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항문학총서속집≫ 수록 자료의 성격과 의의

        김영진 한국한문학회 2022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5

        Research on Yeohang literature was first started by Iloh Gu Ja- kyun(1912~1964)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full-fledged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public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ditions of the ≪Yeohang Literature Collection in the late Yi Jo period≫. Over the past 30 years, many researchers hav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ollecting this basic data and publication because quite a lot of new data related to Yeohang have been discovered. Now, ahead of the publication of the 1st and 2nd volumes of the ≪Supplementary volume of Yeohang Literature Collection≫, I would like to introduc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new materials contained here. First, A large number of collections of poems by representative poets of the 18th century's core Yeohang Poetry have been excavated. Second, it is an expansion of materials related to poetry, music, painting, and calligraphy in the late Joseon Dynasty led by Yeohang people. Third, it is an expansion of the class in charge of Yeohang Literature. Forth, it is the discovery of important individual literary materials that do not confirm the Yeohang realm or specific group of friends. Fifth, it is a contribution to the determination of the original data and the study of the history of publishing culture. Next, the main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19th century poetry collection to be included in the 3rd and 4th volumes are as follows. First, the collection of poems by Noh Yun-jeok, a key member of Song Seok-won's poetry group, and Jo Su-sam's unexcavated poems. Second, the next juniors, the mainstay of the Yeohang Poetry group and the writers who were under the influence of Chusa Kim Jung-hee, and the collection of writings such as Oh Chang-ryul, Park Ki-yeol, Jo Sul-jeung, Yoo Choi-jin, and Ham Jin-sung. Third, although the connection with Chusa is also confirmed, Lee Ki-ha, Lee Gu-ha, Shin Kwang-hyun, and Heo Ryeon are the figures who do not have a clear job as middle school. Fourth, Interpreter poets’ collection of works centered on Lee Shang- jeok. In other words, it is a collection of poems by his father and uncle Lee Jung-jik and Lee Jung-joo, and there are collections of poems by his juniors and disciples Kim Seok-joon, Byun Won-gyu, and Ko Young-joo. In addition to individual poetry collections, Kim Seok-jun and others have been selected from a collection of poems by six interpreters under the name of HaeGekShiCho. The 5th volume is specifically referred to as other than general poetry collections as follows: literary letter writings, the autobiography, poetic collections and miscellaneous records, a travelogue etc. This collection is also expected to have a great impact, such as research and use as cultural content from a broader perspective of comparative history in East Asia as well as Korean studies. 일오 구자균(1912~1964)에 의해 일제시기에 여항문학에 대한 연구가 처음 시작되었고 『이조후기 여항문학총서』 1, 2차분(1986/1991, 임형택 외 편, 전10책 총 86종 수록)의 출간을 계기로 본격적인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로부터 30여 년이 지나는 동안 여항 관련 신자료가 꽤 많이 발굴되었기에 자료의 수집과 公刊의 중요성에 대해 많은 연구자들이 인식하고 있었다. 필자는 ‘조선후기 여항문학 자료 수집․해제 및 DB구축’ (한국학 기초자료 조사사업, 2019.6-2022.5)의 연구 책임자로 성과를 마무리하여 그 결과로 금년에 ≪여항문학총서속집≫ 제1․2권(27종 수록)이 막 출간되었다. 제3․4권(40종 수록 예정)은 2023년 2월 출간 예정이고, 제5권(30종 이상 수록 예정)은 2024년 2월 출간 예정인 바, 본고에서는 제1․2권에 수록된 18세기 시문집과 제3․4권에 수록될 19세기 시문집을 중심으로 그 성격과 의의를 소개한다. 우선 제1․2권에 수록된 자료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18세기 핵심 여항시사의 대표 시인들의 시문집이 대거 발굴된 점이다. 둘째, 여항인들이 주도한 조선 후기의 시가사, 음악사, 회화사, 서예사 관련 자료의 확충이다. 셋째, 여항문학 또는 여항문화를 주도한 인물들을 대거 확충했다는 점이다. 넷째, 여항 시사나 특정 교유 그룹이 확인되지 않는 중요 개별 문인 자료의 발굴이다. 다섯째, 善本 자료의 확정과 출판문화사 연구에의 일조이다. 제3․4권에 수록될 19세기 시문집의 주요 특징과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송석원시사의 핵심 멤버인 노윤적의 시집과 아직 저자 고증은 되지 않았지만, 송석원시사 명단 속에 있는 시인이 분명한 인물의 『詩抄』가 있다. 또 송석원시사 구성원은 아니지만 이 시기 중인 최고의 시인이라 할 조수삼의 미발굴 시집 『妙杏園詩集抄』가 주목된다. 둘째, 송석원시사 다음 세대의 시인들로 여항시단의 주축이자 또 한편 추사 김정희의 영향권 아래에 있었던 문인들인 오창렬, 박기열, 조술증, 유최진, 함진숭 등의 자료 발굴이다. 셋째, 역시 추사와의 교유가 확인되나 중인으로의 뚜렷한 직무(관직)가 확인되지 않은 인물인 이기하, 이구하, 신광현 등의 자료들이다. 넷째, 이상적을 중심으로 한 역관 시인들(부친 이정직, 숙부 이정주, 후배 및 제자 김석준, 변원규, 고영주)의 시문집이다. 김석준과 변원규는 개별 시집 외에 역관 6인 시선인 『해객시초』가 따로 전한다. 6인 중 한 명인 김병선이 편찬한 『화동창수집』도 큰 의미를 갖는 저작이다. 다섯째, 의원의 문집 속에 실린 序跋 및 편지 내용에 언급된 자료들이다. 이현양과 홍현보의 문집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여섯째, 갑오경장으로 여항인 또는 중인이라는 신분의 구분은 다소 퇴색되었지만 대한제국기, 일제강점기에도 여전히 중인출신 인물의 문화적 활약은 지속되었다. 蘭垞 李琦를 대표적 사례로 들 수 있다. 제5권은 尺牘, 遊記, 自傳, 筆記, 詩話, 畫帖, 契會, 詩選 등의 문체가 수록될 예정이다. 다만 본고에서는 자료 목록만 제시하고 그 구체적 내용과 의의에 대해서는 후고로 미룬다. 30여 년 전에 영인된 『여항문학총서』가 86종을 수록하였는 바, 『속집』은 근 100종에 육박한다. 질과 양 모두 비등한 수준을 담보한다고 자신한다. 이전의 『여항문학총서』가 한문학, 국문 시가, 예술 문화사, 서울학 등의 연구에 자료의 반석이 되고 연구의 기폭이 되어주었던 것처럼, 이번 『속집』 역시...

      • KCI등재

        여항문화 연구와 데이터 모델링

        김지선,유인태 한국한문학회 2022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5

        This paper focused on organizing various information about conceptual data modeling for the building of a more extended range of 'Yeohang Culture' database based on the data model of Yeohang Literature proposed by ‘Kim Ji-sun(2019), A Study on the Design and Analysis of the Human Network in 19th-century Collections of Biographies of the Commoner Class(Yeohangjeongijip) -Focusing on Hosanoesa, Ihyanggyeonmunnok, and Huijoilsa’, a full-fledged digital humanities study in the field of Yeohang Literature. Data modeling refers to the process of designing a data model as a kind of blueprint for representing objects existing in the real world as data in the digital environment. Since the analog environment as a physical reality and the digital environment as an electronic representation have fundamentally different properties, the transforming an inseparable object of reality into a segmented one in the digital environment is not simple. When these concerns are combined with the humanistic awareness, the process of 'conceptual data modeling' as a method of conceptualizing objects inevitably entails complicated reasoning. On the other hand, the data modeling process based on micro reading and interpretation of humanities texts and clear humanistic awareness is the basis for creating sophisticated humanities data and the basic clue for enabling varied digital humanities study from it. As part of a model for organizing and portraying the world of 'Yeohang Culture', in which a large amount lot of information is in a complicated relationship through a variety of records, as three-dimensional data in a digital environment, The Class designed through this research includes ‘Person’, ‘Community’, ‘Group’, ‘Writing’, ‘Object’, ‘Book’, ‘Place’, ‘Site’, ‘Event’, ‘Clan’ and ‘Office’. The representative Relationship defined as semantic links between entities belonging to individual classes includes ‘A author B’, ‘A writer B’, ‘A calligrapher B’, ‘A painter B’, ‘A mentions B’, ‘A contains B’ and ‘A member B’. As a medium that comprehensively connects knowledge related to ‘Yeohang culture’, The Class and Relationship can be an effective channel that bridges the barriers between majors such as Sino-Korean Literature, Social History, Art History and Cultural History. In the future, a comprehensive discussion-research that crosses the fields of Literature-History-Art should be conducted in order to compile a 'Yeohang Culture' database that can extensively look into the status consciousness and artistic activities of the commoners in the late Joseon period through the literature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m. it is hoped that the contents summarized in this study might be meaningfully used as a basic clue for such a move. 이 글은 여항문학 분야의 본격적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 연구로서 졸고 ‘김지선(2019), 「19세기 여항전기집 수록 인물 관계망 구현 및 분석 연구-『호산외사』, 『이향견문록』, 『희조일사』를 중심으로」’에서 제안한 여항문학 데이터 모델을 바탕으로, 더욱 확장된 범위의 ‘여항문화’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을 전개하고 그 고민을 정리하는 데 집중하였다. 데이터 모델링(data modeling)은 현실에 존재하는 대상을 디지털 세계의 데이터로 재현하기 위한 일종의 설계도로서 데이터 모델(data model)을 디자인하는 과정을 가리킨다. 물리적 현실로서 아날로그 환경과 전자적 재현으로서 디지털 환경은 근본적 속성이 다르기에, 연속하는 현실의 대상을 디지털 세계에 분절된 것으로 변환하는 과정은 간단치가 않다. 이러한 고민이 인문학적 문제의식과 결합할 경우 대상을 개념화하는 절차로서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과정은 복잡한 사유를 수반할 수밖에 없다. 한편으로 인문학 텍스트를 대상으로 한 꼼꼼한 읽기와 해석 그리고 분명한 문제의식에 기초한 데이터 모델링 과정은, 정교한 인문학 데이터를 구축하게 하는 바탕이자 그로부터 다양한 디지털 인문학적 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기초적 단서에 해당한다. 다종다양한 기록을 매개로 수많은 정보가 복합적 관계를 맺고 있는 ‘여항문화’의 세계를 디지털 환경에서 입체적인 데이터로 정리ㆍ표현하기 위한 모델의 일환으로서, 본 연구에서 정리한 클래스(Class)는 ‘인물(Person)’, ‘시사(Community)’, ‘단체(Group)’, ‘기록(Writing)’, ‘서화(Object)’, ‘저서(Book)’, ‘장소(Place)’, ‘공간(Site)’, ‘사건(Event)’, ‘가문(Clan)’, ‘관서(Office)’이며, 개별 클래스에 속한 개체들 사이의 의미적 연결로서 정의한 대표적 관계(Relationship)로는 ‘저자이다(author)’, ‘지은이다(writer)’, ‘쓴 사람이다(calligrapher)’, ‘그린 사람이다(painter)’, ‘언급하다(mentions)’, ‘수록하다(contains)’, ‘구성원이다(member)’ 등이 있다. 해당 클래스와 관계는 ‘여항문화’와 관련된 지식을 종합적으로 연결하는 매개로서 한문학, 사회사, 미술사, 문화사 등의 전공 간 장벽을 넘나드는 유효한 채널이 될 수 있다. 추후 여항인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문헌을 매개로 조선후기 다양한 직능을 향유한 중인들의 신분적 감각과 그들의 폭넓은 예술 활동까지 다채롭게 들여다볼 수 있는 ‘여항문화’ 데이터베이스를 편찬하기 위해서는, 문학-역사-예술 분야를 넘나드는 종합적 성격의 논의-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그와 같은 행보(movement)를 위한 기초 단서로서 본 연구에서 정리한 내용이 유의미하게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 KCI등재

        『성재집(省齋集)』의 출현과 고시언(高時彦)의 생애

        박철상 ( Park Chul Sang ) 우리한문학회 2020 漢文學報 Vol.42 No.-

        高時彦은 『昭代風謠』의 편찬자로 알려져 있다. 『昭代風謠』가 여항문학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저작이라는 사실 때문에 고시언 또한 주목을 받았다. 그의 문집 『省齋集』과 함께 『註疏箚疑』 2권이 있다는 기록이 있고, 그의 문집에 붙인 李德壽의 서문이 남아 있어 고시언 문집의 출현을 고대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그의 저작이 제대로 알려진 적은 없었다. 당연히 그의 생애 또한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본 논문은 고시언의 생애와 교유인물을 새롭게 정리하였다. 아울러 기록으로만 전하던 고시언의 문집 『省齋集』을 발굴하여 그 내용을 소개하였다. 그의 기타 저술과 편간 활동도 살펴 보았다. 여항문학은 작가의 출현 → 개별 작가의 문집 간행 → 시선집의 편간 → 전기집 편찬의 단계를 거치면서 성장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고시언의 행적은 이후 여항문학이 지향한 모든 분야에 걸쳐 이정표를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 많은 여항인들이 그의 손을 거쳐 후대에 이름을 전할 수 있었고, 『소대풍요』를 통해 수많은 작품들이 후대에 전해졌다. 그리고 그의 문집 『성재집』이 간행되어 전해짐으로써 그 자신의 진짜 모습을 볼 수 있게 되었다. 그의 행적은 스승인 홍세태를 따르고 있지만, 經傳의 연구에까지 자신의 관심 영역을 넓히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省齋集』의 출현은 고시언 개인의 실체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할 뿐만이 아니라, 여항문학의 출발점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할 것이다. This paper focused on the author’s group and studied the Autobiographical Literatu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us, Descriptive features were discussed in the Autobiographical Literature of the middle class in the late Joseon Dynasty.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e middle class developed economically and culturally to become a solid class. But the rise in status was limited by social institutions and customs and alienated from power. This environment has had an important impact on the middle class’ identification and self-consciousness. Their Autobiographical Literature was creat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one’s identity and self-consciousness among the middle class. In the face of social contradictions, the writers of the middle class resolved their dissatisfaction and alienation by proving themselves the value of their existence through the creation of autobiography. There are two main descriptive features of middle-class Autobiographical Literature. First, the representative form of Autobiographical Literature, the name of the Self-written epitaph(自撰墓誌銘), could not be confirmed, and the Autobiography(自傳) was favored. The middle class, who had no outstanding achievements throughout their lives, could change their narrative and preferred to create popular Autobiography(自傳). Because the name of the cemetery records official matters and values formalities.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that there are many works that show a new aspect in the way they are written and composed. Choi Kinam(崔奇男)’s Jolongjeon(拙翁傳) which clearly showed the transformation of the conscious world by using a fixed narration and time process description methods, Yoo Choijin(柳最鎭)’s Jaseonjeon(自序傳) who wrote his life directly from the first person point of view, and Kim Kyungcheon (金敬天)’s Sonwamanrokjaseo(巽窩謾錄自序) gives a detailed account of the lives of the middle class. Ma SeongLin(馬聖麟)’s PyeongseongUrakChongrok (平生憂樂總錄) deviated from the official description of the Self-Chronology (自撰年譜), he described both the joys and sorrows of the individual. The Autobiographical Literature of the middle class, which is considered a vulnerable class during the Joseon Dynasty, shows that practical problems such as the status, political status, and economic situation of the creative entity have an important effect on the determination of the type or method of Autobiographical Literature .

      • 조선 후기 여항문학(閭巷文學)의 성격과 지향

        안대회 ( Daehoe Ahn ) 우리한문학회 2013 漢文學報 Vol.29 No.-

        이 논문은 조선후기 여항문학의 성격과 지향을 새롭게 조명하여 연구의 방향을 점검하고자 하였다. 먼저 여항인들이 경제력을 갖추고서 사대부가 독점해온 학문과 문예를 공유한 현상을 분석하였다. 교육에 대한 투자, 과거시험의 응시가 문인의 저변을 두텁게 하는 결과로 나타났고, 이는 영조와 정조의 정책에 부응하는 것이었음을 밝혀냈다. 여항문단의 활기는 문단에 변화를 가져왔다. 소수자가 문학과 학술 활동을 전개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였고, 서민의 삶과 자의식을 주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길을 터놓았으며, 지식의 대중화를 촉진시켰다. 이는 조선후기 문단에 적지 않은 변화를 야기하였다. 학술과 문예 분야에서 일구어낸 성과로는 학술 분야에서 실용적인 지식을 정리하고 계몽하는데 기여하였다. 그들은 기술발전과 방위 분야에도 깊은 관심을 기울였다. 문학적으로는 시의 창작에서 능력을 발휘하였는데 그들의 문학적 성취를 적극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current research direction for studying Yeohang Literature and to suggest a new direction by highlighting certain characters and orientation of that school of literature that have not received the attention that they deserve in the existing scholarship. In doing so, the paper first analyzes the phenomenon of the yeohangin, the members of the jungin class, taking up activities in scholarship and arts and literature, fields that were once monopolized by the sadaebu, the men of upper classes. The yeohangin, who held petty offices and skilled positions in the various branches of the royal government of Joseon, began investing their resources in education and participating in civil examinations, which in turn brought about the result of broadening their literati base in Late Joseon. The paper shows how this phenomenon was very much in tune with the royal policies of Yeongjo and Jeongjo. The vigor in the yeohang literary activities brought changes in the larger literary world of the time. It created a space for the minority members to be engaged in arts and literature and scholarship; it opened the way for them to express their lives and self-awareness subjectively; and it facilitated the spread of knowledge among the general public. Such developments brought about significant changes in the literary world of Late Joseon. In terms of their achievements in the fields of scholarship and the arts and literature, their works contributed to consolidating and promoting practical knowledge. Yeohang intellectuals were also deeply interested in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national defense. In the literary field, their talents were particularly prominent in poetry writing, and there is a need for further studying and evaluating their achievements in this field.

      • KCI등재

        18세기 安東 閭巷文學 試探

        Lee Jong ho(李鍾虎) 대동한문학회 2014 大東漢文學 Vol.41 No.-

        This paper reviewed Yeohang Literature of the 18th Century in Andong Province. The characteristic and meaning of Andong Yeohang Literature is as followings. First, the main members of Yeohang Literature are Hyang-ri(local official) and Yeok-ri(road official). They make a commitment to restore original status through educational activity. Yeohang intelligentsia who showed an eminent ability are called Choesa by Sadeabu class. Second, Yeohang intelligentsia discussed an issue with the partisanship aside, so they can present a variety of views and make friends more widely. Accordingly, they adapted to diverse thoughts, but never denounced Toegye's theory of Sungri-hak. Third, Gang-juho who has showed a distinctive writings, embraced change of central cultural form made by achievement of literature in the 18th Century. He made a long journey and did a review of Sansumi. A activities of climbing famous mountains and seeking beauties of nature are a result of the positive accept cultural new flows formed by Seoul's intelligentsia. In short, such a literal products open a new prospect in the field of Andong Literature in chinese characters. 조선후기 안동의 여항문학을 대표하는 인물을 찾아내어 그들의 삶과 생각을 검토했다. 문집을 남긴 여항 지식인 가운데, 權載運과 姜鳳文은 각기鄕吏 가문과 驛吏 가문의 士族化 실현을 위해 교육에 헌신한 인물이다. 그들은 家塾인 麗澤齋와 四益齋를 통해 백여 명에 달하는 후진을 육성했다. 그 후진 가운데 姜周祜, 姜周祐 형제는 도학과 문예 양방면에서 기존 사족출신에 못지않은 성취를 보여주었다. 이들 4인의 문집을 통하여 드러난 조선후기 안동 여항문학의 특징과 의의를 개괄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전하는 개인 문집을 중심으로 논한다면, 안동 여항문학은 17세기 후반에 시작하여 18∼19세기에 이르러 한층 성숙된 모습을 보였다. 둘째, 안동 여항문학의 주 담당층인 향리 및 역리의 후예들은 사족 신분의 회복을 위해, 일정 기간 武藝를 익혀 武科를 통해 1차 상승을 꾀한 뒤, 다시 儒業을 일삼아 科擧를 통해 2차 상승을 꾀하였다. 이를 위해 명망있는 향촌 유학자의 문하에 들어가 기본 경전과 성리서를 受業함으로써 儒者의 기본소양을 함양하였다. 향촌 사대부들은 생원 혹은 진사에 올랐거나 뛰어난 학행을 보여준 여항인에 대하여 '閭巷處士'라 칭하면서 친밀감을 표시했다. 당대의 저명한 학자나 문인들은 이러한 여항처사에 대해서 서신이나 면담을 통해 자유롭게 講論과 酬唱을 이어갔다. 셋째, 서인 노론계의 학풍이 안동사대부에게 수용되지 않았던 현실에서, 대체로 여항 지식인들은 특정한 당파나 학설을 적대시하지 않았다. 그에 따라 교유의 폭이 매우 넓어졌고 사상의 수용도 다양해졌지만, 그들의 근거지인 안동의 퇴계학풍을 외면하지는 않았다. 넷째, 18세기 중앙에서 유행하던 문화형태가 안동 여항문인에게 전이되어 실현되어가고 있었다. 특히 전국에 걸쳐 이루어진 산수유람과 산수평론은 그러한 흐름의 일단을 확인시켜준다. 요컨대, 여항 지식인의 문예활동은 향후 안동한문학 연구에 있어 새로운 시각이 필요함을 환기시켜 주고 있다. 종래의 연구가 退溪學의 전반적 확산으로 요약되는 향촌 사대부 중심의 문예활동에 주목해 왔다면, 미래에는 지평을 넓혀서 여항 지식인의 그것까지도 함께 논의해야만, 보다 역동적이고 다채로우며 총체성을 담보해낼 수 있는 문학사 서술이 가능해질 것이다.

      • KCI등재

        18세기 安東 閭巷文學 試探 -열악한 신분극복의 사다리: 道學, 文藝, 敎育-

        이종호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14 大東漢文學 Vol.41 No.-

        조선후기 안동의 여항문학을 대표하는 인물을 찾아내어 그들의 삶과 생각을 검토했다. 문집을 남긴 여항 지식인 가운데, 權載運과 姜鳳文은 각기 鄕吏 가문과 驛吏 가문의 士族化 실현을 위해 교육에 헌신한 인물이다. 그들은 家塾인 麗澤齋와 四益齋를 통해 백여 명에 달하는 후진을 육성했다. 그 후진 가운데 姜周祜, 姜周祐 형제는 도학과 문예 양방면에서 기존 사족출신에 못지않은 성취를 보여주었다. 이들 4인의 문집을 통하여 드러난 조선후기 안동 여항문학의 특징과 의의를 개괄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전하는 개인 문집을 중심으로 논한다면, 안동 여항문학은 17세기 후반에 시작하여 18∼19세기에 이르러 한층 성숙된 모습을 보였다. 둘째, 안동 여항문학의 주 담당층인 향리 및 역리의 후예들은 사족 신분의 회복을 위해, 일정 기간 武藝를 익혀 武科를 통해 1차 상승을 꾀한 뒤, 다시 儒業을 일삼아 科擧를 통해 2차 상승을 꾀하였다. 이를 위해 명망있는 향촌 유학자의 문하에 들어가 기본 경전과 성리서를 受業함으로써 儒者의 기본소양을 함양하였다. 향촌 사대부들은 생원 혹은 진사에 올랐거나 뛰어난 학행을 보여준 여항인에 대하여 ‘閭巷處士’라 칭하면서 친밀감을 표시했다. 당대의 저명한 학자나 문인들은 이러한 여항처사에 대해서 서신이나 면담을 통해 자유롭게 講論과 酬唱을 이어갔다. 셋째, 서인 노론계의 학풍이 안동사대부에게 수용되지 않았던 현실에서, 대체로 여항 지식인들은 특정한 당파나 학설을 적대시하지 않았다. 그에 따라 교유의 폭이 매우 넓어졌고 사상의 수용도 다양해졌지만, 그들의 근거지인 안동의 퇴계학풍을 외면하지는 않았다. 넷째, 18세기 중앙에서 유행하던 문화형태가 안동 여항문인에게 전이되어 실현되어가고 있었다. 특히 전국에 걸쳐 이루어진 산수유람과 산수평론은 그러한 흐름의 일단을 확인시켜준다. 요컨대, 여항 지식인의 문예활동은 향후 안동한문학 연구에 있어 새로운 시각이 필요함을 환기시켜 주고 있다. 종래의 연구가 退溪學의 전반적 확산으로 요약되는 향촌 사대부 중심의 문예활동에 주목해 왔다면, 미래에는 지평을 넓혀서 여항 지식인의 그것까지도 함께 논의해야만, 보다 역동적이고 다채로우며 총체성을 담보해낼 수 있는 문학사 서술이 가능해질 것이다. This paper reviewed Yeohang Literature of the 18th Century in Andong Province. The characteristic and meaning of Andong Yeohang Literature is as followings. First, the main members of Yeohang Literature are Hyang-ri(local official) and Yeok-ri(road official). They make a commitment to restore original status through educational activity. Yeohang intelligentsia who showed an eminent ability are called Choesa by Sadeabu class. Second, Yeohang intelligentsia discussed an issue with the partisanship aside, so they can present a variety of views and make friends more widely. Accordingly, they adapted to diverse thoughts, but never denounced Toegye's theory of Sungri-hak. Third, Gang-juho who has showed a distinctive writings, embraced change of central cultural form made by achievement of literature in the 18th Century. He made a long journey and did a review of Sansumi. A activities of climbing famous mountains and seeking beauties of nature are a result of the positive accept cultural new flows formed by Seoul's intelligentsia. In short, such a literal products open a new prospect in the field of Andong Literature in chinese characters.

      • KCI등재

        「自序傳」을 통해 본 柳最鎭의 삶과 문학세계

        박진성 근역한문학회 2020 漢文學論集 Vol.57 No.-

        This paper examined the life and literary activities of the author, focusing on Yoo-Choijin(柳最鎭)'s Jaseojeon(「自序傳」) Yoo-Choijin's Jaseojeon was written by him at the age of 64 and consists of three paragraphs in his early, middle, and old age. The early part of this records Yoo-Choijin's family history, his academic course, and his passing of the exam, and records his activities as a close aide to Kim-Junghee's family and traveling between Korea and abroad. In the middle age section contains, the death of the family, the life of seclusion due to his illness, and his activities as a middle-class writer are recorded. And the old age section contains a general assessment of one's life and feelings about the futility of life. This work is a relatively short biography, but it is a perfect Autobiographical Literature because it contains the growth process from childhood to old age, major events, and feelings about life. The value of this work is even higher because there are not many records of the author's life or activities. Unlike traditional autobiography that use indirect expressions in their descriptions, Yoo-Choijin's Jaseojeon is of extraordinary value in Auto- biographical Literature history in that it directly reveals his name and origin, and also describes his deeds as they are. As such, the autobiography, which uses the direct narrative method from the first person point of view, is also an achievement of Autobiographical Litera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work also has a special meaning in that it clearly shows the changes in the lives of middle-class writ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ir self-consciousness. It focuses more on seclusion life than on life as a bureaucrat, and it gives a glimpse of unhappiness and sorrow caused by his position limitations. 본고는 柳最鎭의 「自序傳」을 중심으로 작자의 생애와 문학활동을 고찰해보았다. 유최진의 「자서전」은 그가 64세 되던 해에 지은 작품으로 초년기‧중년기‧노년기의 세 단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초년기에는 유최진의 유년시절과 수학과정, 과거급제 이후 秋史 집안의 측근으로 국내 명승지와 해외를 오간 행적들이 기록되어 있으며, 중년기에는 가족의 죽음 및 질병으로 인해 선택한 은자의 삶과 여항문인으로서의 활동 등이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노년기에는 자기 삶에 대한 총평과 함께 인생무상의 감정이 녹아들어 있다. 이 작품은 비교적 짧은 분량의 전기이지만 작품 속에 유년기부터 노년에 이르기까지의 성장 과정과 주요 사건, 삶에 대한 감회 등이 모두 담겨 있어 자전문학으로서 전혀 손색이 없다. 작자의 생애나 활동을 살필 수 있는 여타의 기록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이 작품의 가치는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유최진의 「자서전」은 그 서술 방식에 있어서 기탁의 방식을 사용하는 기존의 자전들과 달리 자신의 이름과 출신을 직접 밝히고, 행적 역시 사실 그대로 기술하고 있다는 점에서 자전문학사적으로 특별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1인칭 시점의 직서 방식을 사용한 자전은 조선 후기 자전문학의 성과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 작품은 관인의 삶보다 여항인의 삶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자신의 신분적 한계에 따른 불우와 비애감을 엿볼 수 있기 때문에 조선 후기 중인층의 삶과 자의식을 선명하게 보여주는 작품으로서 특별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張之琬 한시 연구

        구본현 한국한시학회 2022 韓國漢詩硏究 Vol.30 No.-

        As a poet from family of middle class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Jang Jiwan[張之琬]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ontemporary poetry society, such as forming poets group of Biyeon[斐然詩社] and participating in the compilation of Fungyosamseon[選謠三選]. Following the teachings of his father, he thoroughly read the sutras of the Confucian family from a young age, and especially devoted himself to learning and discipline based on Neo-Confucianism. This seems to have been the basis for asserting the poetics of the human nature and spirit, which places importance on the expression of the right disposition and the expression of individuality. It can be said that it is the result of reflecting his academic interest and practice that Jang Jiwan's works frequently criticize the ideology of Taoism and Buddhism and show respect for Neo-Confucianism. It seems that Jang Jiwan was actively involved in the movement for the right of middle class as a Yulgwan[律官] and Seori[胥吏], and faithfully engaged in public affairs and taking the lead in social practice. Not only did he lead poets group of Biyeon, but he also took the lead in editing and publishing the anthologies and anthologies of Yeohang[閭巷] literati. In Jang Jiwan's poems, there are quite a number of works such as Gisok[紀俗], Yeongsa[詠史], and Jeyeong[題詠] written in various parts of the country. Through these works, Jang Jiwan detailed the history and customs of the travel area as well as the joys and sorrows of the people there. Jang Jiwan was active at a time when the influence of Sino-Korean literature on politics and society was not the same as in the past. Jang Jiwan's poems based on academic insight into the self and the world are evaluated as having a conservative desire to return to the past, but they also show a high level of performance in both content and expression. The significance of Jang Jiwan's poetry can be found in that it can confirm the double aspect of the last period of Sino-Korean literature, which was gradually declining. 張之琬은 19세기 전반기의 중인 출신 시인으로서 斐然詩社를 결성하고 風謠三選 편찬에 참여하는 등 당대 시단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부친의 가르침에 따라 어려서부터 儒家의 경전을 숙독하였으며 특히 성리학의 학습과 수양에 진력하였다. 이것이 올바른 성정의 표출과 개성의 발현을 중요하게 여기는 性靈論 시학의 밑바탕이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장지완의 작품에 도가와 불가의 사상을 비판하고 성리학을 존숭하는 인식이 자주 나타나는 것도 학문적 지향과 실천이 반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장지완은 율과에 합격한 뒤 율관과 서리 등을 지낸 것으로 보이는데, 공무에 충실히 임하는 한편 사회적 실천에도 앞장서 중인통청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비연시사를 이끌었을 뿐 아니라 여항인들의 시문을 편집하고 출간하는 데도 앞장선 것을 보면 장지완이 중인의 사회적 위상을 높이기 위해 힘썼음을 알 수 있다. 장지완의 한시에는 전국 각지를 배경으로 한 紀俗, 詠史, 題詠의 작품이 상당히 많다. 장지완은 이들 작품을 통해 해당 지역의 역사, 경물, 풍속뿐 아니라 그곳 백성들의 희로애락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하였는데, 이 또한 한시가 지닌 사회적 공능을 실천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장지완이 활동한 시기는 정치와 사회에 미치는 한문학의 영향력이 예전 같지 않던 때였다. 자아와 세계에 대한 학문적 통찰에 바탕을 둔 장지완의 한시는 과거로 회귀하려는 보수성을 지닌 것으로 평가되기도 하지만 내용과 표현 양면에서 높은 수준의 성과를 보여주기도 한다. 점차 쇠퇴하던 우리 한문학의 마지막 시기가 지닌 이중적인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지완 한시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모암시회도(帽巖詩會圖)』에 대하여

        전민경 ( Jeon Min-gyeong ) 한국한문학회 2016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4

        본고는 『帽巖詩會圖』에 실린 글과 그림을 통하여 18세기 여항시사 활동의 모습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을 둔다. 『모암시회도』는 崔潤昌·馬聖麟·金順侃·李孝源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시사활동을 기록한 것으로 그들의 20대 시기의 시회의 모습부터 그들의 노년기의 시회의 모습을 발문이나 서문, 시, 그림의 형태로 실어놓았다. 총 네 번의 시사활동 모습을 볼 수 있는데 그 날 연주된 악기, 읽었던 책, 오가던 대화 등이 모두 함께 기록되어 있고 매 시회마다 그림까지 그려놓아 구체적으로 그 모습을 알 수 있었다. 「모암시회도」의 자료들은 그 시기가 18세기 중반에서 후반까지로 낙사와 구로회·송석원시사 사이를 메꾸어 주는 새로운 자료들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모암시회도』에는 구로회에 속한 늙은 노인들의 젊었을 적 시회모습부터 송석원시사에 속한 젊은이들의 어린 모습까지 모두 소상히 기록되어 있었다. 18세기 경아전 여항인들이 지식이나 경제력을 양반만큼 갖추고 있으면서 예술적 삶을 향유하는 유한한 모습을 보여주는 풍부한 자료이다. This paper aims to look at Yeohang Sisa`s activities in the 18th century through the texts and pictures listed 『Moamsihoido』. 『Moamsihoido』 was the record of Sisa`s activities conducted by Choi Yun-Chang, Ma Seong- Rin, Kim Sun-Gan, and Lee-Hyo-won. From their poetry society in their twenties to their poetry society in their old age, they put the figure of the poetry societies in the form of an epilogue, a preface, a poem, and a picture. It shows four Sisa`s activities in total, including the instruments played on that day, the books they read, and the dialogue. They have painted a picture for every poetry society so that it can be understood specifically. 『Moamsihoido』`s data are from the mid-to late 18th century,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 new resource to fill the gap between Naksa and Gurohoe·Songseokwonsisa. In the 『Moamsihoido』, everything from the appearance of the elderly old people belonging to the Gurohoe to the young ones of the Songseokwonsisa was recorded. It is an abundance of materials that have both their knowledge and economic power in the eighteenth century and show a finite form of enjoying their artistic life.

      • KCI등재

        19세기 여항문인 유최진(柳最鎭)과 이기복(李基福)의 ‘신유(神遊)’에 대하여

        박진성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2 한국문학연구 Vol.- No.69

        This paper focused that Ryu Choi-jin (柳最鎭, 1793~1869) and Lee Ki-bok (李基福, 1783~1865 after), the middle-class writers of the 19th century, called each other ‘Sinyu (神遊)’ and shared a special friendship throughout their lives. Therefore, what is the meaning of the ‘Sinyu’ mentioned by the two people, what the actual relationship was, and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friendship theory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specificity of the middle class (中人),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two friendship were examined. Ryu Choi-jin wrote his autobiography (自序傳) by imitating Jiang Yan (江淹)'s autobiography (自序傳), and Lee Ki-bok was first called Sinyu in the article. It means a very close friend who can't forget even after dying while interacting and deeply understanding the mind or soul. And Lee Ki-bok by wrote an Sinyubu (神遊賦), explained the inseparable relationship between himself and Ryu Choi-jin with Sinyu, emphasizing the meaning and utility of Sinyu and revealing his true feelings about his friend. Ryu Choi-jin and Lee Ki-bok understood the other person's literary talents and values of life more deeply than anyone else, just as they practiced the meaning of Sinyu. And as a lifelong companion, they shared their daily joys and sorrows. Furthermore, the two tried to share a deep friendship until the end of their lives by conveying autobiographical works, such as autobiography, self-written epitaph, and self-elegy poetry to each other. Ryu Choi-jin and Lee Ki-bok's Sinyu can give literary historical meaning in that it reflects a trend of friendship discourse that has been intensifying since the 18th century under the influence of Matteo Ricci's De Amicitia (交友論). In addition, the Sinyu of the two is important in that it reflects the pain and self-comfort of the middle class, who were not properly recognized due to their status limitations despite their excellent talent and skills. 이 논문은 19세기 여항문인인 유최진(柳最鎭)과 이기복(李基福)이 서로를 ‘신유(神遊)’라 일컬으며 평생에 걸쳐 남다른 우정을 나눈 사실에 주목하였다. 이에 두 사람이 언급한 신유의 함의는 무엇이며, 그 교유의 실상은 어떠했는지, 그리고 조선 후기 우정론의 전개 및 중인(中人) 계층의 특수성과 관련하여 둘의 교유가 지니는 의미와 가치는 무엇인지를 고찰하였다. 유최진은 강엄(江淹)의 「자서전(自序傳)」을 본받아 본인의 「자서전(自序傳)」을 지었으며, 그 글에서 이기복을 신유라 처음 일컬었다. 그 의미는 정신이나 영혼을 서로 교감하고 깊이 이해하면서 죽어서도 잊을 수 없는 매우 친한 벗을 뜻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기복은 「신유부(神遊賦)」를 지어 자신과 유최진의 절대 떨어질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를 신유로 설명하면서 신유의 의미와 효용을 강조함과 동시에 벗에 대한 자신의 진심을 드러냈다. 유최진과 이기복은 신유의 의미를 실천하듯이, 상대의 문학적 재능과 삶의 지향 등을 누구보다 깊이 헤아려주었다. 그리고 반평생을 함께 한 동반자로서 일상의 희로애락을 공유하였다. 더 나아가 두 사람은 자서전과 자찬묘지, 자만시 등 자신의 죽음을 상정하고 지은 자전적 작품을 서로에게 전하면서 생을 마치는 순간까지 깊은 우정을 나누고자 하였다. 유최진과 이기복의 신유는 마테오리치(Matteo Ricci)의 『교우론(交友論)』 영향 아래 18세기부터 점차 심화되는 우정 담론의 한 경향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두 사람의 신유는 뛰어난 재능과 실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신분적 제약 탓에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던 중인 계층의 아픔과 자기 위안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