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CT에서 준비단계를 실시한 수용 실습이 수용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

        정하린,김계현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6

        This is an experimental study to classify components of acceptance according to the stages of implementation and to compare the effects which is one of the six core processe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 Acceptance was divided into two procedures: a) undermining control as a preparation stage and b) acceptance. During the experiment, participants recalled their painful past event and wrote down thoughts, emotions, and bodily sensations. According to decomposition model, the experimental group went through undermining control and acceptance, whereas comparison group moved on to the acceptance stage without preparation. The results from the data of 52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ere as follows: First, ANCOVA. Post acceptance score presen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wo group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Second, in the correlation analysis, post-score and rate of increase of undermining control were highly relevant to post-score of accepta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ird, in the regression analysis, the increase of acceptance was identified as a predictable factor of the decrease of negative emotion. The result suggests that preparation stage encourages acceptance, yet does not have any distinctive effects itself unlike acceptance reducing negative emotion.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classified the acceptance according to the stages of implementation and verified the difference of effects according to whether the preparation stage was carried out by the experiment.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수용전념치료의 한 과정인 수용의 요소를 시행단계에 따라 구분하고 효과를 비교한 실험연구이다. 수용의 단계는 준비단계인 통제 파헤치기와 본 단계인 기꺼이 경험하기로 나누었다. 실험에서 참여자는 과거 고통스러운 경험을 떠올리고 이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감정, 신체감각을 적도록 하였다. 분해모형에 기초하여 실험집단에는 준비단계 실시 후 기꺼이 경험하기를 유도한 반면 비교집단에는 준비단계 없이 수용하도록 지시문을 제공하였다. 결과분석에는 총 52명의 4년제 대학교 학부생 및 대학원생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첫째, 공분산분석에서 실험집단의 사후 수용의 정도는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 통제 파헤치기의 사후점수 및 증가율은 사후수용과 높은 상관을 보였다. 셋째, 전체 집단에서 회귀분석 결과 수용의 증가는 부적정서의 감소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는 준비단계가 수용을 유도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수용이 부적정서를 감소시키는 것과 같이 그 자체로 효과를 발휘하는 요소는 아님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수용을 시행 단계에 따라 구분하고 실험을 통해 준비단계의 실시 여부에 따른 효과 차이를 검증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논의에서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신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에 대한 국민 및 지역 주민 수용성 비교 연구 - 태양광, 풍력, 바이오 발전을 중심으로

        이혜정(Hye-Jeong Lee),허성윤(Sung-Yoon Huh),우종률(JongRoul Woo),이철용(Chul-Yong Lee) 한국혁신학회 2020 한국혁신학회지 Vol.15 No.1

        신재생에너지 입지 선정과정에서 낮은 국민 수용성과 지역 주민과 발전사업자 간의 갈등이 신재생에너지 보급 · 확대 사업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이 원활하게 수행되기 위해서 국민의 낮은 수용성을 개선하는 것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민 수용성을 일반 국민과 지역 주민 수용성으로 나누어 그 차이를 규명하고 발전원별(태양광, 풍력, 바이오매스) 수용성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거주지 주변에 신재생에너지 발전소가 들어서는 사업에 대한 수용의사액(Willingness to accept, WTA)을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사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신재생에너지 발전소에 대한 지역 주민의 WTA가 높게 추정되었으며, 이 결과는 일반 국민 보다 지역 주민 수용성이 낮음을 의미한다. 발전원에 대한 수용성은 일반 국민과 지역 주민 모두 태양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태양광 발전소의 경우 지역 주민의 WTA가 일반 국민 보다 2.6배(158.6%) 높았다(수용성이 낮음). 태양광을 기준으로 발전원별 수용성 결과는 일반 국민의 경우 태양광의 WTA가 풍력보다 2.2배(55.3%), 바이오매스 보다 3.0배(66.3%) 낮았으며(수용성이 높음), 지역 주민의 경우 태양광의 WTA가 풍력 및 바이오매스 보다 각각 1.5배(32.7%) 낮게 추정되었다(수용성이 높음). 본 연구 결과는 지역 주민의 수용성 강화에 기여하고 발전원별 확대비중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e process of selecting a location for renewable energy, low acceptance and enormous conflict between local residents and power generation companies are acting as obstacles to renewable energy supply and expansion projects. To ensure the smooth implementation of the government’s renewable energy policy,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public"s low acceptanc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y dividing the public acceptance into the general public and the local resident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acceptance of each energy source (solar, wind and biomass). This study quantitatively analyzed the willingness to accept (WTA) for the construction of renewable energy plants near the residence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 As a result, the WTA of local residents for renewable energy plants was estimated to be high. This means lower acceptance of local residents than the general public. In the acceptance analysis of energy sources, the solar power was the highest both the general public and local residents. In the case of solar power plant, the WTA of local residents was 2.6 times (158.6%) higher than the general public. The result of WTA for the energy sources based on solar power is as follows. For the general public, solar was 2.2 times (55.3%) lower than wind and 3.0 times (66.3%) lower than biomass. For local residents, solar is estimated to be 1.5 times (32.7%) lower than wind and 1.5 times (32.5%) lower than biomass.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acceptance of local residents and provide guidelines for the expansion ratio by renewable energy source. It is also expected to be used as a reference for the government"s renewable energy policy.

      • KCI등재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현금급여 도입 필요성

        신혜정(Shin, Hye Jeong) 한국노년학회 2009 한국노년학 Vol.29 No.1

        본 연구는 일차적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방식 중 현물급여와 현금급여의 선택에 있어서 비공식 가족수발자들의 현금급여 선호도를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현금급여 도입의 필요성을 인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차적으로는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이용하여 비공식적 가족수발에 대한 적정 현금급여액을 추정함으로써 미래 현금급여 도입 시 수가산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한 조사는 서울시 소재 3차 의료기관 3곳에서 현재 환자를 돌보고 있는 환자의 보호자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경증과 중증 두 가지 유형의 가상의 시나리오 및 구조화된 설문지를 제시한 후 현금급여를 수용할 최소한의 보상금액(Willingness-To-Accept, WTA)을 이중경계 양분선택형 질문으로 구하였으며, 일대일 직접 면접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경증노인에 대해서는 52.7%가, 중증노인에 대해서는 26.0%만이 현금급여 서비스를 선호하였다. 경증노인에 대한 적정 현금급여액은 월 평균 62.8만원, 중증 노인에 대한 적정 현금급여액은 월 평균 107.2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비공식적 수발자가 직면하는 각기 다른 상황에 대한 실제 현금급여 선호도를 확인함으로써 현금급여 도입의 필요성을 인식하였으며, 잠재적 가족수발자들의 시간손실 보상액으로서 수발자가 받아들일 수 있는 주관적 수발비용을 적정 현금급여액으로 추정함으로써 현행 특별현금급여액의 적정성을 평가하는데 보다 현실적인 기준을 마련하였다는데 함의가 있다고 하겠다. Korea government has launched long-term care insurance from 2008. However,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whether or not providing cash benefit, is still unresolved. In this paper, in order to provide policy guidelines fo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I attempt to estimate the Willingness-To-Accept (WTA) of the cash subsidy for informal care by using Double Bounded Dichotomous Choice method, a branch of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In doing so, I also estimated the determinants of the preference for cash benefit. Data were obtained from face-to-face survey interviews with 300 informal care-givers at three major general hospitals in Seoul, Korea. The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with two scenarios (mild/severe symptom). The results from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and the estimation of WTA indicate that informal care-givers are willing to accept the cash benefit as low as 628 thousands won for mild fragile elderly and 1,072 thousands won for severe fragile elderly. The strength of this paper is that I estimated the WTA of the cash benefit by reflecting the changes in preferences of informal care-givers. The analytic results from the this paper suggest that the cash benefit in long-term care insurance is indispensible in achieving the goal of the long-term care system.

      • KCI등재

        Store brand vs. national brand prices: Willingness to pay ≠ willingness to accept

        Peter J. Boyle,E. Scott Lathrop,Hyoshin Kim 한국마케팅과학회 2021 마케팅과학연구 Vol.31 No.4

        Determining the appropriate price for store brands relative to national brands is important. When setting the price, consumers’ perceptions of price and quality need to be considered. Two past approaches employed by store brand researchers to reveal consumers’ value of store brands include asking either: (1) the price discount they would need to be offered to switch from a national brand to a store brand (a measure of “willingness-to-accept”); or (2) the price premium they would be willing to pay to switch from a store brand to a national brand (a measure of “willingness-to-pay”). Research in other domains reveals that willingness-to-accept (WTA) and willingness-to-pay (WTP) estimates can diverge. We formally tested whether WTA estimates differ from WTP estimates elicited from consumers with respect to store and national brand prices. As predicted, WTA price estimates exceeded those of WTP. This pattern held regardless of whether product-quality equivalence of store and national brands was explicitly provided to respondents or whether respondents were free to make their own assumptions of product quality. Implications for private label researchers and product brand managers are discussed.

      • KCI등재

        불확실성이 지불용의금액 및 수령의사금액과 그 차이에 미치는 효과

        김종철 ( Jong Churl Kim ),장경호 ( Kyung Ho Jang ) 한국경제교육학회 2015 경제교육연구 Vol.22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ambiguity on the willingness-to-pay (WTP), the willingness-to-accept (WTA), and their gaps. It also analyzes how preference reversals depend on the degree of ambiguity in winning the lottery. First, we found that both buyers and sellers prefer clear lotteries rather than ambiguous lotteries under uncertainty. However, this preference is more frequent for the buyers of lotteries. Gaps between WTPs and WTAs tend to be larger for those who select clear lotteries. Second, buyers`` WTPs are higher for the selected lotteries irrespective of the degree of uncertainty. Buyers`` WTPs are higher for the purchased lotteries, while sellers`` WTAs for ambiguous lotteries are higher for the unselected clear lotteries. These results reflect the fact that sellers hope to receive more amount of money from buyers as long as clear lotteries are more advantageous to buyers even in the zero-sum game with uncertainty. Third, buyers`` WTPs are higher than sellers`` WTAs due to endowment effects. Lastly, preference reversals are more frequent for the sellers than the buyers of lotteries.

      • KCI등재

        광주·전남지역 대학생의 문화개방성, 고정관념 및 차별, 상호교류 행동의지의 관계구조에 관한 연구

        홍유진 ( Hong Yoo Ji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保健社會硏究 Vol.3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Bennett의 문화간 민감성 발달이론과 Ellis의 합리적 정서행동 이론에 근거하여 대학생들의 상호교류 행동의지와 문화개방성, 고정관념 및 차별 요인 간의 관계 구조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대학생은 물론 한국인들의 다문화수용성 수준을 향상 시키기 위한 정책 개발의 우선 순위를 정하는데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서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광주광역시와 전남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총 5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고 458부를 회수한 다음 총 355부를 최종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문화개방성이 고정관념 및 차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개방성이 상호교류 행동의지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정관념 및 차별은 상호교류 행동의지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정관념 및 차별이 문화개방성과 상호교류 행동의지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개방성은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매개로 상호교류 행동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타인종과 이문화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돕는 다문화 이해 교육이 대학교육의 교양필수 과목으로 선정되어야 한다. 두 번째, 다문화수용성 발달 단계를 반영한 교과 과정을 개발하여 각 학년마다 특화된 다문화 이해 교육이 실시된다면 훨씬 효과적일 것이다. 세 번째, 대학생의 문화개방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지금의 해외연수, 인턴제도, 국가간 청년교류 제도를 확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t and verify causal effect structure among reciprocity willingness, culture openness, preoccupation, and discrimination of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Bennett`s intercultural sensitivity development theory and Ellis` rational emotional behavioral treatment. Through this, it was tried to propose direction of policy development to improv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all Koreans as well as university student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a survey was performed on freshmen of 4 universities in Gwangju and Jeonnam using KMIC (Korean Multi- Culturalism Inventory). 500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458 copies were collected. Out of them, 355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at the analysis. First, cultural openness made negative influence on preoccupation and discrimination. Second, cultural openness made positive influence on reciprocity willingness. Third, preoccupation and discrimination made negative influence on reciprocity willingness. Fourth, preoccupation and discrimination mediated cultural openness and reciprocity willingnes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ree tasks were proposed to enhanc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First, we need a policy to make multi culture related program production mandatory. Second, subject courses reflecting multi-culture acceptability development stages should be developed. Third, to increase cultural openness of university students, current overseas study, intern system, and international youth exchange system should be expanded.

      • KCI등재

        간문화적 감수성 발달이론의 청소년 국민정체성, 고정관념 및 차별, 상호교류행동의지의 구조 관계 검증

        서보람,심임숙,김효일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9 다문화와 평화 Vol.13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national identity on reciprocity willingness of adolescents on the basis of Development Model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Also, this paper analyzes how stereotypes and discrimination mediate between national identity and reciprocity willingness. The research objects are 616 adolescents living in Pyeongtaek city.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has been conducted to examine the suitability of the measurement model. The mediating effects have been verified after analyzing the structural model of the research model. The research output shows that stereotypes and discrimination increase with the increase of the national identity of the adolescent, and stereotypes and discrimination mediate between the national identity and reciprocity willingness. This paper calls on further discussions about the concept of national identity and the necessity for consensus, and it suggests several ways to promot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adolescents. 본 연구는 간문화적 감수성 발달 이론을 토대로 국민정체성이 상호교류행동의지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고정관념 및 차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평택시에 거주하는 616명의 청소년이며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모형의 적합성을 분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모형에 대한 구조모형 분석 후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의 국민정체성이 증가할수록 고정관념 및 차별이 증가했으며, 고정관념 및 차별은 국민정체성과 상호교류행동의지를 완전 매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에 대한 고정관념, 차별적 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마련, 국민정체성 개념에 대한 논의 및 합의의 필요성,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에 마련에 대한 제언을 제공하였다.

      • KCI우수등재

        WTP와 WTA간 불일치와 그 원인에 관한 연구: CVM을 통한 실증

        김태은 한국행정학회 2017 韓國行政學報 Vol.51 No.4

        This study examines why social conflict occurs in public projects, such as high-voltage tower constructions, producing negative externa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lternative approach to resolve public conflict. To explain a cause of social/public conflict, the disparity between willingness-to-pay (WTP) and willingness-to-accept (WTA) is observed and calculated for the cases of three high-voltage tower constructions by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The results show that a huge WTP–WTA disparity exists for all three cases, and the amounts of WTA exceed the amounts of WTP by a range of 9.02 times to 58.38 times. The analysis also indicates that for high-voltage tower construction projects with negative externalities the cause of the WTP– WTA disparity is that WTP (gain) and WTA (loss) are differently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and there is no specific dominant factor generating the WTP–WTA disparity. These findings provide importa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at advance the current level of understanding on the existence and cause of the WTP–WTA disparity for public projects with negative externalities. 본 연구는 송전탑 건설과 같은 부정적 외부효과가 존재하는 공공사업에 있어서 사회적 갈등의 원인을 근원적 으로 고찰하여, 공공갈등 해결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문제 인식에서 진행하였다. 이에, WTP와 WTA간 불일치가 실제 어느 정도로 존재하는지, 이러한 불일치의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를 조건부가상가치법 (Contingent Valuation Method)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세 가지 분석 조건에서 WTP와 WTA간 불일치가 크게 존재하고 WTA가 WTP에 비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최소 9.02배~최대 58.35배로 나타났다. 둘째, 부정적 외부효과가 존재하는 송전탑 건설에 있어서 WTP와 WTA의 불일치는 특정한 지배적 원인이 존재하기 보다는 이득의 개념인 WTP와 손실의 개념이 내포된 WTA에 각각 서로 다른 변수들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친 결과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부정적 외부효과가 존재하는 공공사업에서 WTP와 WTA의 불일치와 그 원인을 고찰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 가치뿐만 아니라 유용한 정책적 함의를 지니고 있다.

      • KCI등재

        도로 밀도에 따른 운전쾌적성 편익에 관한 연구

        조한선 대한교통학회 2013 대한교통학회지 Vol.31 No.5

        Normally the benefits concerned in the feasibility study for highway constructions are travel time saving, vehicle operation cost, etc. which can be calculated using the simulation tool(EMME3). However, there must be extra benefits of driving amenity improvement that drivers can perceive through decreasing driving fatigue and improving driving comfortability. In this study, the definition of driving amenity was established and a method of estimation for the benefit of driving amenity improvement was developed. Highway type (urban/rural highway) and highway density was considered to estimate the driving amenity. And Double-bounded Dichotomous Choice amo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CVM) was applied to survey the willingness-to-pay of drivers when highway density decreases. Finally the value of driving amenity was estimated using the results of survey and logit medel. As the existing highway density is high, willingness-to-pay increases in both urban and rural highways. Even though the changing rates of highway density are same, willingness-to-pay is different based on the existing highway density. 본 연구에서는 도로투자 사업으로 인한 편익 중 일반적으로 계상하고 있는 통행시간 절감 및 차량운행비용 절감 등 직접적인 편익 이외에 추가적으로 이용자입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도로 주행 중 운전쾌적성 편익을 산정하고자 운전쾌적성의 정의를 마련하였고 운전쾌적성 산정방법론을 개발하였다. 도로특성(도시부/지방부) 및 차량 밀도(차간거리)에 따른 이용자의 지불용의액을 CVM 방법 중 가장 최근에 활발히 활용되고 있는 이중양분선택형(double-bounded dichotomous choice)질문법을 활용하여 설문조사한 후 그 결과를 로짓모형에 적용하여 운전쾌적성 가치를 도출하였다. 도시부 및 지역간 도로에서 공히 지불용의액의 크기는 전반적으로 기존 차간거리가 짧을수록 큰 것으로 분석되었고, 도로의 차간거리 변화가 같더라도 사업 전의 차간거리와 사업 후의 차간거리에 따라 지불용의액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도로의 차간거리가 증가하더라도 기존 차간거리가 어느 정도인지에 따라 지불용의액이 다르게 나타나 지불용의액이 기존 차간거리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통행시간 신뢰성 가치에 관한 연구

        조한선 한국도로학회 2013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15 No.4

        PURPOSES : Benefits for improvement of travel time reliability obtained from construction of new highways should be considered as a major factor in the feasibility study for highway construc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thod of estimation for the value of travel time reliability. METHODS : Highway type (urban/rural highway) and traffic flow type(interrupted/uninterrupted) was considered to estimate he value of travel time reliability. And Double-bounded Dichotomous Choice amo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CVM) was applied to survey the willingness-to-pay of drivers when travel time reliability is improved. Finally the value of travel time reliability was estimated using the results of survey and logit model.The value of travel time reliability was estimated considering travel objectives, time constraint travel and non-time constraint travel. RESULTS: The value of travel time reliability of business trip is higher than that of non-business trip. The value of travel time reliability of time constraint travel is higher than that of non-time constraint travel. The value of travel time reliability in urban area is higher than that in rural area. CONCLUSIONS: It was concluded that the proposed method in this study is more realistic and proper to estimate the value of travel time reliability because it reflects the situations of time constraint travel and non-time constraint tra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