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운동시간대별 유산소 운동에 따른 중년여성의 면역인자 발현의 차이

        신정엽,최재일 한국웰니스학회 2019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4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rning, afternoon and evening aerobic exercise on lgA, lgG, WBC. Which were divided into three experimental groups, Morning Exercise group(MEG), Afternoon Exercise group(AEG), Evening Exercise Group(EEG). And after a 12-week treatment of MEG, AEG and EEG the effects in three test groups were compared by two-way repeated measure ANOVA, which led to the conclusions as follows. A 12-week treatment of concurrent MEG, AEG and EEG were effective for a positive effect on Immunity Factors. The results of a post hoc test showed that the lgA is higher values is MEG(p<.01), lgG is higher values is EEG(p<.01) and WBC is higher values is AEG(p<.01) Therefore, this study, it is concluded that regular aerobic exercise induces and increases the expression level of serum IgA, IgG, and WBC effectively in the exercise regimen for constructing immunity of adult women.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fic time zone and immunity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further research on the basis of more variable variables and targets. 이 연구의 연구는 운동수행 시간대에 따른 인체의 면역관련 인자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40대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12주간 유산소 운동을 아침, 점심, 저녁 세 그룹으로 나누어 실시하여, 시간별 유산소운동에 따른 lgA, lgG, WBC의 실험 간 차이, 시기 간 차이,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반복측정이 있는 이원분산분석(two-way repeated measure ANOVA)을 실시하였다.전‧후 면역관련 요인의 변화를 비교 분석한 결과12주간의 lgA의 경우 저녁운동집단에서 긍정적 효과(p<.01)가 나타났고, lgG 는 아침운동집단(p<.001), WBC는 점심운동 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p<.001)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는 운동시간대별 유산소운동집단 간 면역인자 발현량을 비교한 결과 각 변인별로 아침, 점심, 저녁 모두에서 고르게 유의하게 증가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에 성인 여성의 면역력 구축을 위한운동 처방에 있어서 이 연구를 토대로 비추어 보았을 때 규칙적인 유산소운동이 혈청 IgA, lgG 및 WBC의 발현량을 효과적으로 유도하여 증가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장시간 운동이 성인 남성의 cTnT와 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

        정태문 ( T. M. Jeong ),김영준 ( Y. J. Kim ),김미자 ( M. J. Kim ),소용석 ( Y. S. So ),문성진 ( S. J. Moon ),장성동 ( S. D. Jang ) 한국운동생리학회(구-한국운동과학회) 2011 운동과학 Vol.20 No.1

        본 연구는 사무직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신체질량지수 차이에 따른 신체구성, 심폐기능, 건강관련 체력을 비교분석하여 사무직 중년여성의 건강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행정관리 업무에 종사하는 연령 40~49세의 사무직 중년여성공무원 119명 정상집단(18.5 kg~22.5 kg/㎡) 41명, 과체중집단(23~24.9 kg/㎡) 40명, 비만집단(25~29.9 kg/㎡) 38명으로 나누어 신체구성, 심폐기능, 건강관련체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각 집단 간의 신체구성, 심폐기능, 건강관련 체력요인의 비교를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상관검증은 피어슨의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 수준으로 하였다. BMI 차이에 따라 신체구성에서 체중, 체지방률, WHR은 정상집단 과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과체중집단(p<.001), 비만집단(p<.001)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과체중집단과 비만집단 간에도 비만집단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타났다( p<.001). 심폐기능에서 FVC는 정상집단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며 과체중집단(p<.05), 비만집단( p<.01) 보다 높게 나타났다. 건강관련 체력에서 체중당 악력은 정상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과체중집단(p<.01), 비만집단(p<.01)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VO2max는 정상집단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며 과체중집단(p<.05), 비만집단(p<.001) 보다 높게 나타났다. 앉아윗몸앞으로숙이기는 정상집단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며 과체중집단(p<.05), 비만집단( p<.01) 보다 높게 나타났다. BMI와 신체구성, 심폐기능, 건강관련 체력 과의 상관관계에서 체중(p<.001), 체지방률(p<.001), WHR(p<.001), DBP(p<.05), SBP( p<.05), 체중당 악력(p<.01)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FVC(p<.01), VO2max(p<.001), 앉아허리앞으로숙이기(p<.01)와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BMI가 높을수록 체중, WHR, 체지방률, 체중당 악력은 높고, FVC, VO2max, 앉아윗몸앞으로숙이기는 낮게 나타나 BMI의 차이가 신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볼 수 있었으며, 이러한 관계는 지방과 관련된 신체구성 증가, 심폐기능 저하, 건강관련 체력의 기능 저하로 이어져 부정 적인 영향이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장기간 동안 신체활동이 제한되어 생활하는 사무직 여성종사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더욱 클 것으로 생각되며, 이들에 대한 체계적인 건강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exercise-inducing changes in Cardiad Troponin T(cTnT) as cardiac bio-markers, effects on serum lipids and inflammatory markers, and cTnT-influencing factors during one-time prolonged exercise. A sample of experiment consists of eight adult males. For one-time prolonged exercise program, target heart rate was kept with 42% for the first one hour of exercise, 60% after one hour, 80% after two hours. Total cholestrol, which is serum lipid, triglyceride, HDL-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are measured. As inflammatory markers WBC, CRP are measured and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LDL-C, WBC showed significant increase(p<.05) and TG showed significant decrease(p<.05) in exercising hours. Total-C, CR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ercising hours. The concentration of cTn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ercising hours but, three adult males showed an increase close to the level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AMI) cut off, cTn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ime(r=.432), WBC(r=.431), and heart rate(r=.431). As a result, this study indicates that one time prolonged exercise can induce an increase in cTnT as cardiac bio-markers among adult males who don`t exercise regularly, and it can also result in the risk of sudden death. Such a concentration of cTnT represent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WBC and accordingly, cTnT increases significantly at higher level of WBC.

      • KCI등재
      • 글루타민 보충이 운동유발성 염증지표와 근피로지표에 미치는 영향

        김인송 ( Kim Insong ),한상철 ( Han Sangchul ) 인천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19 스포츠科學硏究誌 Vol.32 No.0

        본 연구의 목적은 글루타민 보충에 따른 근력운동 후 염증지표(CRP, WBC)와 근피로지표(Lactate) 및 근 통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대 근력운동 경험이 없는 성인 남성 9명을 선정하였다. 보충방법은 글루타민을 (0.3g/kg/day) 1주일 동안 보충 하였다. 운동방법은 근력운동의 1RM을 측정한 후 30~40% 강도로 30회 씩 3SET 진행하였으며, 근육에 과부하를 주기 위해 Set간 휴식시간을 10초로 한정하였다. 1주일간의 보충 전과 후에 CRP, WBC, Lactate, VAS를 측정 하고 측정한 자료를 비교·분석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CRP의 경우, 글루타민 보충전과 보충 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WBC의 경우, 글루타민 미보충시 보다 글루타민 보충 후에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셋째, Lactate의 경우, 글루타민 보충전과 보충 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VAS의 경우, 글루타민 미보충시 보다 글루타민 보충 후에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운동전 1주일 동안 글루타민의 보충은 염증지표인 WBC와 운동 후 발생하는 근 통증 감소에 효과가 있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followed a group of non-popularized high school elite athletes for a year and explored hope and self efficacy on career according to the level of athletic performance. A total of fourteen (14) track and field student-athletes from three (3) different sports-specialized high schools were recruited and collected data three times (pre, during, and post-season) using the Snyder’s Trait Hope Scale (Snyder, 2002)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Scale (Betz, Klein, & Taylor, 1996). Fourteen participants completed all three phases of data collection and were interview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ose with superior athletic performance maintained higher hope level compared to those who were inferior in performance. However, the career decision making self efficacy was even lower among the athletically superior group. This suggested that the high school elite athletes with superior performance level might not possess superior ability to navigate future career after their retirement. Similar patterns were evident during the follow up one-on-one interview. In conclusion, those with lower athletic performance considered diverse career alternatives after retirement compared to those with superior athletic performance.

      • KCI등재

        유산소성 운동이 백혈구, 혈청 알부민 및 C-반응성 단백 농도에 미치는 영향

        변재철 ( Jae Chul Byun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3 체육과학연구 Vol.1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30분간의 유산소성 운동이 백혈구 수, 알부민 및 C-반응성 단백(CRP) 농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피험자들은 실험기간에 어떠한 질병이나 어떠한 약물도 섭취하지 않는 22-25세의 사람으로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중 12명은 현재 마라톤 동호회에서 주당 35-70km 정도 거리와 주당 3-6일간 달리기를 규칙적으로 실시해 온 사람들이다(experiment group). 반면에 다른 한 집단은 규칙적인 신체적 훈련이나 달리기를 실시해 본 경험이 없는 12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control group). 피험자들은 트레드밀 위에서 최대심박수의 60-75% 수준에서 30분간 달리기를 실시한 후 백혈구 수, 알부민, CRP 수준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 단련자들이 비단련자들에 비해 최대산소섭취량이 유의하게 높았고 (p<.05). 30분 동안 달린 거리도 많았다(p<.05). HDL-C과 LDL-C 수준은 규칙적으로 달리기를 실시해 온 단련자와 비단련자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백혈구 수, 혈청 알부민 농도에 있어서는 두 집단모두 각 시기(운동 전, 운동 직후, 회복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CRP의 농도에 있어서도 단련자들이 비단련자들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5).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규칙적인 운동으로 인한 신체적 활동수준의 증가와 빈번한 운동을 실시하는 사람들은 동일한 강도의 운동을 실시하더라도 규칙적인 운동을 실시하지 않는 사람에 비해 혈중 급성염증반응 인자인 CRP와 WBC의 수준을 감소시켜줄 수 있을 것이며, 알부민의 수준을 증가시켜 관상동맥심장질환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거나 그러한 위험이 줄어들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white blood cell, albumin and C-reactive protein by during 30 minutes aerobic exercise. None of them has any illness and use of any medication during the experiment. Twelve healthy males marathon club runners aged between 22-25 years. The subjects were moderately trained running between 35km and 70km/week, and they were trained running between 3-6 days/week (Experiment group). The other subjects this study were 12 males who did not regular any excercise (Control group). The WBC, albumin and C-reactive protein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during 30 minutes on treadmill running (60%-75% of HRmax).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VO2max, distance of run in experiments group was higher than contro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p<.00l).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 serum total cholesterol (p<.05), HDL-C and LDL-C level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WBC, serum albumin level between at each time (before, immediately after exercise, and recovery, p<.001, respectively).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 plasma CRP level between at each time, and there was lower on CRP level in experiment group than control group (p<.05). Consequently, the present study has demonstrated that increasing levels of regular physical activity and frequently exercise training may prevent or lower coronary heart disease (CHD) risk by reducing inflammatory markers.

      • KCI등재
      • KCI등재

        Step aerobics의 RPE가 여고생의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Sun-Ok Kwon(권선옥),Seon-Tae Jeong(정선태)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2

        J시 소재 K여자고등학교 1학년 중에서 %fat이 30% 이상인 24명을 유의추출법에 의해 운동그룹 A (8명), B (8명) 그룹과 통제그룹(8명)으로 3그룹으로 구분하여 Borg의 주관적운동강도를 이용, A그룹은 RPE 15-17(hard-very hard; 힘듦-매우 힘듦)×3 sets, B그룹은 RPE 11-13 (fairly light-somewhat hard; 알맞음-약간 힘듦)×3 sets로 설정하여 step aerobics (step box: 길이 68 ㎝, 폭 28 ㎝, 높이 15 ㎝, 무게 450 g)를 1일 50-60분간, 주3회(월, 수, 금)로 총 8주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step aerobics의 RPE가 비만 여고생의 면역기능(Neutrophil, Lymphocyte, Monocyte, Eosinophil, Basophil, IgG, IgA, IgM)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자료처리는 SPSS Ver. 14.0을 이용하여 집단과 시기 간 상호작용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repeated two-way ANOVA를, 집단 내 운동 전?후는 paired t-test를 실시하였고, 집단 간은 변화율(% diff.)을 구하여 one-way ANOVA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WBC에서, 집단 내 비교에서 A그룹은 Neutrophil, Monocyte, Basophil, Eosinophil 모두 증가하였으나 Lymphocyte는 변화가 없었고, B그룹은 Eosinophil은 감소하였으나 Neutrophil, Lymphocyte, Monocyte, Basophil 모두 변화가 없었으며, 통제군은 Neutrophil, Basophil, Eosinophil은 감소하였으나 Lymphocyte와 Monocyte는 변화가 없었다. 집단 간 비교의 Neutrophil은 A그룹이 B그룹과 통제군보다 더 많이 증가하였고, Lymphocyte는 집단 간 차이가 없었으며, Monocyte는 A, B그룹이 통제군보다 많이 증가하였다. Basophil과 Eosinophil은 A그룹이 B그룹과 통제군보다 더 많이 증가하였다. Immunoglobin에서, 집단 내 비교에서 A그룹은 IgG는 증가하였으나 IgA와 IgM는 변화가 없었고, A그룹은 IgA는 증가하였으나 IgG는 감소하였고 IgM은 변화가 없었다. 통제군은 IgG은 감소하였으나 IgA와 IgM은 변화가 없었다. 집단 간 비교의 IgA는 A그룹이 통제군보다 증가하였고, IgG는 A그룹이 B그룹과 통제군보다 증가하였으나 IgM은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요약하면 세 집단 모두 운동프로그램 전?후의 WBC와 Ig 수준이 연령에 맞게 참고치 내의 수준에 머물렀지만 step aerobics를 RPE 15-17로 실시한 A그룹의 경우가 가장 많은 측정항목에서 증가를 보였고, 이 결과는 참고치 범위 내에서 면역기능의 항진을 보여주는 것으로 면역기능의 향상을 위한 step aerobics의 RPE 강도는 힘듦-매우 힘듦(15-17)의 수준으로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Out of the tenth graders of K girl's high school in J city, 24 students whose %fat was over 30% were divided into 3 groups through Purposing Sampling. Groups A and B were exercise groups and C was the control group. Using Borg's RPE (rating of perceived exertion), RPE 15-17 (hard-very hard) × 3 sets were set up for group A, RPE 11-13 (fairly light-somewhat hard) × 3 sets were set up for group B, and both groups performed step aerobics (step box: 68cm in length, 28㎝ in width, 15cm in hight, 450g in weight) for 50-60 minutes a day, 3 days a week for 8 weeks in total.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various RPE in step aerobics on the immunologic function (neutrophil, lymphocyte, monocyte, eosinophil, basophil, IgG, IgA, and IgM levels) of overweight female high school students. By using SPSS Ver. 14.0, a repeated two-way ANOVA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s and time period, paired t-test to evaluate data within each group, and pre- and post experiment difference rates (%diff) to perform one-way ANOVA for group comparisons.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As for WBC, within group A, neutrophil, monocyte, basophil, and eosinophil levels increased, while lymphocyte levels remained the same. Within group B, eosinophil levels decreased while neutrophil, lymphocyte, monocyte, and basophil levels showed no differences. Within the control group, neutrophil, basophil, and eosinophil levels decreased while lymphocyte and monocyte levels showed no differences. As for the group comparisons, neutrophil levels increased more in group A than group B and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lymphocyte levels among the three groups. Monocyte levels increased more in group A and B than the control group. Basophil and Eosinophil increased more in group A than group B and the control group. As for immunoglobin, within group A, the IgG level increased but the levels of IgA and IgM did not change. Within group B, the IgA level increased but the level of IgG decreased, and the level of IgM did not change. Within the control group, the IgG level decreased but the levels of IgA and IgM did not change. As for the group comparisons, the level of IgA increased more in group A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level of IgG increased more in group A than group B and the control group, but levels of IgM among the three group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summary, WBC and Ig levels showed that the three groups remained at the reference interval even after the exercise program. However, group A, which performed RPE 15-17 in step aerobics, showed increase in more measured items than the other groups, and this implies that the immunologic function has improved in the range of the reference intervals. Therefore, it will be effective to conduct step aerobics with the RPE 15-17 (hard-very hard) in order to increase the immunologic function.

      • KCI등재

        벨리댄스가 중년여성의 혈액성분, 골밀도, Osteocalcin에 미치는 영향

        고정림(Ko Jeong Rim),이현미(Lee Hyun Mi),전재영(Jeon Jae Young),백영호(Baek Yeong Ho) 한국생명과학회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12

        본 연구에서는 40대 중년여성 16명을 벨리댄스군 8명, 대조군 8명으로 구성하여 후 벨리댄스 그룹은 12주에 걸쳐 주3회 1회 60분 동안 운동을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혈액성분과 골다공증, Osteocalcin을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WBC는 벨리댄스 그룹이 집단간, 집단내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RBC, Hb, PLT은 모든 그룹이 집단내,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했다. 2. 골밀도는 벨리댄스 그룹이 집단간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집단내에서는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3. Osteocalcin은 벨리댄스 그룹내 증가양상은 보였지만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벨리댄스가 WBC와 골밀도에 유익한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로 인하여 중년여성의 건강증진과 골다공증 및 골 관련 질환의 예방을 위해 큰 도움을 줄 것이며, 아직 국내에 벨리댄스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라 향후 장기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ovement program adopted from Bellydance,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Bellydance program on the blood Components and Deoxypyridinoline, Osteocalcin in middle aged women. The Bellydance program was composed of warming-up (10min), main exercise (40min) and cooling-down (10min) parts. The 40 middle-aged women between 40 and 60 year old were divided into two group; the control group (8 women), the Bellydance group (8 women). The Bellydance program was applied three times a 12week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RBC, Hb, WBC, PLT, Osteocalcin was measured in a whole blood. The bellydance group showed WBC was more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control group, but RBC, Hb, PLT were insignificant in other groups. The bellydance group showed Deoxypyridinoline was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control group, but Osteocalcin were insignificant in other groups. Therefore this program can be available in middle aged women.

      • KCI등재

        여성노인의 근력보강운동이 혈청알부민, 백혈구 및 헤모글로빈에 미치는 영향

        조성봉(Cho, Seong-Bong) 한국체육과학회 2013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2 No.4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muscular reinforcement exercise obese woman can affect the serum albumin, WBC, hemoglobin.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is research the research team selected a 65-year-old obese woman residing in Seoul, who has drug-taking, exercise experience.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20 elderly women. Thes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erobic group (10 persons) and muscular reinforcement group (10 persons) and were investigated an effect on the change of serum albumin, WBC, hemoglobin. analyses data by research purpose, it analyzes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by using ANOVA and sets statistical significance to α=.05. The above analysis shows that the muscular reinforcement exercise and aerobic exercise has a positive effect of serum albumin, hemoglobin but WBC. That is to say, muscular reinforcement exercise and aerobic exercise are effective for improved blood.

      • KCI등재후보

        지구성 트레이닝이 과체중 남성의 신체구성 및 염증인자에 미치는 영향

        김은정,김유신,하민성 한국웰니스학회 2012 한국웰니스학회지 Vol.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구성과 비만 남성의 염증 요인에 대한 지구력 훈련의 효과를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일반인 과체중 남성 16명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16명 중 8명 씩 임의 배정하여 신체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p<.05) 통제군(control group)과 실험군(experimental group)으로 분류하였다. 실험 집단은 종단적 실험설계로 3km 달리기가 신체조성 및 염증인자에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알아보는 실험이다. 피험자들에게 부하한 운동은 400m 트랙에서 3km 달리기를 주 5회, 12주간 실시하였고, 통제 집단은 어떤 훈련도 받지 않았다. 대상자들은 알부민 및 호중구 플라즈마 WBC의 농도를 측정하는 사전 및 사후 2번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처리는 통계프로그램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변인별로 기술통계치(M, SD)를 산출하여 도표화하고 운동 참여 전, 12주 후 시기×집단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반복이 있는 이원변량반복분석(two-way repeated ANOVA)을 실시하였다. 검증으로 실험 전·후 각 집단 간의 평균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diff를 산출하여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sample t-test)을 실시하였다.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p<.05 수준으로 설정하였다. 첫째, 신체 구성에 의하면, 무게는 수준 (P<0.01) 사이에 통계적으로 의미를 나타냈지만, BMI는 그룹 간에 통계적으로 의미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룹 (p<0.01) 사이 둘째, 플라즈마 WBC 수준에 따라 통계적으로 의미가 나타났다. 셋째, (p<0.001) 그룹 간에 혈장 알부민 수준에 따라 통계적으로 의미가 나타났다 . 넷째, 플라즈마 호중구 레벨, 레벨 사이에 상당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지구력 훈련 시 긍정적으로 신체 구성 및 염증 성 요인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the effects of endurance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and inflammatory markers in overweight male. For this study, 16 overweight males were recruited as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were randomized divided into two groups, control group(n=8) and experimental group(n=8). Experimental group was trained 3km running program during 12 weeks(5 days per week). However, control group did not undergo any training. Before- and after-examination respectively, took a measurement of body composition and blood samples were took 2 times, which were at pre- and post-experiment,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plasma WBC, albumin and neutrophil. The analyzed data brought about the following results by using two-way repeated ANOVA and %diff independent samples t-test with SPSS 18.0.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body composition, weigh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level(p<.01), but BMI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group. Second, according to plasma WBC level,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group(p<.01). Third, according to plasma albumin level,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group(p<.001). Fourth, according to plasma neutrophil level, no significant between level. From the result, endurance training may positively effects on body composition and inflammatory ma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