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선과 이병연의 우정에 대한 재고: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의 ‘시거화래지약(詩去畵來之約)’을 중심으로

        김가희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9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23 No.-

        화가의 교유관계 파악은 한국회화사 연구에서 필수적이었다. 그동안 화가의 작품 세계 형성 과정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우정, 사승관계, 혈연과 같은 인간관계는 외적 영향의 원인으로 설명되었다. 이 중 전통시대 화가의 ‘우정(友情)’은 쉽게 이상화되거나 미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는 18세기의 화가 정선(鄭敾, 1676-1759)에 관한 연구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정선과 이병연(李秉淵, 1671-1751)은 매우 순수하고 아름다운 우정을 나눈 것으로 전제(前提)되어 왔다. 간송미술관 소장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 역시 정선과 이병연의 합작(合作)이라는 이유 때문에 이들의 우정을 표현한 그림으로 연구되어 왔다. 본고는 《경교명승첩》의 ‘시거화래지약(詩去畵來之約)’과 관련된 작품들의 시각적 분석을 통하여 정선과 이병연의 우정에 대해 재고하는 것을 일차적인 목표로 삼고 있다. 정선의 시가 가면 그림이 온다는 약속 즉 ‘시거화래지약’과 관련된 작품들은 정선이 양천현령으로 재직하던 1740년에서 1741년에 제작되었다. 《경교명승첩》 은 정선의 아들 정만수(鄭萬遂, 1710-1795)로부터 심환지(沈煥之, 1730-1802) 의 수중에 들어가기 전까지 정선의 집안에 소장되어 있었다. 정선은 일생 동안 타인의 그림 주문에 수응(酬應)하며 생활했다. 이런 그가 자신과 자신의 친구인 이병연을 위해 그린 《경교명승첩》은 수응화(酬應畵)가 아니라는 점에서 매우 이례적이다. 《경교명승첩》에 들어 있는 ‘시거화래지약’과 관련된 작품들은 초상화, 실경산수화, 고사인물화, 시의도 등 다양한 장르를 변형하여 정선과 이병연의 우정을 시각화하였다. 정선과 이병연은 이 작품들을 통해 그들의 우정을 돈독히 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경교명승첩》이 보여주는 정선과 이병연의 우정은 실제로 이들의 개인적 친분 관계로만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정선에게 이병연은 친구이자, 그림 주문자, 그림 중개인이었다. 정선과 같은 사대부 출신의 화가에게 그림을 주문할 때 그와 직접적 친분이 없는 사람들은 정선의 친구였던 이병연을 통해서 그림 주문 및 제작을 의뢰하였다. 이병연은 중국으로 사신을 가는 사람들을 활용하여 정선의 그림을 대리하여 판매해 주기도 하였다. 그리고 정선은 그림을 판매한 대가를 현금이 아닌 물고기, 비단, 양초, 황유자기와 같은 ‘선물’로 받은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의 사회적 분위기는 사대부 출신의 화가가 그림을 통한 상업적 거래를 하는 것이 장려되지 않았다. 따라서 ‘선물’과 같은 ‘대가성 현물’을 통해 거래하는 것은 사대부 출신의 화가들로 하여금 그림을 통해 세속적 거래를 했다는 낙인을 피할 수 있게 해 주었다. 아울러 그림 주문자들은 양반 출신의 화가에게 친구인 이병연을 통해 그림을 부탁함으로써 화가의 자존심을 상하게 하지 않으면서도 득의작(得意作)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했다. 또한 정선과 이병연의 ‘우정’은 서로의 작품 활동에 있어서도 상업적으로 활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18세기의 많은 수장가들은 정선의 그림과 이병연의 시를 함께 하나의 화첩으로 만들어 소장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정선과 이병연은 당대 최고의 화가와 시인으로서 서로의 예술세계를 이해하고 영감을 주는 예술적 동반자였다. 이와 동시에 이들은 시와 그림이라는 예술로 생계를 이어 나가며 명성을 쌓아 가는 데 현실적으로 서로에게 이익이... In the study of Korean painting, analyzing the social environment in which the artist lived and worked is essential for understanding his or her artistic production. Interpersonal relations such as friendship, teacher-student relation, as well as kinship are regarded as external factors in the formation of an artist’s world. In particular, the factor ‘friendship’ was prone to being idealized or romanticized in the narrative of a traditional artist. This phenomenon appears to have occurred also in the case of the eminent painter Jeong Seon (1676-1759). Most research on Jeong Seon and his friend Yi Byeongyeon (1671-1751) claims that they shared a pure and beautiful friendship. Until now, the Gyeonggyo myeongseung cheop (Album of Famous Scenic Spots in the Suburbs of Hanyang) in the collection of the Kansong Art Museum is considered to be a collaboration by Jeong and Yi which resulted from their friendship. However, this paper aims to visually analyze those works from the album Gyeonggyo myeongseung cheop, which were based on their “promise of interchanging poetry and pictures.” Its primary objective is to reconsider the friendship between Jeong Seon and Yi Byeongyeon from a critical perspective. Works produced in accordance with their “promise of interchanging poetry and pictures” were executed between the years 1740 and 1741 by Jeong and Yi, while the former lived and worked in Yangcheon as a county magistrate. The album was in the possession of Jeong Seon’s family until Sim Hwanji (1730-1802) acquired it from the painter’s second son. It is very rare that Jeong created paintings for himself, since he normally painted on commission for other people throughout his lifetime. The paintings in the album were designed to visualize their friendship while featuring various genres such as portraits, topographical landscapes, narrative pictures, and poetic paintings (paintings based on poems). Jeong and Yi utilized these paintings to cement their friendship. The friendship represented in these paintings, however, should not be regarded as a true portrayal of their close relationship. Yi Byeongyeon was not only a friend but also a client as well as an agent (go-between or middleman) involved in art sales. Jeong Seon was a literati artist, who belonged to the aristocratic, ruling yangban class of Joseon society. When someone with no acquaintance to him desired to request a painting, Yi Byeongyeon served as the intermediary between artist and client. Yi also assisted Jeong Seon in selling his paintings to the Chinese whenever Korean emissaries went to China on diplomatic missions. Yi asked the emissaries to sell Jeong’s paintings on his and the painter’s behalf. Instead of money (cash payments), Jeong Seon seems to have accepted various gifts as payment for his art. Thus, he received goods such as fish, silk, candles, yellow-glazed porcelain wares from China, and so forth. In Joseon Korea, literati painters were generally not encouraged to sell their paintings for money. For this reason, exchanging gifts was a way for aristocratic artists to escape stigmatization related to the monetary sale of paintings. Additionally, when clients ordered paintings through Yi, they could obtain high quality works while avoiding to hurt the artist’s pride. In this way, the friendship of Jeong Seon and Yi Byeongyeon served as a means of using the output of their artistic activities in a commercial way. Many eminent collectors of the 18th century wished to own an album which combined Jeong Seon’s paintings with Yi Byeongyeon’s poetry. Jeong and Yi were artistic partners who mutually understood their artistic activities and inspired each other. At the same time, their friendship was mutually beneficial and accordingly came to be utilized commercially for their art business.

      • KCI등재

        우정의 이면: 정선과 이병연의 관계 재검토

        김가희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23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32 No.-

        18세기의 대표적인 화가 정선(鄭歚, 1676-1759)과 시인 이병연(李秉淵, 1671-1751)은 그동안 학계와 대중들 사이에서 아름답고 순수한 ‘우정(友情)’을 나눴던 관계로 여겨져 왔다. 또한 그들의 시와 그림은 우정의 산물로 해석되었다. <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인왕제색도>는 이병연의 죽음과 연결될 근거가 희박함에도 불구하고 이병연을 잃은 정선의 슬픔이 담겨있는 작품이라고 해석되어 왔다. 이처럼 조선시대의 유명한 화가와 시인이 나눈 우정의 서사(敍事)는 실제 작품의 분석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런데 정선과 이병연은 실제로 그렇게 아름답고 순수한 우정을 나눈 관계였을까? 아름답게 표상되는 우정의 이면에서 정선과 이병연은 실질적으로 어떠한 관계였을까?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우정이 ‘양면성’을 지닌다는 점에 주목하여 정선과 이병연이 유지했던 우정의 이면을 검토하고자 한 시도이다. 이를 위하여 필자는 이병연이 정선을 위하여 수행하였던 역할을 홍보, 중개, 합작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병연은 정선의 작화(作畵) 초기에 무명(無名)에 가까웠던 그의 작품을 당대 최고의 시인과 서화 비평가들에게 홍보하였다. 아울러 이병연은 자신의 폭넓은 인적 관계망을 활용하여 정선의 작품 주문 및 판매를 중개하였다. 또한 이병연은 정선과의 시화합작(詩畵合作)을 자주 하였다. 이러한 시화합작은 이병연의 시와 정선의 그림이 하나의 화첩으로 장황(裝潢)된 시화합벽(詩畵合壁)에 대한 당대인들의 수요를 창출하는 데 영향을 끼쳤다. 그 결과 말년까지도 정선과 이병연은 수많은 아회(雅會)에 초청되어 그림과 시를 요청받을 수 있었다. 즉 정선과 이병연은 표면적으로 아름답게 표상되는 우정의 이면에서 실질적으로 함께 예술적 성취를 이루며 서로에게 경제적으로 도움을 주는 관계였다. 이와 같이 우정은 친구를 타인과 다르게 대하는 ‘배타성(排他性)’을 특징으로 한다. 정선과 이병연의 관계 역시 낭만적인 우정의 신화에서 벗어나 우정의 이면에서 이루어지는 배타적인 행위들이 검토되어야만 그들 관계의 실상과 예술 세계의 복합적 면모가 비로소 잘 드러날 것이라고 생각된다. The beautiful and pure ‘friendship’ between the eminent painter Jeong Seon (1676-1759) and the renowned poet Yi Byeongyeon (1671-1751) has captivated both scholars and the general public. This perception is notably exemplified in the scholarly interpretation of Jeong Seon’s Clearing after Rain on Mount Inwang (Inwang jesaek do). Although the direct connection between Clearing after Rain on Mount Inwang and Yi Byeongyeon’s passing remains uncertain, this painting is often regarded as an expression of Jeong Seon’s grief over his friend’s death. This case demonstrates how idealized notions of their friendship can significantly hinder the scholarly analysis of their works. This paper aims to uncover the true nature of their relationship, concealed beneath the idealized concept of friendship. It explores the various roles played by Yi Byeongyeon in supporting Jeong Seon. Yi Byeongyeon not only promoted Jeong Seon’s early, lesser-known works among influential poets and art critics but also effectively utilized his extensive personal network to facilitate the commissions and sales of Jeong Seon’s paintings. Their frequent collaborations to create combined albums of poems and paintings generated substantial demand among their contemporaries. This exclusive partnership between the poet and the painter contributed to their artistic and economic success, serving as motivation for the continuation of their friendship.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only by examining these exclusive interactions between them beneath the idealized myth of friendship, we can reveal the genuine nature of their relationship and the multifaceted dimensions of their artistic world.

      • KCI등재

        해악전신(海嶽傳神): 정선의 1712년 금강산도 제작에 관한 재고

        이경화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20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25 No.-

        Jeong Seon (1676-1759), the most eminent painter of true-view landscapes in the late Joseon period (1392-1910), produced a thirty-leaf album of topographical landscapes of Mount Geumgang (Diamond Mountains) at the invitation of Yi Byeongyeon (1671-1751) in 1712. The album garnered praise by being called Album of Transmitting the Spirit of Sea and Mountains (Haeak jeonsin cheop). Though this album failed to survive, it is prized as testimony to the artistic achievements of the late Joseon period and is known to have laid the foundation for the reputation of Jeong Seon’s paintings of Mount Geumgang in eighteenth-century Korea. Numerous scholars’ comments on this album attest to these appraisals of the album.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ituations around the production of the Haeak jeonsin cheop of Mount Geumgang from 1712 and revisit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is album. In 1712, Jeong Seon traveled Mount Geumgang for the second time. In his first visit of 1711, he produced a thirteen-leaf album of paintings of Mount Geumgang entitled Album of Pungak Mountain (Pungak docheop). The Pungak docheop featured an elegant and delicate depiction of the scenic sites of Mount Geumgang, reflecting the tradition of the topographical landscape painting of Joseon Korea. In his second visit, Jeon Seon appears to have sought better ways to vividly convey the strong impression of each scenic site that he had in the mountains. Portraying Peak Biro in the clouds, he employed powerful brushwork to capture the dynamism of nature, constituting his signature style called hwiswae beop (literally, “wielding the brush rapidly”), and was thereby praised for transmitting the spirit of Mount Geumgang. After their visit to Mount Geumgang, Yi Byeongyeon and Jeong Seon continued to travel the Gangwon area to produce topographical paintings. Jeong Seon painted scenic spots of Geumhwa where Yi Byeongyeon served as the magistrate and they visited several sites in the area known as Gogun gugok (Nine-Bend Stream of Gogun) in Hwacheon, where Kim Sujeung (1624-1701), whom Yi respected, lived in seclusion. The production of the Haeak jeonsin cheop was designed by Yi Byeongyeon to commemorate his stay in office in Geumhwa. Yi Byeongyeon showed the album to many of his contemporary scholars and asked them to write their comments on the album. Yi Hagon (1677-1724), who was renowned for his connoisseurship in art, most favorably responded to the artistic achievements of Jeong Seon demonstrated in this album and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promoting Jeong Seon and his topographical landscapes of Mount Geumgang. Many literati joined Yi in praising Jeong’s landscapes. Recognizing that Jeong Seon’s grand composition and powerful brush strokes were most apt for describing the spectacular scenery of Mount Geumgang, Yi Hagon commented that Jeong Seon successfully represented the appearance and spirit of Mountain Geumgang in painting. Seeing Jeong Seon’s paintings, literati of the time might have felt as if they were in the mountains themselves. They must have realized that painting could move beyond the limitations of prose and poetry in conveying the sensory perception of Mount Geumgang. Jeong Seon’s paintings of Mount Geumgang such as the now lost Haeak jeonsin cheop created a new understating of painting by proving that vivid visual expressions could surpass verbal descriptions. 1712년 정선은 이병연의 초청으로 금강산을 여행하며 30폭의 금강산도를 제작하였다. 이 그림들은 ‘해악전신(海嶽傳神)’, 즉 금강산의 정신을 그림으로 표출하였음을 의미하는 명예로운 이름을 얻었다. 《해악전신첩》은 더 이상 전하지 않지만조선 후기 최고의 예술적 성취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받았으며 18세기 화단에서 정선의 금강산도가 강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동력으로서 인정받고 있다. 이러한 평가가 가능한 이유는 이 화첩을 감상한 문인들이 풍부한 기록을 남기고 있기때문이다. 본 연구는 정선의 1712년 금강산도에 관한 문헌 기록을 바탕으로 《해악전신첩》의 제작 과정, 구성 및 내용을 종합적으로 재구성하고 이 화첩의 문화사적 의의를 재고(再考)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1712년의 금강산 여행은 정선의 두 번째 산행이었다. 한 해 전 그는 신태동(辛泰東)이란 인물과 금강산을 여행하고 13폭의 금강산도를 제작하여 《풍악도첩》 이라는 화첩으로 제작하였다. 《풍악도첩》은 금강산의 풍경을 섬세하게 묘사한 그림이었으며 이 그림을 통해 정선이 실경산수화의 전통을 계승하였음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병연과 함께했던 제2차 금강산행에서 정선은 금강산의 현장에서 느낀 생생한 감동을 전달하기 위한 표현 방법을 더욱 고심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연운에 싸인 비로봉을 그리며 그는 훗날 휘쇄법(揮灑法)이라 불렸던 특유의 활달한 필묵법을 선보였다. 정선이 생동감이 넘치는 속필로 그린 그림은 즉각적으로 금강산의 전신(傳神)을 이루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금강산에서 돌아온 이병연과 정선은 강원도로 사경(寫景) 여행을 지속하였다. 이들은 이병연이 현감으로 부임하였던 금화의 명소를 그렸으며 강원도 화천과 그 부근에 위치한 김수증의 유적지를 방문하고 이들을 화폭에 담았다. 이병연의 기획으로 성사된 《해악전신첩》은 그의 금화 체류를 기념하는 작품이라는 사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해악전신첩》의 소유자인 이병연은 동시대의 여러 문인들에게 정선의 그림을 보여주며 평가를 받았다. 이것을 계기로 그는 정선과 그의 그림이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정선의 회화에 대하여 가장 적극적인 호응을 보였던 인물은 당대의 감식안으로 명성이 높았던 이하곤(李夏坤)이었다. 《해악전신첩》을 감상한 이하곤은 정선이 구사한 웅장한 구도, 힘과 생동감이 넘치는 붓질은 금강산의 빼어난 경치를 표현하는 데 매우 적합한 회화 기법임을 깨달았다. 그는 정선의 그림에 금강산의 형사(形似)와 전신을 아우른 그림이라는 평가를 내렸다. 정선의 그림은 금강산에서 경험한 자연의 조화에 관한 깨달음을 전달할 때 회화는 시문이 지닌 표현의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다는 인식을 이끌어내기도 하였다. 금강산에서 느낀 현장의 감각을 시각적으로 재현한 회화는 언어적 표현을 능가했다. 정선의 금강산 그림은 문인들이 쓴 여행기인 금강산 유기(遊記)를 압도했다. 정선의 그림을 보며 문인들은 이 점을 깨닫게 된다. 이와 같은 문인들의 그림이 지닌 ‘시각적 힘’에 대한 자각은 정선의 금강산도가 불러온 회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정선의 《양천십경첩》 연구: 정선의 새로운 자아 표상과 예술 전략

        김가희(Kahee Kim)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20 서울학연구 Vol.- No.81

        정선(鄭歚, 1676-1759)의 《양천십경첩(陽川十景帖)》은 현재 간송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는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내에 포함되어 있다. 정선은 1740년에 양천(陽川, 현재의 서울특별시 강서구 일대)의 현감(縣監)으로 부임하였다. 이후 1740년에서 1741년 사이 정선은 자신의 현아(縣衙) 주변의 풍경을 10경으로 선정하여 이를 《양천십경첩》으로 제작하였다. 정선이 《양천십경첩》을 제작한 목적은 그가 양천에 현감으로 부임한 후 자신의 관직 생활을 기념하기 위해서였다. 정선은 이 화첩을 그의 집안에서 대대로 전승하기 위한 ‘가전화첩(家傳畫帖)’으로 기획하여 제작하였다. 《양천십경첩》에 포함된 작품들은 양천 현감으로서의 정선을 보여주는 일종의 자화상적인 그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자기표현적인 작화(作畵) 태도는 이전 시기 금강산도(金剛山圖) 제작 과정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1740년경 정선은 《양천십경첩》을 통해 사대부적 자아를 새롭게 표상하고자 하였다. 《양천십경첩》은 가전화첩으로 제작되었지만 당대의 많은 문예계 인사들이 이 화첩을 감상하였다. 현재 다수 전하는 정선의 양천 지역 실경산수화들을 통해 유추해봤을 때 당대에 이미 이러한 작품에 대한 상당한 수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정선 역시 《양천십경첩》을 제작할 당시 자신의 작품이 많은 이들에게 감상될 것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었다고 여겨진다. 정선은 《양천십경첩》을 통해 자신을 사대부(士大夫)로 표상(表象)하고자 하였다. 본래 사대부 출신이지만 직업화가와 같은 삶을 살았던 정선은 사회경제적으로 생활이 안정되자 사대부 화가로서 자신의 모습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따라서 정선이 《양천십경첩》을 통해 사대부적 자아를 표상한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닌 그의 치밀한 예술전략 속에서 이루어진 행위이다. 또한 이 전략은 매우 효과적이었다. 정선의 양천 지역 실경산수화를 감상한 이들은 양천을 ‘정선이 관직을 했던 곳’으로 인식하였다. 정선은 《양천십경첩》을 활용하여 당대인들의 양천 지역에 대한 인문지리(人文地理)적 인식을 변화시켰으며 자신의 화명(畫名)을 높였다. 결국 《양천십경첩》을 통해 정선은 직업화가가 아닌 진정한 사대부 화가이자 양천 지역을 다스리는 현감으로서 자신의 사회적 위상을 높이고자 하였다. 정선은 평생 화가로서 자신의 정체성 및 자아를 기민하게 변화시키며 예술계에서 생존해나갔다. 화가였던 정선은 본인의 삶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그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정선의 능동적인 작가상(作家像)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 바로 《양천십경첩》이다. Jeong Seon’s (1676-1759) Yangcheon sipgyeong cheop (Album of Ten Views of Yangcheon) is originally an independent album presently included in the Gyeonggyo myeongseung cheop (Album of Views in the Capital and Suburbs) in the Kansong Art Museum. After Jeong Seon was appointed County Magistrate of Yangcheon (present-day Gangseo-gu, Seoul), he painted ten landscape views surrounding the precinct of his office between the years 1740 and 1741. Jeong undertook the project intending to commemorate his new position as a county magistrate and to bequeath the album to his descendants. The Yangcheon sipgyeong cheop has much to do with Jeong’s life as a government official. The representation of Jeong’s selfhood demonstrated in this album is intended to publicize him as a literati painter. Although Jeong Seon created the Yangcheon sipgyeong cheop for members of his family, it was also highly evaluated and esteemed by his contemporaries. Jeong was probably well aware of the considerable demand for his topographical landscapes of Yangcheon when he created the album. The Yangcheon sipgyeong cheop was thus used as a means of presenting him as government official and scholar-painter. Jeong Seon belonged to the literati class, but he became a professional painter and made a living from his art. As he gained economic stability, however, Jeong wanted to reclaim his status as man of letters. Therefore, his selfpresentation in the Yangcheon sipgyeong cheop was not a mere coincidence but the result of his carefully planned strategy. It consequently shifted the anthropogeographical knowledge of the viewers to recognize Yangcheon as the place “where Jeong Seon served in public office,” thus contributing to promote his reputation. In conclusion, through the Yangcheon sipgyeong cheop, Jeong Seon aimed to enhance his social position as both a literati artist and the county magistrate of Yancheon. As a painter, Jeong Seon actively engaged in the Joseon art world while astutely making public his “self ” and “identity.” Jeong Seon’s life as a painter cannot be determined plainly by his social status, which has long been a subject of debate in art-historical scholarship. In any event, Jeong unquestionably was an artist who made efforts to enhance his status by using his paintings. It is the Yangcheon sipgyeong cheop that explicitly shows such artistic strategies of Jeong S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