der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44 questions based on the questionnaire used in the study on the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of youth training activities studied by Kim Chang-hyun (2008), and the collected data processing program was used for processing the STSS 22.0 statistic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students' awareness and satisfaction with training activities varied by student variants, and the corresponding improvement measures should first be prepared at a broader level and the standards of training facilities should be developed and quantitatively secured as well as improved and increased the utilization rate of the secured training facilities. Second, training facilities are in dire need of serious research on training activities, abandoning stereotypes. Finally, youth training facilities consisting of public institutions should be provided with substantial institutional and mater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s a venue for youth's overall lifelong education activities.

      • KCI등재

        비진학청소년의 자립을 위한 사회적 기업 성공요인 분석: 영국의 PM Training을 중심으로

        박창남 ( Chang Nam Park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5 청소년복지연구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uccess factors of PM Training, the social enterprise in England to support self-reliance for unemployed & low-educated youth by providing job training and employment. I made a research model that is composed of six success factors for analysis by reviewing existing researches. I applied the research model to PM Training.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s. First, PM Training designed training program that has a close connection with Traineeship and Apprenticeship. So the organization was able to get government grant stably. Second, PM Training was able to manage Traineeship and Apprenticeship flexibly because the organization did not only provide training but also get profit through homeworks. Third, PM Training succeeded in developing a new business, officeworks by adapting well to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labor market in the community. And the organization was able to get public revenue and private resources simultaneously through the homeworks. And the organization reinvested profits to job training and employment and gave it back to community. Fourth, PM Training had a strong responsibility for youth and stick to the principles of respect and individualization of youth. Fifth, PM Training had a democratic process of decision making through board and executive team. Sixth, PM Training had partnership actively with companies of private and public sector. Finally I mentioned som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 KCI등재

        일제강점기 조선인 군사훈련 현황

        표영수 숭실사학회 2013 숭실사학 Vol.0 No.30

        아시아ㆍ태평양전쟁기 일제는 21만여 명의 조선인들을 일본 군대의 군인으로 강제동원하였다. 그리고 일제는 조선인 군인동원을 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조선인에 대한 군사교육 및 훈련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일제강점기 조선인에 대한 군사훈련 방식은 학교교육과 사회교육, 그리고 조선총독부 군사훈련기관을 통한 군사훈련으로 구분된다. 이 가운데 학교 교육에서는 교련을 통하여 군사훈련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학교에 진학하지 않은 일반 청년에 대해서는 일본어 교육과 ‘황민의식’의 주입은 물론 기초적인 군사훈련을 실시하기 위하여 사회교육의 차원에서 청년훈련소를 비롯하여 조선청년특별연성소, 장정훈련소 등 다양한 형태의 기구를 설치, 운용하였다. 또한 일제는 1938년 육군특별지원병제도의 실시와 함께 ‘조선총독부육군병지원자훈련소’를 설치 운영하는 한편 1943년에는 해군특별지원병제도의 실시에 따라 ‘조선총독부해군병지원자훈련소’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1944년 징병제가 실시됨에 따라 기존의 ‘조선총독부육군병지원자훈련소’를 폐지하고 징병대상자들을 대상으로 ‘조선총독부군무예비훈련소’를 설치하였다. 이들 조선총독부육군병지원자훈련소와 해군병지원자훈련소, 군무예비훈련소는 조선인 군인동원을 위해 조선총독부와 조선군사령부에 의해 직접 설치, 운영된 군사훈련기관으로서의 성격을 가지는 것이었다. 이상과 같은 일제의 조선인에 대한 군사훈련은 전쟁의 장기화와 전장에 확대에 따라 조선인을 군인으로 동원하였을 때 일본 군대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 당시 각각의 군사훈련 내용을 살펴보면 우선 1942년 이후 육군 현역 장교가 배속된 학교의 교련 교수시간은 중학교의 경우 5년간 총 430시간의 교련과 23일간의 야외연습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학교교육의 군사훈련은 실업학교, 사범학교, 양성소, 대학예과전문학교, 전문학교, 대학 등 상급학교에서도 교련 및 야연연습 시간이 각기 책정되었다. 또한 보통학교 졸업 이후 상급학교에 진학하지 않은 청년들에 대한 사회교육과 관련하여 청년훈련소 본과의 경우 4년간 총 350시간의 교련이 실시하였고, 조선청년특별연성소의 경우 1년간 총 200시간의 교련 및 근로작업을 실시하였다. 특히 조선청년특별연성소의 경우 이곳에서의 연성과정을 통하여 군인 및 노무자로 동원하였다. 그리고 조선인 군인동원이 본격적으로 실시됨에 따라 설치된 조선총독부육군병지원자훈련소의 경우 구체적인 시간은 확인할 수 없으나 주된 훈련 내용으로 보통학과와 술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가운데 술과의 경우 교련이 포함되어 있다. 조선총독부해군병지원자훈련소의 경우 6개월의 훈련기간 동안 보통학 500시간과 술과 340시간으로 책정되어 있었으며 이 가운데 술과의 경우 해군동원과 관련하여 직접적인 군사훈련이 실시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총독부군무예비훈련소에서의 훈련은 주당 총 39시간의 교육시간이 책정되어 있었으며 제1부의 경우 2개월(1944년도의 경우 40일), 제2부의 경우 6개월(1944년도의 경우 5개월)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주당 39시간 가운데 일본어와 교련이 각기 10시간(26%)씩 가장 많은 시간이 배정되어 주로 일본어 보급과 군사훈련에 중점을 두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In the period of Asia-Pacific War, the Japanese imperialism forced 2.21 million of Koreans to mobilize the Japanese army. And the Japanese imperialism conducted the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in various ways in order to mobilize Koreans to the Japanese army. The ways of military training to Koreans in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divided into school education, social education, and military education through the institutions of military educat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In these, the school education was conducted by high school drill. And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established and operated in the aspect of social education the various forms of institutions such as Korean Youth Special Camp, Youth Adult Training Center, including Youth Training Center, and conducted the basic military training, as well as educated the Japanese language and infused the sense of people of the Japanese emperor to those who did not enter school. The Japanese imperialism established and operated the Army Training Center for Volunteer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along with enforcement the Army Special Volunteer System in 1938, and the Navy Training Center for Volunteer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according to enforcement of the Navy Special Volunteer System in 1943. As the conscription was enforced in 1944, the existing ‘Army Training Center for Volunteer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was abolished and ‘Preliminary Camp of Military Affairs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was established for the draft. Army Training Center for Volunteer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Navy Training Center for Volunteer, and Preliminary Camp of Military Affairs was installed directly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and Korean Military Headquarters in order to mobilize the Koreans to Japanese army, which had the character as a military training institutions. The military training of the Japanese imperial to Koreans, as the war was protracted and the battlefield was expended, intended to adapt Koreans to Japanese army, when they was mobilized to it. Looking at the contents of each of the military training, after 1942 the instruction time of the school that assigned the army active officer was in the case of middle school total 430 hours of school drill and 23 days of field training during 5years. And in the senior school such as trade school, a teacher-training institution, training school, Preparatory a vocational school, technical school, university, these military training of school education also involved the training time of the school drill and field training. In the case of social education to those who did not enter senior school after graduation from primary school, the regular course of Youth Training Center educated the school drill in total time of 350 hours during 4 years, and Korean Youth Special Camp educated the school drill in total time of 200 hours during 1year and conducted the labor work. Especially, Korean Youth Special Camp mobilized Koreans to army and laborers through the soft curriculum. The Army Training Center for Volunteer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installed as the military mobilization was conducted on a full scale seemed to have the primary department and art department involving the high school drill in the main education program, although we could not confirm the specific time for education. The Navy Training Center for Volunteer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arranged the education time for respectively 500 hours of primary education and 340 hours of art department involving directly military education for navy mobilization. The training of Preliminary Camp of Military Affairs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involved the time for education of 39 hours per week, and Department1 involved 2months(40days in 1944), and Department2 6 months(5 months in 1944). And The time for education of Japanese language and high school drill was respectively 10 hours(26%) which was the very much time, through this, it was seemed to focus on the diffusion of Japanese language and the military training.

      • KCI등재

        제주시 청소년정책의 핵심사업 분석 : 제3기 지역사회복지계획을 중심으로

        강세현(Sei Hyon Kang) 제주학회 2015 濟州島硏究 Vol.43 No.-

        이 글의 연구 목적은 청소년정책 관련 법률과 정부정책을 검토하고, 이에 기초하여 제주시 청소년정책을 제3기 제주시지역사회복지계획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글에서는 문헌연구법과 기존 사회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연구 내용은 청소년정책 관련 법률 검토, 정부정책 검토, 제주시 청소년 관련 현황 분석, 제주시 청소년정책의 핵심 세부사업 분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글의 연구 주제언 제주시 청소년정책의 핵심 세부사업 분석 결과는 이렇다. 첫째, 청소년의 특성을 고려하여 맞춤형 청소년 집단활동 프로그램은 모든 청소년들이 모험심과 개척정신을 기르고 건강한 사회구성원의 일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자연체험 또는 현장체험 중심으로 실시하며, 나아가 다양한 청소년 욕구에 부응하고, 창의성 개발과 인성 함양에 기여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 둘째, 청소년들이 일상생활권에서 여가와 휴식시간을 활용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문화· 여가· 직업체험 등 다양한 프로그램과 친교활동을 체험할 수 있는 최상의 청소년활동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청소년들의 건전육성 기반을 조성해 나갈 필요가 있다. 또한 근린생활지역에 소규모 다기능시설을 갖추어 청소년들이 문화적 욕구를 자발적으로 표현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활동 공간을 지속적으로 보강하고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이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서는 청소년보호 및 자립을 위한 실질적인 프로그램과 환경을 제공하여 청소년의 학업 취업 직업훈련을 통한 자립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학교 밖 청소년의 자립 지원을 위해 학업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 기관과 연계 및 지원이 필요하고,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직업훈련의 장을 마련하여 취업에 대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특히 사례관리를 하면서 학교 밖 청소년들이 열린 마음을 가지고 자발적으로 상담에 응하고 스스로 길을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youth policy in Jeju si. The method I shall follow is to analyse the existing documents and public statistical 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re program and service of youth policy is as follows. First, youth group program have to focuse on nature or actual spot experiential activity considering the soci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youth in order for youth to be grown as a healthy member of our society. It hav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fostering accrding to the need of youth. Second, it is needed that youth make use of youth spare time and practice all kinds of program and friendly relation activity such as culture, leisure, job experience in the most environment . And it is needed that the youth activity space such as youth training facilities are continually reinforced administratively and financially in order for youth to voluntarily experss their cultural needs. Third, it is need that the actual program and environment ot support the protection and self-feliance of deviant youth is provided. The programs for human resourse development need to be developed, and specifically case management and conseling ofr deviant youth have to be proceeded systemat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