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How to Make Employment Services Useful for Creating Youth Employment : Bridging the Gap between Policy and Practice

        Ji-Hyun Oh,Young-Min Lee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u- and e- Service, Scienc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ke a look at various youth employment policies operated by each government agency based on the fundamental causes and issues of serious unemployment among youth, and to propose a plan to facilitate employment accordingly. Therefore, the employment facilitation plan to expand the employment for youth may largely be classified into six categories. First, through tailored education that reflects corporate demands, aggressive improvement in the government system is required. Second, there is a need for general overhaul to enhance the qualitative level of participating companies in the SME youth internship, publicity of the project system and field instruction and management strengthening for participating workers. Third, there is a need to structure the government-level system to provide information from career support for youth to gaining employment in a one-stop service. Fourth, there is a need to check the categories as a general core project to simplify the youth occupation project and the sense of effectiveness of youth employment policies for the youth generation. Fifth, there is an urgent demand for facilitation of a win-win employment situation and voluntary participation of business enterprises in the expansion of youth employment. Sixth, there is a need to close the gap and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Notwithstanding the fact that unemployment in youth has emerged as a major social issue, there is a clear phenomenon suggesting that the youth generation still does not take advantage of employment opportunities in SMEs.

      • KCI등재

        청년고용정책 관련 법률에 관한 소고

        양승광(Yang, Seunggwang)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法學論叢 Vol.37 No.-

        대한민국 헌법 제32조 제1항은 근로를 모든 국민의 권리로 규정하고, 이를 보장하기 위해 국가에게 고용 증진 노력 의무를 부여한다. 이에 따르면 모든 국민은 근로할 수 있는 권리를 보편적으로 보장받아야 한다. 만일 모든 국민들 중 어떤 특정 계층의 실업률이 두드러지게 높다면, 이들에 대한 국가의 고용 증진 노력이 미흡하거나, 노력의 방향 설정에 오류가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도 있다. 이 글은 청년고용정책 관련 법률 및 이에 근거한 사업들을 살펴봄으로써 현행 청년고용정책 방향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법률에 나타나는 청년고용정책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보조금 지원 및 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직업능력개발훈련의 지원으로 구성된다. 중소기업에 보조금을 지원한다면, 그리고 청년구직자의 능력이 신장된다면, 청년취업이 늘어날 것이라는 생각이 전제되어 있어 보인다. 청년실업의 원인을 산업수요와 교육훈련의 괴리에서 찾고 있다. 이는 문제를 청년이 아닌 기업 관점에서 바라보았기 때문이다. 산업수요와 교육훈련의 괴리를 강조하면 할수록 효과성 있는 정책의 발견은 요원해진다. 전체 개인의 직업능력이 향상된다고 해서 일자리의 숫자가 늘어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근로가 국민의 권리임을 상기한다면, 청년실업의 원인 또한 청년의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한다. 이럴 경우에야만 청년들의 구직준비기간과 이직률을 줄여 청년실업률을 완화시킬 수 있는 정책이 나올 수 있게 된다. 청년의 관점에서 청년실업의 가장 큰 원인은 양질의 일자리 부족에 있다. 청년실업의 원인 중 하나로 이야기되는 학력 과잉 역시 양질의 일자리 부족에서 기인하는 청년들의 전략적 선택에 불과하다. 산업훈련과 교육훈련의 괴리 역시 일자리 부족을 전제로 청년들의 낮은 직업능력을 탓하는 것 역시 일자리 부족에서 기인한다. 따라서 청년고용정책의 방향은 양질의 일자리 공급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Article 32 (1)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stipulates that all citizens shall have the right to work and the State shall endeavor to promote the employment. Therefore, all citizens should be guaranteed a universal right to work. If a ceratin social stratum’s high unemployment rate is particularly high, it may signal the government’s lack of endeavor to promote employment or a misguided policy. This paper aims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the current youth employment policy of the government by examining related laws and the government programs implemented on the basis of the laws. Youth employment policies stated in laws are either in the form of providing state subsidies or supporting job skill training programs for the youth. These policies seem to have an assumption that state subsidies to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ies and the enhanced capabilities of young job seekers would lead to growth in youth employment, concluding that youth unemployment is attributable to the training programs failing to meet employer needs. However, this approach is too focused on employer perspectives. Highlighting the failing training programs makes it only difficult to develop an effective youth employment policy because enhanced individual capabilities do not translate into job creation. As all citizens have a right to work, we should recognize the cause of the youth unemployment problem from the viewpoint of the youth. This is the only way we can formulate an effective policy that can help decrease the duration of job-searching the labor turnover rate, thereby reducing youth employment. From the standpoint of the youth, the main culprit of the problem is a shortage of decent works. Overeducation is often cited as a cause of youth unemployment. Nonetheles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youth, receiving higher education is just one of the strategies to land a decent work. The real cause of youth employment lies in job shortages, not in training programs or skill mismatch. Thus, youth employment policy should shift towards providing decent works.

      • KCI등재

        청년고용정책과 청년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취업성공패키지 수혜 경험 여부를 중심으로

        김민수 ( Minsoo Kim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청년 취업을 지원하는 청년고용정책 중 취업성공패키지의 수혜 여부에 따라 청년 개인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보았다. 연구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대졸자를 대상으로 한 직업이동성조사(GOMS)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 t-test,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취업성공패키지 수혜 경험 여부와 청년 개인의 삶의 만족 수준 간의 관계를 확인해 본 결과 취업성공패키지를 수혜 받은 경험이 있는 청년일수록 청년 개인의 삶의 만족 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취업성공패키지를 비롯한 청년고용정책 수혜 경험을 통해 청년의 취업에 있어 실질적인 유용성을 가질 수 있도록 청년의 노동시장 성과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차원에서 청년의 삶의 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의 청년고용정책 개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the effect of youth employment policy support on youth employment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y received the employment success package was confirm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data from th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of college graduates provid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ere used. is the name As the analysis method of this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receiving the Employment Success Package and the life satisfaction level of individual young people, it was found that the more young people who received the employment success package, the lower the life satisfaction level of the individual youth. This study aims to improve not only the youth’s labor market performance but also life satisfaction in the long term so that they can have practical usefulness in youth employment through the experience of benefiting from youth employment policies, including the employment success package. The need for improvement in youth employment policy was suggested.

      • KCI등재

        청년 구직자의 취업 달성 요인에 관한 연구: 공공 고용서비스 알선대상자를 중심으로

        양지윤,정희정,최석현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6 行政論叢 Vol.54 No.3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youth employment, thereby contributing to improving the public system for delivering youth employment services. This study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parts. Firstly, the authors conduct a study of 176,534 youth looking for a job through a public employment service center. Secondly, the authors construct the determinants of youth employment based on theories of employment. In the last place, the authors analyze the determinants through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re were two main results from the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youth employment. First, socio-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sex,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region increase the probability of youth employment. Secondly, variables related to job-seeking characteristics such as public employment centers, employment type (experienced/new), expected working area, and desired salary increase the probability of youth employment. It can be conclud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at public employment services need to be expanded for the youth job-seekers. A linkage is needed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to meet the increasing demands of youth job-seekers. 이 연구는 공공 고용서비스를 이용하여 구직 활동을 한 청년의 취업 달성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2015년에 고용센터, 지방정부 일자리지원기관, 새일센터와 같은 공공 고용서비스 기관의 취업 알선 서비스를 받은 청년 구직자를 대상으로 분석했다. 분석결과 취업 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인구통계학적 요인으로는 남성, 학력이 낮은 집단, 구직자의 거주지와 희망 근무지가 일치하는 집단일수록 취업에 성공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직 특성 요인으로는 구직 등록 목적이 순수취업인 구직자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취업 성공 확률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경력직보다는 신규 입사를 희망하는 구직자, 희망임금이 낮은 구직자가 취업이 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고용센터를 이용하여 구직활동을 한 청년이 지방정부 일자리기관을 이용한 청년보다 취업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현재 우리나라 공공 고용서비스가 여전히 저임금・저숙련 일자리에 집중되어서 갈수록 확대되는 청년의 공공 고용서비스 수요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지방정부의 청년 고용지원 확대에도 불구하고 중앙정부의 고용서비스보다 취업지원 효과는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함의는 청년이 선호하는 지역사회의 양질의 일자리 발굴에 강점을 가진 지방정부 일자리기관과 고용서비스 분야의 전문성이 높은 고용센터가 민간기관과의 기능을 분담하고 프로그램 연계를 통한 청년 공공 고용서비스 전달체계의 필요성을 제기한다는 점이다.

      • KCI등재

        청년고용정책이 대졸 청년층 취업에 미치는 효과 분석

        황정원,길혜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21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4 No.2

        Since our society experienced chronic youth unemployment, the government has tried to resolve that by establishing various youth employment policies. In this study, the youth employment policy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and ‘small business youth internship’, ‘public institution youth internship’, ‘employment success package’, and ‘tomorrow learning card’ were selected as representative polices for each type. As a result of the university graduates’ participation in these policies, it was analyzed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outcome such as employment status and quality of employment. Using 2016GOMS data, employment outcomes were analyzed by minimizing the bias for participation in each employment policy through Propensity Score Matching.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all four youth employment policies, the employment rate of participa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n-participants, regardless of propensity score matching. Second, in the case of the ‘small business youth internship’, ‘public institution youth internship’, and ‘tomorrow learning card’,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employment between two group, regardless of propensity score matching. On the other hand, the quality of employment for employment success package’s participa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n-participants both before and after propensity score matching. Based on the above, policy implications were proposed so that each policy could bring more positive outcomes for university graduates entering the labor market. 우리사회가 만성적인 청년실업을 경험한 이후로, 정부는 청년실업종합대책을 수립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노력해 왔으며 관련하여 청년고용정책을 다양하게 시행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청년고용정책을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각 유형별 대표적 사업으로 중소기업 청년인턴제, 공공기관 청년인턴제, 취업성공 패키지, 내일배움카드제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4년제 대학 졸업자들이 이러한 청년고용정책에 참여한 결과 취업여부와 취업의 질 등 취업성과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6GOMS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경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을 통해 각 고용정책참여에 대한 선택편의를 최소화하여 취업성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여부에 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중소기업 인턴제, 공공기관 청년인턴제, 취업성공 패키지, 내일배움카드제 모두, 이에 참여한 대졸자 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대졸자 집단보다 결합표집 여부와 무관하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취업률이 더 높았다. 둘째, 취업의 질에 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중소기업 인턴제, 공공기관 청년인턴제, 내일배움카드제의 경우에는 참여한 대졸자와 참여하지 않은 대졸자 간 결합표집 여부와 무관하게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반면, 취업성공 패키지의 경우에는 결합표집 전후 모두, 참여한 대졸자보다 참여하지 않은 대졸자가 인식하는 취업의 질이 더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각각의 정책이 대졸자의 노동시장 진입에 보다 긍정적 성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청년 빈곤 및 고용실태 분석

        김안나 ( Kim Anna ),홍현우 ( Hong Hyunwoo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8 사회복지연구 Vol.49 No.2

        Using the Korean Survey of Household Finances and Living Conditions panel data from 2012~2016, this study analyzed youth (19~34 years) poverty and employment and examined the factors that affect employment status. The analysis revealed an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young people who are students or jobless; the economic conditions of the young people varied by factors such as marital status, education, job status, and loans; and the government public transfer policy had little impact on reducing the relative poverty rate of the youth. We also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the youth’s employment status and the risk of being employed in low-paid jobs, using multi-logit and logit regression model respectively. Considering employment status, the older and more educated the youth were, the less frequently they were employed in temporary or daily jobs instead of regular one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terms of having temporary or daily jobs. A logit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low-paid jobs demonstrated that women, the less educated, spouses or children of the household, and temporary or daily workers have a greater probability of working at low-paid jobs. As women became older, their risk of having low-paid jobs increased, which demonstrated the phenomenon of “lock-in” at low-paid jobs. Temporary or daily workers of all age groups faced a higher risk of low-paid employment, which stood out for the youth.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government employment and welfare policies should consider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and their life cycle, along with efforts to supply decent jobs, continuously and stably.

      • KCI등재

        세대 간 일자리 대체를 고려한 고령자 고용연장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김준영,오혜은 한일경상학회 2022 韓日經商論集 Vol.97 No.-

        Purpose: This paper examines the conditions for the introduction of a mandatory employment extension measures for the elderly in minimizing the possibility of substitution between elderly employment and youth employment in Korea.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literature regarding the employment relations between the elderly and the youth in Korea and in other countries including USA, Japan, and Eurepean countries, this study found that there is no clear evidence that the increase in elderly employment has a harmful effect on youth employment. However, it cannot be excluded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retirement age extension measure has a negative impact on youth employment, at least in the short run.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the Measures for Securing Employment for the Elderly implemented in 2006 in Japan on the employ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 and young people in the Japanese labor market. Results: As factors determining whether the employment relation between the elderly and youth is a substitute or a complementary,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three; the situation of labor supply and demand, the period required for skill formation, and the wage gap between age generations at the firm level. By combining these three factors, this study categorizes employment relationships between the elderly and youth into eight types. It is suggested that the employment relationship between two generations becomes substitutional when the wage is relatively overpaid to the elderly. Implications: It is suggested that in order to minimize the possibility that the mandatory employment extension measure for the elderly might have a negative effect on youth employment, it is necessary that the measure needs to be put into effect at the time when the labor surplus has been eliminated. It is also important that personnel policies to keep the relative wages of the elderly and the young at a certain level is vital.

      • KCI등재

        사회정책 패러다임 전환으로서 청년 고용정책에 관한 탐색적 연구: 대구시 사례를 중심으로

        이승봉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19 대구경북연구 Vol.18 No.3

        The problem of youth unemployment in South Korea has not significantly improved in recent years. The city of Daegu, in particular, faces the dual problem of youth unemployment and youth migration out of the city. Despite various policy efforts, youth unemployment remains high. The perceptions and choices of youths are not reflected in the perspectives of economic policy makers. The youth unemployment problem is closely related to social factors that extend beyond economic factors such as wage rate and employment.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new perspective which sees youth as a constant and industry as a variable must be adopted. Daegu's youth employment policy is centered on economic factors, making it unresponsive to the needs of the youth. Youth employment policies must first raise employment in SMEs through an income security policy, commonly known as wage subsidies. Following this, the pay offered by SMEs should improve because of improvements in skill and productivity. Indeed, we argue that in regard to the youth employment policy, it is essential to shift the focus of the existing economic policy perspective to a more socially centered policy paradigm. 청년 고용문제가 별다른 회복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특히 대구광역시는 청년 고용문제와 함께 청년인구 유출이라는 이중고에 직면해 있어 상황이 더욱 심각하다. 다양한 정책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청년 고용문제가 가시적으로 개선되지 않는 이유는 경제정책 관점을 취함으로써 고용과 관련한 청년들의 인식과 선택이 정책에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청년 고용문제는 임금수준과 고용량을 핵심으로 하는 경제적 함수관계로는 이해할 수 없는 다양한 사회적 요인들과 긴밀하게 관련된다. 따라서 청년을 상수로 놓고 기업을 변수로 보는 인식의 변화가 문제해결의 시작이 된다. 하지만 대구광역시의 청년 고용정책은 경제적 효율성이 주된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어 청년들의 요구와 불일치할 가능성이 크다. 청년 고용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임금보조금이라는 소득보장을 통해 청년들의 중소기업 취업을 유도하고, 인적자원개발과 일자리 개선 정책으로 중소기업의 지급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핵심 방향이 되어야 한다. 결국 청년 고용정책은 기존의 경제정책 관점을 사회정책 패러다임으로 전환하는 것이 우선적인 과제이다.

      • KCI등재

        청년층의 근로빈곤 요인에 관한 연구

        변금선(Byun Geum-Sun) 한국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사회복지학 Vol.64 No.3

        높은 청년실업률과 계속되는 경기침체로 청년층의 경제적 불안이 심화되고 있지만 청년층의 빈곤을 고용의 관점에서 분석한 연구는 드물다. 특히 청년빈곤이 근로빈곤의 특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이들의 고용불안정과 고용특성이 빈곤의 이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논문은 한국복지패널데이터의 제3차(2007년)~제5차(2009년) 자료를 이용해 청년 근로능력자의 빈곤이행(빈곤탈출과 빈곤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용형태와 고용상태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청년층은 빈곤진입 및 탈출이 활발했으며 교육수준이 높고 비취업 상태에 놓인 경우가 많았다. 정규직일수록, 취업상태를 지속할수록 빈곤을 탈출할 가능성은 높아지고 빈곤에 진입할 가능성은 낮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청년층의 빈곤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높은 교육수준과 불안정 고용을 고려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how employment status changes affects poverty transition of workable youth using 3years panel data from KoWePS(Korea Welfare Panel Study, 2007-2009).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although relative poverty rate of aged 18-34 is lower than other age groups, significant amount of youth experienced poverty once in 2007-2009(14.59%). This means that there are some of youth suffering for poverty and the aspect of youth poverty is very dynamic. Second, much of workable poor of youth had high level of education(45.9% in 2009) and they were unemployed or inactive in labor market(55.3% in 2009). These finding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of youth poverty or youth employment. Third, workable youth who had changed employment status from employed to unemployed or inactive in labor market were likely to enter poverty and less likely to exit from poverty. Moreover youth who were non-standard employed had more possibility to be poor and less possibility to be not poor. These show that employment instability makes youth vulnerable to economic hardship, poverty.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anti-poverty programs which are related with the work-related programs and active labor market policy, should consider workable youth who have high level of human capital comparing other ordinary working poor. Because of much of youth are not poor in fixed time point, they can’t be supported from existing social assistance program, like National Basic Livelihood Protection Program. As youth who experienced poverty in changing time need social support to prevent long-term poverty, government should contemplate adopting assistance program for workable poor youth.

      • KCI등재

        세입분권이 청년고용에 미치는 영향: 우리나라 16개 광역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이종하,임상수 한국재정정책학회 2018 財政政策論集 Vol.20 No.4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 of the revenue decentralization on youth employment in Korea using the panel data with 16 regional local government during 2001~2015. For this analysis, this paper sets up a youth employment function that controls macroeconomic variables such as industrial structure and trade openness that may affect youth employment. In addition, it uses local finance independence index and local finance autonomy index as the variable of the revenue decentralization. As a result, local finance independence index has a positive effect on youth employment significantly, while the effect of local finance autonomy index on youth employmen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another result shows that TFP(Total Factor Productivity) increases youth employment but wages and trade openness reduce youth employment, In summary,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revenue decentralization to expand local tax instead of the local allocation grants in Korea since the local finance independence index is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regional youth employment than local finance autonomy index. And the rise in wages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creation of young people’s jobs, and thus it is necessary to slow down the rate of increase in minimum wages. Finally, it is desirable to plan ways to minimize such negative effects of trade openness because trade openness is also a factor in reducing domestic youth employment. 본 연구는 2001~2015년 기간 동안 우리나라 16개 시도의 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세입분권이 청년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이와 같은 분석을 위해 청년 고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산업구조와 무역개방도 등과 같은 거시경제변수들을 통제하는 청년 고용함수를 설정한다. 또한 세입분권과 청년고용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세입분권 변수로 재정자립도와 재정자주도를 활용한다분석 결과, 재정자립도는 청년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재정자주도가 청년고용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총요소생산성의 변화는 청년고용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임금의 상승은 청년고용을 크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무역개방도의 확대가 청년고용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재정자립도의 확대가 재정자주도보다는 지역별 청년 고용을 증가시키는데 더 효율적이기 때문에, 이전재원인 지방교부세보다는 자체세입인 지방세를 확대하는 세입분권을 강화시킬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함께 임금 상승은 청년 일자리를 창출하는데 있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최저임금 상승 속도를 늦출 필요성이 있다. 무역개방 역시 국내 청년 고용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무역개방이 지니는 이와 같은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