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敎育에 關한 國家와 地方自治團體의 權限

        최봉석 한국행정판례연구회 2015 행정판례연구 Vol.20 No.1

        Local Autonomy Act provides that government work is National priority attention or metropolitan priority attention, while Local Education Autonomy Act provides that general education work is local government authority. It does not provided criteria between nation work and local government in Constitutional law, and also sentence or term inferred feature of the local government work. Subsidiary principle that generally refers to work authority in local government law does not apply to educational administration. As a result, Court must establish a clear cut line of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in nation and local government work authority by judgment. Judgment means judicial legislation beyond the functions of settlement of a dispute or relief of right. Legislator should be decided the legal characteristics and authority of education work. But Legislator fails to distinguish clearly nation and educational superintendent work in law relating local government. And recognize and comprehensive authority to both sides. So nation and educational superintendent can be happen conflict of education work authority. As a result, education work authority decided by a posteriori settlement by court. Supreme Court decision in article adduced “precedent, theory or case been established about educational superintendent work authority” to illegality standard. Decision does not mention entirely the precedent, theory or case about educational superintendent work authority. It is to be desired that Supreme Court classified education work and authority the following standards, general classified standard about nation and local government work, “national unity” or “cost sharing.” Nation responsibility to education and codification of education system is stipulated in Constitutional law. Local Education Autonomy is educational community autonomy on the basis of professionalism and non-political position within the framework of Constitution and law. There are many implications that German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divided education work, “external education work” and “internal education work.” Educational autonomy system is not fake or derivative of local government system but entirely separate type of system. It should be institutionalized that inherent executive authority, work and intervention of government on the premise that educational autonomy system is “educational community autonomy” that based on material jurisdiction that means education in the range of national education duty according to constitution and law and personal jurisdiction that composed of educator, educate and school parent. 현행 「지방자치법」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사무에 대해 ‘국가우선주의’ 내지 ‘광역우선주의’를 취하고 있는 반면,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교육․학예에 관한 사무 전반을 지방자치단체의 사무로 규정하고 있다. 특히 헌법이 교육에 관한 권한과 책무를 국가에게 귀속시키고 그 내용을 법률로서 정하도록 하고 있고 교육에 대한 교육에 관한 국가사무와 지방사무의 구별기준이나 지방사무의 특성을 추론할 수 있는 법문이나 용어의 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여서, 일반적으로 지방자치법 영역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사무권한에 관해 적용되는 보충성의 원칙은 교육행정 분야에서는 원용되기 어렵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육에 관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권한과 사무의 귀속관계를 정리하고 그 구별의 기준을 정하는 것은 법원에 맡겨질 수밖에 없게 되었고, 이 분야에 관한 법원의 판결은 분쟁의 해결이나 권리구제적 기능을 넘어 ‘사법에 의한 입법’으로서의 실질적 의미를 가진다. 교육사무의 법적 성질과 그에 관한 권한의 귀속주체를 정하는 임무는 입법자에게 맡겨져 있다. 현재 자치관련 법령의 경우 입법자가 국가와 교육감의 사무를 명확하게 배분하고 있지 못하여 그 구별이 용이하지 않으며, 많은 규정들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양자에 모두 포괄적인 교육 권한을 부여하고 있어 그 권한의 충돌이 일어날 소지를 충분히 내포하고 있다. 또한 많은 권한들의 대상사무가 자치사무인지, 기관위임사무인지 여부의 구별도 법 규정상으로 명확하지 않아 결국은 사법부에 의한 사후적 해결에 의하여만 해당 사무의 종류가 판단되는 상황이다. 그러나 본 논문의 대상판결은 “교육감이…지도·감독 사무의 성격에 관한 선례나 학설, 판례 등이 확립되지 아니한 상황”이라는 점을 위법성판단의 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에 관해 어떠한 선례나 학설이 있는지, 이들 선례나 학설에는 어떠한 문제점과 논란이 있는지 등에 관해서는 일체의 언급이 없다. 또한 대상판례를 포함한 기존의 대법원 판례가 교육사무의 본질과 이에 대한 권한의 귀속관계에 대한 본질을 설파하지 못한 가운데 지방자치단체의 사무와 국가사무의 구별에 관한 일반적인 기준이라고 할 수 있는 “전국적 통일성”이나 “비용의 부담관계” 등을 기준으로 하여 교육에 관한 권한과 사무를 구별하고 있는 점도 아쉬움으로 남는다. 우리 헌법에서 교육에 관해 국가의 근원적 책임성과 법정주의를 명문화하였고,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지방교육자치제의 운용을 법정화 하고 있는 만큼, 지방교육자치제는 헌법과 법률의 틀 안에서 국가에 의해 이관되거나 위임된 교육사무 또는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교육사무를 탈정치성과 전문성을 기반으로 하여 집행하는 교육공동체자치라 할 수 있다. 이에 독일연방헌법재판소에서 교육에 관한 사무를 “교육 외부적 사무”와 “교육 내부적 사무”로 구분하고 있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교육자치제도는 지방자치제도의 파생품이거나 유사품이 아니며 지방자치제도와는 구별되는 완전히 별도의 유형의 자치제도이다. 헌법과 법률이 전제하는 국가의 교육책무의 범위 내에서 교육이라는 사물관할과 교육자와 피교육자 및 학부모로 이루어지는 인적관할을 전제로 한 ‘교육공동체자치’라는 전제 하에서 지방교육자치단체의 고유한 행정권한과 사무 및...

      • KCI등재

        유아교사의 근무환경, 자율성, 전문성, 핵심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

        장옥선,서현아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3 교사교육연구 Vol.62 No.3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근무환경, 자율성, 전문성, 핵심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B시에 소재한 유치원 20곳과 어린이집 30곳 총 50곳에 재직중인 유아교사 53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교사의 근무환경, 자율성, 전문성, 핵심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먼저 근무환경은 전문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무환경은 자율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자율성은 핵심역량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문성은 핵심역량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근무환경은 핵심역량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근무환경, 자율성, 전문성, 핵심역량은 통계적으로 구조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자율성과 전문성은 핵심역량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유아교사의 근무환경과 핵심역량 간의 관계에서 자율성과 전문성은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근무환경, 자율성, 전문성은 유아교사의 핵심역량과 구조적 관계를 나타내는 변인이며, 이때 자율성과 전문성은 매개변인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교사의 핵심역량 강화 방안을 위한 조직과 환경적인 차원에서 근무환경을, 개인적 차원에서는 자율성과 전문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근거를 제공하여 유아교사의 핵심역량 중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conditions, autonomy, professionalism, and core competence. For the purpose, the study surveyed 536 teachers who were working for any of 50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located in B city, specifically 20 kindergartens and 30 nurseries. From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and process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by the following. Firstly, when it comes to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conditions, autonomy, professionalism, and core competence, it turned out that working conditions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professionalism as well as autonomy. Additionally, it was discovered that autonom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ore competence which was also positively affected by professionalism. Moreover, working conditions had a positive affect on the teachers’ core competence. From the perspective of statistics,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conditions, autonomy, professionalism, and core competence are structurally related to one another. Secondly, it was shown that autonomy and professionalism had an indirect impact not only on core competence, but also on relationships between working conditions and core competence. As far as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concerned, working conditions, autonomy and professionalism are factors that have structural relationships to core competence and, especially, autonomy and professionalism. When all the above findings are considered, this study seems meaningful since it basically determines reasons why strengthening early childhood teachers' core competence requires a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working conditions in an organizational or environment dimension and autonomy and professionalism in a personal dimension Also, the study is regarded valuable in that it provides how to improve early childhood teachers' core competence.

      • KCI등재

        콘텐츠산업 인력의 업무 자율성 변화 분석

        이용관 한국문화경제학회 2017 문화경제연구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nges in work autonomy of content industry workers using Korea Working Conditions Survey(2010, 2014) and difference-differences estimation method. The results fi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work autonomy (work order, work method, work speed) of the content industry worker in In the overall sample. On the other hand, analyzing the sample of 30 or more employee establishment size shows that work autonomy of the content industry worker is greatly reduced. Also, work autonomy is high when the rank or capability is high, whereas work autonomy decreases when the establishment size is large. This study implies that the content industry workers have shown quantitatively the reduction of work autonomy. It also suggests that compensation and management systems are needed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ntent industry. 본 연구에서는 콘텐츠산업 인력의 업무 자율성 변화를 분석했다. 한국근로환경조사(2011, 2014) 자료에서 콘텐츠산업 인력과 업무 자율성 변수를 추출하고 이중차감추정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전체 표본에서는 콘텐츠산업 인력의 업무 자율성(업무 순서, 업무 방법, 업무 속도)에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최근 콘텐츠업계의 자율성 감소는 논의는 대규모 인력과 자본이 투입되는 경우라는 것을 고려하여 30인 이상 사업체 표본을 대상으로 분석하면 콘텐츠산업 인력의 자율성이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다. 업무의 자율성은 직위와 역량과는 정(+)의 관계가, 사업체 규모와는 부(-)의 관계가 나타난다. 본 연구는 그동안 사례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던 콘텐츠산업 인력의 업무 자율성 변화를 실증분석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또한, 인력들의 부여되는 자율성이 콘텐츠 제작·유통 과정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인력에 대한 보상 및 관리 체계 개선이 수반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기업조직의 특성이 여성관리자의 일-삶(work-life)균형에 미치는 영향

        신동은(Dong Eun Shin)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15 사회연구 Vol.- No.27

        여성의 관리직 · 전문직 진출이 확대되고 있지만, 일 중심의 근로관이 지배적인 한국 사회에서 여성이 겪는 일과 삶 사이의 갈등은 심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기업조직의 어떠한 특성이 여성관리자의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주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2년에 여성관리자 2,04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여성관리자패널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의 핵심적인 발견은 다섯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직무 자율성은 여성관리자의 일-삶 균형에 큰 영향을 미친다. 직무 자율성이 증가할수록 여성관리자의 일-삶 갈등이 완화되고, 동시에 일-삶 촉진이 강화된다. 둘째, 상사의 지지는 여성관리자의 일-삶 균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사의 지지가 높을수록 여성관리자의 일-삶 갈등이 감소하고, 동시에 일-삶 촉진이 증가한다. 셋째, 공식화 및 성과제 수준이 높을수록 여성관리자가 경험하는 일-삶 촉진이 증가한다. 넷째, 위의 세 가지 효과는 장시간 근로 여부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보인다. 마지막으로, 장시간 근로, 집단적 조직문화, 성차별 경험은 여성관리자의 일-삶 갈등에 큰 영향을 준다. 장시간 근로할수록, 집단적 조직문화가 강조될수록, 그리고 성차별을 경험할수록 여성관리자의 일-삶 갈등이 증가한다. More women advance to managerial and professional positions in Korea today than in the past. However, Korean women experience high levels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life since work takes priority over one's personal and family life in Korea.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n women managers' work-life balance. Using data from a nationwide survey of 2,042 women managers, I find that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give a strong influence on women managers' work-life balance. First, job autonomy plays an important role in women managers' work-life balance. Women managers' work-to-life conflict reduces and work-to-life facilitation increases when they have higher job autonomy. Second, supports from supervisors greatly influences women managers' work-life balance. Women managers' work-to-life conflict is reduced and work-to-life facilitation increases when they have greater support from their supervisors. Third, formalization of personnel practices enhances women's work-to-life facilitation. Fourth, the three effects above show different degrees of results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long working hours. Finally, women managers experience more work-life conflict when working long hours, working in organizations with collec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facing gender discrimination.

      • KCI등재

        직무 자원으로서의 근무시간 자율성: 근로자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

        김나경(Nakyoung Kim),이선희(Sunhee Lee) 한국인사관리학회 2020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4 No.1

        최근 우리나라 조직들에서 시차출퇴근제와 선택근무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제도들은 종업원에게 근로시간을 선택하거나 조정할 수 있는 근무시간 자율성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직무요구-자원 이론”(job demands-resources theory; Bakker & Demerouti, 2007)을 바탕으로 근무시간 자율성이 직무 자원으로서의 긍정적 효과를 가지는 지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한국 노동패널조사(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에서 추출한 5,287명의 한국 직장인 대표표본에 대한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근무시간 자율성은 구성원의 직무만족을 증가시키고, 이직의도를 감소시켰다. 또한 근무시간 자율성이 높을수록 업무량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완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근무시간 자율성이 직무 자원으로 기능한다는 학문적 함의뿐만 아니라, 근무시간 자율성 관련 제도 도입에 관심 있는 조직들에게 중요한 실천적 함의를 제공한다. Recently, flexible work schedules have gained increasing interest in Korean organizations. Flextime work schedules allow employees a level of autonomy to determine their own work schedules. Based on “job demands-resources model” (Bakker & Demerouti, 2007), the current study hypothesized and demonstrated that work-schedule autonomy has a moderating effect as well as a main effect on job attitud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of data from 5,287 Korean employees from the Korean Labor Panel Survey showed that work-schedule autonomy has a positive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nd also mitigates the adverse effects of heavy workloads on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provide empirical supports for conceptualizing work-schedule autonomy as a job resource and significant practical implications to organizations that are interested in introducing flexible work schedules.

      • KCI등재

        스마트워크 사용자의 업무/비업무간 경계 관리 전략에 관한 연구

        김용영 ( Yong Young Kim ),오상조 ( Sangjo Oh ),이희진 ( Heejin Lee ),차경진 ( Kyung Jin Cha ) 한국지식경영학회 2015 지식경영연구 Vol.16 No.4

        Smart Work is an extended version of telecommuting or distance work pursuing an objective of work-life balance which is one of the hottest issues in management research. With diffusion of Smart Work, a problem has been raised that Smart Work makes the boundary between work and non-work blur, and may break the balance of work-life. However, work-life balance will be achieved by actively managing the boundary between work and non-work rather than passively taking the consequences.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Smart work improves work-life balance, we need to understand the precedence factors influencing on job satisfaction and the role of boundary management strategy which Smart Workers actively choose. This paper considered the bi-directional permeability between work and non-work domain and developed a research model containing a causal relationship among three factors, job autonomy, job involve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on effect of boundary management strategy. The results show that both job autonomy and job involvement affect job satisfaction and boundary management strategy which Smart Workers utilize plays a moderating role influencing on job satisfaction.

      • KCI등재

        온라인 플랫폼 노동에서 불안과 자율성의 긴장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주재훈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22 情報시스템硏究 Vol.31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that insecurity and autonomy of platform work have an influence on work-life bala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n era of platform economy based on two characteristics of online platform work and self-determination theory.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suggest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ntegrating two antecedents, insecurity and autonomy, work-life bala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roposed five hypotheses driven from the research model. A total of 334 vali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platform workers by employing questionnaire including 24 question items of four constructs. Findings Three hypotheses were supported and one hypothesis was not supported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05. Insecurity of platform work has a negative influence on work-life balance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01, whereas insecurity of platform work has no a significant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Autonomy of platform work has a positive influence on both work-life bala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01. Work-life balance has a positive impa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001. Insecurity have an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directly through mediation of work-life balance. Implications for academicians and practitioners were suggested.

      • KCI등재

        스마트워크 상황에서 직무자율성의 개념화 고찰

        김용영 한국융합학회 2022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3 No.3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mart devices, and COVID-19 pandemic,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using Smart Work are increasing. Constant connectivity has become commonplace while using smart devices such as smart phone and tablet PC, and based on this, workers can communicate and exchange data and information anytime, anywhere, resulting in increased job autonomy in determining method, time, and place to work. However, existing Smart Work research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the concept of job autonomy developed in the industrialization era of the 1970s is still used, job autonomy is verified in unidimensionality, and the paradoxical ‘tied autonomy’ in the context of Smart Work is not demonstrated.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literature that demonstrated job autonomy in a Smart Work situatio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is study suggested how previous studies have dealt with job autonomy in Smart Work context, how to develop the type of autonomy according to the Smart Work situation, and directions for future empirical research. 정보통신기술과 스마트기기의 발달, 그리고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스마트워크를 활용하는 조직이나 개인이 늘어나고 있다. 최근 무선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기반을 둔 지속적 연결성으로 인해 스마트워크 방식으로 일하는 근로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의사소통할 수 있고, 데이터와 정보를 주고받으며 업무를 수행할 수 있어 자신이 업무 방법, 시간, 장소 등을 결정할 수 있는 직무자율성이 증대된다. 하지만 기존 스마트워크 연구는 산업화시대에 개발된 직무자율성의 개념을 여전히 사용하고 있는 점, 다차원적으로 직무자율성을 실증하지 못하는 점, 스마트워크 도입으로 발생하는 역설적 ‘결속된 자율성’을 검증하지 못하는 점 등의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스마트워크 상황에서 직무자율성을 실증한 문헌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스마트워크 상황에서 직무자율성을 어떻게 다뤄왔는지, 그리고 스마트워크 상황에 맞게 자율성의 유형을 어떻게 발전시켜야 하는지, 그리고 향후 실증연구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번영감(Thriving at Work) : 개념, 선행 영향요인, 그리고 효과성

        박상언(Sang Eon Park),김학수(Hack Soo Kim),임영재(Young Jae Im) 한국인사조직학회 2016 인사조직연구 Vol.24 No.2

        번영감(thriving at work)은 조직구성원이 업무수행 중에 느끼는 ‘활력감’(vitality)과 ‘학습감’(learning)이 결합된 개념이다. 즉 번영감이란, 구성원이 업무수행과정에서 에너지의 충만함과 자신감을 느끼고, 또 자신의 일을 통해 스스로 발전해 가고 있다는 느낌을 갖는 상태를 의미한다. 선행 논의들에 따르면, 이러한 번영감은 직무열의나 복원력 등 다른 긍정 심리 개념과도 차이가 있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조직행동 분야에서 번영감에 대한 연구는 아직 그리 많지 않아서, 관련 변수들에 대한 실증연구가 충분히 축적되지 않아 왔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취지에서, 본 연구는 번영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선행영향요인으로서 상사에 대한 신뢰와 직무자율성의 효과를 확인해 보고 있다. 또 번영감의 결과 내지는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역할 내 차원에서는 고객지향성을, 그리고 역할 외적인 차원에서는 이타적 행동과 적극적 행동 등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해 보았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이들 선행영향요인과 효과성 변수들 간에 번영감이 수행하는 매개효과에 대해서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종의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조직이라 볼 수 있는 국립공원관리공단(KNPS)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동일방법분산의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3주의 시차를 두고 2차례에 걸쳐 설문조사가 시행되었다. 이에 대한 분석결과에 의하면, 상사에 대한 신뢰와 직무자율성은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번영감과 정(+)의 영향관계에 있었다. 또 번영감은 연구대상 조직에 있어서도 여러 면에서 의미있는 조직효과성 변수였던 고객지향성, 이타적 행동, 그리고 적극적 참여행동에 대해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번영감은 이들 선행 영향요인과 효과성 변수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시사해 주는 경영관리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과제들이 함께 토론되었다. Thriving at work is defined as the psychological state in which individuals experience both a sense of vitality and learning at work. Since the construct and conceptual model of thriving was first raised a decade ago, considerable efforts have been made to investigate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thriving at work. Up to now, however, no sufficient research on relevant variables has been conducted because the study of thriving at work is still in its infancy. In this respe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rust in one’s supervisor and job autonomy as the antecedents of thriving at work, and its consequential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employees.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le mediating role of employees’ thriving at work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tecedent and consequence variables. For this study, we surveyed employees working in th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KNPS) at two separate points in time, with a lag of three weeks. This measurement strategy was executed for the purpose of decreasing the common method variance. The results of analysis indicated that trust in one’s supervisor and job autonomy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riving at work. In addition, thriving at work had a positive impact on all consequence variables. Moreover, as expected in the hypothesis, the mediating role of thriving at work was observed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ntecedent and consequence variables. The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then discussed.

      • KCI등재

        Effect of Women’s Paid Work Status on Their Decision-Making Autonom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raheli Dhar Chowdhuri,Kaushik Kundu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2 Asian Women Vol.38 No.2

        This systematic review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and relative effect of women’s paid work status on their decision autonomy, among its other determinants. Using 22 studies with 28 different samples from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this study shows that the overall effect of women’s paid work status on their decision-making autonomy is highly significant (p < 0.001), and a net odds ratio between women’s paid work and their decision autonomy of 1.26 (95% C.I.= 1.17-1.36). This autonomy as enjoyed by South Asian working women in contrast to their non-working counterparts (OR=1.30, 95% CI=1.16-1.45, p < 0.001) i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non-South Asian women (OR=1.21, 95% CI=1.09-1.35, p=0.0006). The majority of decisions are made on health-related matters, the purchase of daily household needs, or investing large amounts of money in asset purchases. Education is the second major component of women’s decision autonomy (OR= 1.24, 95% CI= 1.19-1.30, p < 0.001), though it is not consistent across all geographic locations. This study also shows that women’s age and family wealth are important contributors to women’s autonomy in some countries, whereas husbands’ education and occupation do not empower married women in terms of their decision-making autonom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