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사용자는 누구인가? - 사회복지시설 설치・운영 법인의 사용자성에 관한 고찰 -

        장선미 한국입법학회 2023 입법학연구 Vol.20 No.1

        Social welfare facilitie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carrying out social services in South Korea are only ‘facilities’ rather than independent corporate entities under the Social Welfare Services Act, while there are separate operator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Both individuals and corporations can be operator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but in general, corporations establish and operate social welfare facilities. However, in practice, social welfare facilities perform social services with some degree of independence, and the director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often exercise discretion in managing and supervising social services carried out by the facilities. Employment-related matters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are often handled by the director, rather than the operator of the social welfare facility, and labor contracts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are often concluded in the name of the director of the facility. This type of work practice makes it difficult to clarify the legal rights and obligations by specifying the parties when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claim rights under the Labor Standards Act or when legal disputes related to the Labor Standards Act occur. This study examines legal issues related to the conclusion of labor contracts of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It confirms that the ‘business owner’ who work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is the installation and operator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not the head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To this end, the status of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signing labor contracts is analyzed first, followed by a review of the legal status of social welfare facility installers and operators in these labor contracts (that is, the status of ‘business owners’ under the Labor Standards Act). In particular, since there is a large proportion of facility workers signing labor contracts with facility heads, in such cases, the legal status of social welfare facility installers and operators in the labor contract and the effect of the labor contract are also examined. Finally, issues relating to the business ownership are reviewed, since the ‘business owner’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means that social welfare facility installers and operators have rights and obligations under the labor relations legislation, which includes the Labor Standards Act and the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etc. Therefore, if a social welfare facility installer or operator becomes a ‘business owner’ under the Labor Standards Act and actively intervenes in employment relations, problems such as open recruitment and the possibility of unfair personnel intervention for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may arise. In discussing these issues, this article calls for alignment of labor relations of social facility workers under labor law. 우리 사회에서 사회복지사업을 수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회복지시설은 「사회복지사업법」상으로는 독립된 법인격을 가진 사업주체가 아닌 ‘시설’일 뿐이며, 사회복지시설의 운영자는 따로 존재한다. 개인과 법인 모두 사회복지시설의 운영자가 될 수 있으나, 대체로 법인이 사회복지시설을 설치・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실무적으로는 사회복지시설이 어느 정도 독립성을 가지고 사회복지사업을 수행하며, 사회복지시설의 장이 시설 운영에 재량권을 가지고 시설이 수행하는 사업을 관리・감독하는 경우가 많다.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고용관련 업무 또한 사회복지시설의 설치・운영자가 아닌 시설장이 처리하는 경우가 많으며,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근로계약도 시설장 명의로 체결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방식의 업무처리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가 「근로기준법」상 권리를 주장하거나 「근로기준법」 관련 법적 분쟁이 발생하는 경우 당사자를 특정하여 법적 권리・의무 관계를 명확히 하는데 어려움을 준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근로계약 체결과 관련된 법적 쟁점을 검토함으로써 사회복지시설에서 근로하는 종사자의 근로계약 상대방인 ‘사업주’는 사회복지시설의 시설장이 아니라 사회복지시설의 설치・운영자임을 확인하여 「근로기준법」상 책임의 소재를 분명히 함으로써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노동권 보장을 강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근로계약 체결 실태를 먼저 분석하고, 사회복지시설 설치・운영자의 근로계약상 법적 지위, 즉 「근로기준법」상 ‘사업주’ 지위에 관하여 검토한다. 특히 시설 종사자가 시설장과 근로계약을 체결하는 비율이 낮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 사회복지시설 설치・운영자의 근로계약상 법적 지위와 해당 근로계약의 효력 또한 함께 검토한다. 한편 사회복지시설 설치・운영자가 「근로기준법」상 ‘사업주’라는 것은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에 대한 노동관계법상 권리・의무를 갖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구체적으로 사회복지시설 설치・운영자가 「근로기준법」을 비롯한 개별적 근로관계법이나 노동조합법을 비롯한 집단적 노사관계법상 권리・의무의 주체가 되어,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등의 채용, 근로계약, 근로관계 유지 및 근로계약 해지 등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고용관계 전반에 걸쳐 사회복지시설 설치・운영자가 권리・의무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회복지시설 설치・운영자가 「근로기준법」상 ‘사업주’가 되어 고용관계에 적극 개입할 경우 공개모집, 사회복지시설 설치・운영자의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에 대한 부당한 인사 개입 가능성 등의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이에 관련된 쟁점에 대해서도 함께 검토한다. 끝으로 이러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에 대하여 「근로기준법」이 적용되는 것은 자명하며, 사회복지시설의 설치・운영자가 법인인 경우 법인이 해당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사용자인 것 또한 매우 당연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고용관계에서 시설장이 사용자처럼 보이게 하는 외관을 만들어내는 상황이 일어나는 것은 이에 대한 당국의 관리감독 소홀과 보건복지부가 매년 발표하는 “사회복지시설 관리안내”의 불명확한 서술에 상당부분 책임이 있다. 따라서 이를 입법적으로 해소할 필요가 있으며, 「사회복지사업...

      • KCI등재

        실효적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를 위한 입법과제

        윤석진 중앙법학회 2019 中央法學 Vol.21 No.2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안전규제는 시설 이용자의 생명, 건강, 신체의 보호 등 보편적 인권보장을 위한 사회복지분야의 사회적 규제에 해당한다. 그래서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는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서로 협력하여 체계적으로 계획되고 집행, 관리되어야 할 필요성이 크다. 연구결과 현행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제도는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 계획의 비체계성, 안전점검 과정에서 중복규제의 발생, 안전관리 비용보조 제외 시설의 존재에 따른 안전관리 사각지대 발생, 복잡한 규제전달체계에 따른 사회복지시설 유지관리의 혼선 등의 문제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의 현안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우선 보건복지부에게는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종합적 안전관리 계획 수립권을, 지방자치단체에게는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 시행계획 수립권을 부여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여러 부처에서 시행 중이서 복잡하기만 한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기준을 단순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 경우 보건복지부가 주도적으로 통합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 기준을 설정·공표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지방자치단체는 보건복지부의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 기준을 기초로 하여 지역현실을 감안한 세부적인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 기준을 정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그리고 중앙정부와 더불어 지방자치단체가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에 주도적 권한을 담당하게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지방자치단체에게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에 관한 조례제정권한을 부여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Safety management for social welfare facilities corresponds to the social regulation of the social welfare sector in order to guarantee universal human rights such as the life, health and the body protection of users of facilities. Therefore, the safety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needs to be systematically planned, enforced and manag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urrent social welfare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is composed of the non-systematic safety management plan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the occurrence of duplicate regulation in safety inspection process and confusion in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Therefore, in this paper, in order to solve the pending issue of social welfare facility safety management,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hall grant the right to establish comprehensive safety management plan for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the right to establish safety management plan for social welfare facilities to local governments suggested. And proposed simplifying the complicated social welfare facility safety management standards that are being implemented by various government department. In this case,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hould set up and announce safety management standards for integrated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addition, local governments have suggested measures to establish detailed safety management standards for social welfare facilities based on local community safety management standards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o this end, this paper proposes a plan to grant local governmen's the right to municipal ordinances on the safety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 KCI등재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necessary for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 cross-sectional study

        김진경,전민선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24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29 No.1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eed for nutrition education aimed at improving the health of residents and user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y and aim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at meets the needs of the field. Methods Altogether, 249 employees working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included in the study. Data on the health status of residents/users, meal management, nutritional education, nutritional education needs, and awareness of nutritional education were obtained through online surveys. A descrip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needs, and perceptions of the respondents, and independent t-tests and χ2 tests were performed to analyze and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residential and daycare facilities. Results The majority of residents/user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have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en educating residents with residents/user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personal hygiene’ was the most necessary topic, followed by ‘obesity management’ education. Regarding the methods of providing education, face-to-face lectures demonstrated a high demand. They responded that when nutrition education experts provide nutrition education to people with disabilities, they must underst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have the ability to determine appropriate nutrition for such people. The most appropriate nutrition program training would be twice a year, lasting 30 min to 1 h per training session. Conclusions It will present a direction for operating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at meets their need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and activation of nutrition education tailored to welfare facilities for such individuals in Korea.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eed for nutrition education aimed at improving the health of residents and user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y and aim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at meets the needs of the field. Methods Altogether, 249 employees working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included in the study. Data on the health status of residents/users, meal management, nutritional education, nutritional education needs, and awareness of nutritional education were obtained through online surveys. A descrip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needs, and perceptions of the respondents, and independent t-tests and χ2 tests were performed to analyze and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residential and daycare facilities. Results The majority of residents/user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have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en educating residents with residents/user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personal hygiene’ was the most necessary topic, followed by ‘obesity management’ education. Regarding the methods of providing education, face-to-face lectures demonstrated a high demand. They responded that when nutrition education experts provide nutrition education to people with disabilities, they must underst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have the ability to determine appropriate nutrition for such people. The most appropriate nutrition program training would be twice a year, lasting 30 min to 1 h per training session. Conclusions It will present a direction for operating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at meets their need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and activation of nutrition education tailored to welfare facilities for such individuals in Korea.

      • KCI우수등재

        사회복지시설 생활인 인권에 대한 성과와 과제

        김명연(金明淵, Kim Myoung-Youn) 한국공법학회 2006 공법연구 Vol.35 No.2-2

        사회복지생활시설 생활인에 대한 인권침해는 사회구성원들의 침묵의 카르텔 속에 매우 심각한 상황에 있으며, 지속적이며 반복적인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설생활인들은 스스로를 무기력하고 무가치한 존재로 인식하는 시설증후증 현상을 보이고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강요받고 있다. 그 동안 국가인권위원회는 시설생활인의 인권보호에 성과가 있은 것도 사실이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진정에 대한 인용율이 지나치게 낮아 평가에 회의적이며 그 설립목적에 의문을 야기할 우려마저 없지 않다. 특히 미신고 사회복지시설에는 국가인권위원회의 조사권이 미치지 않는다는 잘못된 법률해석에 의하여 미신고사회복지시설에서의 인권침해에 대한 진정을음 모두 각하하고 장기간 사회문제로 되고 있는 미신고사회복지시설 양성화정책에 대한 어떠한 입법적·정책적 개선권고도 없이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는 것은 심각하게 비판되어야 할 대목이다. 한편 아무리 '좋은 시설'이라도 자기결정과 선택에 있어 인권침해의 가능성이 상존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의 사회복지시설정책은 수용중심의 시설정책으로 일관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헌법이 예정하는 사회복지정책과 일치되지 않는다. 헌법이 전제하는 인간상은 사회복지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도 가능한한 완전한 사회참여를 통하여 사회공동체에 통합되어 있으면서도 또한 독립적인 인격이 유지될 수 있는 방향으로 사회복지정책이 전개될 것을 요구한다. 따라서 사회복지정책은 자립 생활의 지원과 지역사회에서의 재활을 통해 사회통합올 촉진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국가의 사회복지시설정책은 탈시설화정책음 중심으로 하여 헌법상 보충성의 원직에 의하여 사회복지시설에 의한 사회복지서비스가 불가피하게 요구되는 경우에도 시설생활인의 인권을 중시하는 소규모의 지역사회 개방형 시설로 정책을 전환되어야 한다. 한편 사회복지시설의 탈시설화는 이것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지역공동체 속에서 완전한 참여와 자립생활의 영위를 촉진하기 위한 하나의 정책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탈시설화화를 통한 사회공동체의 참여와 자립생활의 촉진을 위해서는 물리라적 장벽제거, 대중교통이용의 편의, 통합교육, 정보공유와 의사소통, 직업사회영역의 진출 등 사회적 지원이 전제요건으로 갖추어져 있어야 한다. An violation of the inhabitants' right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is in serious conditions being left in cartel of silence made by members of a community, showing continual and repeated property. In these situations, facilities' inhabitants show facility syndrome considering themselves as spiritless and invaluable being, in addition to be forced. Although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has been obtaining fruit of protecting the human rights of facilities' inhabitants, generally the citation ratio for petition is so low that it's skeptical for evaluation, and it might pose a question for the purpose of establishment. Especially, due to the wrong interpretation of law that the inspection right of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does not reach the unreported social welfare facilities, all the petitions for civil rights violation committed in an unreported facilities are rejected, furthermore, no recommendation for legislative and political improvement against legalization of unreported social welfare facilities that have been a social problem for long, have been issued as keeping silence, which should be seriously criticized. Meanwhile, no matter how 'good facility' is, it is only a community of those excluded from society (outsiders), and there is still the possibility of civil rights violation in self determination and selection. Nevertheless, national policy for social welfare facilities still remains centering on accommodation, which results in increasing continually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its inhabitants. However, it does not consist with the social welfare policy intended by the constitution. The human image premised by constitution is not an isolated individual, but a character that realizes oneself inside community. Accordingly, the human image premised by constitution demands that the social welfare policy should be developed toward the way in which those who need social welfare service are able to participate in community wholly, integrated in community, and maintain their independent characters. It is also requested by national duty of securing human rights. Consequently, the social welfare policy should be developed into the direction promoting social integration through supporting independent life and rehabilitation in local community. For this, national policy for social welfare facilities should be transferred, centering on de facility policy, from the middle and large sized, and closed type facilities that makes great account of accommodation even in case of demanding inevitably service from the social welfare facility,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supplementation of law, to the small sized local open facility that considers human rights of facilities' inhabitants important. Meanwhile, it's clear that de facility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is nothing but a policy for promoting complete participation and independent life in local community, not an objective. In order to promote participation in community and independent life through de facility, social support should be prepared as a prerequisite, including removal of physical obstacle, convenience of public transportation, integrated education, shar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advance into the field of job community.

      • KCI등재

        노인복지시설 유형별 지역적 편차에 관한 연구

        강주희,윤순덕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7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Vol.18 No.3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elderly welfare facilities by type, to analyze their local variations, and ultimately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elderly welfare infrastructure. The results are expected to help inspect elderly welfare infrastructure for providing the aged with social services before the execution of 'the insurance for elderly longterm care' and establish welfare facilities by area in the future.For these purposes, we used the national data “The Current State of Elderly Welfare Facilities in 2007” produc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We digitized elderly welfare facilities in 163 cities and counties by type and analyzed them by area. We also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local distribution of representative elderly welfare facilities such as elderly welfare centers, homebased facilities (home helper centers), asylums for the aged and elderly care facilities in 16 cities and provinces. Furthermore, we analyzed differences and problems in their local distribution urban areas, mixed areas of urban and rural communities, and rural areas. In addition, we studied the current state of institutionalized care and homebased care, which are two major directions of current elderly welfare policies, based on the local distribution of facilities and analyzed differences in the trends according to area.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urban had more home based care facilities than the rural. However, the rural had more institutionalized care facilities than urban. Also, each local self-governing body showed unique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we need to establish elderly welfare policies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facility types by area.

      • KCI등재

        GIS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노인복지시설의 접근성 연구: 인천시 내륙부를 중심으로

        마세인,김흥순 국토연구원 2011 국토연구 Vol.70 No.-

        본 연구는 인천시를 대상으로 노인복지시설의 공간적 분포를 살펴보았다. 노인복지시설의 분포를 접근성 측면에서 살펴보기 위하여 GIS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노인복지시설의 이용권역 분석을 실시하였다. 네트워크 분석에 앞서 노인의 보행권을 고려하여 노인복지시설을 3개 권역으로 분류하였으며, 분류된 노인복지시설의 거리기준을 토대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시설별 차이가 있었으나 대부분의 시설에서 지역 간 편차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노인복지시설의 입지기준이 없어 시설의 분포는 시설을 운영함에 있어 나타나는 편리함과 이익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복지시설의 목적보다는 시설의 설치 가능한 건축물의 용도에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노인복지시설의 이용권역 분석결과와 이용대상자의 밀도를 고려하여 취약지역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취약지역은 향후 노인복지시설을 배분함에 있어 우선적인 공급이 고려되어야 할 지역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는 노인복지시설의 입지를 결정함에 있어 효율적인 공급계획을 수립하는 데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in Incheon. This study analyzed accessibility of the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in Incheon. Based on GIS network analysis, this study identifies the service areas of the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Prior to network analysis, the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a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considering of walking range of the aged. After the classification, this study conducts network analysis to determine service area of the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The distribution of the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in Incheon implies that most facilities have unbalanced distribution among inner cities. And there is no location standard about the welfare facilities, while the facilities are distributed based on the character of the operating welfare facilities. The areas with inadequate supply of the welfare facilities are drawn by the density of users. These blind spots should be considered above all in supplying the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 KCI등재

        아동복지법상 아동복지시설내에서의 권리침해에 관한 법적 연구

        선은애(Seon, Eun-Ae) 한국토지공법학회 2015 土地公法硏究 Vol.71 No.-

        아동복지시설은 아동의 삶의 질 향상과 더불어 다양한 복지를 보장하고 아동이 안전하고 행복하게 자랄 수 있도록 국가, 지방자치단체 또는 민간단체가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운영하는 시설을 말한다. 아동복지법에 의한 아동은 “18세 미만인 사람”을 말한다. 따라서 아동복지시설에 입소 할 수 있는 아동의 연령 또한 18세 미만의 사람으로 규정되어 있다. 사실상 18세 미만의 사람은 민법에 의한 미성년자이기도 하며 14세 미만의 사람은 형법상 형사미성년자이기도 한다. 이렇게 법적으로나 제도적으로 보호 받아야 할 아동의 권리는 최근 몇몇의 사례를 통해 존중되지 못하며 여러 가지의 권리침해의 모습들로 보여져 왔다. 특히 아동이 행복하고 안전하게 잘 할 수 있도록 국가‧지방자치단체‧민간에게 그 책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동복지시설내에서 발생하는 아동의 권리침해는 날로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시설내에서 발생하는 권리침해는 외부로 드러나기가 쉽지 않고 시설 자체적으로 권리침해에 대한 해결점을 찾는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아동복지시설에서 근무하는 종사자의 자격 및 자질에 관하여 채용규정 또는 일률적인 평가나 기준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형식적인 자격의 취득만 있으면 채용되거나 혹은 복지시설마다 각기 다른 요건을 가지고 채용을 하기 때문에 아동복지시설에 종사하는데 필요한 자질이 부족한 경우 시설을 입소하여 이용하는 아동의 권리침해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 이러한 사실은 아동복지시설을 이용하는 아동의 권리를 보호 받지 못한다는 것과 연계성이 있기 때문에 시설내에서의 아동의 권리침해를 위한 예방 및 권리침해의 발생시 아동의 권리구제가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시설에서는 아동복지시설 종사자를 중심으로 시설내 아동의 권리 증진과 복지향상을 위하여 권리침해 예방교육을 의무적으로 실시하여야 하여야 한다. 그리고 시설의 종사자의 자격과 자질도 각 시설의 재량에 의해 판단할 것이 아니라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자격과 자질이 엄격하게 규정되어야 한다. 권리침해를 당한 아동의 복지향상을 위해서 다양한 서비스 질 향상도 함께 제도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A child welfare institution refers to a facility run by the national government, a local government or private organization to offer social welfare services to improve children's quality of life to ensure their welfare and safe, happy growth. In the child welfare act, a child is defined as a person who is under the age of 18. Therefore people under 18 are allowed to dwell in child welfare facilities. As a matter of fact, those who are under 18 are minors according to the civil law, and those under 14 are criminal minors according to the criminal law. Children's rights should be guaranteed both legally and institutionally, but several recent cases show that their rights are actually infringed without being properly protected. Although all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and the private sector are obliged to help children to grow happily and safely, there are mounting cases to violate children's rights in child welfare facilities. In fact, the infringement of rights that happens in these facilities is scarcely exposed, and the facilities themselves try to resolve this problem. Moreover, there are neither any hiring regulations for child welfare facilities nor any legal requirements or evaluation criteria for the qualifications of their employees. So it's possible for job seekers to be employed if they just meet formal certification requirements, or each welfare center hires employees in their own way. So a person who isn't qualified enough to work for a child welfare institution is likely to infringe on the rights of the children who dwell in the institution. As this fact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phenomena that children's rights aren't protected in child welfare facilities, it's important to prevent children's rights from being violated, and the relief of their rights is necessary if their rights are violated. Every child welfare institution must be compelled to provide preventive education for every employee not to violate children's rights to guarantee their rights and improve their welfare. In addition, accurate guidelines and regulations should be prepared about employee qualifications instead of allowing these facilities to judge by their own standard only. Finally, how to provide a variety of quality services for children whose rights are violated should carefully be considered.

      • 사회복지시설 운영의 쟁점과 방향성 고찰 -고용을 중심으로-

        장선미,이승기 한국교회교육복지실천학회 2021 교회교육·복지실천 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고용과 관련 있는 현안을 검토하여 앞으로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사회복지시설의 고용관계에 대하여도 노동법이 적용되는 것이 원칙이므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고용계약 또한 노동법을 준수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이와 관련하여 사회복지시설 운영주체는 계약서상 표시에도 불구하고 노동법상 근로계약의 주체이며 관련 법적 의무와 책임의 주체가 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회복지시설 운영주체가 근로계약의 당사자임을 계약상 명시하여 관련 법적 의무와 책임의 주체임을 분명히 함으로써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에 대한 노동법적 보호를 강화하고 불분명한 근로계약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분쟁을 줄일 필요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러나 사회복지시설 운영주체가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고용관계에서 노동법을 준수하고 충실한 시설운영을 할수록 비용부담이 증가되는 현장의 모순은 사회복지시설 고용 관련 정책을 통해서 해소되어야 한다. 예컨대 고용보험료 산정 등에서 사회복지시설의 특수성이 고려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정부 관련 부처들의 명확한 정책 방향이 결정되어야 하고 사회복지시설 운영주체에 안내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issues related to the employment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and to provide a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In principle, the labor act shall also apply to the employment relationship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so employment contracts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shall also comply with the labor act. In this regard,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operator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is the subject of labor contracts and the subject of related legal obligations and responsibilities, notwithstanding the presentation in the contract. It also noted the need to strengthen legal protection for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reduce unnecessary disputes arising from unclear labor contracts by stating that the operator is a party to the contract. However, the contradiction of sites where the operator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complies with labor laws in the employment relationship of social welfare workers and the more faithful the operation of facilities, the more costly the site should be resolved through policies related to employment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example, the specificity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needs to be considered in the calculation of employment insurance premiums, for which clear policy directions of the branches of the government need to be determined and guided to the operator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 KCI등재

        사회복지시설의 직장 내 괴롭힘에 관한 사회복지종사자들의 경험 : 개념도 연구법 중심으로

        조민경(Cho MinKyoung),이지연(Lee JeeY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8

        목적 사회복지시설의 사회복지종사자들이 인식하는 직장 내 괴롭힘에 따른 어려움과 직장 내 괴롭힘 극복요인을 “개념도 연구법”을 중심으로 하여 연구하였으며 사회복지종사자들이 직장 내 괴롭힘을 경험했을 때 겪는 어려움과 직장 내 괴롭힘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방법 최근 5년 이내에 직장 내 괴롭힘의 경험이 있었던 사회복지종사자들 10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접을 실시하였고, 어려움 관련 핵심 문장 79개, 극복요인 관련 핵심문장 62개를 도출하였다. 이어서 사회복지시설 직장 내 괴롭힘에 따른 어려움에 대한 공감 수준, 사회복지시설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극복요인 중요도 수준의 분석을 진행하였고,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다차원 척도법’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어려움은 2차원의 범주 8개로 분류되었으며, 극복요인은 2차원의 범주 6개로 분류되었다. 분석 결과 사회복지시설의 직장 내 괴롭힘에 따른 어려움에 대한 범주는 ‘사회복지시설 및 공공기관에 대한 신뢰도 하락’, ‘세상과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냉소적 시각변화’, ‘심리적인 고통과 부정적인 정서’, ‘고립 및 배척’, ‘관리자⋅동료들의 관계적 괴롭힘’, ‘정신⋅신체상 문제 증상과 일상생활의 어려움’, ‘고의적, 교묘한 괴롭힘’, ‘업무상 불이익처분’의 순서로 분류되었다. 사회복지시설 직장 내 괴롭힘 극복요인의 범주는 ‘인간관계를 통한 지지’, ‘사회적 제도를 통한 주도적인 대처’, ‘사회복지 관련 업무에서의 탈피’, ‘사회복지업무를 지속하기 위한 개인적 노력’, ‘심리적 안정을 위한 재충전 및 자기 계발’, ‘나를 보호하기 위한 일시적 자기방어’의 순서로 분류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사회복지종사자들의 직장 내 괴롭힘에 따른 어려움과 극복요인을 실제 경험을 토대로 공통적인 요인을 도출해 내고 요인들을 심리적⋅사회적 구조 차원에서 구조화하고 이를 검증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workplace bullying and the factors for overcoming workplace bullying perceived by social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by using the “Concept Map Study Method”. In addition, what factors were in overcoming the difficulties caused by workplace bullying were investigated. Methods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social workers who had experienced workplace bullying within the past 5 years, and 79 key sentences related to difficulties and 62 key sentences related to overcoming factors were derived. Next, the level of sympathy for the difficulties caused by bullying in the workplace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the level of importance of overcoming factors in workplace bullying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were analyzed. Based on these data,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HCA’ were conduct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ategories of difficulties caused by workplace bullying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were ‘decline in trust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public institutions’, ‘cynic changes in the world and social welfare facilities’, ‘psychological pain and negative emotions’, ‘isolation and exclusion’, ‘relational harassment of managers and colleagues’, ‘symptoms of mental and physical problems and difficulties in daily life’, ‘intentional and subtle bullying’, and ‘disadvantages at work’. The categories of factors to overcome bullying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are ‘support throug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itiative coping through social systems’, ‘abandonment from work related to social welfare’, and ‘personal effort to continue social welfare work’, ‘recharge and self-development for psychological stability’, and ‘temporary defense measures to protect oneself’.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duced common factors based on actual experiences on the difficulties and overcoming factors caused by workplace bullying of social welfare workers.

      • KCI우수등재

        중증장애노인을 위한 의료복지시설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이을규,양관목,김성룡,이경락 대한건축학회 202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3

        The aging rate of Korea is currently 15.7% in 2020 and is expected to exceed 34.4% in 2040. The use of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shows a tendency to shift from facility services to home healthcare services. Prior to 2008, nursing facilities were divided into paid carefacilities, actual cost care facilities, and free care facilities. However,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elderly in 2008, it seems that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health and medical policies have been operated in a more comprehensive manner. But there is a part where more functional differentiation needs to be made in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this way, proper medicaltreatment is provided and excessive services are not implemented, so insurance premiums are claimed properly, and thus long-term careinsurance for the elderly and medical insurance finances are strengthened. Ultimately, it will reduce the burden of medical expenses for theelderly and increase the quality of services. Currently, the legal boundary between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elderly hospitals, andgeneral hospitals is ambiguous, and it is difficult for the elderly to select appropriate facilities. The facilities to be investigated in this studyare facilities that can be used by the elderly with severe disabilities at level 2 or higher for long-term care in Korea and abroad. Throughthis study, we found the following facts. The current spatial composition of the medical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s still insufficientto practically realize the principle of respect for human beings, the principle of home protection, and the principle of professional protectiondevelopment, which are the ideologies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t is being built to the extent that it barely meets the legalstandard of 23.6㎡ of gross floor area per resident and the legal standard of bedroom area per resident of elderly care facilities. As a result,Currently, the medical welfare facilities are insufficient to secure the private life area of the elderly, and it is difficult to secure sufficientspace for privacy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respect for human beings. 본 연구는 중증장애노인을 위한 의료복지시설을 대상으로 하고, 입소 노인 1인당 시설 연면적과 침실 면적이 어느 정도 비율로 공간구성이 되고 있는지 분석하고, 건축적인 공간구성이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이념인 인간 존중의 원리, 가정보호 중심의 원리, 전문적 보호 전개의 원리를 실질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휴식 공간과 교류공간 등의 지원실 공간구성이 잘 되어 있는지 분석한다. 또한 침실 단위평면 계획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분석한다. 그럼으로써 본 연구가 노인요양병원과 노인요양시설의 건립목적에 맞는 향후 노인시설계획 및 설계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국내의 조사대상 시설은 장기요양등급 2등급 이상의 중증 장애를 가지고 있는 노인들이 입소 가능한 시설로서, 노인의료복지시설 전문가로부터 추천받은 전국의 노인요양병원 14개 시설과, 노인요양시설 8개 시설을 조사 대상시설로 선정하여, 건축도면분석과 함께 운영자에게 인터뷰조사를 실시했다. 국외의 조사대상 시설은 일본의 노인요양시설을 대상으로, 국내의 장기요양등급 2등급 이상에 해당하는 요개호 3~5등급의 중증의 장애를 가지고 있는 노인들이 입소 가능한 시설 5개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결론으로 국내의 조사대상 시설은 일부 시설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노인요양시설의 입소자 1인당 연면적 법적기준과 입소자 1인당 법적 침실 면적 기준을 만족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시설은 노인요양병원으로 허가받아서 입소 노인 1인당 연면적이 노인의료요양시설의 기준(연면적 23.6㎡/1인 이상)보다 낮게 나타나고 있으며, 입소 노인 1인당 침실면적도 노인의료요양시설의 기준(6.6㎡/1인 이상)보다 낮은 면적을 보이고 있다. 이는 노인의료요양시설과 같이 장기간 입원 생활을 하여야 하는 노인들에게는 노인요양병원이 전체적으로 매우 열악한 환경에서 일상생활을 강요받게 된다. 그러므로 노인요양병원의 침실면적과 총연면적 법적기준을 노인요양시설의 법적기준으로 통일할 필요가 있다. 일본의 조사대상 시설과 비교하였을 때, 일본의 1인당 시설 연면적은 평균 45.4㎡로 국내 허가 기준의 2배 정도넓게 나타났으며, 1인당 침실 면적도 15.5㎡로 나타났다. 이렇듯 국내시설의 1인당 연면적이 좁다는 것은 휴식 공간과 소그룹 활동 공간 등의 지원 공간이 좁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침실공간이 좁다는 것은 자기의 애착 물건 보관이나 사진 장식, 소파 등 자기만의 영역에서 시간을 보내는 기회가 상대적으로 줄어든다. 즉 이것은 이러한 공간에서 행해지는 노인들의 휴식과 교제활동, 그리고 개인적인 공간에서의 행동 횟수가 상대적으로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