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워커블 어버니즘을 통한 도시경쟁력 제고 방안 연구

        서정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14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 Urban Competitiveness through the Walkable Urbanism. Als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finding out the current status of ‘City Walk’ as a Walkable Urbanism in Korea(case on ‘Ebagu-gil’(Busan), ‘Chunglok-gil’(Dongbuk 4 Gu)), and ‘City Walk’ cases of foreign countries. This paper discusses the guide line or strategy of Urban Competitiveness by Walkable Urbanism as a ‘City Walk’. Recently, a walking tourism is getting popular and a common activity of tourism. It also examines the present urban competitiveness, identifies the problems encountered in implementation, and suggests the solutions for strengthening urban competitiveness such as a walkable urbanism for Smart Growth. Smart Growth America(SGA) suggests that ‘Smart growth is a better way to build and maintain our towns and cities. Smart growth means building urban, suburban and rural communities with housing and transportation choices near jobs, shops and schools. This approach supports local economies and protects the environment’. Also it emphasized that well made or planned for city walk beyond developmentalism, including story and modern cultural historic buildings, are also crucial in making Urban Competitiveness more attractive.

      • KCI등재

        수원시 공공보행안내 시설물의 표준디자인 개발 연구

        박석훈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9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7 No.-

        Many cities in the world are carrying forward the project for realizing the walkable city. It aims to reduce the traffic accident rate of pedestrians and also to vitalize commercial districts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of pedestrian volume. Thus,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the basis for Suwon-si to become a walkable city through the development of pedestrian guidance facilities considering the universal design that could be easily understood by every one. The spacial scope of this study is the whole area of Suwon-si, and the scope of this study is the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and the development of pedestrian guidance facilities design. For the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the general current status, spacial current status, advanced cases, and paradigm of Suwon-si were researched. The development of design is composed of basic plan, and the development of pedestrian brand, appearance design, and content design. The content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place filled with plentiful historical/cultural resources, Suwon-si would be needed to have the customized-pedestrian guidance plan that could be easily cognized by foreign visitors. Second, based on the research of the current status, the classification of facilities and the direction of appearance design and content design were drawn. Third, the master-plan and the materialization measures containing the identity of Suwon-si were suggested. Fourth, on top of establishing the pedestrian brand for the formation/spread of pedestrian culture in Suwon-si, the simple appearance design considering the pedestrian convenience and the function-centered content design were suggest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aspect of becoming a basis for forming a walkable city Suwon, and it would be contributing to Suwon-si’s planning of pedestrian culture together with its citizens in the future. 세계적으로 여러 도시에서 보행친화 도시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보행자의 교통사고율을 저하시키고 보행량 증가에 따른 상권의 활성화를 기대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누구나 쉽게 보고 이해할 수 있는 유니버설디자 인을 고려한 보행안내시설 개발을 통해 수원시가 보행친화도시로 거듭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공 간적 범위는 수원시 전역으로 연구의 범위는 현황분석과 보행안내시설 디자인 개발이다. 현황분석을 위해 수원시의 일반현 황, 공간현황, 선진사례, 패러다임을 조사하였다. 디자인 개발은 기본구상, 보행브랜드 개발, 외형디자인, 내용디자인 개발 이다. 본 연구의 내용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수원시는 풍부한 역사 문화자원을 가진 곳으로 외국인 방문객들도 쉽게 인지할 수 있는 맞춤형 보행안내계획이 필요하였다. 두 번째, 현황조사를 토대로 시설물 분류, 외형디자인, 내용디자 인의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세 번째, 수원시의 정체성이 담긴 마스터플랜, 구체화방안을 제시하였다. 네 번째, 수원시의 보 행문화 형성 및 확산을 위하여 보행브랜드를 구축하고 보행편의성을 고려한 간결한 외형디자인, 기능 중심의 내용디자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보행친화도시 수원을 형성하는 기반이 되는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수원시가 시민과 함께하는 보행문화를 계획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본다.

      • Sustainable Buildings - or Sustainable Cities?

        Schwettmann, Mark Council on Tall Building and Urban Habitat Korea 2015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rise buildings Vol.4 No.2

        China's rapidly growing cities offer a unique opportunity to create highly sustainable communities. Architects and their clients, typically real estate developers, are highly focused on strategies that are effective at reducing energy and water usage at the scale of the individual building or within a master plan of multiple related buildings. However, a closer look at energy consumption reveals that transportation uses more energy worldwide than residential and commercial buildings combined. In light of this, it is appropriate that China is making massive investments in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like heavy rail rapid transit and grade separated expressways, but the end result of these investments to date has been to enable people to live further from where they work and shop rather than closer - while simultaneously not creating walkable communities. Using positive and negative examples from Asia and the rest of the world, this article will investigate the specific urban design policies such as height limits, setbacks, land use restrictions, parking ratios, and parcel size which might change to enable the creation of truly sustainable communities for China's 21st century.

      • Influence of Urban Form on Shaping Walkability in Microdsitricts of Baku

        Dashdamirli, Narmin(다쉬다미를리, 나르민),Lee, Joongwon(이중원) 대한건축학회 2024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44 No.1

        Modern cities are being dominated by car-centric designs, leading to environmental and social issues. Walkable neighborhoods, conversely, promote public health, social cohes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form and walkability in Baku, Azerbaijan’s microdistricts, a common post-socialist residential typology. Using the Walkability Index framework, we analyze 3 Baku microdistricts. GIS-based analysis and urban block typology are used to understand how street networks, land use mix, and residential density impact walkability. Microdistricts with a more regular grid pattern exhibited higher walkability scores compared to those with organic layouts. This study offers valuable insights into walkability in post-socialist cities, offering a case study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al applications.

      • KCI등재

        서울시 근린환경과 목적별 보행 비교연구

        이종선(Lee, Jong Seon),최혜민(Choi, Hyemin) 한국도시행정학회 2018 도시 행정 학보 Vol.31 No.1

        보행은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하고 경제적이며 건강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최근 도시민의 보행감소에 따른 비만 증가와 더불어 도시환경과 보행과의 관계를 다룬 연구가 증가했지만, 도시 근린환경이 실용보행(utilitarian walking)및 여가보행(recreational walking)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연구는 여전히 미비하다. 특히 근무시간 유연화 속에서 삶의 질 향상의 잠재성을 지닌 여가보행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근린환경이 실용보행과 여가보행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서울시 423개의 행정동을 대상으로 연구했다. 더불어 보행의 의미를 도시재생의 관점에서 재조명 하고자 했다. 다중선형회귀분석 결과는 실용보행과 여가보행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 근린환경 변수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인구밀도와 사업체복합도, 도로밀도는 실용보행 및 여가보행 모두와 긍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사업체밀도와 공공체육시설은 실용보행에만, 소득과 도로 연결도 변수는 여가보행에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용보행 대비 여가보행의 비율(RUR: Recreation Utility walk Ratio)은 행정동별로 큰 편차를 보였다. 도시 활력을 높여 재생사업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보행을 효과적으로 증진하기 위해서 실용 및 여가 보행을 개별적으로 고려한 지방정부의 정책적 전략이 요구된다. Walking is commonly preferred non-motorised transportation which is environmentally sustainable, economic and equitable. Furthermore, it positively affects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of the society. Recent literature has mostl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environment and the mode of travel such as walking and biking. Some of them have specified walking mode with the utilitarian and recreational trips in particul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built environment variables and walking of different purpose for 423 administrative districts in Seoul. In addition, this is to rethink environment and walking relationship by adding the perspective of urban regeneration. The result present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built environment predictors between utilitarian and recreational walking. Population density and business diversit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th walking. Business density and public physical activity facilities was positively correlated only with utilitarian walking. Income and connectivity were correlated with only recreational walking. Districts showed variation in RUR (Recreation Utility walk Ratio). This study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urban regeneration which is aiming to enhance urban vitality through walkability.

      • KCI등재

        ‘도시걷기’의 인문학적 접근과 도시공간의 경쟁력 강화 방안

        서정렬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13 동향과 전망 Vol.- No.89

        본 연구의 목적은 워커블 어버니즘(Walkable Urbanism)으로서의 ‘도시걷기(City Walk)’의 인문학적 접근과 이를 통한 도시경쟁력 제고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인문학적 접근이 현실적인 도시 공간의 문제를 직접적으로 해결해 줄 수는 없다. 그러나 우리가 어떻게 할 것인가, 왜 그렇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물음에 답하기 위해서는 인문학적 성찰이 요구된다. 도시 공간(또는 장소)의 이용주체인 개개인이 도시 공간(또는 장소)에 대한 가치판단과 고민을 가능하게 하는 사유의 기반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인문학적 접근은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건축·도시 공간 분야에서 시도된 인문학적 관련 연구들의 주제는 위의 성찰적 질문에 대해 구체적인 결론을 도출하는 데 일정한 한계가 있음을 지적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조성된 탐방로와 부산시 산복도로, 감천동 문화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도시 공간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인문학적 접근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도시경쟁력 제고 방안으로 인문학적 접근 방법으로서 ‘워커블 어버니즘’을 통해 도시계획 및 설계차원에서 ‘도시걷기’로서의 가로 조성과 도보관광 코스 개발을 통한 도시경쟁력 제고 방안 관련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 Humanistic Approach for Competitiveness of Urban Spatial by ‘City Walk’ as a Walkable Urbanism. It may not directly solve the urban spatial problems of real life with humanism or humanistic approach. However we need humanism to answer the questions; how we do and why we do so. Importance of humanism is emphasized because it provides basis of thinking that individuals, the users of the urban spaces(or place) enable to decide value and to concern about the urban space(or place). However, most themes of related researches and developed project about existing humanism in the architecture and the urban space field have not reached reflectional questions yet. So, this study mentions necessity of much more Humanistic approach for Urban Competitiveness in national scenic trail and from some cases studies(SANBOKDORO and GAMCHEONGDONG MUNWHAMAEUL). Also, this study suggested creations of walkable streets and walking tourism courses through the urban design for Urban Competitiveness by 'City Walk' as a Walkable Urbanism.

      • KCI등재

        The Effect of Built Environment on Walkability in Ho Chi Minh City Center District

        Duong Quy Loc,Gyeng-Seok Kim(김경석)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9

        보행은 사람들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증가하는 교통 체증 해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존 보행관련 연구는 유럽, 북미, 동아시아 등에서 진행하였으나, 베트남과 같은 덥고 습한 개발도상국 도시들의 경우, 걷기에 대한 연구가 비교적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베트남 호치민시 중심지구의 보행편의성과 건축 환경이 보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대상지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보행 빈도와 건축 환경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있다. 기존 선행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 요소 외에도, 본 논문은 보행편의성 지수를 추정하기 위해 도시의 다른 특정한 건축 환경 요소를 사용하였다. 사용된 지표는 주거 밀도, 상업 비율, 혼합 토지이용, 교차로 간격, 블록 크기, 보행로 비율, 천장 유무, 온도 9가지를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지표는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와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람들은 보행편의성 지수가 높은 지역에서 더 많은 보행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Walk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peoples’ health and reducing the increasing pressure of traffic congestion. However, for cities in developing countries located in areas with unfavorable weather, such as hot and humid weather, there is not much research on walking.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walkability and the effect of the built environment on walking in the center district of Ho Chi Minh City, Vietna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uilt environment and walking frequency of people was analyzed. Besides common elements that have been used in previous studies, other specific factors of the built environment were determined to estimate the walkability index. The results were then compared with the amount of walking obtained from surveys of local people. The result shows that people tend to walk more in the areas with a higher walkability index.

      • KCI등재후보

        보행친화도시를 위한 한강 주요 교량의 보행환경 개선 방안 연구

        이태겸,김한배,조민균 한국경관학회 2019 한국경관학회지 Vol.11 No.1

        한강교량은 그 자체로 역사문화 및 경관 자원이며, 도시조망점이자 도시거점 네트워크로서의 가치가 높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강 교량의 보행 접근성과 이용현황을 분석하여 한강교량의 보행경관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보행다리로서의 잠재력과 실현가능성이 높은 5개의 중점연구 대상 교량을 선정하고, 문헌조사, 현장조사, 이용자 인식조사를 종합하여 시가지로부터 교량시점까지 보행접근성, 보도환경 안전성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가지에서 교량으로의 접근성을 저해하는 요인은 낮은 고속화도로 진출입 교차부 안전성, 다리의 보행 진출입부의 식별성 등이다. 인접 시가지에서 교량 보도까지 보행접근성의 안전도는 한강대교, 마포대교, 서강대교, 양화대교, 동작대교 순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교량의 보도 환경성은 마포대교, 한강대교가 비교적 양호하며, 양화대교, 동작대교, 서강대교 순으로 부정적으로 평가되었다. 한강 교량으로의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보행자의 가시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진입부의 선형 조정, 감속인지를 위한 바닥재질 변화, 보행자 작동의 안전신호등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교량의 보행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차도 다이어트에 의한 보도의 확폭 또는 입체 보행로의 설치, 그늘쉼터나 반환지점의 설치를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한강 교량의 보행환경 개선을 통해 서울의 남북 녹지축과 보행 네트워크를 연결할 수 있으며, 보행친화도시, 경관문화도시로서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미국 보행통학증진 및 통학로 안전 프로그램 (Safe Routes to School Program)에 대한 비판적 이해 - 뉴욕주 사례를 중심으로

        강범준 한국도시설계학회 2020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1 No.1

        To promote walking to school, a national policy called “Safe Routes to School (SRTS)” was initiated in the early 2000s in the U.S., the UK, Austrailia, and New Zealand. When the SRTS program was introduced to South Korea, its contexts and outcomes were not fully explained. The current study aimed to provide a critical understanding of SRTS through the analysis of its legal foundation and policy background and the study of the New York State case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understand how SRTS was introduced and understood in Korean academic and gray literature. This study found that (1) Korean literature mostly focused on cases from the U.S., without evaluating their safety outcomes; and that (2) it is not clear whether SRTS participation had an effect on the reduction of collision involving children. An in-depth SRTS case revealed that there were contradictions with the implemenation of SRTS program. SRTS cases can serve as a useful reference in developing similar policies in South Korea. 2000년대 초반부터 미국, 영국, 호주, 뉴질랜드 등 국가에서는 “보행통학증진 및 통학로안전(Safe Routes to School (SRTS)) 프로그램”이 적극 도입되어 큰 호응을 얻었다. 국내에도 여러 형태로 SRTS 프로그램이 소개된 바 있다. 본 논문은 국내 문헌을 대상으로 외국 SRTS가국내에 소개된 방식과 내용을 분석였다. 문헌분석 결과 대부분의 문헌은 프로그램의 성과 및 실제 사업 적용 맥락 등이 구체적으로 소개하지 않았고 그 내용이 단편적이었다. 추가로 본 논문은 SRTS 사업의 영향과 실제 운영 방식을 규명하기 위해, 미국 뉴욕주의 SRTS 프로젝트를 전수 조사하여 프로그램 운영의 성격, 집행방식, 성과(어린이 교통사고 저감 효과)를 다각도로 분석하였다. 기대와 달리, SRTS는 비(非)인프라형식의 사업이 주류였고, 뉴욕주 전체를 대상으로한 자료에서는 어린이 보행자, 자전거이용자 교통사고 저감과 SRTS 참여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도가 없었다. 사례조사를 통해 실제 SRTS가 운영되는 구체적 사례를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SRTS 정책과 비견될 수 있는 국내 정책을 찾아 그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도농복합 도시의 근린보행환경과 신체활동의 관계

        형구암,이용수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s of neighborhood-based physical environment between rural and urban area for physical activity. The study used survey data for 136 citizens from Hwaseong area. The NEWS-A scale, IPAQ, Social support scale, Self- efficacy scale used for this survey. According to the result, move related physical activities of rural area were higher than civic area. and leisure related physical activities of civic area were higher than rural area. To be conclusions, neighborhood- based physical environment was significant with physical activities in direct effects. so, neighborhood environments have to consider for physical activity promotion during civil planning. 이 연구는 도농 복합의 형태를 가진 화성시의 주거지역 근린보행환경과 신체활동량의 관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화성시를 동부권과 서남부권으로 구분한 후, 2019년 9월 현재 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을 대상으로 136명을 유층 무선표집하였다. 자료의 수집을 위해 NEWS-A, IPAQ,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척도가 활용되었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Window용 IBM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거주지역에 따른 변인의 차이는 교차분석, 일원변량분석을 하였으며 모든 분석에서 가설의 수락기준은 .05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 특성을 보이는 서남부권이 이동형 신체활동량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동부권이 여가와 관련된 고강도 일일, 주당, 총신체활동량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도농복합 도시의 신체활동 증진 계획 수립 시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야 하며 특히, 신체활동과 관련된 근린환경 조성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최근 한국에서 빈번하게 관찰되는 도시 형태인 도농 복합도시의 신체활동과 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전략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기 위해서는 도농복합 도시의 국지적 조건을 고려한 도시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