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三國史記』 寶臧王紀 史論에 보이는 ‘柳公權 小說’ 問題

        金貞培(Kim Jung-bae) 고려사학회 2007 한국사학보 Vol.- No.26

        김부식이 편찬한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보장왕 8년조 史論에는 중국의 '柳公權 小說'을 인용한 매우 중요한 기록이 있다. 그 내용은 高句麗軍과 靺鞨軍이 安市城을 구하기 위해 가는 도중에 그에 앞서 벌어진 駐?山 전투에서 고구려군과 말갈군대 15만 명이 40리에 뻗친 것을 보고 唐 太宗이 두려워하는 빛이 있었다는 사실을 담고 있다. 물론 이 기록은 『新唐書』 · 『舊唐書』나 『資治通鑑』에는 없는 내용이고 고구려의 對唐戰爭에서 唐 太宗의 당황하는 모습을 묘사하였다는 점에서 관심을 끄는 대목이다. 김부식이 언급한 '柳公權 小說'은 사실 柳公權(778~865)의 『小說』이 아니고 후대에 柳公權의 이름을 빌려 관련 자료를 출간한 것으로 중국 학계는 보고 있다. 柳公權은 晩唐시기의 대표적인 서예가라는 사실은 우리가 다 아는 일이며 따라서 이 책은 柳公權 본인의 작품이 아니다. 『삼국사기』 보장왕기 史論에서 김부식이 인용한 '柳公權 小說'의 기록 내용은 필자가 조사한 바로는 劉?이 지은 『隋唐嘉話』라는 사서에 똑같은 기록으로 제일 먼저 나타나고 있다. 김부식은 이 책을 보지 못하고 이 기록을 담고 있는 '柳公權 小說'을 참고하여 史論에 인용한 것이다. 劉?은 唐代 제일의 史家로 『史通』을 저술한 劉知幾의 아들이며 그의 『隋唐嘉話』는 『世說新語』類의 책과 유사한 체제를 갖고 있다. 또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安市城의 축성 연대를 알지 못하였으나 성벽에서 얻은 나무편의 자료를 통해 늦어도 A.D. 510년경에 축조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There is an important account in the historian's comments that quotes from the Liu Gongquan xiaoshuo柳公權小說 after the entry on the eighth year of King Pojang's 寶藏王 reign in the "Koguryo Annals" of the Samguk sagi 三國史記 (Historical Record of the Three Kingdoms)complied by Kim Pusik in the twelfth century. It states that Tang Taizong 唐太宗 panicked when he saw troop formation of Kogury? 高句麗 and Malgal 靺鞨(Mohe) soldiers that stretched over 40 ri. This interesting account is nowhere to be found in such Chinese historical documents as the Jiu Tangshu(Old History of the Tang), Xin Tangshu(New History of the Tang), or Zizhi tongjian (Comprehensive mirror for aid in government). Chinese historians consider the Liu Gongquan xiaoshuo, as quoted by Kim Pusik, not the work of Liu Gongquan (778-865) himself but of an unknown person who merely "borrowed" Liu’s name in the later period. Liu Gongquan was a renowned calligrapher of the late Tang period, and the Liu Gongquan xiaoshuo was not the work of Liu himself. The earliest record of this account regarding Tang Taizong is found in the Sui Tang jiahua 隋唐嘉話 (Elegant conversations of the Sui and Tang period) by Liu Su劉?. Kim Pusik apparently did not have access to this book and instead quoted from the Liu Gongquan xiaoshuo when he wrote the historian's comments in the Samguk sagi. Liu Su was son of Liu Zhiji 劉知幾 (661-721), the foremost historian of the Tang period who had authored the Shitong 史通(Generalities on history). The Sui Tang jiahua was organized in a similar way as the Shishuo xinyu 世說新語 (A new account of tales of the world). Until recently, the exact date of the construction of the Ansi Fortress 安市城 had been unknown, but wooden pieces obtained from the fortress walls now suggest the date of around 510 CE.

      • KCI등재

        화본소설의 문화횡단적 다시쓰기 -임어당을 중심으로-

        김소정 영남중국어문학회 2018 중국어문학 Vol.0 No.79

        Chinese Huaben Xiaoshuo(storyteller's book) has been translated steadily since the first translation by Western translators in the 18th century. The text that was retold in English by Lin yutang, Chinese writer, in the global city of New York in 20th century is not a faithful translation of the original work, but has a special meaning in the history of translation of Chinese Huaben Xiaoshuo in that it rewrites the original work by mixing traditional Chinese and modern Western cultures. Chinese Huaben Xiaoshuo retold by Lin Yutang was all three, “The stranger's note”, “The jade goddess”, “Jealousy”. These short stories were recorded in Famous Chinese Short Stories published in 1952 by John Day Book and could met with American readers. Lin yutang, the liberal cosmopolitan Chinese intellectual, retold the vernacular Chinese short stories by borrowing the techniques of Western modern novels with the universal theme of world literature such as women's equality, eternal love, romantic affection. His transcultural rewriting was a creative attempt to enjoy reading of cosmopolitan modern people.

      • KCI등재

        논문(論文) : 馮夢龍輯錄話本小說集的編纂方式及其寄意試探 -以≪古今小說≫爲主

        조은상 ( Eun Sang Cho ),楊兆貴,趙殷尙 중국어문연구회 2014 中國語文論叢 Vol.0 No.61

        Feng Meng Long had compiled a number of famous short story-teller scripts anthologies. As the background, theme, and topic of story-teller scripts anthology differed, Feng Meng Long arranged the titles in antithesis. Some scholars opined that the titles of ‘San yan’ which were arranged in antithesis were only a mimic of a long piece of Chapter novels, and there was no special meaning behind. However if we analyse the titles in details, we will discover that the antithesis was arranged in a sophisticated way. The titles in antithesis were meticulous arrangements by Feng Meng Long. This article aims at exploring the sophisticated and meaningful arrangement of titles in antithesis by Feng Meng Long from examples in ‘Gujin Xiaoshuo’. Such an arrangement will not only alter, but also enrich the plot of the anthologies.

      • KCI등재

        『魏晉世語』 輯佚 硏究

        金長煥(Kim, Jang-hwan) 중국어문학연구회 2015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94

        Wei-Jin Shiyu 魏晉世語(Conversations of the Wei and Jin Eras) written by Guo Ban 郭頒in Western Jin 西晉Dynasty has recorded the words and deeds of scholars and officers in Wei and Jin eras. It originally had ten volumes, but seems to be lost during Yuan 元Dynasty. Aside from it being lost, the author Guo Ban also has no official biography recorded anywhere. This paper has two parts. First part is a brief research on Wei-Jin Shiyu including its bibliographical record, author’s profile, original book’s format, publication time, and scattered manuscripts of it. Second part is compiling and collating 158 scattered manuscripts of Wei-Jin Shiyu extracted from many other books such as Pei Songzhi 裴松之’s annotations of Sanguozhi 三國志(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Wei-Jin Shiyu directly affected Shishuo Xinyu 世說新語, the most outstanding work as a Zhiren Xiaoshuo 志人小說in the contents and forms. Although the literature value of Wei-Jin Shiyu is not as much as Shishuo Xinyu, but its historical significance can not be ignored in the history of Zhiren Xiaoshuo.

      • KCI등재

        顔之推 『寃魂志』 輯校 硏究

        金長煥(Kim, Jang-hwan) 중국어문학연구회 2017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104

        Yuanhun zhi 冤魂志(Tales of Vengeful Souls) also called Huanyuan ji 还冤记 or Huanyuan zhi 还冤记, is an early collection of novels compiled by the Sui 隋Dynasty writer and philosopher Yan Zhitui 顔之推, author of the Yanshi jiaxun 顔氏家训. It originally had three juans, but seems to be lost after the Song 宋Dynasty. It belongs to the genre of novellas on zhiguai xiaoshuo 志怪小说and contains 61 short stories and anecdotes from the Zhou 周Dynasty to the Northern Zhou 北周and Chen 陈Dynasties. All stories deal with the return of a soul to take revenge for suffered unjustice. They are both influenced by Confucian thought as well as by the religion of Buddhism. This paper has three parts. First part is a brief research on Yuanhun zhi including its bibliographical records, author’s profile, original book’s format, publication time of it. Second part is compiling and collating 61 scattered manuscripts of Yuanhun zhi extracted from other books such as Fayuan zhulin 法苑珠林and Taiping guangji 太平广记. Third part is evaluating the significance and influence of Yuanhun zhi in the history of Chinese zhiguai xiaoshuo.

      • KCI등재

        ‘小說’, 자질구레한 이야기?: 명청 시기의 ‘小說’ 그리고 그 현대적 해석

        金 震 坤 한국중국소설학회 2017 中國小說論叢 Vol.53 No.-

        이 논문은 중국문학사에서 2천 년 넘게 사용된 ‘소설小說’이란 단어가 세상에 떠돌아다니는 비교적 짧고 자질구레한 이야기라는 의미를 지니고 출발하였다는 점을 인정하는 데서 출발하였다. 이 ‘소설’이란 단어는 나중에 육조 지괴, 당 전기, 설화사가의 한 분파로서의 소설, 연의나 장회와 같은 백화장편소설 그리고 소위 현대소설에도 그대로 사용되어 왔다. 후대 사람들이 소설이란 단어가 처음 등장하던 그때의 지시대상을 잘못 이해하고 지시대상의 범위를 무단히 확대하고 오용한 것인가 아니면 이 소설이란 단어는 한없는 포용력을 지닌채 최소한의 유사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양식들을 포섭하면서 성장해온 것인가. 이 의문점에 대한 작은 실마리를 찾고자 하는 것이 이 논문을 쓰는 목적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논문은 《위충현소설척간서》라는 작품을 실마리로 삼아 풍몽룡의 삼언에서 찾아낼 수 있는 ‘소설’의 용례 그리고 풍몽룡 시대의 작품이나 작품집의 이름에서 드러나는 ‘소설’의 용례를 찾아내어 그 용례들 사이의 같은 점과 다른 점을 따져보고 설명하였다. 그런 다음 이어의 단편소설과 평론문에서 드러나는 ‘소설’의 용례를 찾아내어그 용례들 사이의 같은 점과 다른 점을 따져보고 설명하였다. 이 과정을 통하여 중국에서는 적어도 명말청초시기부터 ‘소설’이란 이름으로 문언단편과 백화장단편 그리고 이들과 유사 성을 보일 수 있는 작품들을 모두 포괄하여 지칭하였음을 알게 되었다. 그러면서도 동시에 ‘소설’은 야사, 패관, 고사 같은 단어로 대체되기도 할 수 있는 그런 단어였음을 알게 되었다. 근현대 시기에 이르러 중국소설사를 다루는 다양한 저서는 자질구레한 이야기로부터 출발하였기에 그 출발점에서 온전히 자유롭지 못한 전통 중국의 ‘소설’ 특징과 부르주아 서사 시, 즉 노벨로서의 소설 특징이 서로 충돌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노벨과 가까운 서사체를 중국문학사에서 찾아내고 이렇게 찾아낸 작품들 사이의 근접성 그리고 상관관계를 해명하는 시도를 줄곧 하여왔다. 중국소설사를 서술하는 그 시점의 현재적 소설 개념에 입각하여 전통 중국의 소설을 재구성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전통 중국에도 소설을 소설이라 부르던 전통의 힘이 있었고 그 힘이 근현대 시기의 중국소설사 저자들의 그런 재구성을 가능하게 한 힘이라는 것도 인정하여야 한다. 우리가 중국소설사를 전통 중국의 소설 특징이 노벨 로서의 소설 특징으로 발전하는 과정으로만 파악할 필요는 없다. 필자는 현재적 관점에서 혹은 노벨적 관점에서 전통 중국의 소설을 재구성하는 이런 시도 자체도 중국적 전통에 반하는 시도가 아니며 오히려 거의 모든 이야기체를 소설로 불러왔던 중국적 전통을 준수하는 것으로 본다. 중국에서는 거의 모든 이야기체를 ‘소설’로 부르는 전통이 적어도 풍몽룡 시대에 확립되어 있었다는 점에서 앞에서 말한 이런 시도는 관습을 준용한 것으로 보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중국에서는 최소한의 공시적 요건만 있으면 그 사적 발전의 단계가 어떠 하더라도 모두 ‘소설’로 불렀고 ‘소설’에 포함시켜왔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began with the recognition that the word ‘xiaoshuo’ used in Chinese literature for over 2,000 years originated in the meaning of a relatively short and not serious story about the world. This ‘xiaoshuo’ has been used for ‘zhiguai’ or ‘strange tales’ of Six dynasties, ‘chuanqi’ of Tang dynasty, ‘xiaoshuo’ in four storytellings of Song dynasty, full length vernacular novel of Ming and Qing dynasties and so-called modern novel. The term of ‘xiaoshuo’ should have been confined to the meaning of small talk, at the time it first appeared, but has it been misused by later users or has the word grown up involving forms that are found to have minimal similarity with the Novel? It i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to find a small clue to this question. Making the Xiaoshuo of Criticizing Wickedness of Wei Zhongxian魏忠賢小說斥奸書 as a beginnig point, I have explored the examples and meanig of ‘xiaoshuo’ of the short stories and criticisms of Feng Menglong and Li Yu. Through this process, I learned from Chinese literary history that at the very least, ‘xiaoshuo’ has covered and named both classical short story, vernacular story, vernacular full length novel and similar works in the name of ‘xiaoshuo’. At the same time, however, I found out that ‘xiaoshuo’ was a word that could be replaced by words such as an unofficial history野史, 稗官, anecdote. In the modern era, a variety of books dealing with Chinese novels have attempted to solve the conflict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xiaoshuo’ in China and the characteristics of ‘novel’ in the Western Europe as an epic of bourgeoisie. As a part of that process, someone has strengthen the novel-like works in Chinese narrative history and deliberlately overlooked the ‘xiaoshuo’-like works. However, I believe that these attempts are not an attempt against the Chinese tradition but instead follow the Chinese tradition that has brought almost all narratives into ‘xiaoshuo’ or fiction. In China, the tradition of calling all narratives as ‘xiaoshuo’ has been established at least in the era of Feng Menglong, so I think it is right to regard customs as being applied. In China, whatever the level of historical development is, it is called ‘xiaoshuo’.

      • KCI등재

        조선 내『설부(說郛)』의 수용과 인용 소고

        박혜민 열상고전연구회 2014 열상고전연구 Vol.42 No.-

        『설부(說郛)』는 명(明)의 도종의(陶宗儀)가 한위(漢魏)부터 원대(元代)까지 의 필기류(筆記類)를 모아 편찬한 책이다. 『설부』를 인용한 조선 문헌 중 필자가 찾을 수 있었던 가장 이른 시기의 기록은 권문해(權文海)의 『대동운부군옥(大東 韻府群玉)』이다. 그는 존경각의 서적을 담당하였던 성균관의 사예(司藝)ㆍ전적 (典籍)ㆍ학정(學正) 등의 직책을 거쳐, 궁중의 경서(經書) 및 사적(史籍)을 관리 하는 직책인 홍문관부제학(弘文館副提學)도 역임하였다. 그래서 그가 『설부』를 존경각에서 접했으리라 추측할 수 있다. 『대동운부군옥』은 1589년에 완성되었고 그 뒤 20년 뒤인 허균의 『한정록(閑情錄)』에서 또다시 『설부』가 인용된다. 허균이 살았던 16세기 말 17세기 초는 중국의 사신이 대거 입국하여 중국의 동시대 문학을 접할 수 있었고 사행을 통해 대량으로 서적을 구입하는 등 민간영역의 서적 수입이 확대되는 시기였다. 그 수입 서목은 경서의 주석서나 실용서 이외에 만명(晩明) 소설 및 필기류가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권문해가 『대동운부군옥』에서 51회, 이수광이 『지봉유설(芝峯類說)』에서 39회, 이익이 『성호사설(星湖僿說)』에서 6회, 이규경이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에서 29회 인용한다. 형식적 측면에서 인물역사고사 집성 유서인 『대동운부군옥』에서는 운자를 끝자로 하는 숙 어 아래 설명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고증을 겸한 유서인 『지봉유설』과 『성호사설』은 표제어 아래 나열, 논증의 단문으로, 『오주연문장전산고』는 조목명이 ‘~변증설’ 로 되어 있고 내용 역시 비교ㆍ논증ㆍ논평의 장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용 적 측면에서도 『대동운부군옥』은 우리나라 고사 수집이 목적이었기 때문에 주로 우리나라 방언, 제도, 풍속에 집중되어 있어 일서(逸書)로 『설부』에 수록되어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계림유사(鷄林類事)』ㆍ『계림지(鷄林志)』의 인용이 많다. 『지봉유설』과 『성호사설』에서는 경학ㆍ경세와 연관하여 인용된다면』, 『오주연 문장전산고』는 전설 속의 인물이나 동물, 신기한 동물등 흥미에서 비롯된 인용이 비교적 많다. 이는 선행연구자가 『성호사설』과 『오주연문장전산고』의 서술상의 차이를 경세의식의 유무로 지적한 것과 연장선에 위치한다. 『대동운부군옥』, 『지봉유설』, 『성호사설』, 『오주연문장전산고』와 같은 유서의 등장은 명ㆍ청대의 학술의 세례에 힘입어 등장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들 저술에서 『설부』의 인용양상을 살펴보는 것은 조선 시기 명ㆍ청대의 학술의 영향이 구 체적으로 어떻게 수용되었는가에 대한 하나의 양상을 제시하는 데 의미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transmitted and cited cases of 'Xiaoshuo' into Joseon dynasty. 'Xiaoshuo' is a book which Tao Zong-yi in Ming dynasty wrote by collecting biji from Han-Wei to Yuan Period. The earliest citation of 'Xiaoshuo' is seen from 'Daedongunbukunok' written by Kwon, Munhea in 1589. He could read 'Xiaoshuo' because he was a Royal library manager. After 20years, Hanjeonglok written by Heo, Gyun quoted 'Xiaoshuo'. At the end of 16th century when Heo, Gyun lived, Chinese ambassadors visited Joseon frequently, which led to frequent introduction of contemporary Chinese literature into Joseon. Also, ambassadors of Joseon visited China frequently as well, which led to a massive amount of importation of literature by them. The importation by the ambassadors included the genre of novel and biji as well as commentaries of Confucian Classics and practical books. 'Xiaoshuo' is one of the them and Lee, Sugwang cited 39 times in 'Jibongyuseol', Lee, ik cited 6 times in 'Seonghosaseol' and Lee, Gyugyeong cited 29 times in 'Ohjuyeonmunjangjeonsango'. 'Daedongunbukunok' was compiled for organizing idiom originated in an ancient event in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period. Consequently the book mainly cited Kyelimyusa which appeared on 'Xiaoshuo' introduced customs of Goryeo Dynasty. 'Jibongyuseol' and ‘Seonghosaseol' cited 'Xiaoshuo' to discuss Confucian philosophy and political thoughts.‘Ohjuyeonmunjangjeonsango' cited 'Xiaoshuo' to complement interesting stories about the figures, animals from legends or exotic animals etc. This study presents actual examples showing that Joseon accepted Chinese literature in the period of Ming and Qing in writing encyclopedias such as 'Daedongunbukunok', 'Jibongyuseol', 'Seonghosaseol' and 'Ohjuyeonmunjangjeonsango' based on the analysis above.

      • KCI등재

        Liu xie(劉?)`s Concept of `Xiaoshuo(小說)` in < Wen Xin Diao Long(文心雕龍) >

        왕비연 ( Wang Feiyan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6 中國文學 Vol.87 No.-

        이 글은 《문심조룡》을 통해 유협의 `소설`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연구자들은 《문심조룡》에서 유협이 왜 `소설`에 대한 구체적인 논평을 가하지 않았는지, 그리고 유협의 `소설`에 대한 인식은 어떠했는지에 대하여 이미 어느 정도로 논의한 바 있다. 그들의 의견에 따르면 유협이 소설을 논평하지 않은 이유는 당시에는 소설이 아직 독립인 장르로 성장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본다. 한편 유협의 소설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본 학자도 있고, 부정적으로 본 학자도 있었다. 필자는 유협이 《문심조룡》에서 말한 `소설`이 신화전설과 기이한 이야기들이 많다는 점, 견문을 넓힐 수 있다는 점에서 욕조지괴소설과 비슷한 성격을 지닌다고 생각한다. 때문에 《문심조룡》에서 나타난 유협의 `소설`에 대한 인식을 육조지괴소설에도 적용시킬 수 있으리라 판단하였다. 이 글에서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문심조룡》에 나타난 유협의 소설적인 표현방식과 특징에 대한 인식을 고찰했다. 구체적인 논의에 있어 신화전설에 대한 인식, 기이한 글에 대한 인식, 그리고 꿈의 표현방식과 꿈의 계시적인 의미에 대한 인식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유협이 신화전설에 대해 은(殷)나라의 《귀장(歸藏)》의 내용을 가지고 신화전설들이 존재한다는 타당성을 설명한다는 점, 기이한 이야기들이 비록 황당하지만 세상 사람들은 그런 기이함을 좋아한다는 것을 인정한다는 점, 그리고 〈서지(序志)〉편에서 꿈이라는 표현방식을 자연스럽게 사용하였고, 꿈의 계시적인 의미를 깊이 믿었다는 점 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유협은 구체적인 장르에 따라 적용되는 기준이 각기 다르다고 강조하고 있지만 신비로운 것이나 보기 황당무계한 내용을 무작정하게 모두 부정하지는 않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체적으로 봤을 때 유협은 소설적인 표현방식과 소설적인 화소들을 모두 어느 정도 인정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studied Liuxie`s concept of `Xiaoshuo` in < Wen Xin Diao Long >. Liuxie lived during the Qi·Liang Dynasty. In his time, `Xiaoshuo` was not an established literary style, but consisted of short stories from ancient works, like mythology, fables, legends, etc. Liuxie`s book doesn`t directly comment on such tales, but only deals with certain elements. Researchers conclude Liuxie did not consider `Xiaoshuo` to be an actual literary style. Some view his position positively, and others negatively. In some ways, the features of `Xiaoshuo` in < Wen Xin Diao Long > are similar to the supernatural romance fiction of the Wei 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Both feature stories of spirits and ghosts, which, people believed, contained valuable knowledge. I considered Liuxie`s concept of `Xiaoshuo` applies to the supernatural romance tales of the Wei 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as well. Therefore, this paper derived three elements of Liuxie`s concept of `Xiaoshuo`. One is his feeling about imaginative writing: he approved of imaginative writing to express sincere views and sentiments. Second is his view of old myths and legends: his approval of their rationality and literal truth. Last is his consciousness of dreams: his belief in clairvoyant dreams and interpretations and revelations from them.

      • KCI등재

        從《文心雕龍》看劉勰對‘小說’的認識 - 以六朝志怪小說的部分敘事特點為中心 -

        WANG FEIYAN 한국중국어문학회 2016 中國文學 Vol.87 No.-

        This paper studied Liuxie's concept of ‘Xiaoshuo’ in <Wen Xin Diao Long>. Liuxie lived during the Qi・Liang Dynasty. In his time, ‘Xiaoshuo’ was not an established literary style, but consisted of short stories from ancient works, like mythology, fables, legends, etc. Liuxie’s book doesn’t directly comment on such tales, but only deals with certain elements. Researchers conclude Liuxie did not consider ‘Xiaoshuo’ to be an actual literary style. Some view his position positively, and others negatively. In some ways, the features of ‘Xiaoshuo’ in <Wen Xin Diao Long> are similar to the supernatural romance fiction of the Wei 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Both feature stories of spirits and ghosts, which, people believed, contained valuable knowledge. I considered Liuxie's concept of ‘Xiaoshuo’ applies to the supernatural romance tales of the Wei 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as well. Therefore, this paper derived three elements of Liuxie's concept of ‘Xiaoshuo’. One is his feeling about imaginative writing: he approved of imaginative writing to express sincere views and sentiments. Second is his view of old myths and legends: his approval of their rationality and literal truth. Last is his consciousness of dreams: his belief in clairvoyant dreams and interpretations and revelations from them. 이 글은《문심조룡》을 통해 유협의 ‘소설’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연구자들은《문심조룡》에서 유협이 왜 ‘소설'에 대한 구체적인 논평을 가하지 않았는지, 그리고 유협의 ‘소설'에 대한 인식은 어떠했는지에 대하여 이미 어느 정도로 논의한 바 있다. 그들의 의견에 따르면 유협이 소설을 논평하지 않은 이유는 당시에는 소설이 아직 독립인 장르로 성장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본다. 한편 유협의 소설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본 학자도 있고, 부정적으로 본 학자도 있었다. 필자는 유협이《문심조룡》에서 말한 ‘소설’이 신화전설과 기이한 이야기들이 많다는 점, 견문을 넓힐 수 있다는 점에서 욕조지괴소설과 비슷한 성격을 지닌다고 생각한다. 때문에《문심조룡》에서 나타난 유협의 ‘소설’에 대한 인식을 육조지괴소설에도 적용시킬 수 있으리라 판단하였다. 이 글에서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문심조룡》에 나타난 유협의 소설적인 표현방식과 특징에 대한 인식을 고찰했다. 구체적인 논의에 있어 신화전설에 대한 인식, 기이한 글에 대한 인식,그리고 꿈의 표현방식과 꿈의 계시적인 의미에 대한 인식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유협이 신화전설에 대해 은(殷)나라의《귀장(歸藏)》의 내용을 가지고 신화전설들이 존재한다는 타당성을 설명한다는 점, 기이한 이야기들이 비록 황당하지만 세상 사람들은 그런 기이함을 좋아한다는 것을 인정한다는 점, 그리고〈서지(序志)〉편에서 꿈이라는 표현방식을 자연스럽게 사용하였고, 꿈의 계시적인 의미를 깊이 믿었다는 점 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유협은 구체적인 장르에 따라 적용되는 기준이 각기 다르다고 강조하고 있지만 신비로운 것이나 보기 황당무계한 내용을 무작정하게 모두 부정하지는 않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체적으로 봤을 때 유협은 소설적인 표현방식과 소설적인 화소들을 모두 어느 정도 인정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구양수(歐陽脩)≪신오대사(新五代史)≫의 필기(筆記)자료 채택 고찰

        안예선 ( An Yea-sun ) 중국어문연구회 2017 中國語文論叢 Vol.0 No.79

        The procedure for compiling New History of the Five Dynasties is divided in two parts. First, Ouyang, Xiu deleted large parts of Old History of the Five Dynasties. The Old History of the Five Dynasties was bulky and contained a great variety of data, so it couldn`t provide clear lessons about right and wrong to readers. Ouyang, Xiu deleted many parts of the Old History of the Five Dynasties and retained mainly those parts that could clearly suggest right and wrong. Second, added some new parts that was not in Old History of the Five Dynasties. The Old History of the Five Dynasties was compiled based on the annals of the Five Dynasties. In consequence, there weren`t various sources of data and it represented the positions of the government, so sensitive parts were removed. To complement it, Ouyang, Xiu adopted many parts from the records of `Xiaoshuo(小說).` While compiling New History of the Five Dynasties, Ouyang, Xiu could refer to all of annals of the Five Dynasties. He, however, adopted `Xiaoshuo` as an important source of data, instead of annals whose accuracy were guaranteed. `Xiaoshuo` was considered as being inaccurate and unreliable, so `wise men(君子)` shoud not familiar with it. Ouyang, Xiu know that the data of `Xiaoshuo` was lacking in accuracy and objectivity. For all that, Ouyang, Xiu adopted the data of `Xiaoshuo`, thinking that it was effective for conveying warnings and lessons. People had to be protected from groundless and absurd rumors that just stirred curiosity. That which represented public opinions and enhanced Confucian values could be useful. Stories of loyal subjects, devoted son, women who kept their chastity, treasonous subjects and children who were not filial were effective means to promote Confucian values. Those stories could be adopted from folk rumors, legends and `Xiaoshuo`, not from official historical records of the government. Ouyang, Xiu compiled the New History of the Five Dynasties not to accurately record facts. For him, history was about suggesting clear lessons and warnings about right and wrong and `Xiaoshuo` satisfied such a purpo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