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조선인 위안부에 대한 영화적 재현 양상 : 영화 <귀향>을 중심으로

        권현정 ( Gwon Hyeon Jeong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17 아시아영화연구 Vol.9 No.2

        영화 <귀향>은 위안부 피해자를 `소녀` 혹은 `할머니`로 표상한다. 이 같은 표상의 기저에는 `바라보는 자` 즉 남성 중심적인 시선이 지배적으로 깔려있다. 그러나 이 같은 표상은 위안부 피해자가 순결하고 나약한 `소녀`에서 무력하고 노쇠한 `할머니`가 되기까지의 다채로운 삶은 사라지게 만든다. 대신 영화는 그들이 그 `사건` 이후 평생을 고통 속에서만 살아온 것처럼 제시한다. 이는 위안부 피해자를 무력하고 나약한 것으로 즉 정형화된 피해자상으로 고착화시키는 함정을 낳는다. 한편 영화는 성폭력의 피해자인 은경만이 위안부 피해자들의 고통을 위로 할 수 있는 인물로 제시한다. 은경은 작중 말미에 귀향굿을 하며 피해자의 혼을 위로하고 피해 생존자의 마음을 치유해준다. 그런데 이 과정은 다분히 `사건` 내부에 있는 자들끼리의 연대로 그려진다. `사건` 외부에 있는 자들은, 심지어 관객까지도 철저히 주변인으로 전락한 채 그 `사건`을 더듬거려보지도 못하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영화는 이 굿판을 통해 마치 `사건` 내/외부에 있는 자들이 함께 화합하고 치유한 듯이 그린다. 하지만 위안부 피해자를 둘러싼 사회적 통념과 인식을 바로 잡고, 그들의 삶을 정형화된 피해자상 안으로 밀어 넣지 않을 때, 그때 진정으로 `사건` 안의 피해자와 `사건` 밖에 있는 타자들은 화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지점에 이르렀을 때에야 `사건`의 피해자들 또한 치유로 향하는 길에 한 발자국 더 다가가게 될 것이다. The movie < Spirits` Homecoming > symbolizes comfort women as `girls` or `grandmothers`. The `gazer`, that is, the male-centered gaze dominantly lies on the base of this representation. However, such a representation makes the multifarious life of a victim of a comfort woman from a chaste and weak `girl` to a helpless and aged `grandmother` disappear. Instead, the film suggests that they have lived only in pain for the rest of their lives since the `incident`. This creates a trap that makes victims of the comfort women look helpless and weak, that is, fixing them as stereotyped victim image. On the other hand, the film presents Eungyung, a victim of sexual violence, as the only person who can console the suffering of comfort women victims. Eungyung performs a homecoming exorcism at the end of the movie, consoles the soul of the victim and heals the victimized survivor`s mind. However, this process is mostly depicted only as a solidarity among those inside the `incident`. It is because those outside the `event`, even the audience, are unable to stare at the `incident` as they are degraded to marginal people. Nonetheless, the film draws as if the people inside/outside of the `incident` are harmonious and healing through this exorcism The movie < Spirits` Homecoming > symbolizes comfort women as `girls` or `grandmothers`. The `gazer`, that is, the male-centered gaze dominantly lies on the base of this representation. However, such a representation makes the multifarious life of a victim of a comfort woman from a chaste and weak `girl` to a helpless and aged `grandmother` disappear. Instead, the film suggests that they have lived only in pain for the rest of their lives since the `incident`. This creates a trap that makes victims of the comfort women look helpless and weak, that is, fixing them as stereotyped victim image. On the other hand, the film presents Eungyung, a victim of sexual violence, as the only person who can console the suffering of comfort women victims. Eungyung performs a homecoming exorcism at the end of the movie, consoles the soul of the victim and heals the victimized survivor`s mind. However, this process is mostly depicted only as a solidarity among those inside the `incident`. It is because those outside the `event`, even the audience, are unable to stare at the `incident` as they are degraded to marginal people. Nonetheless, the film draws as if the people inside/outside of the `incident` are harmonious and healing through this exorcism However, when correcting the social convention and perceptions surrounding the victims of the comfort women and not pushing their lives into the stereotype of the victim, then it will be possible to truly harmonize with and heal the victims in the `incident`.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범죄피해자화 감소 방안에 관한 연구

        양문승,이선영 한국피해자학회 2009 被害者學硏究 Vol.17 No.1

        The reality is that globalization is no exception and continue staying on foreigners stood at one million times. Today, our foreign and easily from anywhere in the street only a few years ago, was a curious eye to litter the streets or a point of the wedding couple, a pair of 10 pairs of newly married couples are common enough to exceed 12, and a relationship between Koreans and foreigners I was able to easily see your lover. About foreign policy in conjunction with those interested in reality and over the past few years the government actually increased effort. In addition,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foreigners staying in the growing foreign crime is a new social problem. However, in the interest of the foreigners that the severity of the crime and years that meant as a meager, the official aggregate statistics. Meanwhile, interest is relatively common for crime victims has been started only recently to guarantee the rights of crime victims constitutional law-based group Article 30 in addition to victims of crime called the crime the victim's law, the crime victim protection law enacted in 2005 to , and related policy measures to improve or is the current progress. However, the foreign crime victims of domestic crime victims should be treated the same as it, the realization of the definition of criminal law and protect the rights of victims as well as diplomatic and international credibility of the very complex issue and is related. In particular, the case of migrant women married foreigners, labor, family, and for women of various forms of violence and social discrimination, the combination of this complex because of the nature of these measures for the victims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approaches will have to.

      • KCI등재

        여성폭력 및 여성폭력방지기본법 개선 모색

        정도희(Dohee Jeong)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圓光法學 Vol.39 No.1

        여성폭력의 유형은 광범위하고 다양하다. 다양한 폭력유형 가운데에서도 현행법은 가정폭력, 성폭력, 성매매 등이 “분절적으로” 입법되었고, 가해자 처벌을 위한 입법과 피해자 보호로 이원화되어 있다. 여성폭력 피해자의 통합적인 지원체계와 포괄적인 입법의 필요성에 대한 주장이 계속되었고, 우리 사회에서는 격렬한 논쟁 끝에 2018년 12월 「여성폭력방지기본법」이 제정되었고, 2019년 시행되었다. 「여성폭력방지기본법」은 종래 개별적으로 규율되던 여성폭력을 통합적으로 규율하고, 여성에 대한 새로운 유형의 폭력을 반영하여 여성폭력의 확대를 고려한 포괄적인 성격의 법률이다. 여성에 대한 폭력 방지와 피해자 보호와 지원에 관한 국가의 책임을 분명히 하고, 여성폭력방지정책의 추진을 규정하며, 여성폭력 특수성을 반영하여 피해자 지원시스템과 일관성 있는 통계 구축 등을 통하여 여성폭력피해자 지원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 법의 제정 과정에서 찬성과 반대의 의견의 대립이 있었고, 현재에도 개정이 필요하다는 논의와 그 방향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현행 「여성폭력방지기본법」의 보완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이를 위하여 우리에게는 다소 생소할 수 있는 스페인의 입법례를 소개한다. 스페인은 ‘젠더폭력 통합 보호 조치에 관한 조직법’(Ley Orgánica 1/2004, de 28 de diciembre, de Medidas de Proteccióon Integral contra la Violencia de Género)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스페인에서는 과거 가정폭력 피해가 빈번하고, 등한시되었던 여성의 권리가 입법을 통하여 강력하게 보호되어야 하고, 남성과 여성의 평등한 권력 구조가 형성되어야 한다는 자각 하에 이 법이 제정되었다. 이 법은 젠더폭력 사건에서의 대응을 위한 것으로, 사건 발생 후의 경찰에의 신고, 피해자에 대하여 의료지원,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여성피신처 및 상담서비스 제공 등을 위한 것이다. 2022년 9월 스페인은 성폭력범죄의 처벌과 피해자 보호를 강화하는 형법 개정을 이루기도 하였는데, 스페인의 입법례를 살펴보는 것은 우리의 「여성폭력방지기본법」의 수정이나 대응에 착안점을 줄 수 있다. 특히 그 중에서도 피해자보호명령제도는 「여성폭력방지기본법」에 도입할 만하다. 본고에서는 여성폭력 피해자의 권리와 여성폭력의 유형, 스페인 여성폭력 지원 관련 입법례를 살피고, 현행 「여성폭력방지기본법」의 주요내용과 비판을 검토한 후,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여성폭력과 여성폭력 피해자의 개념 확장, 2차 피해 용어의 명확화와 불이익처우금지의 확대, 피해자보호명령제도의 도입 및 조문의 신설・개정을 통한 미비점 보완 노력을 제안하였다. Types of violence against women are wide and varied. Among various types of violence, the current acts are “segmentally” legislated on domestic violence, sexual violence, and prostitution, and are divided into legislation to punish perpetrators and protect victims. The need for an integrated support system for victims of violence against women and comprehensive legislation continued, and after intense debate in our society, the 「Framework Act on Preven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was enacted in December 2018 and implemented in 2019. The Act is a comprehensive act that comprehensively regulates violence against women, which had previously been individually regulated and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expans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by reflecting a new type of violence against women. It clarifies the responsibility of the state for the preven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and protection and support for victims, stipulates the promo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policies, and supports victims of violence against women by reflecting the specificity of violence against women and establishing consistent statistics with the victim support system. It was intende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In the process of enacting this Act, there was a conflict of opinions for and against it, and discussions on the need for revision are still being conducted. This paper aims to propose a supplement to the current 「Framework Act on Preven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and to this end, introduces a legislative example of Spain, which may be unfamiliar to us. Spain has enacted and implemented the 「Organic Act 1/2004 of 28 December on Integrated Protection Measures against Gender Violence」( 「Ley Orgánica 1/2004, de 28 de diciembre, de Medidas de Proteccióon Integral contra la Violencia de Género」). In Spain, this Act was enacted under the awareness that domestic violence was frequent in the past, that women's rights, which had been neglected, should be strongly protected through legislation, and that an equal power structure between men and women should be formed. This Act is for responding to cases of gender violence, reporting to the police after an incident occurs, providing medical support to victims, and providing social welfare services, women's shelters, and counseling services. In September 2022, Spain also made amendments to the Criminal Code that strengthened the punishment of sexual violence crimes and the protection of victims. Examining Spain's legislative examples can give an idea for revising or responding to our 「Framework Act on Preven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In particular, the victim protection order system is worth introducing in the 「Framework Act on Preven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This paper reviews the rights of victims of violence against women, types of violence against women, legislative examples related to support for violence against women in Spain, and major contents, criticisms of the current 「Framework Act on Preven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and measures for improvement which were sought. This paper emphasizes efforts to make up for deficiencies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defini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and victims of violence against women, the clarification of secondary victim damage terms, the expansion of prohibition of disadvantageous treatment, and the establishment and revision of provisions.

      • 법과 주체의 조명 ; 가정폭력 “피/가해자”의 탄생: 가정폭력 피해자의 처절한 사적 구제

        양현아 ( Hyun Ah Yang ),김현경 ( Hyun Kyung Kim ) 서울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2012 공익과 인권 Vol.12 No.-

        가정폭력 피해자가 오랜 가정폭력에도 불구하고 법적 구제를 받지 못하다가 가해자를 사망케함으로써 도리어 가해자가 되어 ``법 앞에 섰을 때`` 법은 이 복합적 주체를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우리 법과 법정은 이러한 주체성을 다룰 시각과 논리를 가지고 있는가. 이 글에서는 이 복합적 주체를 “피/가해자”라고 이름 붙이며 이러한 질문을 시론적으로나마 다루어 보고자 한다. 법원이 가진 피/가해자에 대한 시각은 우선 정당방위와 심신장애 판단에서 드러난다. 정당방위 판단에서 법원은 동등한 힘을 가진 남성을 그 주체로 상상함으로써 가정폭력 피해자가 가진 ``방위의 감각``을 배제하여 침해의 현재성을 인정하지 않는다. 또한 가정을 ``사랑의 공간``으로만 추상적으로 상정함으로써 그 공간 안에서 실제적으로 신음해 온 피/가해자에게 가정 내 공격에 대한 사회 윤리적 제한을 이유로 방위행위의 상당성을 부정한다. 한편 심신장애 판단에서는 미국의 피학대여성증후군(Battered Woman syndrome)을 수용하지만, 피/가해자의 ``피해자성``에만 천착함으로써 능동적으로 행위했고 행위하는 피/가해자의 주체성은 도리어 고의적 살인 행위에의 추정을 강화시키게 된다. 피/가해자의 주체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녀의 가정폭력 피해 경험을 섬세하게 살펴야 한다. 피/가해자는 학습된 무력감을 겪고 있기 때문만이 아니라 법과 국가의 부재 속에서 적절한 도움을 받을 수 없었기 대문에 폭력의 순환을 감당했던 것이다. 현재 ``가정폭력방지법``은 가정 보호를 그 목적으로 삼아 보호가치를 혼돈하고 있으며, 법을 집행하는 국가기관은 가정폭력을 용인하고 사소화함으로써 적절한 구제를 행하지 못하고 있다. 가정폭력은 은폐된 사적 공간 안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한다는 점에서 더 심각하게 이해되어야 하지만, 공/사 영역 이분법과 가족주의 하에서 오히려 사소화되고 용인되어 왔다는 점에서 법과 국가의 대응은 가정 공간에 대한 왜곡된 이해에 기반하고 있다고 해석된다. 이 결과, 법적 구제의 바깥에 놓인 가정폭력 피해자는 가정폭력에 시달리면서 이를 종결지을 어떠한 방도도 찾지 못한 채 최후에는 가해자를 살인하는, 강요된 선택에 이르게 된다. 이 점에서 피/가해자의 선택은 법적 절차가 정지한 곳에서 행한 ``처절한 사적 구제``라고 본 연구자들은 해석한다. 때문에 피/가해자를 마주하는 법과 국가는 이러한 피/가해자가 다시는 출현하지 않도록, 성철적 자세로 가정폭력에 대한 실무적 대책에 부심해야 할 것이다. 또한 피/가해자를 처벌하는 것에 집중하지 말고 이들의 목소리를 제대로 듣고 그 복합적 주체성을 해독하여 치유하고 회복하는 사법의 역할을 다해야 할 것이다. How could the law see the complex subjectivity such as the one who has been a long-time victim of domestic violence, being left without legal protection and eventually killing her abusive husband? This article names this complex subject a “victim/perpetrator” and attempts to deal with the question raised above. First of all, the current judicial system cannot possibly listen to the voices of a victim/perpetrator due to its limited standard of illegality and responsibility. The perspectives of the court can be found in the interpretation of self-defense and insanity. In interpreting the self-defense, the court in Korea does not recognize the imminent attack as it assumes that a victim/perpetrator has the same masculine power and thus ignores the complex situation of a victim/perpetrator. It also rejects the defense of the imminent attack under social and ethical grounds, as it abstractly defines a home as a place of love and care, ignoring a brutal reality of the home where the victim/perpetrator could not be escaped. In interpreting the insanity, the court only focuses on victimized aspects and thus fails to capture active aspects of a victim/perpetrator, even though it accepts battered woman`s syndrome(BWS) developed in the United States. In order to ensure that voices of a victim/perpetrator are to be heard, her own experiences of domestic violence should first of all taken into account. A victim/perpetrator appears to endure the cycle of violence because of learned helplessness as well as absence of legal protection. The existing the Special Act on Punishment of Domestic Violence aims to protect the family, that seems to confuse the protected interests of the law. In relation, public institutions charged with the execution of laws condone or trivialize domestic violence and fail to provide adequate remedies. The author interprets that the ineffectiveness of the laws and the inaction of the government reflect their biased understanding of the family. Under the public/private dichotomy and familism, the violence in the in the family has rather been trivialized and bypassed. As a result, a victim/perpetrator who has been left suffered and endured the domestic violence on her own without having any legal and social support and help, and is forced to kill her abusive husband as the last solution to stop the violence. in this regard, her killing is understood as ``a desperate private remedy`` under the circumstances with no legal remedy to rely on. in this regard, it is the state that should share the responsibility of this atrocity - the murder with the victim/perpetrator. Also, it is for this reason that the law and the state should develop the practical measures to stop the domestic violence. In order to fulfill its role as the reparative institution, the judiciary tries to listen and take the voices of a victim/perpetrator seriously.

      • KCI등재

        성폭력 범죄에 대한 지역경찰 현장 출동의 긴급성에 관한 연구: 여성·청소년 대상 범죄의 교차분석을 통해

        이창용,박정선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20 치안정책연구 Vol.3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blems of laws mandating emergency disptach of locial police for sexual violence crimes. As the main purpose of emergency dispatch of local police to the crime scene for sexual violence is to protect the victims, it is doubtful whether best action is the best way to protect the victims. The purpose of prompt dispatch is to identify the perpetrator by arresting the perpetrator and securing evidence scattered around on the scene, and in this process, the victim may inevitably be exposed to secondary victimization, such as leakage of damage facts.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victim, when the victim and the criminal are together and the victim's life and body are urgently threatened by the criminal, prompt dispatch may be the best solution for protecting the victim. However, if the criminal has already escaped the scene and the victim is isolated from culprit, the best way to protect the victim is preventing the neighbors from recognizing the victim-related fact such that police are dispatched and assault is sexual by not taking emergency car and police uniform for the emotional stability of victim. As such, the type of dispatch in a sexual violence case is particularly important because the degree of secondary victimization a victim would suffer would be devastating when the damage caused by emergency dispatch is too conspicuous to hide. It would also be applicable to such crimes as domestic violence, child abuse and school violence. As the nature and extent of the damage in sexual violence are a lot larger and more serious compared to other crimes, we need to pay attention to whether the mandatory clarification of the law on emergency dispatch in the current sexual violence case is helpful or not for the protection of victims, and if not, what can be improved. This study used a research method utilizing the analysis of 112 data from the police headquarters. Out of the 112 data reported as sexual violence for the year of 2019, the police checked the number of emergency and non-emergency dispatch cases for crimes related with women and adolescents. We used that data to compare the proportion of emergency dispatch among 4 types of crimes such as sexual violence, domestic violence, child abuse and school violence. Chi-square analysis was used to check the homogeneity and independence of related variables. The results show that local police are already issuing non-emergency dispatch orders at the discretion of police officers who get the sexual crime reports from the victims and the extent of non-emergency dispatch for sexual violence was similar to that of child abuse non-emergency dispatch. This study confirmed the need for improvement in related laws and behavioral manuals as the law may cause non-emergency activities to become illegal or even subject to inspection, even if the victim sympathizes with and fully understands the police non-emergency activities with discretion. It would be beneficial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secondary data by the full utilization of original data for the future study. 본 연구는 성폭력 범죄에 있어 경찰에게 신속한 출동을 의무화한 법령의 문제점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성폭력 범죄가 발생한 때 경찰이 현장에 출동하는 목적 중 하나가 피해자 보호인데 과연 신속한 출동이 피해자 보호를 위한 적절한 방법인지 의구심이 들기 때문이다. 신속한 출동의 목적은 범인 검거 혹은 현장에 유류된 증거 확보를 통해 범인을 특정하는 것인데 이 과정에서 피해자는 불가피하게 피해 사실의 누설 등 2차 피해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피해자 보호라는 본연의 목적을 위해서는 범인과 피해자가 함께 있어 범인으로부터 피해자의 생명과 신체가 위협받는 상태일 때는 신속한 출동이 피해자 보호 목적에 부합할 수 있겠으나, 범인이 현장에서 도주하여 피해자와 격리된 상황일 때는 피해자의 정서 안정을 위해 사복차림에 일반 차량을 이용하여 현장 출동하는 등 경찰 출동 사실을 이웃 등이 인식하지 못하도록 하는 신중한 출동이 피해자 보호 목적에 부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성폭력 사건에 대한 출동 유형이 특히 중요한 이유는 경찰 출동으로 인해 성폭력 피해 사실이 인근에 알려졌을 때 피해자가 받을 수 있는 2차 피해의 성격과 정도가 가정폭력, 아동학대 및 학교폭력 등과 같은 여성·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타 범죄의 2차 피해와 비교 불가할 정도로 크고 심각하기 때문이다. 이에 현행 법령을 통한 성폭력 사건의 신속한 출동 의무화 명시가 피해자 보호에 도움이 되는지 만일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개선 방안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2019년 1년간 성폭력으로 112 신고된 자료 중 경찰의 비긴급 출동 여부 및 그 건수를 확인하여 해당 법령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여성·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여타 범죄와 긴급·비긴급 출동 건수에 대한 교차분석을 통하여 성범죄에 대한 긴급도를 유사 범죄군과 비교하는데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일선 경찰서에서는 성폭력범죄 신고 시 현행 법령과 무관하게 접수 경찰의 자체 판단에 따라 비긴급 출동지령을 하는 경우가 많았고 그 출동 정도는 아동학대의 긴급도와 유사한 정도로 확인되었다. 이는 많은 성폭력 사건에 대하여 일선 경찰들의 합리적 판단에 의해 신중한 비긴급 출동이 진행되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신중한 출동에 대한 피해자들의 공감과 납득에도 불구하고 일선 현장의 실태와 괴리된 법령으로 인해 비긴급출동이 위법 행위가 되거나 감찰 대상이 될 개연성이 크다는 점에서 관련 법령의 개정이나 매뉴얼의 정비 등 개선의 필요성이 긴급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2차 자료를 통한 질적 분석 및 제한된 양적 분석만이 진행되어, 향후 112 원자료를 통한 충분한 양적 분석 등의 후속 연구가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위안부` 재현과 담론을 통해 본 피해자성 고찰 - <레드 마리아> 연작과 <귀향>에 주목하여 -

        송다금 ( Song Da-geum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0 No.-

        본고의 목적은 대중 매체에서 재현하는 `위안부` 재현과 사회 담론을 통해 `위안부` 피해자정체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1장에서는 대중 매체에서 `위안부` 재현의 역사와 `위안부` 문제 해결을 둘러싼 사회적 논의 속에서 1차적으로 법적 피해자 지위를 획득하려 투쟁하는 쪽과 순결한 소녀상에 고정된 `위안부` 상을 해체하려는 쪽의 입장에 각각 주목한다. 2장에서는 대중적 인지도가 높았던 영화 <귀향>과 대중적으로도 호응을 얻지 못한 영화<레드 마리아 2>에서 제시하는 상반된 `위안부` 상과 `위안부` 피해자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두 텍스트 속에는 한국 사회의 `위안부` 인식과 우리가 기억하고 공감할 수 있는 `위안부` 역사에 대한 국민적 열망이 응축되어있다. 국내 `위안부` 운동은 피해자 단체를 결성하는 액티비스트들의 영향으로 각각 다른 사정을 가진 `위안부` 피해자상을 `순결하고 온전한 피해자 소녀`에 고정하는 측면이 강한데, <귀향>은 이러한 집단 기억에 부응하는 담론을 형성하여 대외적인 피해자 권리 확보를 위해 유효한 지점이 있다. 한편 <귀향>에서 재현하는 `위안부`여성상은 재난의 재현을 시각적 스펙터클로 만듦으로써 가부장적 시각 장 안의 최하위 약자로서 피해자 정체성을 고정화할 수 있는 위험을 내포한다. <레드 마리아 2>는 `위안부` 피해자들을 현대 성노동자들과 연결하여 주체적 측면을 부각하는 동시에 `엄마-성노동자-`위안부`를 한 궤에 뀀으로써 자발/강제 프레임 아래 은폐된 폭력의 구조와 그간 말할 수 없던 피해자성을 제시한다. 반면 엄마와 성 판매 여성, `위안부`의 병치는 성녀/창녀 이분법적 틀을 해체하는 것이 아니라 강화할 위험을 내포한다. 3장에서는 특별히 다큐멘터리 장르로서 <레드 마리아>의 파격적 질문이 현실 차원의 복잡한 지형 내에서 집단 강간의 트라우마를 떨쳐버리지 못한 `위안부`에 대한 폭력과 배제로 작동하는 지점을 지적하는 동시에 어떻게 `네이션`의 작동을 초월하여 여성 인권 확장에 기여하는지 그 가능성을 살펴본다. 또한 <레드 마리아 2>에서 `위안부` 정체성과 매춘부를 겹쳐놓는것이 `위안부` 피해의 본질을 자발적 매춘으로 전도할 수 있는 반면 `네이션`의 개념을 해체하여 `위안부` 피해자성의 스펙트럼을 넓힐 수 있음을 확인한다. 4장에서는 두 가지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 먼저 공적 기억 담론을 저장하고 생산하는 대중매체에서의 `위안부` 재현에 대한 연구로서 `소녀`가 각종 매체 속에서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를 추적하는 작업이다. 식민지 조선 시대, 미성년에서 성년인 주체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폭압을 겪어야 했던 소녀에 대한 재현은 시대와 대중적 갈망에 따라 달라지므로 지속적인 추적을 통해 현재성을 확보함이 필요하다. 아울러 본고는 패전 이후 일본사회와 미연합군 그리고 한국과의 관계 속에서 새롭게 파생된 `위안부` 여성들에 대한 연구를 후속 과제로 남겨둔다. 일본패전 이후 `위안부` 제도 또한 식민주의의 결과물로서 `위안부` 문제의 피해자성 형성의 복잡한 관계 양상을 증명하는 증거이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identity of victimized “comfort women” by examining the representation of “comfort women” and social discourse reproduced in mass media. Chapter 1 focuses on the following two positions regarding the social debate on the history of the representation of “comfort women” in mass media and the solution of the “comfort women” problem: 1) to obtain the primary status of legal victim and 2) to remove “comfort women” statues based on chaste Sonyeosang (statues of girl). Chapter 2 analyzes the correlation between “comfort women” statues and “comfort women” victimhood that is conflictingly presented in the following two movies: the publicly recognized movie “Gwihyang” (Spirits` Homecoming) and the unpopular movie “Red Maria II.” Both movies express the national desire for awareness of “comfort women” in Korean society and for the history of “comfort women” that we can remember and sympathize with. While the domestic “comfort women” movement ―due to the influence of the activists who form the victim group―has a strong element of considering the victimized “comfort women” under different circumstances as the “pure and innocent girl victims,” the movie “Gwihyang” forms the discourse that responds to these collective memories and thus makes a valid point for securing victims` rights publicly. On the other hand, the image of “comfort women” portrayed in “Gwihyang” connotes the risk of establishing the victim`s identity by making the representation of the disaster into the visual spectacle. “Red Maria II” not only emphasizes the independent aspect by connecting the victimized “comfort women” with contemporary sex workers but also suggests the structure of violence concealed under the voluntary/forced frame and the victimhood that could not be expressed by juxtaposing mothers, sex workers, and “comfort women.” On the other hand, the juxtaposition of mothers, sex workers, and “comfort women” has the element of strengthening the dichotomous frame of saint/prostitute rather than weakening it. Chapter 3 points out that the deconstructive question of “Red Maria,” specifically as the documentary genre, works for the violence and exclusion of “comfort women” who could not dismiss the trauma of group-rape under the complicated environment at the level of reality. At the same time, this chapter examines whether this question possibly transcends the work of “nation” and contributes to the extension of women`s rights. In addition, this chapter confirms that the overlapping of the identity of “comfort women” and prostitutes not only leads the essence of the suffering of “comfort women” to voluntary prostitution but also broadens the spectrum of the victimhood of “comfort women” by expanding the concept of “nation.” Chapter 4 discusses the reason why the public reactions to the two movies severely crisscrossed in terms of this study`s context and examines the meaning of each movie. In summary, the identity of the victimized “comfort women” is multi-layered, so considering it as a conflict between two nations or defining it as a crime that violates women`s human rights not only simplifies the debate but also creates a new exclusion. Lastly, this paper proposes two future studies. First,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representation of “comfort women” in mass media, which stores and produces the discourses of public memories, and trace how the “girl” is represented in various media. The representation of the “girl,” who was forced to experience oppression while growing up from a minor into an adult during the colonial Joseon period varies depending on the period and public desire. Hence,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newness through continuous investigation. In addition, further research needs to be done in this paper about the “comfort women” who are newly derived from relationships within Japanese society, the U.S. coalition, and South Korea after Japan`s defeat, because the “comfort women” policy after Japan`s defeat is the result of colonialism and is the evidence that proves the complicated relational aspect of the formation of victimhood among “comfort women.”

      • 성폭력 2차 피해의 입법론적 쟁점

        홍완식(Hong Wansik),한상미(Han Sangmi),신나라(Shin, Nara) 한국젠더법학회 2021 젠더법학 Vol.13 No.1

        이 논문은 성폭력 2차 피해에 관한 연구다. 성희롱을 포함한 성폭력 2차 피해의 심각성은 2차 피해에 대한 두려움으로 성희롱·성폭력사건을 해결하고자 성희롱·성폭력을 공론화한 피해자를 무력하게 만든다는 것이며, 나아가서는 성희롱·성폭력을 신고하거나 공개하는 것조차 주저하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2차 피해에 대한 두려움은 성폭력 범죄에 대한 신고율이 낮은 원인 중 하나이고, 이러한 2 차 피해는 성폭력 범죄가 감춰지는 사회적 역기능을 초래할 수 있다. 성희롱·성폭력 피해자들의 호소와 때로는 극단적 선택 그리고 사회적 논의와 제도마련 촉구 등으로 인하여, 2018년에 「여성폭력방지기본법」이 제정되면서 성희롱·성폭력 2차 피해의 개념 정의와 유형, 기업과 국가 등의 책무와 제재 등이 법률에 규정되기에 이르렀고, 여성가족부의 「여성폭력 2차 피해 방지지침 표준안」이 배포되어 국가기 관과 지방자치단체는 기관마다 「성희롱·성폭력 2차 피해 방지지침」을 만들기 시작하였다. 이렇게 성희롱·성폭력 2차 피해 방지에 관한 사항을 법률에 규정하고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 지침을 만들도록 명문화하고 있지만, 아직도 지침을 마련하지 않은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도 있다. 2021년 7월 23일 현재 기준으로 법제 처 국가법령정보센터를 통해 살펴보면, 아직도 법제처, 행정안전부, 외교부, 국토 교통부, 중소벤처기업부, 인사혁신처, 식품의약품안전처 등은 성희롱·성폭력 방 지를 위한 지침 자체는 있지만, 아직 성희롱·성폭력 2차 피해 방지 지침의 제정이 나 개정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통일부와 고용노동부는 문제가 더욱 심각한데, 성희롱·성폭력 2차 피해 방지를 위한 지침은 물론이고 성희롱·성폭력 방지를 위한 지침 혹은 규정 자체를 찾아볼 수 없다. 그리고 성희롱·성폭력 2차 피해에 관한 법령의 규정이 조금씩 다르고, 성희롱·성폭력 2차 피해 방지지침을 마련한 경우에도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마다 지침의 내용은 상이한데, 이러한 상황에서 성희롱·성폭력 2차 피해가 얼마나 효과적으로 방지될지 의문이다. 서울시는 2021년 4월에 「서울특별시 성희롱·성폭력 예방 및 2차 피해 방지 규칙」을 제정하였지만, 2018년 5월 14일에 이미 「서울특별시 성희롱·성폭력 예방지침」의 개정으로 성폭력 2차 피해를 규정하고 있었지만, 이러한 예방지침이 제대로 작동하였느냐는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성희롱·성폭력 2차 피해를 예방하고 근절하기 위한 지침을 아직도 만들지 않은 경우에는 이러한 법률적 의무를 이행할 필요가 있음은 물론이고 지침이 만들어진 경우에도 이러한 지침이 ‘장식적 규정’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입법적 의지’ 만큼이나 ‘실천적 의지’도 중요하다. The secondary victimization of the sexual violence victim are taking place in every process of the criminal investigation, prosecution, trial and media report. Secondary victimization can take on psychological as well as physical forms, both of which are damaging to sexual violence victims. Forms of secondary victimization include bullying or peer victimization, physical abuse, sexual abuse, verbal abuse, robbery, and various psychological assault.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MOGEF) made the ‘standard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of secondary victimization of victims’. The guideline is a follow-up measure taken concerning the Framework Act on Preven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which entered into force in 2019 and defined “secondary victimization” for the first time. The guideline are focused on drawing the attention of the members of central/local government institutions to the meaning of secondary victimization. The standard guidelines include the following: meaning of secondary victimization, what institution chiefs and members should do to prevent it, preventive education, how to handle cases of such, punishment of perpetrators, measures to prevent cases, etc. According to the guideline, institution chiefs should hold education sessions to prevent secondary victimization based on detailed instructions in the guidelines, take steps to protect victims, establish a procedure for handling the relevant complaints, and come up with measures to prevent recurrence. The guideline is a clause requiring taking a protective measure for whistleblowers and those assisting in the handling of the relevant cases. Central/Local government institutions may set their own guidelines based on the standard guideline of MOGEF.

      • KCI등재

        일제식민지배청산 관련 헌법재판소판례에 대한 헌법적 분석과 평가

        방승주(Seung Ju Bang) 한국헌법학회 2016 憲法學硏究 Vol.22 No.4

        국권 상실시 일제에 의하여 강제로 동원되어 위안부피해자와 일본군ㆍ군무원ㆍ노역자, 정신대 등 강제로 징용되어 희생당하거나 피해를 본 자들에 대하여 국가가 진상을 조사하고, 생존자와 사망자의 유족 등 피해자들에 대하여 그들의 명예와 인권을 회복하고, 법적 배상을 받을 수 있도록 외교적 보호를 위한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할 뿐만 아니라, 국가 자신이 이들의 생명과 신체를 제대로 보호하지 못하였다고 할 수 있으므로 “국가부재책임”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이상, 국가는 그들에 대한 적극적인 국가책임 내지 국가배상의 차원에서 보상을 했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3.1운동으로 건립된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하는 우리 헌법상 헌법의 연속성을 인정할 수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일제 치하에서 신음한 백성들에 대한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는 바로 이러한 대한민국의 독립정신과 임시정부헌법의 정신으로부터 계승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이것은 대한민국의 연속성 - 일제의 희생자들에 대한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 - 피해상황과 피해자들에 대한 적극적인 발굴 및 조사의무 - 이들 피해자들에 대한 국가의 적극적인 보상 내지는 지원의무로 이어지는 이른바 “국가부재책임”을 국가가 져야 하는 사안인 것이다. 그러므로 이들에 대한 지원이 단순한 국가적 시혜로서 해도 되고 안 해도 되는 의무라고 할 수는 없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2011년 8월 30일 위안부헌법소원 결정은 청구인들의 눈에서 눈물을 닦아 준 최초의 판결이라고 하는 의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국가부재책임에 대한 보다 깊은 통찰이 요구되었다고 하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그리고 나머지 일제강점기 강제동원피해자들의 헌법소원사건들에서는 그들에 대한 국가의 위로금 지원금의 법적 성격이 결코 단순한 시혜적 성격의 금전급부에 지나지 않는 것이 아니라, 국가책임에 대한 배상적 성격이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므로, 입법자의 형성의 자유는 매우 축소될 것이며, 따라서 위로금이나 지원금의 지급대상을 결정함에 있어서도 헌법상 평등의 원칙과 재산권보장의 관점에서 헌법에 엄격하게 구속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국외피해자에 대해서는 위로금 지원금을 부여하고, 국내피해자에 대해서는 부여하지 않는 것은 그들에 대해서 평등권을 침해하는 것이므로, 앞으로 국내피해자에 대한 지원금도 입법자가 조속히 도입하도록 입법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뿐만 아니라, 헌법재판소 역시 같은 헌법소원심판이 청구되는 경우, 국가부재책임과 평등권, 그리고 재산권보장의 관점에서 보다 적극적인 결정을 내릴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constitutional analysis and evaluation on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s regarding the liquidation of Japanese colonial regimes. The State should have investigated not only all the situations of the comfort women victims, soldiers, civilian employees and victims of forced labor drafted by the Japanese Imperial Arm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egime in Korea, but also should make their best efforts to provide the survivors and their bereaved families with possible diplomatic protection. Then they can restore their honor and human rights, and receive the legal acknowledgement of responsibility and compensation from Japan. Moreover, also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should have acknowledged its constitutional responsibility for its absence and have given them its own compensation or make up the damages for victims for its failure or omission to protect their lives and human rights, after the government had been rebuilt in Korea in 1948. The government succeeded the continuity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born by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the Korean people on March 1, 1919. The Korean government, rebuilt in 1948, succeeded in this responsibility and duty to protect the human rights of the people, who had suffered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egime. This state’s duty had been guaranteed by the spirit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on March 1, 1919 and the Constitutio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state should have the responsibility for its absence, which could be deduced from the constitutional continuity of Korea: the state’s duty to protect the human rights or basic rights of the victims, the state’s duty to investigate and excavate all the situations and damages of victims, and the state’s duty to support and restore the damages for victims. Therefore, this kind of state support for victims pursuant to “the special act for the state support for the victims drafted by the Japanese military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might not be reckoned simply as a graceful benefit for the victims, which depends on the exclusive discretion of the legislation. In this point, although so called “comfort women” constitutional complaint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on August 30, 2011, has a major significance as the first decision, which raised the hands of the comfort women victims in victory and erased the tears from their eyes. However, it is very regretful that the decision had been made without a deeper consideration and awareness with regard to this responsibility for the state’s absence. Furthermore, also in the cases of the constitutional complaints raised by the former soldiers, civil employees or forced laborer victims drafted by the Japanese military, the legal characters of the state support money could not be reckoned simply as a grateful benefit of the state. It should be treated as compensation for the state’s responsibility for failure to give them the effective protection of their lives and the human dignity or rights. The discretion of the legislation to make this statute should be restricted in this meaning and it should be bound on the clause of equal protection (Art 11 the Constitution) and property rights (Art 23 the Constitution) under the strict scrutiny test. It infringes on their equal protection rights, that the state gives the state support money only to the victims who had been drafted to the foreign countries, and not to the victims who had been drafted to the Korean peninsula.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special act regarding state support for the victims drafted by the Japanese military to the foreign countries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 KCI등재

        미주인권법원의 피해자권리 보호 :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의 피해 구제에 관한 시사점

        박배근(Park, Pae Keun) 국제법평론회 2021 국제법평론 Vol.- No.58

        ‘Victim-centered approach’ acquired the position of core concept in the realm of protection of human rights both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level. The so-called victim’s rights became to be included in the list of the most important human rights. In light of these developments, it is natural and legitimate demand that the integral remedies should be given to the victims of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known as Comfort Women also). Nonetheless, the 2015 agreement between Korea and Japan for the settlement of problems regarding the remedies for them is said to have disregarded this important trend. In that sense, the agreement had no recourse but to result in failure. The practice of the Inter-American Court of Human Rights shows plenty of cases through which the Court provided various kinds of remedies to the victims. The Court played most important role in the coinage of the concept of the ‘integral reparations’ and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in that respect. Through its judgments, the Court provided to the victims restitutions, rehabilitation, satisfaction, guarantees of non-repetition as well as monetary compensation. In those judgments, we can find diverse types of remedies which the victims of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also pursue to acquire from the government of Japan. This implies that the demands of remedies submitted by the victims of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are legitimate ones and have sufficient grounds in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At least in the Inter-American human rights protection system, same kinds of demand have been fulfilled by the Inter-American Court of Human Rights. From now on, in every approach to the resolution of the problem of the victims of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keen awareness of the victim’s rights is necessary as has been shown by the Inter-American Court of Human Rights.

      • KCI등재

        독일 나치 시대 여성

        백용기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1 신학사상 Vol.- No.192

        This paper looks at the history of women in Nazi Germany. How do you understand women from the Nazi era? The study of women from this era is related to general (allgemein) historical descriptions and women’s studies. The discourses of women’s research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Periods, and the subjects to be dealt with can be limited. In this paper, women’s issues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debate regarding the Nazis, who are the subjects of today’s debate and are directly linked to the present. During the postwar years, many women of the Nazi era internalized the position of innocence (Unschuld) and placed themselves in nonpolitical areas. This paper seeks to understand Nazi women not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notions of accomplices and perpetrators, resistors or victims of the Nazi regime, but by looking at these women as ordinary women. In Germany, research into Nazi women can be distinguished by three levels of discourse. The first phase is roughly classified from the early 1970s to the mid- 1980s. At this stage, all women during the Nazi era were considered victims. It was explained that women were not persecuted by the Nazi regime for ethnic, religious or similar reasons. This argument was based on the fact that all women suffered under the Nazi extreme patriarchal structure. Women’s research at this stage was strongly influenced by the politics of the women’s movement. From the mid-1980s, the second stage of research on Nazi women began, where the recognition of women as victims of Nazi domination confronted the theme of women as co-criminals. At the same time, women’s active participation in the Nazi movement was publicized. In women’s studies, the theme of all women’s common feminine identities becomes no longer central, and women are no longer considered simply victims of the Nazi system. This marks the advent of new debates within women’s studies. The third stage of Nazi women’s research began in the 1990s. Women of the Nazi era were no longer placed in the categories of victim or joint criminal, but rather an intermediate step was introduced where the actual behavior of women could be recognized correctly. The question of which discours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role of women in the Nazis and what function the discourse played at that stage of the Nazi era came to the fore. At the center of this stage is research, analysis and investigation of women who were not persecuted. 나치 시대의 여성, 그들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나치 시대 여성 연구는 ‘일반’(allgemein) 역사 서술과 ‘일반’ 여성 연구 등과 관련되어 있다. 그리고 여성 연구의 담론은 시대에 따라 구분되어지고, 다루는 대상도 한정될 수 있다. 본 논문은 나치 논쟁과 관련하여 여성 문제를 다루는데, 이 두 문제는 오늘날의 토론 주제가 되고 있으며, 현재와도 직접 연결되어 있다. 전후 오랫동안 나치 시대 다수의 여성들은 ‘죄 없음’(Unschuld)의 입장을 내면화하고 자신들을 비정치적 영역에 위치시켰다. 본 논문에서는 나치 체제에 대한 저항자나 희생자가 아니라, 일반 여성을 중심으로 공범자나 가해자 테제의 논쟁을 통해 나치 시대 여성을 이해해 보고자 한다. 독일에서 이 논쟁 과정은 세 단계 담론으로 구별할 수 있다. 첫 단계는 대략 1970년대 초에서 1980년대 중반까지로 분류한다. 이 단계에서는 나치 시대 모든 여성을 희생자로 여겼다. 이러한 주장은 모든 여성들이 나치의 극단적인 가부장 구조 아래서 고통받았다는 것을 근거로 하였다. 이 단계에서 여성 연구는 정치적 여성 운동으로부터 강하게 영향을 받았다. 1980년대 중엽에서부터 나치에 대한 여성 연구의 두 번째 단계가 시작되는데, 이 단계에서는 여성을 나치 지배 체제 희생자로 인정하는 것에 대하여 공동 범죄자로서 여성이라는 테제가 대립되었다. 동시에 여성의 나치에 대한 적극적 참여가 공론화되었다. 이 단계의 여성 연구에서는 모든 여성의 공통적인 ‘여성적’ 정체성이라는 주제가 더 이상 중심이 되지 못하였고, 여성을 단순히 나치 지배 체제의 희생자로 여기지도 않았으며, 새로운 주장들로 인해 여성 연구는 더욱 논쟁되었다. 나치 시대 여성 연구에 대한 학문적인 관찰 방법의 세 번째 단계는 1990년대부터 시작된다. 나치 시대 여성은 더 이상 희생자나 혹은 공범자라는 범주 안에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나치 안에서 여성의 실제적 행위가 정당하게 판별될 수 있는 중간 단계가 모색되었다. 나치 안에서 여성 역할과 거기서 어떤 담론 과정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는지 그리고 그 담론이 그때그때의 단계에서 어떤 기능을 하였는가라는 물음이 전면에 나타났다. 이 단계에서는 박해받지 않았던 여성들에 대한 연구, 분석 그리고 조사가 중심으로 대두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