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벼 품종들의 분얼성기 및 출수기의 엽표면Wax의 양 및 화학적 조성

        Yong Woong Kwon,Bong Jin Chung 한국작물학회 1992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37 No.2

        본 연구는 엽표면 특성 및 유전적 특성이 현저히 다른 벼 품종들의 엽표면 wax의 양과 화학적 조성을 밝히고자 수행 되었다. 벼품종은 엽의 형태적 특성면에서 glabrous한 것, long-hairy한 것, pubescent한 것, water-wettable한 것을 선정했고 이들 각각에 대한 일본형 품종과 통일형(Indica Japonica) 품종을 1개씩 공시하였으며, 공시품종들의 분얼기 및 출수기에 엽표면 wax를 chloroform으로 추출하고 그 양 및 화학적 조성을 TLC, GLC 및 FTIR로 분석했으며, 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벼의 엽표면 wax는 chloroform을 용매로 추출할 때 대체로 엽표면 wax 전체에 대해 균등하게 작용하며 wax 소편의 일부 및 첨예한 부분을 많이 용해시키나 상온에서 chloroform이 엽전면에 균일하게 접촉하고 wax 이외 물질을 유출하지 않기 위해서 벼 잎을 5분이내 침지함이 적당했지만 5분간 추출로도 엽면적 wax 전량을 추출하지는 못하였다. 2. 공시 품종들의 엽표면 wax는 대부분 소편장(platelet)으로 엽표면에 축적되어 있고 품종에 따라 wax축적의 조밀성이 달랐는데 Glabrous 품종이 제일 치밀했고 Long-hairy 품종, Pubescent 품종들이 그 다음으로 치밀했으며, Water-wettable 품종들은 wax 소편들이 적고 엉성하여 큐티클층 노출이 많았다. 또한 잎의 전면과 이면간 wax 축적은 품종에 관계없이 이면보다 전면이 더 치밀하였다. 3. Chloroform으로 5분씩 2회 침출한 엽표면 wax의 양은 벼품종간 차이보다 생육시기간 차이가 컸는데, 분얼기는 0.8~1.8 mg / g f.w. 수준, 출수기에는 1.7~3.6 mg / g. f.w. 수준으로 출수기에 불얼기보다 2~3배 정도 더 많았다. 4. 벼 엽표면 wax의 화학조성은 TLC상에서 크게 7성분으로 분리 동정되었는데 ketone류는 확인할 수 없었고 diol류, fatty alcohol류, fatty acid류, fatty aldehyde류, fatty ester류, 포화와 불포화 hydrocarbon류 등이 확인되었다. 5. 엽표면 wax의 TLC상의 화학조성은 벼품종간보다 생육시기별로 달랐는데 분얼기는 극성 성분인 diol, fatty acid, fatty alcohol류들을 확인할 수 없었지만 출수기에는 이들과 비극성 성분인 fatty aldehyde, fatty ester, 포화 및 불포화 hydrocarbon류를 확인할 수 있었다. 6. 벼 엽표면 wax를 이루고 있는 조성을 화학성분별로 탄소수면에서 보면 diol류는 C30 단일물질로, fatty alcohol류중 primary인 경우 C13과 C32가 주종이었고 secondary는 C14, C16, C30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aldehyde류는 C29-C34까지 비교적 비슷한 비율로 분포되어 있었다. Fatty ester중 acid 부위는 aldehyde 부위보다 저탄소수분포를 보였고 주로 C22, C23이었고, alcohol류는 C13, C22, C24, C26 등으로 품종에 따라 다른 구성을 보였다. Hydrocarbon류는 품종과 생육시기에 관계없이 탄소수가 홀수인 물질이었으며 주로 C29와 C31이었다. Differences in the amount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epicuticular waxes on rice leaves were studied for the active tillering and heading stages of rice varieties differing widely in gross leaf-surface property and genetics. The amount of waxes on surfaces of rice leaf-blades was determined by extraction with chloroform and chemical composition of the waxes was characterized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gas liquid chromatography and infrared spectrophotometry. The amount of waxes varied by variety and significantly with growth stage. The amount at the heading stage was 1.7 to 3.6 mg/g fresh weight of leaves, which was two to three times as much as that at the tillering stage of 0.8 to 1.8 mg/g fresh weight. The waxes consisted of seven chemical classes, namely diols, fatty acids, fatty alcohols, fatty aldehydes, fatty esters, saturated and unsaturated hydrocarbons. Diols and unsaturated hydrocarbons were identified as new chemical classes of the rice epicuticular waxes. The polar constituents such as dials, fatty acids and fatty alcohols and the non-polars such as fatty aldehydes, fatty esters, and saturated and unsaturated hydrocarbons were identified at the heading stage, but at the tillering stage only the non-polar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the carbon numbers (C) of the chemical classes, diols were composed entirely of C30 and acids were mainly of C30 and C31. In alcohols, primary alcohols were composed of C13 and C32, and the secondary alcohols were of C14, C16 and / or C30 regardless of the rice varieties. The acid portion of fatty esters, mainly composed of C22 and C23, showed low cabon numbers compared with the aldehydes. The alcohol portion of them showed a wide distribution in carbon numbers from C13 to C26 depending on the rice varieties. Hydrocarbons had odd carbon numbers, consisting mainly of C29 and C31.

      • 악성 두피 종양(Scalp) 환자의 M3 Wax Bolus를 이용한 방사선치료

        권다은,황지혜,박인서,양준철,김수진,유아영,원영진,권경태,Kwon, Da Eun,Hwang, Ji Hye,Park, In Seo,Yang, Jun Cheol,Kim, Su Jin,You, Ah Young,Won, Young Jinn,Kwon, Kyung Tae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9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31 No.1

        목 적: 두피 악성종양의 치료에 광자선을 사용할 때 필요한 Bolus 재질들의 단점으로 인하여 3D Printer용 헬멧형 bolus가 제작되고 있다. 하지만 사용되는 재질인 PLA은 조직등가물질에 비해 높은 밀도를 가지고 있으며 환자가 착용할 경우 불편한 점들이 발생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D Printer를 이용한 M3 wax 헬멧을 제작하여 악성 두피종양을 치료하는 방법을 시도해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헬멧형 M3 wax의 모델링을 위해 두부인체모형팬텀을 CT로 촬영해 DICOM file로 획득하고, 두피 위에 헬멧이 위치할 부위를 Helmet contour로 제작하였다. M3 Wax 헬멧의 제작은 paraffin wax를 녹이고, 산화마그네슘, 탄산칼슘을 섞어 용해시킨 후 PLA 3D 헬멧의 내부에 넣고 표면의 PLA 3D 헬멧을 제거하였다. 치료계획은 총 10 Portal의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IMRT)로 세웠으며, 치료선량은 200 cGy로 eclipse의 Analytical Anisotropic Algorithm(AAA)를 사용하였다. 그 후 EBT3 film과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USA)를 이용해 선량검증을 실시하였으며, CT 모의치료실과 동일한 조건으로 두부인체모형팬텀을 재현해 IMRT Plan을 측정하였다. 결 과: CT상에서 측정된 Bolus의 Hounsfield unit(HU)는 $52{\pm}37.1$으로 나타났다. M3 wax bolus 측정점 A, B, C에서 TPS의 선량은 186.6 cGy, 193.2 cGy, 190.6 cGy으로 확인되었고, Mostet으로 3회 측정한 선량은 $179.66{\pm}2.62cGy$, $184.33{\pm}1.24cGy$, $195.33{\pm}1.69cGy$, 오차율은 -3.71 %, -4.59 %, +2.48 %였다. EBT3 Film으로 측정된 선량은 $182.00{\pm}1.63cGy$, $193.66{\pm}2.05cGy$, $196{\pm}2.16cGy$이었으며, 오차율은 -2.46%, +0.23 %, +2.83 %로 확인되었다. 결 론: M3 wax bolus는 2 cm의 두께로 제작되어 뇌 부분의 선량을 보다 쉽게 낮추어 치료계획을 수립할 수 있었다. 치료선량 검증에서의 EBT3 Film과 Mosfet의 선량계의 A, B, C 측정값에서도 두피의 표면선량 최대 오차율은 5 % 이내로 측정되었으며, 일반적으로 3 % 이내로 정확하게 측정되었다. M3 wax bolus는 제작과정 기간이 3D Printer보다 빠르고 비용이 저렴하며, 재사용 가능하고, 인체조직 등가물질로서 두피 악성종양 치료에 매우 유용한 Bolus이다. 따라서 3D Printer의 대용량 Bolus, Compensator의 제작시간 및 비용이 비싼 단점을 극복하는 주조형 M3 wax bolus의 사용이 추후 확대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Helmet type bolus for 3D printer is being manufactured because of the disadvantages of Bolus materials when photon beam is used for the treatment of scalp malignancy. However, PLA, which is a used material, has a higher density than a tissue equivalent material and inconveniences occur when the patient wears PLA. In this study, we try to treat malignant scalp tumors by using M3 wax helmet with 3D printer. Methods and materials: For the modeling of the helmet type M3 wax, the head phantom was photographed by CT, which was acquired with a DICOM file. The part for helmet on the scalp was made with Helmet contour. The M3 Wax helmet was made by dissolving paraffin wax, mixing magnesium oxide and calcium carbonate, solidifying it in a PLA 3D helmet, and then eliminated PLA 3D Helmet of the surface. The treatment plan was based on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 of 10 Portals, and the therapeutic dose was 200 cGy, using Analytical Anisotropic Algorithm (AAA) of Eclipse. Then, the dose was verified by using EBT3 film and Mosfet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USA), and the IMRT plan was measured 3 times in 3 parts by reproducing the phantom of the head human model under the same condition with the CT simulation room. Results: The Hounsfield unit (HU) of the bolus measured by CT was $52{\pm}37.1$. The dose of TPS was 186.6 cGy, 193.2 cGy and 190.6 cGy at the M3 Wax bolus measurement points of A, B and C, and the dose measured three times at Mostet was $179.66{\pm}2.62cGy$, $184.33{\pm}1.24cGy$ and $195.33{\pm}1.69cGy$. And the error rates were -3.71 %, -4.59 %, and 2.48 %. The dose measured with EBT3 film was $182.00{\pm}1.63cGy$, $193.66{\pm}2.05cGy$ and $196{\pm}2.16cGy$. The error rates were -2.46 %, 0.23 % and 2.83 %. Conclusions: The thickness of the M3 wax bolus was 2 cm, which could help the treatment plan to be established by easily lowering the dose of the brain part. The maximum error rate of the scalp surface dose was measured within 5 % and generally within 3 %, even in the A, B, C measurements of dosimeters of EBT3 film and Mosfet in the treatment dose verification. The making period of M3 wax bolus is shorter, cheaper than that of 3D printer, can be reused and is very useful for the treatment of scalp malignancies as human tissue equivalent material. Therefore, we think that the use of casting type M3 wax bolus, which will complement the making period and cost of high capacity Bolus and Compensator in 3D printer, will increase later.

      • KCI등재

        Amount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Epicuticular Waxes on Leaves at Active Tillering and Heading Stages of Rice Varieties

        Yong Woong, Kwon,Bong Jin, Chung The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1992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37 No.2

        본 연구는 엽표면 특성 및 유전적 특성이 현저히 다른 벼 품종들의 엽표면 wax의 양과 화학적 조성을 밝히고자 수행 되었다. 벼품종은 엽의 형태적 특성면에서 glabrous한 것, long-hairy한 것, pubescent한 것, water-wettable한 것을 선정했고 이들 각각에 대한 일본형 품종과 통일형(Indica$\times$Japonica) 품종을 1개씩 공시하였으며, 공시품종들의 분얼기 및 출수기에 엽표면 wax를 chloroform으로 추출하고 그 양 및 화학적 조성을 TLC, GLC 및 FTIR로 분석했으며, 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벼의 엽표면 wax는 chloroform을 용매로 추출할 때 대체로 엽표면 wax 전체에 대해 균등하게 작용하며 wax 소편의 일부 및 첨예한 부분을 많이 용해시키나 상온에서 chloroform이 엽전면에 균일하게 접촉하고 wax 이외 물질을 유출하지 않기 위해서 벼 잎을 5분이내 침지함이 적당했지만 5분간 추출로도 엽면적 wax 전량을 추출하지는 못하였다. 2. 공시 품종들의 엽표면 wax는 대부분 소편장(platelet)으로 엽표면에 축적되어 있고 품종에 따라 wax축적의 조밀성이 달랐는데 Glabrous 품종이 제일 치밀했고 Long-hairy 품종, Pubescent 품종들이 그 다음으로 치밀했으며, Water-wettable 품종들은 wax 소편들이 적고 엉성하여 큐티클층 노출이 많았다. 또한 잎의 전면과 이면간 wax 축적은 품종에 관계없이 이면보다 전면이 더 치밀하였다. 3. Chloroform으로 5분씩 2회 침출한 엽표면 wax의 양은 벼품종간 차이보다 생육시기간 차이가 컸는데, 분얼기는 0.8~1.8 mg / g f.w. 수준, 출수기에는 1.7~3.6 mg / g. f.w. 수준으로 출수기에 불얼기보다 2~3배 정도 더 많았다. 4. 벼 엽표면 wax의 화학조성은 TLC상에서 크게 7성분으로 분리 동정되었는데 ketone류는 확인할 수 없었고 diol류, fatty alcohol류, fatty acid류, fatty aldehyde류, fatty ester류, 포화와 불포화 hydrocarbon류 등이 확인되었다. 5. 엽표면 wax의 TLC상의 화학조성은 벼품종간보다 생육시기별로 달랐는데 분얼기는 극성 성분인 diol, fatty acid, fatty alcohol류들을 확인할 수 없었지만 출수기에는 이들과 비극성 성분인 fatty aldehyde, fatty ester, 포화 및 불포화 hydrocarbon류를 확인할 수 있었다. 6. 벼 엽표면 wax를 이루고 있는 조성을 화학성분별로 탄소수면에서 보면 diol류는 C30 단일물질로, fatty alcohol류중 primary인 경우 C13과 C32가 주종이었고 secondary는 C14, C16, C30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aldehyde류는 C29-C34까지 비교적 비슷한 비율로 분포되어 있었다. Fatty ester중 acid 부위는 aldehyde 부위보다 저탄소수분포를 보였고 주로 C22, C23이었고, alcohol류는 C13, C22, C24, C26 등으로 품종에 따라 다른 구성을 보였다. Hydrocarbon류는 품종과 생육시기에 관계없이 탄소수가 홀수인 물질이었으며 주로 C29와 C31이었다. Differences in the amount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epicuticular waxes on rice leaves were studied for the active tillering and heading stages of rice varieties differing widely in gross leaf-surface property and genetics. The amount of waxes on surfaces of rice leaf-blades was determined by extraction with chloroform and chemical composition of the waxes was characterized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gas liquid chromatography and infrared spectrophotometry. The amount of waxes varied by variety and significantly with growth stage. The amount at the heading stage was 1.7 to 3.6 mg/g fresh weight of leaves, which was two to three times as much as that at the tillering stage of 0.8 to 1.8 mg/g fresh weight. The waxes consisted of seven chemical classes, namely diols, fatty acids, fatty alcohols, fatty aldehydes, fatty esters, saturated and unsaturated hydrocarbons. Diols and unsaturated hydrocarbons were identified as new chemical classes of the rice epicuticular waxes. The polar constituents such as dials, fatty acids and fatty alcohols and the non-polars such as fatty aldehydes, fatty esters, and saturated and unsaturated hydrocarbons were identified at the heading stage, but at the tillering stage only the non-polar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the carbon numbers (C) of the chemical classes, diols were composed entirely of C30 and acids were mainly of C30 and C31. In alcohols, primary alcohols were composed of C13 and C32, and the secondary alcohols were of C14, C16 and / or C30 regardless of the rice varieties. The acid portion of fatty esters, mainly composed of C22 and C23, showed low cabon numbers compared with the aldehydes. The alcohol portion of them showed a wide distribution in carbon numbers from C13 to C26 depending on the rice varieties. Hydrocarbons had odd carbon numbers, consisting mainly of C29 and C31.

      • KCI등재

        Preparation of eco-friendly wax-coated paper and its rheological and water-resistant characteristics

        이은주,임광희 한국화학공학회 2021 Korean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Vol.38 No.12

        The blend (wax M) of crude by-product polyolefin wax (wax K) and a fractionated commercial paraffin wax (wax J) was suggested to replace the wax J as a coating agent for wax-coated papers.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waxes J, K, and M were examined and compared. The correlation between viscosity and shear rate applied on these waxes maintained at 90 oC and 130 oC was identified. In particular, this paper, for the first time, presented non-Newtonian shear thinning behavior of not only wax K but also its blend of wax M in terms of their viscosity affected by shear rate at an operating temperature below their melting temperature of higher-melting-temperature DSC endothermic peaks (HMTEPs). They showed non-Newtonian behavior, so-called shear thinning behavior, at 90 oC in the light of characteristics of both suspension systems and polymer systems. In addition, the profiles of viscosity at 130 oC of all the waxes versus the shear rate exhibited Newtonian fluid behavior. Wax J also showed the behavior of a dilatant fluid. Then, the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s (WVTR), surface roughness, and coated weights, of thin papers coated with waxes J (WJP), K (WKP), and M (WMP) were evaluated, characterized, and compared. As a result, WMP had an equivalent value to that of WJP or the lowest value among wax-coated papers in terms of WVTR. The surface roughness and the barrier property of WVTR were minimized and enhanced, respectively, by blending waxes J and K. The additional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dynamic contact angles, surface tension, wet and dry tensile strength, optical examination of the wax-coated fiber structure,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the wax-coated papers, were evaluated. The excellent antimicrobial properties of clinoptilolite added to wax J or wax M appeared.

      • KCI등재

        야외 금속 조각 작품 표면 보존용 액상형 wax의 제조 및 적용성 연구

        오승준,위광철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6

        Outdoor sculpture park installation works and environmental sculptures are damaged by air pollutants, ultraviolet rays, biological damage, etc., and the original shape of the work is transformed, conveying a different transmission power and distorted aesthetic information from the artist's intention. In order to prevent this, art history and scientific preservation treatment is performed, and wax coating is applied to the outdoor sculptures made of double metal to preserve the surface of the work. Wax is used as a preservation material as it does not distort the work after coating and has reversibility, whereas aging progresses by air pollutants, acid rain, salt water and dust, causing deterioration of coating power, durability, thermostability, interrupting performance, so continuous management and periodic reprocessing are required. Thus, this study tried to determine the applicability of waxes with improved performance than three types of waxes used for preserving the surface of outdoor metal sculptures, by experimenting with properties such as salt spray, UV degradation, and contact angle. Results show that a wax with improved barrier properties against water and moisture, and durability against UV rays than previous ones (C, O, Q-wax) was manufactured, and L-wax showed more than twice the barrier properties and coating power, and UV blocking effect was improved by about 6-30 times with excellent effect in preventing aging of wax. Workability can also be improved by making it possible to use the spray method instead of the existing deep coating method, securing convenience of work with easier coating to the detailed parts through spraying. As a material using a low-toxic solvent without applying heat during coating, it can secure human safety from fire. If additional research is conducted based on this conclusion, the original form, material, information power, transmission power, exhibition effect, and increased fatigue of the work due to reprocessing can be prevented. 야외 조각 공원 설치 작품 및 환경 조형물은 대기환경오염물과 자외선, 생물학적 피해 등으로 인해 손상되고 작품 본래의 형상이 변형되어 작가의 의도와 다른 전달력과 왜곡된 미적 정보를 전달하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미술사적 과학적 보존처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중 금속 재질의 야외 조각작품 보존 시 작품의 표면 보존을 위해 wax 코팅이 이루어지고 있다. wax는 코팅 후 작품이 왜곡되어보이지 않으며 가역성이 있어 보존 재료로서 사용되어지고 있는 반면에 대기오염물질과 산성비, 염수, 먼지 등에 의해 노화가 진행되고 이는 코팅력, 내구성, 내열성, 차단성, 황변성 등이 저하되는 현상과이로 인해 처리 후 지속적인 관리와 주기적인 재처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야외 금속조각 작품 표면 보존용 재료인 3종의 wax보다 성능이 개선된 wax를 제조하여 염수분무, 자외선 열화, 접촉각 등의 물성 실험으로 적용 가능성에 대해 판단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기존에 사용되어 온 3 종의 wax(C, O, Q-wax) 보다 수분 및 습기에 대한 차단성과 지속성, 자외선으로부터의 내구성이 증진된 wax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L-wax는 대기오염물질 등으로부터 2배 이상의 차단성과 코팅 지속력을 나타내었으며, 자외선 차단 효과는 약 6~30배 이상 증진되어 wax의 노화 방지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기존 wax의 코팅방법인 Deep 코팅 방법이 아닌 분무법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제조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확보하고, 분사를 통한 세밀한 부분까지의 코팅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져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다고 판단되며, 코팅 시 열을 가하지 않고 저독성 용제를 사용한 재료로서 인체의 안전성, 화재로부터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론을 기반으로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작품 본래의 형태, 재질, 정보력, 전달력, 전시효과, 재처리로 인한 작품의 피로도 증가 등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들기름 기반 야외 금속 조형물 보존용 혼합 Wax의 개발 및 적용성에 관한 연구 : 철제 조형물 중심으로

        오승준,위광철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7 보존과학회지 Vol.33 No.2

        현재 야외 철제 조형물 보존용 코팅제로 사용되고 있는 wax는 장점도 있지만 낮은 내구성 및 안정성 등의 단점으로 인한 사용상의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 손상원인으로는 대기오염에 의한 대기가스와 산성비, 공기 중의 수분, 미세먼 지, 황사 등에 의해 wax가 노화되어 코팅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보존처리 후 짧은 시간 내에 재 부식이 발생한다. 또한 wax의 노화로 색상변화 및 광택변화가 일어나 표면 이질감을 주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장기간 지속되어 왔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재료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사용되어지고 있는 wax 코팅제 들을 분석하여 각각의 특성과 용도별로 부족한 점들을 파악하여 보다 개선된 wax 코팅제를 개발하였으며, 야외 폭로 실험과 인공 산성비 실험을 통해 환경 변화에 따른 표면 코팅 변화양상을 확인해본 결과 기존 재료들 보다 야외 폭로 실험결과 약 4배, 인공 산성비 실험 결과 약 1.5배 이상의 우수한 부식방지 및 차단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색도 및 광택도, 접촉각, 박막두께 등의 물성 측정을 통해 기존에 사용되어온 wax보다 박막두께는 약 1.3 ~ 1.8배 두껍지만 고른 피막을 형성해 외부 환경으로 부터의 차단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색도 및 광택도도 기존의 재료와 유사한 물성을 보여주어 기존에 사용되어온 wax 코팅제를 대체할 수 있는 재료로 판단된다. The currently used wax agents for preserving outdoor metal structures, despite their advantages, have disadvantages such as low endurance and reliability. These wax agents are easily damaged by acid rain, dust, moisture in the air, yellow dust, and air pollutants, resulting in corrosion within a short period after the initial conservation treatment. In addition, aged wax can also exhibit changes in the color or gloss, and also give a sense of difference in the surface. Given these existing problems, it is necessary to develop improved materials for metal preservatio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s of the existing wax coating agents in order to identify their disadvantages and to develop a better material for metal preserv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developed a perilla oil based compound wax and conducted experiments to test its endurance. The new compound wax agent was exposed to outdoor and acid rain conditions: it showed four times and 1.5 times the endurance of the existing wax agents in outdoor and acid rain condition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new agent seems to be more durable and protective as evidenced by the chromaticity, polish maintenance, and contact angle results. Further, although it is 1.3-1.8 times thicker than the existing agents, the new agent shows a more even surface. Based on these finding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new compound wax agent based on perilla oil is a better alternative to the existing was coating agents.

      • SCOPUSKCI등재

        폐플라스틱 필름의 액상 열분해 및 고형왁스의 제조

        황택성 ( Hwang Taeg Seong ),김영수 ( Kim Yeong Su ),황의환 ( Hwang Ui Hwan ) 한국공업화학회 2003 공업화학 Vol.14 No.6

        본 연구에서는 최근 환경문제를 유발하고 있는 폐플라스틱 필름을 고형 왁스로 재활용하기 위해 반응온도 350~400℃, 반응시간 30~120min 범위에서 열분해하였다. 폐플라스틱 필름을 반응기에 투입시 효과적인 용융을 위해 소량의 폴리에틸렌 왁스를 첨가하였으며, 왁스의 첨가에 따른 용융특성을 관찰하였다. 또한 반응기의 교반속도, 질소유량에 따른 열분해 특성을 관찰하였다. 고형왁스의 구조 및 분자량 분포 그리고 용융점도를 FT-IR, GPC, 및 점도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고형왁스의 평균 분자량은 반응기에 투입한 왁스의 양, 반응시간,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용융점도의 경우 분자량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또한 반응온도와 시간이 일정할 때 교반속도가 증가할수록 고형왁스의 용융점도는 감소하였으며 390℃ 이상에서는 거의 0에 근접하였다. 또한 분산도(Dispersity)는 동일조건에서 2~5로 분포되어 있었다. In this study, the thermal degradation process has been investigated at various reaction temperature (350∼400 ℃) and time (30∼120 min) in order to recycle waste plastic films as solid state wax. Waste plastic films were easily melted by adding a small amount of wax. The effects of wax addition, stirring speed and nitrogen flow rate on their thermal degradation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FT-IR, GPC and viscometer were used to analyze properties of the solid wax including the structur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and melt viscosity.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f solid wax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reaction time, temperature and amount of wax added. Also, the viscosity of solid wax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stirring speed at a constant reaction temperature and time, and its viscosity reached close to zero above 390 ℃. The polydispersity of solid wax was 2-5 at the same reaction condition.

      • KCI등재

        Wax glands ultrastructure and chemical composition of wax of giant mealybug Drosicha stebbingii (Green) (Hemiptera: Monophlebidae)

        Ahmad Ayashaa,Kundu Aditi,Dey Debjani 한국응용곤충학회 2020 Journal of Asia-Pacific Entomology Vol.23 No.2

        Droschia stebbingii (Green) belonging to the family Monophlebidae (Hemiptera: Coccoidea) is a serious, phytophagous and dimorphic pest. D. stebbingii and D. mangiferae (Green) with sixty-two common hosts and minor morphological variations pose problems towards their taxonomic identification.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ere used to outline the ultrastructural details of cuticular wax producing structures of D. stebbingii. Three types of wax-pores along with tubular duct were observed on the head, thorax and abdomen. Quinquelocular and multilocular disc-pores exhibited variations in the central loculus with single and double opening. Short curly wax strands were secreted from the outer loculi whereas central loculus secreted long tubular strands. Additionally, bilocular pores secreting curly wax were observed having two large loculi separated by a septum. GC–MS analysis of cuticular wax indicated the presence of hydrocarbons and wax esters forming majority of the covering along with long chain alcohols, ketones and acids. Variations in the percentage of hydrocarbon and wax esters content were observed for two populations of D. stebbingii collected from different hosts. Hydrocarbons were abundant in populations collected on Pongamia pinnata (L.) Pierre whereas long chain esters dominated the wax profile for the population collected from Tectona grandis L.f. Compositional variations in the cuticular wax of D. stebbingii on different host along with knowledge on the ultrastructural wax pores and waxy secretion would provide an insight to the existing knowledge of this scale insect.

      • KCI등재

        Inlay wax의 열팽창에 관한 연구

        남상용,곽동주,차성수 대한치과기공학회 2008 대한치과기공학회지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thermal expansion of the inlay waxes at temperature. Inlay pattern wax shows not only a high coefficient of expansion but also a tendency to warp or distort when allowed to stand unrestrained. The thermal expansion of inlay waxes was tested according to the treatment conditions for 10 minutes at 40'C. The thermal expansion of inlay waxes at various temperatures was measured with an electro dial gauge. The results were as fellows: 1. It is shown that the rate of thermal expansion of wax A is 0.2%, wax B is 0.29%, wax C is 0.38%, and wax D is 0.22% at 40'C. 2. It is shown that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of wax A is 106*10-6/'C , wax B is , wax C is 152*10-6/'C , and wax D is s116*10-6/'C at 40'C. 3. The thermal expansion of the inlay waxes at 40'C was shown to increase in the order of wax C, B, D, A.

      • KCI등재

        글로벌-로컬 혼종문화상품의 정체성과 진정성: 아프리카 왁스를 중심으로

        윤유석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23 글로벌문화콘텐츠 Vol.- No.56

        This article examines the issue of whether hybridised cultural products created in the colonial Western-centric global-local world system can retain local cultural identity and authenticity through the case of African wax. African wax, a wax-printed fabric, is a raw-dye printed cotton fabric produced in factories by European textile companies based on batik, a traditional Indonesian fabric. It is a hybrid cultural product that is neither a traditional African fabric nor produced in Africa, but has acquired the attributes of African culture through its consumption in Africa.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view that local culture should be locally generated and produced with originality, uniqueness, and purity, it is difficult to call hybridised wax prints made in Europe during the colonial period as African local culture. Therefore, based on transcultural theory, which interprets colonial local culture from a post-Western perspective, we found that the agency, creativity, and tradition of African local culture in the consumption process transformed the Indonesian-style European wax into African wax and made the wax print an African local culture. Furthermore, we suggest that if authenticity as a commodity is based on originality and genuineness in the production process, then authenticity as a culture should be based on usability, functionality, knowledge, and spirituality in the consumption process, so that Africans as consumers can recognise the cultural products created by wax prints, just as Europeans as producers naturally accept new cultural products such as fashion shows and exhibitions that reappropriate Africanness created by Africans. African wax is an important example of how hybrid cultural products created through the dynamic process of global-local production and consumpt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can define local cultural identity and authenticity, and what it takes to become new local global cultural contents today. 이 글은 식민지 시기 서구 중심적인 글로벌-로컬의 세계체제 속에서 만들어진 혼종화된 문화상품이 로컬문화의 정체 성과 진정성을 가질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를 아프리카 왁스 사례를 통해 고찰하고 있다. 왁스 프린트 원단인 아프리카 왁스는 인도네시아의 전통 직물인 바틱을 원형으로 하여 유럽의 섬유회사들이 공장에서 생산한 날염 프린트 면직물이다. 아프리카의 전통 직물도 아니고 아프리카에서 생산되지도 않았지만 아프리카에서 소비되면서 아프리카 문화의 속성을 갖게 된 혼종문화상품이다. 로컬문화가 지역에서 생성되고 만들어진 원형성, 고유성, 순수성을 갖추어야 한다는 기존의 시각으로는 식민지 시기 유럽에서 만들어진 혼종화된 왁스 프린트를 아프리카의 로컬문화라고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우리는 탈 서구 중심적 시각에서 식민지 로컬문화를 해석하는 트랜스컬쳐 이론을 바탕으로 소비 과정에서 작용한 아프리카 로컬문화의 주체성, 창조성, 전통성이 인도네시아풍의 유럽산 왁스를 아프리카 왁스로 변모시켰고 이것이 왁스 프린트를 아프리카의 로컬문화로 만들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우리는 상품으로서의 진정성이 생산과정에서 만들어지는 원본성, 정품성을 기준으로 한다면 문화로서의 진징성은 그것을 소비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사용성, 기능성, 지식성, 정신성이 혼종문화상품의 문화적 진정성의 기준으로 적용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그래야만 생산자였던 유럽 인들이 아프리카인들이 만들어낸 아프리카성을 재전유한 패션쇼와 전시회 등의 새로운 문화상품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것처럼 소비자였던 아프리카인들이 왁스 프린트를 활용해 만들어내는 문화상품을 인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프리카 왁스는 식민지 시기 글로벌-로컬의 역동적인 생산과 소비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혼종문화상품이 로컬의 문화적 정체성과 진정성을 규정하고 오늘날 로컬의 새로운 글로컬문화콘텐츠가 되기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볼 수 있는 하나의 중요한 사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