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평정 지역 <아라리>의 지명 구성 양상

        이영식 한국민요학회 2016 한국민요학 Vol.47 No.-

        Yeongwol-gun, Pyeongchang-gun, and Jeongseon-gun districts are not only geographically neighbor to each other but also close to each other in many fields. Also, <Arari> is sung by many people in these regio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ing of these communities and lyrics of <Arari>. <Arari> includes city districts such as Jeongseon, Pyeongchang, Yeongwol, Chuncheon, Gangneung, and Wonju including small viallage names such as Hanchi, Auraji, and Deokpo. Most of singers composed song lyrics with the original place names handed down from the past, however, some singers weave name of regions where they live in. Through these place names, people are able to learn localized characteristics and also learn frequency of place name presented in <Arari> and its regional correlation. Thus, people are also able to find out lyrics preferred by singers in these three regions. When comparing three regions, Yeongwol, Pyeongchang, and Jeongseon, singers in Pyeongchang do not actively use the place name when singing <Arari> but singers in Jeongseon compose lyrics of <Arari> as actively use the place name than singers in Pyeongchang and Yeongwol. Singers in Yeongwol often compose lyrics with name of other regions rather than composing lyrics of <Arari> by using the place name where they live in. Singers in Pyeongchang are passive to compose lyrics by using place name, however, when they are using place name, they actively compose lyrics with using name of region where they live in so they are ensuring largest number of place names. Singers in Jeongseon have a characteristic of focusing on using name of region where they live in when composing lyrics. Singers in the three regions, Yeongwol, Pyeongchang, and Jeongseon compose lyrics of <Arari> by using name of regions where they live in, however, given the overall utilization of place name, ‘Jeongseon Eumnae’(Jeongseon town), ‘Auraji’, and ‘Hanchi Dwitsan’(Hanchi mountain at the back of one’s house) are mainly constructing the lyrics. ‘영평정’, 이는 영월군, 평창군, 정선군 등 세 군을 함께 아우르는 말인데, 이들 세 지역은 여러 부분에서 다른 듯 다르지 않은 동일한 생활․문화권역이다. 그런가하면 이들 세 지역에는 <아라리>가 활발하게 전승되고 있다. 그렇다면 세 지역의 주민이 문화적으로 이웃한 것과 같이 지역의 <아라리> 가창자가 부르는 노래의 사설 또한 이웃하고 있을까하는 궁금함에서 이글은 시작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그 실마리를 지명에서 찾고자 했다. <아라리>에는 정선, 평창, 영월, 춘천, 강릉, 원주 등 시군행정단위의 지명은 물론 한치, 아우라지, 덕포 등과 같이 작은 마을의 지명도 구성되어 있다. <아라리> 가창자들은 대부분 전승되는 지명을 그대로 구성하여 구연하지만, 창자에 따라서는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지명을 사설로 엮기도 한다. 이렇게 구성된 지명을 통하여 세 지역의 지역성 및 지역의 연관성 등을 살필 수 있다. 영월, 평창, 정선 세 지역의 여러 <아라리> 가창자 또한 지명을 활용하여 사설을 구성하지만, 지명의 구성 빈도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그리하여 영월지역의 가창자는 모두 157회 지명을 구성하였으나 정선, 아우라지, 만수산, 한치, 명사십리 등 5개의 지명이 63% 차지하고 있고, 평창지역의 가창자는 모두 51회 지명을 구성하였으나 한치뒷산, 정선, 미탄, 삼방산, 평창 등 5개의 지명이 52.9%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정선지역의 가창자는 모두 46회 지명을 구성하였으나 한치산, 정선, 만수산, 명사십리, 아우라지 등 5개의 지명이 54.3%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세 지역에서 구연되는 <아라리>는 대부분 특정 지명에 집중되어 있다. 그런가 하면 지역의 지명을 활용한 경우, 영월군 가창자는 13개의 지명으로 26회 구성하였고, 평창군 가창자는 16개의 지명으로 35회 구성하였으며, 정선군 가창자는 10개의 지명으로 26회 구성하였다. 따라서 영평정 세 지역 중 가장 많은 16개 지역의 지명을 구성한 평창군 가창자는 지역의 지명 활용측면에서 다른 두 지역의 가창자보다 적극적이라고 하겠다. 그리고 10개 지명으로 26회 구성한 정선군 가창자는 지명 구성의 집중화를 보이고 있다. 곧 정선지역의 가창자는 지역의 지명을 활용하여 <아라리> 사설을 엮음에 있어 다른 두 지역의 가창자보다 특정의 지명을 중심으로 구성하는 경향이 있다.

      • 영월아리랑의 전승과 공연

        남강연 ( Nam Gang Yeon )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20 지역문화연구 Vol.19 No.1

        영월아리랑은 강원도 영월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는 아라리계열의 민요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아리랑의 한 부류이다. 최초의 기록은 1912년 조선총독부 조사 자료 『통속적독물급이언이요조사에 관한 건(通俗的讀物及俚諺俚謠調査에 關한 件)』에 강원도 영월군(寧越郡)에서 채집한 노래로 ‘아라리타령’이 전한다. 당시 영월지역에서 아리랑을 ‘아라리’, ‘아르랑’ 등으로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영월아리랑은 1986년 『한국구비문학대계(韓國口碑文學大系)』 영월군 편에 <영월아리랑>으로 나와 있으며, 1992년 『영월군지(寧越郡誌)』 에는 <사랑타령>으로 전하여 오고 있다. 영월아리랑은 애정 관련 내용이 절대적으로 많다. 영월뗏목아라리는 지역성과 정체성을 나타내는데 중요하다. 2014년 홍원도와 2017년 조장환의 영월뗏목아라리도 전한다. 영월아리랑은 강원도 긴 아라리계의 민요로 8분의 18박자의 중모리장단이다. 곡조는 주로 ‘mi’로 종지하고 ‘la’로 연결되며, 내려올 때 경과 음으로 ‘sol’을 사용하고 있는 메나리토리 특징을 지니고 있다. 간혹 후렴을 부르며 ‘질러내는 형’을 선호하지만 정선아리량보다 선율구조의 다양성이 보인다. 영월아리랑은 영월여성회관 민요반 회원들이 중심이 되어 전승하고 있다. 영월아리랑은 영월군민의 자긍심과 애향심을 바탕으로 전승체계를 구체적 전문적으로 갖춰나가야 할 것이다. Yeongwol Arirang is a type of Arari folk song that is passed down in Youngwol, Gangwon Province, and is listed as a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The earliest records were in the 1912 investigation data of the Chosun Governor-General’s Office on the Survey of Popular Poisons Levels (Ara-ri, a song collected by Yeongwol-gun, Gangwon-do). ‘Taryeong’ conveys.At that time, Arirang was used interchangeably in Youngwol region as “Arari” and “Arirang”. In addition, Yeongwol Arirang was introduced as Yeongwol Arirang on the side of Yeongwol-gun in 1986, and was transferred to Sarangtaryeong in 1992 in Yeongwol-gun. Youngwol Arirang has absolutely a lot of love-related content. Youngwol Raft Mok Arari is important in expressing locality and identity. 2014 nyeon hong-won dowa 2017 nyeon jojanghwan-ui yeong-wol ttesmog alalido jeonhanda. Youngwol Arirang is a long Arari folk song from Gangwon-do, with an 18/8th beat of Jungmori. The tune is usually terminated as ‘mi’ and connected to ‘la’, and has the characteristic of a manator that uses ‘sol’ as a transcription when descending. He sometimes sings the chorus and prefers the ‘pronounced brother’, but the melodic structure is more diverse than Jeong Seon-Arirang. yeong-wol alilang-eun yeong-wol yeoseong hoegwan min-yo ban hoewondeul-i jungsim-idoeeo jeonseunghagoissda. Yeongwol Arirang should have a specific and specialized transmission system based on the pride and affection of the Youngwol people.

      • KCI등재

        강원도 영월군으로 보는 문화 주도형 도시재생의 필요성

        박상현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3

        This study aims to analyze Yeongwol-gun, a successful case of urban regen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importance of urban regeneration to restore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vitality of cities by increasing their competitiveness and restoring local communities. I explore the value and sustainability of urban regeneration by examining Machari’s Coal Mine Cultural Village and downtown landscape improvement project as a type of culture-led regeneration that utilizes the city’s cultural elements as a catalyst and growth engine. I analyze the case of urban regeneration in Machari, which enjoyed its heyday as a core area of the coal industry in the 1960s and 1970s, but declined due to changes in energy policy in the 1990s. Machari was selected as an example of urban regeneration that utilized coal mines as cultural resources by establishing a coal mine cultural village that revived the city’s vitality and carrying out a downtown landscape maintenance project. The effectiveness of culture-led urban regeneration was examined. The case of Yeongwol-gun is significant for discovering cultural possibilities rather than just viewing culture as a tool in urban regeneration, thereby discovering the cultural and spatial values of declining areas and possibilities for sustainability.

      • 영월군 `아라리`의 전승 현황과 존재 양상

        최명환(Choi, Myeong-hwan)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15 아시아강원민속 Vol.29 No.-

        영월군에서 불리는 ‘아라리’는 해당 지역의 노래이기보다는 대표성을 지니고 있는 정선아라리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월군 나름의 영월군 주민들의 내면 속에 지니고 있는 한과 개인의 자위적 만족 또는 정서적 취향 등에 부합하여 전승한다. 영월군에서 일상적인 소리였던 ‘아라리’는 현대사회에 와서 점차 부르는 사람과 듣는 사람이 줄어들고, 전문적인 가창자만의 전유물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아라리’의 일상성이 사라지는 현대사회에서 ‘아라리’의 모습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과거 전승의 유지도 중요하지만, 시대에 맞는 새로운 창작형 ‘아라리’도 필요하다. 과거와 현재 ‘아라리’의 이어짐이 미래의 ‘아라리’를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선결되어야 하는 것이 디지털 기법의 도움을 받은 ‘아라리 아카이브 구축’이다. ‘디지털 아카이브’에는 아라리 사설을 중심으로 한 텍스트, 음원, 영상뿐만 아니라, 아라리에 얽힌 다양한 이야기들, 등장하는 인물들, 공간들 그리고 가창이 이루어지는 현장들, 가창하는 사람들, 가창되는 아라리 악보, 그리고 아라리 공연물과 영상물, 새롭게 창작되는 아라리, 새롭게 창작할 수 있는 공간 등으로 구성해야 한다. 그리고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아카이브 관리와 유지도 필요하다. ‘디지털 아카이브’를 통한 아라리의 집적을 통해 작가 및 콘텐츠 기획자들에게 언제나 열려 있고, 강원도민은 물론 일반 대중들도 쉽게 들어가서 공감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 되어야 한다. ‘Arari’ sung at Yeongwol-gun has a strong tendency to prefer Jeongseon Arari assuming the representative nature rather than a song of the relevant district, Nevertheless, ‘Arari’ has been passed down while meeting the deep sorrow seated in the inner side of the Yeongwol-gun residents’ own, personal self-consoling satisfaction, or emotional preference. Looking into the status of ‘Arari’ which used to be everyday ‘Sori’ at Yeongwol-gun, the number of the persons singing and listening to ‘Arari’ has decreased in modern society, and spreading is the awareness that ‘Arari’ is only the specialized singing person’s exclusive property. To maintain the real appearance of ‘Arari’ in modern society where everydayness of ‘Arari’ is disappearing, it’s naturally important to maintain the transmission of the past, but there is also the need for the new creative ‘Arari’ in keeping with the times. The linkage of ‘Arari’ in the past and at present will make it possible to create ‘Arari’ of the future. To this end, what should be decided first of all is the very ‘Arari Archive Construction’ aided by digital technique. ‘Digital Archive’ is required to be composed of not only the text, sound source and images around ‘Arari’ Saseol but also diverse stories involved in ‘Arari’, characters, spaces and sites where singing is done, singing people, Arari sheet music for singing, ‘Arari’ performance products and visual images, newly created ‘Arari’, and the space that can be newly created, etc. In addition, it’s necessary to manage and maintain the Archive continuously other than on a one-off basis. Through the accumulation of ‘Arari’ through ‘Digital Archive’, ‘Digital Archive’ should be open to authors and contents planners at all times, and should be the open space where not only the inhabitants in Gangwon-do but also the general public can easily access and sympathize with ‘Arari.’

      • The Species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Vespidae in Southeast Region (Sangdong-eup, Gimsatgat-myeon, Jungdong-myeon) of Yeongwol-gun, Gangwon-do, Korea

        Choi, Moon-Bo,Park, Bi-A,Lee, Jong-Wook National Science Museum of Korea 2012 Journal of Korean nature Vol.5 No.4

        As a result of examining Vespidae in the Southeast areas of Yeongwol-gun, Gangwon-do, total 1,598 individuals from 2 subfamilies, 5 genera and 21 species were collected. This showed very high species diversity accounting for 70% of total species of domestic Vespidae. Vl. koreensis koreensis was 379 (23.72%) ones, showing the highest rate, followed by Pa. indica (231, 14.46%), and V. simillima simillima (205, 12.83%). As for each genus, V. simillima simillima showed the highest rate, and V. ducalis and V. dybowskii showed relatively high rate as well. As for Dolichovespula, 2 species recorded domestically all appeared, and as for Vespula, 4 species were all collected except 2 species which had no distribution records recently or are potentially distributed species. There was no specific point in Parapolybia and Polistes. On one hand, as species belonging to Dolichovespula and Vespula which mainly inhabit in the northern regions appear, it is expected that their distribution will provide the basic materials useful for predicting climate change such as northing of insects in the north region according to the climate change in the future.

      •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지역사회의 근린환경 특성과 도시재생 현황 - 강원도 태백시 · 영월군을 중심으로 -

        박훈(Park, Hoon),권수안(Kwon, Su-An) 대한건축학회 2019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3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ental health and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communities. To address the goal, this researcher has drawn regions showing high suicide rate in Gangwon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and made a field investigation to Taebaek-si and Yeongwol-gun indicating the highest rate to figure out physical environment where the local people live, particularly the characteristics of neighborhood environment. These two regions are representative si and gun in the southeastern part of Gangwon, and after the rationalization of coal industry, the population has reduced constantly, and neighborhood welfare facilities for the local people are also limited. The residents’ accessibility to the facilities is not favorable, and there exist limitations due to geographical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of Geological Heritage and the Application of Basic Resource Survey

        Kim, Tae-Hyeong,Kong, Dal-Yong,Choi, Don-Won,Lim, Jong-Deock national science museum of korea 2009 Journal of Korean nature Vol.2 No.2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riteria for setting up scientific and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values of Korea's geological heritage sites. The evaluation was made with a checklist on eight locations around Yeongwol-gun, Kangwon-do, which had good accessibility and various geological periods and rocks. Reliability was measured with evaluators' agreement. the result was a satisfying 0.9. The analysis of evaluation results was applied to the judgment of conservation values of geological heritage sites. As analysis results can provide more information on the judgment of geological heritage values and basic resources surveys, emphasis must be placed on the development of more diverse and concrete evaluation items.

      • KCI등재

        로컬푸드 소비자의 문화가치관이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 영월군 로컬푸드 직매장을 대상으로

        김학조,허지현,권종욱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22 로고스경영연구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local food consumers' cultural values on purchase intention. Although various studies on local food are being conducted, there are few studies that theoretically deal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values and local food. Therefore, the existing research was expand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values and local food. The results show that consumers with collectivis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local food consumers. Collectivism was found to be key antecedents of purchase intention of local food. A positive attitude toward local food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s. These research results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to add one indicator that can be used for customer analysis of local governments or companies. 본 연구의 목적은 로컬푸드 소비자의 문화가치관이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 분석해 보는 것이다. 로컬푸드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에도 문화의 구성요소 중 핵심을 이루는 문화가치관과 로컬푸드와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다룬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기존 연구를 확대하여 문화가치관과 로컬푸드와의 차원으로 확대하였다. 분석결과 장기지향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소비자의 집단주의 가치관은 로컬푸드 소비자의 구매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컬푸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체험은 소비자의 구매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자체나 기업의 고객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하나의 지표를 추가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월중도』의 땅이름에 보이는 충절정신

        신종원(Shin, Jong-won)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장서각 Vol.0 No.39

        강원도 영월군을 흐르는 東江은 또한 錦江으로도 알려져 있다. 금강은 (江岸의) 절벽을 고상하게 표현한 ‘비단가리개’ 즉 錦障江을 줄인 말이다. 지식인들은 이 동강을 백제의 금강에 비견하여 인위적으로 금강이라고 불렀으나 사람들은 잘 모른다. (백제의) 금강에서는 왕조가 망할 때(660) 수많은 宮女들이 (낙화암에서) 떨어져 죽었다고 한다. 그들 지식인들은 단종이 돌아가셨을 때도 많은 궁녀들이 영월 동강에서 충군 애국의 행위로 물에 빠져 죽었다고 (주장)한다. 마침내 조선왕조에서는 궁녀들이 빠져죽었다는 영월의 절벽에 사당 민충사를 세워 궁녀들의 원혼을 위무할 뿐만 아니라 ‘落花巖’이라고 새긴 기념돌을 세웠다. 하지만 이 사당 자리는 원래 마을에서 익사자(자살자 포함)들의 원혼을 풀어주던 자리였고, 단종이 돌아가신 뒤 그 시종들의 명복을 비는 장소였다. 나라에서는 종래의 물귀신 신주(넋)에다 다시 몇 명의 애국충군원혼을 더하여 제도권에 넣었다. 그것은 백성들에게 충절정신을 교육, 강화하려는 의도였다. The Donggang River-East River-which flows across Yeongwol-gun, Gangwon-do, Korea, is also known as Geumgang. Geumgang is an abbreviation for ‘Geumjanggang’, named after a cliff by the riverside, which was often likened to ‘a silk screen.’ The provenance of this river’s name was not well-known to the public, and it was thought to have come from the demise of Baekje Kingdom. It is said that “three thousand” court ladies jumped off the cliff into the Geumgang River when the Baekju Kindom fell in 660. The literati of the time also claimed that King Danjong’s servants committed suicide in the river out of loyalty to the king when King Danjong passed away. Consequently, Minchungsa was built in 1742 in order to commemorate the loyal servants, with a stele by its side, where ‘Nakhwa-am’ -flowers had fallen here- was engraved. Before the foundation of the temple, this space was used by the local residents to conduct rituals for drowned people. In a way, the state imposed irrelevant spirits onto the naturally-occurred local alter by sovereign authority. The underlying intention of doing so was to edify people to be loyal to the st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