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트겐슈타인은 새로운 회의주의자인가?-비트겐슈타인의 회의적 역설에 대한 크립키의 해석과 피론주의 회의주의를 중심으로-

        박규철 한국동서철학회 2019 동서철학연구 Vol.0 No.91

        In this paper, I will consider whether Wittgenstein is a sceptic or not. Most of the Wittgenstein interpreters had largely considered him not to be a sceptic. But philosophers like Pogelin have seen him as a sceptic. In particular, Kripke's position on the paradox of Wittgenstein is a new form of philosophical scepticism, and many scholars have been critical of his view.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the domestic scholars' position on the interpretation of Kripke, which includes the Wittgenstein as a sceptic's domain, and discovers that Kripke's interpretation of Wittgenstein derives from a misinterpretation. Are there not sceptical elements for Wittgenstein? I will try to find that in his view that Kripke's interpretation of Wittgenstein was wrong, Wittgenstein was not a sceptic, and also how Wittgenstein's philosophy and attitude have sceptic elements or tendencies by comparing Wittgenstein with the ancient skepticism (Pyrrhonian scepticism). In order to do this, I will consider 1) Kripke's interpretation of Wittgenstein's “our paradox” in PI §201, Wittgenstein' not being sceptic based on the criticism of domestic scholars about this interpretation, and 2)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Wittgenstein and the ancient Pyrrhonian scepticism, as a domestic scholar, Nam Ki-chang, comparing the scepticism of ancient Pyrrhonism with that of Wittgenstein. In this regard I think that 3) Wittgenstein also has elements of scepticism, especially of Pyrrhonian scepticism in that the name of a new philosophical scepticism of Wittgenstein, irrespective of Kripke's misreading of Wittgenstein, can be meaningful, and there is a close approximation to the sceptic's attitude in the way he philosophizes in a more aggressive sense rather than the similarity of Pyrrhonian scepticism with Wittgenstein suggested by Nam Ki-chang, b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hilosophy of therapy of Wittgenstein and scepticism, which reveals the meaning of scepticism as a paradoxical reinterpretation of the sceptic's doubt in therapeutic stance. 비트겐슈타인은 회의주의자인가 아닌가? 이 문제에 대해, 비트겐슈타인 해석자들 대부분은 그가 회의주의자가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것이 학계의 주된 의견이기도 하다. 하지만, R. Fogelin과 S. A. Kripke는 다른 의견을 제시한다. R. 포겔린은 비트겐슈타인을 회의주의자로 간주하고 있으며, S. A. 크립키 또한 비트겐슈타인의 역설을 언급하면서 그의 이론을 “새로운 형태의 철학적 회의주의(new form of philosophical scepticism)”로 소개하고 있다. 물론, 많은 학자들은 포겔린과 크립키의 이러한 해석에 대해서 부정적이다. 하지만, 과연 그러한가? 본 논문에서 필자는 비트겐슈타인을 회의주의자의 영역에 포함시키는 크립키의 해석에 대한 다양한 입장들을 고찰하면서, 비트겐슈타인에게 나타나는 회의주의적 요소들을 천착하였다. 특히, 필자는 비트겐슈타인에 대한 크립키의 해석이 지닌 한계와는 별도로, 비트겐슈타인을 고대 피론주의 회의주의자들과 비교분석하면서, 그의 철학 안에 내재된 회의주의적 태도와 요소들을 고찰하면서, 그가 회의주의자임을 논증하였다. 이를 위해, 필자는 다음 3가지 문제를 주로 다루었다. (1) 비트겐슈타인에 대한 크립키의 해석은 유의미한가? 그리고, 크립키의 해석에 대한 비판은 정당한가? (2) 비트겐슈타인과 고대 피론주의 회의주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3) 비트겐슈타인은 새로운 형태의 철학적 회의주의자인가? 그리고 치유로서의 비트겐슈타인의 철학과 회의주의 철학 사이에는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가? 이러한 논의를 통해, 필자는 비트겐슈타인 철학 안에는 회의주의적 사유와 태도가 존재하며, 그가 회의주의자임을 밝혔다.

      • KCI등재

        에토스와 삶의 형식: 비트겐슈타인 하우스에 대한 연구

        정은영 ( Eunyoung Jung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7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19 No.-

        비트겐슈타인 하우스(Haus Wittgenstein)는 분석철학자 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Ludwig Wittgenstein, 1889-1951)이 누이인 마르가레테 스톤보로우-비트겐슈타인(Margarethe Stonborough-Wittgenstein)을 위해 1926-28년 비엔나에 지은 개인 저택이다. 수학적 비례와 기능적 명료성을 강조한 비트겐슈타인 하우스는 논리실증주의의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그의 전기 철학, 특히 『논리-철학 논고』의 논리적 엄정성이 그대로 구현된 것으로 이해되곤 한다. 또한 일체의 장식을 배제한 간결한 입방체들을 비대칭적으로 결합한 건물의 구조와 철근, 유리, 콘크리트 등 현대적인 건축 재료의 사용으로 인해 20세기 초의 전형적인 모더니즘 건축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러나 비트겐슈타인 하우스의 전체적인 구조와 각 층의 기능이 비엔나 부르주아의 전통적인 팔레 건축을 따르고 있고 특히 문화, 예술의 향유에 중점을 둔메인 플로어의 중요성을 그대로 계승했다는 점을 주목한다면, 그의 건축이 합스부르크 비엔나의 역사적 상황에 깊게 뿌리내리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트겐슈타인이 저택을 완성한 직후 긴 철학적 공백기를 끝내고 곧바로 철학 탐구로 되돌아갔다는 사실을 고려한다면, 그의 건축 작업이 자신의 전기 철학을 단순히 반영하거나 확인하는 과정 이상의 중요한 의미를 지녔을 것이라 추측해 볼수 있다. 이에 본고는 비트겐슈타인 하우스를 세기말 비엔나의 문화사적 맥락과 비트겐슈타인 철학의 사상사적 맥락에 재위치시켜 고찰하되, 전자에서는 합스부르크 제국의 모더니티의 모순과 부르주아 정체성의 위기를 보여 주는 링슈트라세(Ringstrasse) 건축 및 아돌프 로스(Adolf Loos)의 장식 비판을 중심으로, 후자에서는 논리적 명제의 명료화 작업으로부터 일상 언어의 사용과 실제적인 삶의 형식에 대한 탐구로 나아가는 철학적 이행을 중심으로 비트겐슈타인 하우스의 의미를 탐색한다.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적 사유의 핵심에는 윤리적인(ethical) 삶의 형식에 대한 고민이 깔려 있었다. 전기와 후기를 관통하는 윤리적 삶에 대한 고민은 `집을 짓는` 건축의 실천을 통해 더욱 분명하고 절실하게 다가왔을 것이다. `인간이 세계에 존재하는 거주의 방식`을 뜻하는 `에토스(ethos)`는 건축과 철학에 공통적으로 함축되어 있는바, 비트겐슈타인에게 집을 짓는 작업은 자신을 포함한 비엔나 부르주아의 삶을 윤리적 삶의 형식의 차원에서 다시금 깊게 숙고하는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비트겐슈타인이 후기 사상의 대표작인 『철학적 탐구』(1953)에서 진정성 있는 `삶의 형식`에 궁극적인 중요성을 부여한 것도 거주의 방식을 구축하는 건축 경험에 힘입은 것이라 볼 수 있다. The Wittgenstein House is a mansion that the philosopher Ludwig Wittgenstein (1889-1951) built for his sister Margarethe Stonborough-Wittgenstein in Vienna between 1926 and 1928. Due to its mathematical proportions and functional clarity, the house has often been understood as directly influenced by the philosopher`s early thoughts, especially the crystalline clarity of logical propositions in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1922). Because of its asymmetrical shape composed of simple cubic masses and the use of such materials as steel, glass, and concrete, it has also been seen as an example of typical modern architecture from the early twentieth century. Considering, however, that the overall plan of the Wittgenstein House follows the traditional Viennese palais architecture and that it inherited the importance of the main floor, with particular emphasis on the bourgeois life of culture and art, the house should be understood as part of larger historical situation of the Habsburg Empire, rather than as a decontextualized modernist building. Also, as Wittgenstein returned to philosophy immediately completing the house, putting an end to his long absence from the professional field of philosophy, it is most pertinent to think that his architectural practice performed an active role in his later philosophical development. As such, recasting the Wittgenstein House in the historical frames, this paper explores its rich and complex meanings within the two interrelated contexts. On the one hand, within the cultural context of fin-de-siecle Vienna where the paradox of modernity and the crisis of liberal bourgeoisie were increasingly intensified, the house positioned itself against the historical eclecticism of the Ringstrasse architecture and rendered a cultural critique on deceitful ornament by pushing the rule of Adolf Loos to the extreme degree. On the other, within the biographical context of Wittgenstein`s later philosophical development, the actual practice of architecture seems to have led Wittgenstein to discover the importance of the use-meaning of ordinary language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oral and ethical life lived through, yet beyond, the limits of language. At the core of Wittgenstein`s philosophical inquiry was the quest for ethical life, and he seems to have discovered profound ethical implications in his practice of building a house. As `ethos` means the way human beings exist in the world, that is, a genuine way of dwelling, the architectural practice of building a dwelling place is essentially an ethical project. Thus, the practice of architecture must have provided Wittgenstein with a critical reflection on the form of life of the fin-de-siecle Viennese bourgeoisie, including himself and the Wittgenstein family. The `form of life` that Wittgenstein explored as a key concept in his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1953) was much indebted to his architectural practice. For Wittgenstein, the task of architecture and philosophy consisted in posing ethical questions on how one should dwell in the world.

      • KCI등재

        비트겐슈타인은 중립적 일원론자인가?

        김이균 범한철학회 2011 汎韓哲學 Vol.61 No.2

        John W. Cook argues that from 1916 until his death, Wittgenstein had embraced ‘neutral monism’ that was originally developed by William James. To investigate whether this ascription of ‘neutral monism’ to Wittgenstein is valid, I will draw a comparison between James’ and Wittgenstein’s views on consciousness, focusing on James’ later essays, which present his mature view on consciousness by adopting ‘neutral monism’.Other authors who have tried to identify a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philosophers, have totally ignored this approach. Amo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 excavate some significant features shared by the two philosopher’s positions, which make us conclude that it is highly possible to hypothesize that the later works of James may have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Wittgenstein’s view on consciousness. Although this evidence shows that Wittgenstein shares with James some very important ideas which serve to constitute James’ neutral monist views, it does not confirm that Wittgenstein was a supporter of neutral monism. Cook explicitly interprets Wittgenstein’s position in the Tractatus as Neutral monism, misunderstanding the meaning of ‘solipsism’ and that of ‘simple objects’ in the tractarian sense. However, both terms are supposed to be understood as Wittgenstein’s logico-linguistic commitments. In the case of the post-tractarian period, Cook argues that Wittgenstein does not think that ‘a sense-datum is a different kind of object from a physical object’ (BB p. 64). However, what Wittgenstein means by this assertion is not to dismiss the physical object of dualistic view, which is something over and above sense-data, as Cook insists, but rather to simply warn against the objectification of consciousness, as a result of this grammatical research for the words ‘I’ and ‘sense-datum’. Consequently, there is no reason to conclude that Wittgenstein maintains a neutral monist view, ontologically reducing physical objects to sense-data, as Cook insists. 쿡(John W. Cook)은 비트겐슈타인이 1916년부터 그의 생애까지 마지막까지 윌리엄 제임스가 발전시킨 ‘중립적 일원론’을 수용했다고 주장한다. 필자는 이러한 쿡의 주장이 과연 정당한지를 검토할 것이다. 이 목표를 위해 지금까지 두 철학자들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려 시도했던 저자들이 완전히 간과했던 제임스의 후기 논문들에 초점을 맞추면서, 의식에 관한 제임스와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관점을 비교할 것이다. 이 연구 결과들로부터, 필자는 의식에 관한 제임스의 후기 입장이 비트겐슈타인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가설을 세울 수 있게 하는 두 철학자들이 서로 공유하는 중요한 국면들을 밝힐 것이다. 비록 이 증거들이 제임스의 중립적 일원론을 형성하는 주요 아이디어들을 비트겐슈타인이 공유한다는 사실을 보여주지만, 그렇다고 비트겐슈타인 역시 중립적 일원론자였음을 확인시켜주지는 못한다. 쿡은 『논고』 안에 나타난 ‘유아론’과 ‘단순 대상’ 개념의 의미를 오해하면서 비트겐슈타인이 입장을 중립적 일원론으로 해석하고 있지만, 이 두 개념은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언어적 기획에 따라서 이해되어야 한다. 『논고』 이후의 경우, 쿡은 비트겐슈타인이 “‘감각자료’가 ‘물리적 대상’과 다른 종류의 대상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BB p. 64)는 것을 근거로 그가 중립적 일원론자임을 주장한다. 하지만 이 언명을 통해 비트겐슈타인이 뜻한 바는, 쿡의 주장처럼, 감각자료에 너머의 어떤 것으로서의 이원론적 관점의 물리적 대상을 기각하려는 것이 아니라, ‘나’, ‘감각자료’, ‘물리적 대상’과 같은 낱말에 대한 문법적 탐구를 통해 의식의 대상화에 대한 경고를 하고 있을 뿐이다. 결국, 쿡의 주장처럼, 비트겐슈타인이 존재론적으로 물리적 대상을 감각자료로 환원하는 중립적 일원론을 견지했다고 결론내릴 어떠한 근거도 없다.

      • KCI등재

        비트겐슈타인의 윌리엄 제임스 비판에 대한 재해석

        김이균 범한철학회 2009 汎韓哲學 Vol.55 No.4

        Wittgenstein’s high regard for William James has been reported by some writers and by Wittgenstein himself, not only for his thoughts, but also for his human character. However Wittgenstein’s explicit remarks about James and these remarks are mostly the object of strong criticism. Why does Wittgenstein criticize James, whom he really admires, and how can we explain the contrasting reports about Wittgenstein’s attitude towards James? Is Wittgenstein’s explicit criticism of James really plausible or sufficient to evaluate the re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philosophers? This work aims to answer these questions, exclusively focusing on consciousness. The comparisons between the two philosophers will not merely focus on where Wittgenstein explicitly mentions James because these explicit citations are not necessarily fair indicators or, at least, could be insufficient to establish the real relationship between Wittgenstein and James. Instead, James’ important texts on consciousness in his early period, especially the chapter ‘Stream of Thought’ in the Principles of Psychology which Wittgenstein read, are examined in order to elucidate James’ relevant ideas regarding the topic and to identify some comparable points between the two philosophers and finally, to correctly evaluate Wittgenstein’s explicit remarks (mostly criticisms) of James. Using the fruits of this process I will show that James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on Wittgenstein regarding consciousness and also that the main point of Wittgenstein’s criticism stems from his inattentive reading of James’ basic contention. 비트겐슈타인이 윌리엄 제임스를 그의 사상뿐 아니라 인격적인 측면에서 높이 평가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하지만 비트겐슈타인은 제임스를 강한 비판의 대상으로 자주 언급한다. 왜 비트겐슈타인은 자신이 진심으로 경애하는 제임스를 비판했고, 이런 대조적인 그의 태도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그리고 표면적으로 드러난 제임스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비판은 과연 두 철학자 사이의 진정한 관계를 평가하는데 타당하거나 충분한 근거가 될 수 있을까? 이 연구 목표는 ‘의식’이라는 주제에 한정해서 이 질문들에 답하는 것이다. 하지만 비트겐슈타인이 제임스를 명시적으로 언급한 텍스트들이 두 철학자 사이의 관계를 정확히 설정하기 위한 공정한 지표가 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필자는 제임스가 의식에 관해 집필한 초기 저작들, 특별히 비트겐슈타인이 읽은 것으로 알려진 『심리학의 원리』의 제 9장 ‘사고의 흐름’(the Stream of Thought)을 중심으로 텍스트를 분석하여 주제에 관한 제임스의 주요 사상을 파악하고 두 철학자 사이의 비교 점을 찾아낸 뒤, 제임스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비판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얻은 결실을 통해 필자는 ‘의식’과 관련하여 제임스는 비트겐슈타인에게 중요하고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과, 이와는 대조적으로 보이는 제임스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비판은 제임스의 주요 주장을 비트겐슈타인이 부주의하게 읽어낸 결과임을 입증할 것이다.

      • KCI등재

        일반논문 : 형법의 해석과 적용에 있어서 규칙 따르기(Rule-Following) 논변의 의의

        안성조 ( Seong Jo Ahn ) 한국경찰법학회 2006 경찰법연구 Vol.4 No.1

        Ludwig Wittgenstein`s work on Rules, especially the Philosophical Investigation(PI) has been put to a variety of uses by many legal theorists in various contexts since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up to present times. One wave of legal theorists employ PI in an effort to show that law is radically indeterminate. They base their arguments on Saul Kripke`s unique and influential reading of PI. This essay begins with a consideration of Kripke`s rule-skepticism which is the result of his reading of Wittgenstein`s view on rule-following, and its implications for law. Like many legal theorist such as Brian Bix, Jes Bjarup, Scott Hershovitz, Christian Zapf and Eben Moglen, this essay conclude that Kripke`s view is defective, and as such tells us little about (criminal) law. The second wave includes such kinds of legal scholars as turn to Wittenstein`s remark on rules to explain how it is that law can be determinate and also to show that law can often be applied and understood without legal interpretation. They are the views of Brian Bix, Andrei Marmor and H.L.A. Hart. Not only the rule-skeptics but also these kinds of views will be argued against in this essay, because Wittgenstein`s remarks on rules have little to offer legal theory and interpretation. That is, nothing much can be learned about legal rules or legal interpretation by attending to Wittgenstein`s remarks on rules. In short, though legal rules and Wittgenstein`s rules are aimed at wholly different phenomena, above legal theorists made mistake of criteria by using these different kinds of rules interchangeably. But this essay will accepts the Hart`s theory, the core/penumbra case distinction which is also based on the Wittgenstein`s remarks on rules. Because though Hart also seem to confuse the legal rule with Wittgenstein`s rule, but we believe that his new idea of rule of recognition can cure the theoretical defect. The distinction of core/penumbra case has an implication for criminal law in relation to mistake of law. This essay argues that the core case show the criteria where mistake of law could hardly be made, because in the core case, there would be needed no legal interpretation. Scott Hershovitz thought that he had exorcised the phantom menace of Wittgenstein from legal theory, but it would be right that the real thing he had exorcised is not Wittgenstein, but misinterpretaion of his remarks. Wittgenstein is still alive here.

      • KCI등재

        비트겐슈타인의 ‘의미체’에 관하여

        박정일(Park, Jeong-Il)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4 철학사상 Vol.54 No.-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에서 중요한 수수께끼 중 하나는 ‘의미체’(Bedeutungskorper)가 무엇이냐 하는 것이다. 이 글에서 나는 다음을 보이고자 한다. 『탐구』에서 단 한 번 언급된 ‘의미체’는 바로 『논고』에서 거론되는, 특히 논리적 상항의 ‘의미’이다. 이를 위하여 나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우리는 먼저 비트겐슈타인이 실제로 ‘의미체’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언급한 것을 살펴보아야 한다. 이러한 언급은 ?비트겐슈타인의 음성들에서 분명하게 제시되어 있는데, 우리는 이 언급에서 제시된 것을 ‘의미체 비유’라고 부를 수 있다. 둘째, ‘의미체 비유’에서 비트겐슈타인이 제시한 것이 과연 『논고』에 실제로 있는지 우리는 확인해야 한다. 여기에서 먼저 선행해서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는 ‘∼’과 같은 논리적 상항이 의미(Bedeutung)를 갖는지 여부이다. 셋째, ‘의미체’와 관련된 생각이 전기 비트겐슈타인 자신의 것이라면, 이제 그의 의미이론이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의미이론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해명하는 것이 요구된다. 우리는 비트겐슈타인이 힐베르트와 바일의 형식주의라는 새로운 시각을 비판적으로 수용함으로써 (프레게의 생각을 수용한 결과 형성된) 의미체와 관련된 자신의 생각을 극복하였다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넷째, ‘의미체’와 관련된 생각이 실제로 비트겐슈타인 자신의 것이라면, 『논고』의 형성 과정에서 그러한 생각들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우리는 ‘의미체’ 문제가 비트겐슈타인에게는 『논고』의 집필을 포기하게 할 수 있었던 가장 심각한 문제 중의 하나였다는 것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One of the important puzzles concerning the philosophy of Wittgenstein is this: What is his “Bedeutungskorper” (meaning?body)? With regard to this problem, I will show in this paper that “meaning?body,” which is mentioned just once in the Investigations, is the “meaning” (Bedeutung) of the Tractatus, in particular, that of a logical constant. For this I will discuss in the sequence as follows. Firstly, we must take a look at the remarks that Wittgenstein adduced concretely. Those remarks are expressively given in The Voices of Wittgenstein, which we can call the “meaning?body simile.” Secondly, we must confirm that what Wittgenstein adduced in the “meaning?body simile” is embodied in the Tractatus. The problem which should be solved in advance is whether logical constants such as ‘∼’ have meanings (Bedeutungen). Thirdly, if the thoughts related with the “meaning?body” belong to early Wittgenstein, then we need to explicate how the early Wittgenstein’s theory of meaning is connected with the later Wittgenstein’s. We will confirm that Wittgenstein overcame the thoughts concerning Bedeutungskorper (which were the results that he had accepted the important basic idea of Frege’s theory of meaning) by partly accepting the new point of view of Hilbert’s formalism. Fourthly, if the thoughts concerning Bedeutungskorper are Wittgenstein’s, we must be able to confirm those thoughts in the prior development of the Tractatus. We will confirm that the “meaning?body” problem was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for the early Wittgenstein that could lead to his abandoning the writing of the Tractatus.

      • KCI등재

        비트겐슈타인의 『논고』읽기

        신상형(SHIN, Sang-Hyong) 새한철학회 2017 哲學論叢 Vol.87 No.1

        본 연구는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철학논고』를 쓴 철학적 의도를 음미해 보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비트겐슈타인은 『논고』의 집필에서 시도한 새로운 철학에 대해 총책임을 졌던 러셀조차도 그의 사상을 오해했다고 실망했다. 필자는 언표를 둘러 싼 주장들에 관해 러셀과 비트겐슈타인의 생각이 어떻게 다른가를 비교해 봄으로써 비트겐슈타인의 고유한 사고가 무엇이었을까를 간접추리해 보기로 한다. 러셀과 비트겐슈타인 양자는 기존철학의 문제점을 논리적 분석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는 출발점은 같았다. 그러나 『논고』의 해결방식은 여러 가지 점에서 러셀과 달랐다고 할 수 있다. 우선 러셀은 일상적 표현들의 논리적 분석을 통해 애매성과 모호성을 발견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인공언어의 수립을 주창하였다. 그러나 비트겐슈타인은 이런 새로운 모델 언어의 수립을 지양하고 현존하는 언어의 해명을 통해 문제가 되는 언어를 구축함으로써 문제를 해소하는 일에 집중하였다. 일상언어란 사고를 숨기고 있어서 이해하기가 힘들고,(4.112, 4.002) 실제로는 논리적인 질서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5.5563) 논리적 엄정성을 위해 기호를 도입하여 난제를 해결하는 일에서는 양자가 동일했으나, 러셀은 ‘함수’, ‘집합’ 등을 도입하면서 동시에 그 개념들조차도 사실과 동일한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또 다른 오류를 파생시켰다. 이에 비해 비트겐슈타인은 그것들을 유사개념대상 pseudo-concept object라고 규정하고 그것의 수용은 불합리하다고 지적했다.(4.1272) 비트겐슈타인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일상언어에서 간과되고 있는 오류인 기호와 상징의 혼동을 구분한다. 기호는 의미의 지시체에 해당하고 상징은 의미체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러셀은 여기에 이르지 못했다. 본문에서 다루지는 않았으나 러셀은 논리적 원자를 개별자, 속성, 관계, 사실의 네 가지로 본 데 반해, 비트겐슈타인은 대상, 배열 내의 대상의 두 가지로 보았다. 관계에 대해 비트겐슈타인은 이것을 배열 가운데 포함시키는데, 배열은 언표불가능하며 단지 보여줄 수 있는 것이지 진술하거나 이름 붙일 수 없다고 했다. 그래서 그는 이 관계를 명제 내의 배열에서 보여주고 있다. 러셀은 존재물로 취급, 시각적 관계만을 강조한데 비해 비트겐슈타인은 다양한 공간과 그 재현방식을 생각했다. 사실의 구조에 대해서는 양자는 거의 일치하나 부정(否定)사실의 설명에 있어서 양자는 완전히 다르다. 전자는 하나의 존재로 보는데 반해 후자는 그것을 비존재로 보기 때문이다. 러셀은 명제와 사실은 관념과 실존의 차이가 아니라 명제도 사실이라고 보고 있다. 그는 부정명제를 사실에 대비시켜 대응사실이 없는 ‘not’를 소거할 수 있다고 본 데 비해, 비트겐슈타인은 부정사실은 원자사실의 비존재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2.06) 긍정과 부정의 두 사실이 그림에서는 두 존재인데, 하나는 요소가 대상과 상관하자마자 재현되는 것이고, 또 하나는 비존재라는 Anscombe의 설명은 비트겐슈타인의 부정사실의 그 역할에 대해 명백한 해명을 제공해 준다. 이상과 같이 동일하게 출발한 철학의 주제는 양자 사이에서 다르게 모색되었다. 러셀은 실질적 논리적 분석 및 구성을 통한 세계기술로, 비트겐슈타인은 세계의 구조를 반영한 철저한 이론상의 논리적 분석 및 구성활동으로 진로를 달리했다. The purpose of paper is to show how Bertrand Russell misread Wittgenstein’ Tractatus when he had just written his introduction to the Tractatus. The way the writer of paper seeks to make is an indirect inference as reductio ad absurdum by which he compares with both scholars’ claims and debates concerning what can be said of language usages. Russell and Wittgenstein shared the starting point with each other which was logical analysis, but their methods and processes were different. Russell suggested a new alternative language of ‘artificial language’ which contains rigid logical and mathematical forms and meanings, while Wittgenstein made us look at the unnecessary usage of jargons and meandingless expressions. The latter believed that ordinary language hides their perfect working grammars. For logical rigidness Russell accepted pseudo-concept objects such as function, class, etc., which made another fallacies, while Wittgenstein rejected them as irrational but divided between symbol and sign which that did not even understand at all. Russell thought that logical atoms are particular, property, relation and fact, while Wittgenstein regarded only object and the object in row as logical ones. The former made emphasis on visual relations; the latter did on various methods of spatial and representational places. Concerning the structures of facs Wittgenstein and Russell almost agreed with each other but they did disagree about negative facts; Russell regarded them as existent while Wittgenstein rejected them as non-existent. In pictures, Wittgenstein pinpointed that positive and negative facts are quite different facts, but in reality both facts contains only one state of affairs. Thus philosophical issues had been dealt with by Russell and Wittgenstein in different ways though they began with them in the same way. Russell put forward the description of the world by logical analysis and construction; but Wittgenstein did it by looking into the real construction of the world. They looked like one way but tried differently in the way.

      • KCI등재

        화두와 메타적 반성

        김현구(Kim, Hyun Gu) 보조사상연구원 2018 보조사상 Vol.51 No.-

        이 글의 목적은 간화선의 화두 참구에서 의심의 역할을 인도 중관학파 (Madhyamaka)의 부정(pratisedha)의 사유방식과 비교하여, 중관사상과 간화선이 친밀한 사상적/방법론적 유사성으로서 ‘메타적 반성’을 담보한다고 밝힌다. 결과적으로 이 글은 한국 간화선의 정체성을 화두 참구에서 의심의 기능이 갖는 인식적 접근의 과정을 강조하면서, 의심을 젠부디즘 (zen Buddhism)에 의해 간과된 한국 간화선의 특징으로 부각시켰다. 이를 위해 필자가 도입한 접근법은 간화선과 비트켄슈타인 그리고 중관 사상에서 공유 가능한 지대를 확보하는 것이다. 이는 서구에서 간화선을 이해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론으로 공안(公案)과 후기 비트겐슈타인 (L. Wittgenstein)의 언어관을 비교한 연구와 중관사상을 이해하기 위한 접근법으로 중관사상과 후기 비트겐슈타인 모두 실체론을 비판한다는 점을 강조한 연구에서 착안하였다. 특히 인도 중관학파의 부정에 의한 사유 방식 과 간화선의 화두 참구에서 의심의 역할을 메타적 반성의 관점에서 탐구하였다. 이러한 탐구는 우리의 편벽된 인식태도 혹은 인지적 오해를 시정하는 측면에 초점을 맞춰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화두 참구에서 의심의 역할이 수행하는 기능적 양상을 부정적 반성을 추구하는 중관사상의 관점에서 비교함으로써 화두 참구의 목표가 궁극적으로 중관사상과 동일한 인식적 지평을 획득하도록 인도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다시 말해 한국 간화선에 두드러진 화두 참구에서 의심의 기능이 갖는 인식적 접근의 과정을 중관사상이 추구하는 공성 현증의 과정과 대비함으로써 한국 간화선의 위상을 재고할 수 있었다. The main aim of this article is to show the endorsement of ‘meta-reflection’ as an ideological and methodological similarity between Ganhwa Seon and Indian Madhyamaka by comparing the role of ‘doubt’ in the Hwadu (critical phrase or keyword 話頭) with the ‘intellectual negation’ (pratisedha). Consequently, this article highlights the identity of the Korean Ganhwa Seon through differentiating it from a feature of Zen Buddhism which neglects the importance of the function of ‘doubt’ in the context of the Hwadu through the process of a cognitive approach. To do this, I observe a commonality between the three thoughts: the Ganhwa Seon, L. Wittgenstein, and Indian Madhyamaka. In order for the West to understand the Ganhwa Seon, one of the methodologies is to compare it with L. Wittgenstein, furthermore, there is a comparison of ideas between Wittgenstein to the Indian Madhyamaka. This is done in three stages. First, I explore the later Wittgenstein s philosophy that the metaphysical existence beyond our experience was just our request through overcoming the philosophical limitations of the former Wittgenstein’s view. Even he had tried to explore the new existentialism by ensuring the philosophy of healing from his former philosophy, but he finally realized that the objectivist settings are our demand after moving on later Wittgenstein s perspective. That is, it is pseudo-existence, which is not really real, and it is a projection of our hopes. To eliminate this pseudo-existence requires us to question what we know. The later Wittgenstein s philosophy is reformed by breaking down the objectivism that had restrained him through such distrusts and philosophical inquiries. His later philosophy began with questioning our perception of everyday languages, similar to the approach pursued by the Ganhwa Seon and the Indian Madhyamaka. In fact, by doing this, the Ganhwa Seon and the Indian Madhyamaka seek to apply the ‘strong cluster of doubts and intellectual negations’. The reason for this is to see the foundational falseness of existence, based on the Buddhist epistemology tradition. Next, I draw a parallel between the later Wittgenstein s perspectives according to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and the Indian Madhyamaka’s thoughts. As if Wittgenstein s later philosophy has led modern philosophy to the path of an ontology without foundationalism, the Indian Madhyamaka did not seek for metaphysical ontology. The Madhyamaka had known that the end of ontology is just one extreme, not the pursuit of epistemological exploration. Hence this shows that the starting point of Buddhist epistemology is inherently different than any other Western philosophical tradition, to demolish all kinds of pseudo-existence, in which the ‘cluster of doubts’ and the ‘intellectual negation’ about the existence are needed. Finally, the Indian Madhyamaka s method of thinking through the ‘intellectual negation’ and the role of ‘doubt’ in the Hwadu are explored in terms of ‘meta-reflection’. This investigation is focused on aspects to correct our cognitive misunderstandings or eccentric cognitive attitudes. In order to reveal it, I try to compare the functional aspects of the questioning in the Hwadu with verbally bound negation of the Indian Madhyamaka s. Therefore, I show that the ultimate goal of the Indian Madhyamaka s method and the Hwadu is the same in regard to leading one to the same cognitive perspective.

      • KCI등재

        개념미술 속의 비트겐슈타인 : 1960-70년대 솔 르윗과 멜 보크너의 작품을 중심으로

        정은영 ( Eun-young Jung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7 美學·藝術學硏究 Vol.50 No.-

        본 연구는 솔 르윗(Sol LeWitt)과 멜 보크너(Mel Bochner)의 작품을 중심으로 1960-70년대 뉴욕의 개념미술 속에 담긴 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Ludwig Wittgenstein)의 분석철학의 반향을 고찰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20세기 초 유럽의 분석철학은 장구한 철학사의 지평에서 `언어적 전회`라 불리는 혁명적인 전환을 일으켰고, 20세기 후반 미국의 개념미술은 분석철학의 영향 아래 미술의 `철학적 전회`를 시도했다. 소위 `철학하는 미술`이라 불리는 개념미술은 그 철학적 기반을 논리실증주의와 일상언어 철학에서 찾았고, 무엇보다도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철학에서 철학적 탐구의 방법을 배웠다. 비트겐슈타인 전기 철학의 논리실증주의적 접근을 대표하는 『논리-철학 논고』(1922)와 후기의 일상언어 철학을 대표하는 『철학적 탐구』(1953), 그리고 언어적 삶의 확실성을 강조하며 회의주의에 대응한 유작 『확실성에 관하여』(1969)는 르윗과 보크너의 개념미술에서 중요한 방향타의 역할을 하였다. 미니멀리즘으로부터 출발하여 개념미술로 나아간 이들은 미니멀리즘의 즉물주의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분석철학의 언어와 개념을 들여왔고, 특히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이 강조하는 논리적 명제의 한계와 신비주의적 깨달음, 언어 게임의 토대성과 언어적 삶의 확실성에 주목했다. 본고는 솔 르윗의 「개념미술에 대한 문장들」(1969)과 1960-70년대의 <벽 드로잉> 시리즈, 그리고 멜 보코너가 비트겐슈타인의 『확실성에 관하여』를 기반으로 하여 수행한 <비트겐슈타인 일러스트레이션>(1971)을 중심으로 비트겐슈타인사상의 반향을 고찰함으로써, 그들이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철학에 힘입어 논리적명제의 자명성보다 오히려 논리의 비합리성이나 언어와 현상 사이의 괴리를 드러내고자 했음을 강조한다. 르윗과 보크너의 작업은 1960-70년대의 개념미술이 물질을 탈각한 논리적인 미술이 아니라 모순과 의심을 끌어안은 채 언어적 존재와 물리적 세계의 문제를 탐구하는 철학적 미술이었음을 보여준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ramifications of Ludwig Wittgenstein`s analytic philosophy in conceptual art of New York in the 1960s-70s, particularly in the work of Sol LeWitt and Mel Bochner. The genesis of analytic philosophy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in Europe has been characterized as `the linguistic turn`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the emergence of conceptual art in the late 1960s in America may well have been understood as `the philosophical turn` to philosophize art under the influence of analytic philosophy. Conceptual art, in its attempt to `do philosophy,` sought to find its philosophical foundations in analytic philosophy, particularly Wittgenstein`s vision and methods. Wittgenstein`s writings, including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1922), which is representative of his early logical positivism, Philosophical Investigations(1953), the key book containing the philosophy of ordinary-language of his later period, and On Certainty(1969), the book Wittgenstein wrote during the last couple of years in his life, left many implicit and explicit marks on LeWitt`s and Bochner`s conceptual art. Starting their artistic career as Minimal artist or critic, LeWitt and Bochner embraced Wittgenstein`s philosophy of language in attempting to overcome the literalist stance of Minimalists on art objects and the phenomenological world. They paid keen intellectual attention to the philosopher`s emphasis on the limits of logical language, the mystical connotation (“There are, indeed, things that cannot be said. They make themselves manifest. They are what is mystical.”), and the language game as the indubitable ground of our life. Revealing the rich ramifications of Wittgenstein`s thoughts on language and the world in LeWitt`s theoretical writings and his series of Wall Drawings and Bochner`s Wittgenstein Illustrations(1971) prompted by the philosopher`s On Certainty, this paper illuminates that LeWitt and Bochner attempted to manifest in their work the irrationality of logic and rationalism and the gap between conceptual language and material phenomena. Their work shows the wide scope and multiple layers of conceptual art; it was not merely a dematerialized form of linguistic practice, but an art doing philosophy with many different means including contradictions and doubts.

      • KCI등재

        일반 : 비트겐슈타인의 종교 이해

        박현덕 ( Hyun Duck Park ) 한국개혁신학회 2011 한국개혁신학 Vol.30 No.-

        이 글의 주된 목적은 비트겐슈타인의 전·후기 철학의 주요 개념 및 연속성과 차이를 바탕으로 종교 문제를 살펴보는 데 있다. 전기(前期) 비트겐슈타인은 『논리철학논고』의 ``그림이론``과 ``진리함수 이론``을 통해 "말할 수 없는 것은 침묵해야 한다"고 선언한다. 이것은 곧 형이상학, 윤리, 그리고 종교 등에 대한 종언을 선언하는 것과 다름없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그는 결코 종교를 부정하거나 제거해야 할 대상으로 여기지 않았다. 그는 『논리철학논고』의 핵심은 윤리적인 것이며, 여기서 제시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있는데, 그 중에서 두 번째 부분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비록 모든 가능한 과학적 물음이 대답된다 하더라도 우리의 삶의 문제들은 여전히 남아 있을 것이라고 설명한다. 그리고 실로 언표 불가능한 것이 있으며, 이것은 신비스러운 것이라고 했다. 이것은 결국 논리실증주의자들처럼 형식 논리적이고 과학주의적인 관점으로만 『논리철학논고』를 해석하려 했던 것이 근본적으로 잘못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신 비트겐슈타인은 과학을 말할 수 있는 영역에, 종교는 말할 수 없는 영역에 각각 위치시켰으며, 철학은 어느 자리에도 속하지 않으면서 과학과 종교의 영역을 구분 짓는 역할을 해주는 활동으로 본다. 이것은 종교를 과학화하려 하거나 과학적 관점에서 종교를 분석하고 해체하려는 어떤 시도도 결국 헛소리가 된다는 점을 보여준다. 또한 철학은 더 이상 비판이나 이론을 세우는 학문이 아닌 우리의 애매한 사고를 명료하게 만들고 명확하게 한계를 그어주는 활동이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철학이 빠질 수 있는 과학주의와 교조주의의 위험성을 경고한다. 후기(後期)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은 그의 언어관에 있어서 다분히 실용주의적 특성을 보여준다. 언어게임과 가족유사성을 바탕으로 한 그의 이같은 입장은 과학과 종교가 함께 만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또한 선험적이고 합리주의적인 종교관이 아닌 경험적이고 상대주의적인 종교관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것은 곧 전기 관점에 대한 부정으로만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특히 종교를 포함한 가치론에서는 그의 관점이 여전히 후기에도 연속성을 갖는다. 따라서 우리가 비트겐슈타인의 관점에서 종교를 이해하려면 그의 전체 철학이 포괄적으로 다루어져야만 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essay is to investigate Wittgenstein`s conception of religion, based on continu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his earlier and later philosophies. Earlier Wittgenstein proclaims that "whereof one can not speak, thereof one must ge silent" in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It might seem to declare the end of metaphysics, ethics and religion. But a closer look at his words shows that religious statements are to be distinguished from those which describe facts of the world. Although Wittgenstein declares religious statements meaningless or nonsensical, he still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religion. Thus, he says that his philosophical work consists of two parts: the one presented in the Tractatus here plus all that I have not written, and it is precisely this second part that is the important one. Besides, he explain that "we feel that even if still not been touched at all." This implies that logical positivists` interpretation of Wittgenstein`s earlier philosophy as anti-metaphysical did not fit Wittgenstein`s intention. According to Wittgenstein, science belongs to the realm of what can be said, while religion to the realm of what cannot be said. And philosophy is a kind of activity that separates between science and religion, not belonging to any of these. It means that any attempt to scientific vocabulary is inappropriate. Instead, Wittgenstein insists that philosophy no more pursue a theorization or systematization, but serve as a therapeutic activity which clarifies and removes conclusion due to the misunderstanding of the logic of language. Wittgenstein`s later philosophy manifests in a significant way a pragmatic stance, especially in his view of language. Along with his conception of "language game" and "family resemblance", his pragmatic view of language offers a new clue to compromise science and religion. That is, it blurs the sharp distinction between science and religion as shown in the Tractatus. However, this does not mean an entire denial of his earlier view on religion. Especially, his earlier views on religion, boundary of concepts, metaphysics, and science were preserved in the later philosop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