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一再VP’, ‘再三VP’, ‘屢次VP’의 공기구문 분석 ― 다중 구별적 공기어휘 분석

        이은경 ( Lee Eun Kyoung ) 한국중국학회 2023 중국학보 Vol.106 No.-

        본고는 코퍼스 기반 ‘다중 구별적 공기어휘 분석의 논리와 절차를 ‘一再VP’, ‘再三VP’, ‘屡次 VP’구문에 적용하였다. 방법론의 소개와 시연을 통해 각 구문과 강한 공기 강도를 가진 공기어휘를 도출하고, 구문 의미를 설명하였으며, 기존 연구의 결과를 검증하고 보완하였다. 방법론에 대해서 공기구문 접근법이라는 큰 배경을 소개하고 구체적으로 적용되는 다중 구별적 공기어휘 분석과 유의성 검정을 통해 공기 강도가 계산되는 논리를 자세히 설명하였다. CCL 현대 한어 코퍼스와 BCC 다영역 코퍼스를 활용하여 다중 구별적 공기어휘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도출된 세 구문의 유의미한 공기어휘로부터 의미 분류를 시도하고 의미를 개괄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는 시각화 그래픽을 도출하여 구문과 공기동사들의 연관성과 함께 구문 내부의 유사성을 탐색하였으며 기존 연구를 분석 결과와 비교하고 재검토하였다. 본고는 이와 같이 공기구문 분석의 공기 강도 정량화를 통해 특정 단어와 특정 문법 구문 사이에 존재하는 의존성을 밝히고, 어휘 또는 구문의 의미에 대해 기존 연구를 넘어서는 사용 기반의 경험적 연구 결과와 심도 있는 이론적, 정성적 평가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구문 의미 연구를 통해 기존의 의미 분석의 다소 주관적이거나 미진한 설명을 재고하고 보완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This paper analyzed the meaning of the constructions ‘Yízài+VP’, ‘Zàisān+VP’, and ‘Lǚcì+VP’ by applying the logic and process of corpus-based ‘Multiple Distinctive Collexeme Analysis’. Specifically,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methodology and demonstration of the procedure, each construction and air and their collexemes with strong collostructional strength were derived and the meaning of the constructions were explained. Regarding the methodology,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Collostructional Analysis approach was introduced, and the logic by which collostructional strength was calculated through multiple distinctive collexeme analysis analysis and significance testing was explained in detail. Using the CCL Modern Chinese corpus and the BCC multi-domain corpus, each construction was extracted exhaustively, significant collexemes of the three constructions were derived, and the semantic classes of the collexemes were attempted to be classified and the meanings of the three constructions were explained. In the analysis results section, we also derive usage-based empirical results on the meaning of constructions through multiple distinctive collexeme analysis, and show that although the existing semantic analysis was somewhat subjective or insufficient, this analysis can reconsider and supplement it. The association or quantification of collostructional strength in multiple distinctive collexeme analysis reveals that there is a certain dependency between a specific word and a specific grammatical constructions, and suggests the possibility of usage-based empirical research results and in-depth theoretical and qualitative evaluation and analysis on the meaning of lexical words or constructions that go beyond existing research.

      • KCI등재후보

        所介VP구조와 所(介)VP구조의 비교 연구 -《史記》를 중심으로-

        이소동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09 泰東古典硏究 Vol.25 No.-

        본고에서는 3가지 所字구문, 즉 ‘所VP’, ‘所介VP’, ‘所(介)VP’구조 가운데, 비교적 연구가 많이 되어 있고 의견의 통일성을 보이는 ‘所VP’구조를 제외한, 나머지 두 개의 구조를 《史記》속에 출현하는 용례를 가지고 집중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史記》를 통해서 고찰한 ‘所介VP’, ‘所(介)VP’의 두 구조는 명사화 한 뒤,지칭하는 어의 성분의 유형에 있어 서로 동일한 면을 띠고 있지만, 두 구조가 지칭하는 어의 성분 별 출현 횟수는 확연히 차이가 난다. ‘所介VP’구조가 지칭하는 성분은 개사의 목적어 성분이다.《史記》에 출현하는 ‘所介VP’구조는 모두 447회이며, 출현하는 개사의 종류로는 ‘以’、‘為’、‘與’、‘從’、‘由’、‘自’의 6종이다.‘所(介)VP’구조는 외형상 ‘所VP’구조와 같지만, 지칭 성분은 동사의 목적어가 아닌 개사의 목적어인데, 단지 개사가 출현하지 않았을 뿐이다. ‘所(介)VP’구조는 ‘所介VP’구조와 마찬가지로 원인, 수단, 방법, 대상, 장소 등을 지칭하지만, 그 중 가장 많이 지칭하는 성분은 장소 성분으로 개사‘於’의 목적어가 된다. 이 점은 ‘所介VP’구조와 확연하게 차이가 나는데, ‘所介VP’구조 중 가장 많이 지칭하는 성분은 원인, 장소이며, 장소를 지칭하는 ‘所於VP’、‘所于VP’구조는 전혀 보이지 않는다. 본고에서는 두 가지 관점에서 이 차이점에 대해 고찰하였다. 첫째는 원래의 진술구에 있던 개사가 변환하는 과정에서 생략된 경우이다. 곽예(郭銳)가 이미 언급하였듯이, ‘개사+NP’의 개사구조가 보어 위치에 있을 때, 변환 과정중 NP는 所字에 의해 대체되어 문두로 도치가 되어 개사가 홀로 문미에 남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고대한어에서 이러한 상황이 용납이 되지 않기 때문에 문미에 홀로 남은 개사는 생략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둘째로 원래 진술문에서 이미 개사가 없는 상태를 所字구조가 변환과정에서 그대로 반영하여 개사가 출현하지 않는 경우이다. 고대한어에서 명사가 개사 없이 단독으로 부사어나 보어가 되어 술어를 수식하는 경우는 명사의 일반적 기능으로 흔히 발생하며, ‘所字’ 구문은 바로 이러한 경우를 반영한 것이다.

      • KCI등재

        汉语“差点儿VP”再探讨

        左思民 한중인문학회 2019 한중인문학연구 Vol.63 No.-

        ‘差点儿VP’는 부정 의미를 나타내는 구문이며 (A) ‘VP접근’ 및 (B) ‘VP 미달’ 두 가지 의미를 포함하는 동시에 전반제약 역할을 하는 (C)의미도 포함하고 있다. (C)는 (B) ‘VP 미달’ 을 강조시키는 의미이다. ‘差点儿VP’의 이성 구문의미는 바로 (A), (B)와 (C)가 합쳐 구성된 것이다. VP의미의 제약에 ‘差点儿VP’가 안타깝다는 의미와 다행이라는 의미를 나타내며 자주 쓰이는 기능이다. ‘差点儿VP’구문에 ‘VP접근’은 ‘VP 미달’을 함의한다는 관점에 따르면 ‘差点儿VP’구문이 ‘VP 미달’을 직접 나타내지 않다. 그러나 ‘差点儿VP’구문에는 ‘VP접근’이 ‘VP 미달’을 함의하더라고 이 구문의 핵심의미가 ‘VP 미달’에 있고 (A)와 (B) 사이의 함축 관계가 아니라는 것은 본고의 주장이다. 요컨대 ‘差点儿VP’의 핵심의미는 ‘VP 미달’이고 ‘VP 접근’이 단지 부차적 의미뿐이며 의미범주제약 역할을 한다. “Chadianr (差点儿, nearly) VP” is a type of the construction with a negative meaning. It includes three kinds of meaning: The meaning of (A), which is “near to VP”, means “it is near to the situation denoted by VP”. The meaning of (B), which is “having not become VP”, means “it has not become the situation denoted by VP”. The meaning of (C) with a restrictive function acting on the whole construction of “Chadianr (差点儿, nearly) VP” is “mainly expressing the meaning of (B), i.e. ‘having not become VP’”. The three meanings have already merged into a rational meaning of the construction of “Chadianr (差点儿, nearly) VP”. Furthermore, under the constraint of the meaning of VP, “Chadianr (差点儿, nearly) VP” can express the meaning of disappointment or luck, which forms a common function of the construction. Someone argued that in the construction of “Chadianr (差点儿, nearly) VP” there is only a relationship of entailment between the meanings of “near to VP” and “having not become VP”. According to this perspective, the construction of “Chadianr (差点儿, nearly) VP” cannot express the meaning of “having not become VP” directly. This paper proves that the above perspective is not the case. The opinion made in this paper is that although the meaning of “having not become VP” which expressed by the construction of “Chadianr (差点儿, nearly) VP” was entailed from the meaning of “near to VP” originally, but the focal point expressed by the construction of “Chadianr (差点儿, nearly) VP” is now the meaning of “having not become VP”, not the relationship of entailment between the meanings of “near to VP” and “having not become VP”. Briefly, the main function of the construction of “Chadianr (差点儿, nearly) VP” is to express the meaning of “having not become VP”, “near to VP” is only the secondary meaning to restrict the scope of the meaning expressed by the construction.

      • KCI등재

        “有VP”结構中“有”的提升助动词特征分析

        진환상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4 인문학연구 Vol.0 No.68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중국어의 ‘有VP’ 구조에서 ‘有’의 인상(raising) 조동사의 성질을 ‘有VP’ 구문의 문법적 특징을 통해 규명하는 것이다. 현대중국어에서 ‘有’ 의 통사적 특징을 보면, ‘有VP’ 구조에서의 ‘有’가 현대중국어 조동사의 분류 기준을 모두 만족하기 때문에 사물의 존재와 소유를 표현하는 ‘有’와는 구별되어야 한다. 또 ‘有VP’ 구조에서 ‘有’의 통사적 특성은 중국어의 인상조동사와 유사한 구문적 특성을 가져, 후속절이 전체 문장의 보충어로 기능하고, 후속절의 주어 구성요소를 강제적으로 문장의 주어로 인상시켜 결국 후속절의 주어가 전체 문장의 주어가 된다. 그리고 인상할 수 있는 주어의 제약을 보면 주어 NP의 의미에 대한 선택 제약이 없어 뒤에 나오는 동사와 결합할 수 있는 모든 NP의 인상을 허용한다. 결론적으로 ‘有VP’ 구조에서 ‘有’의 문법적 기능은 완료상이나 시제 의미를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동사구 VP가 표현한 사건의 존재를 확인하고 판단하는 인상조동사로 봐야 한다. 본 연구는 현대중국어 ‘有VP’에서 ‘有’ 의 문법적 역할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고 ‘有’ 는 조동사로서 모든 기준을 충족하며, ‘有VP’ 구조 내에서 인상 조동사로서의 역할을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mainly analyzes the syntactic features of auxiliary verbs and raising verbs of “有” in “有VP” structure. Judging from the syntactic features of “有”, it satisfies all the criteria for the delimitation of auxiliary verbs in Chinese, and has typical syntactic features of auxiliary verbs, which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有”, which expresses the existence and possession of things. In addition, from the syntactic features of “有”, it is similar to the modal auxiliary verbs in Chinese. It has the syntactic features of raising verbs, followed by a subordinate clause as a complement, and forcibly causes the subject in the subordinate clause to be lifted and shifted to the whole sentence. Subject position, which has no selective restrictions on the semantics of the subject NP, accepts any subject NP that is compatible with the verb that follows it. The grammatical function of “有” in the structure of “有VP” is not to express aspect or tense, but to confirm and judge the existence of the event described by VP.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s the grammatical role of “有” in the “有VP” structure in modern Chinese. The results show that “有” meets the criteria of all auxiliary verbs and acts as a raising auxiliary verb in the “有VP” structure. Through this study, an important contribution has been made to the study of Chinese grammar.

      • KCI등재

        “很难+V/Vp”与“V/Vp+很难” 对比研究

        맹주억,Guo, Xingyan 중국학연구회 2014 中國學硏究 Vol.- No.69

        중국어를 가르칠 때 “很难+V/Vp”가 문법의 난점으로 제기되어 연구되는 사례는 매우 적다. 중국어 교재에서도 여태껏 “很难+V/Vp”를 하나의 문법으로 여겨 해석하지 않았다. 그러나 한국어와 중국어를 가르칠 때, 대부분의 한국학생들이 모국어의 “……하기 어렵다”표현의 영향으로 인해, “……很难”만 사용하고, “很难+V/Vp”의 격식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는 필자로 하여금“很难+V/Vp”격식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게 하였다. 일반적으로 중국어에는 “很难+V/Vp”와“V/Vp+很难” 두 가지 구조가 존재한다. 그러나 언어자료를 수집하고 대비하여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우리는 양자가 통사적, 의미적, 화용적방면에 있어서 각각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很难+V/Vp”은 통사, 의미 상에서 고정된 격식으로 굳어진 양상을 띄며, 종종 하나의 전체적인 것으로 여겨져 사용되어진다. The expression "很难 + V / Vp" is rarely raised as a grammatical difficulty when we teach Chinese. Also, in the textbook, it is seldom explained as a grammatical point. But for Korean Chinese learners, we found that the majority of students would prefer using “……很难” and do not know how to use “很难+V/Vp”, due to the influence of their mother tongue “……하기 어렵다” and "하는 것이/것은", which arouses author’s attention to the format “很难+V/Vp”. We found that both of the structures “很难+V/Vp” and “V/Vp+很难” exist in Chinese .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llected corpus, we found that both the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aspects there is a big difference, we found that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aspects between these two structure. The usage of “很难+V/Vp”presents a trend which is. It seems like being a trend that the structure “很难+V/Vp”is using as a fixed format and is treated as a whole in syntactic and semantic aspects.

      • KCI등재

        VP-neg Questions in Mandarin Chinese

        Shuxiang You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18 언어사실과 관점 Vol.43 No.-

        본고는 표준 중국어 VP-부정의문문의 본질과 VP-부정의문문과 정반의문문의 관계에 대한 고찰이다. 43 명의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고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 있다. 먼저 VP-부정의문문은 반드시 VP-不 의문문과 VP-没/没有 의문문 두 가지 유형으로 세분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이 두 유형은 명확히 구분되는 자질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즉 VP-没/没有 의문문은 정반의문문과 매우 비슷한 성질을 지니고 있는 반면 VP-不 의문문은 그렇지 않다. 이 점을 근거로 본고에서는 두 가지 유형을 구분하기 위한 두 가지 접근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VP-不 의문문은 不가 본래 동사 접두사와 같은 위치에 있다가 C0 자리로 옮겨감으로써 부정어 상승이 이루어지는 것으로부터 만들어진다고 볼 수 있다. 반면 VP-没/没有 의문문은 선행 어구의 생략을 통한 정반의문문으로부터 파생된 것이다. 본고의 이런 주장은 선행 연구들이 VP-부정의문문을 모두 동일선상에서 다루었던 것과는 차별될 뿐만 아니라 경험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일면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所介VP구조와 所(介)VP구조의 비교 연구 -《史記》를 중심으로-

        李昭東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09 泰東古典硏究 Vol.25 No.-

        본고에서는 3가지 所字구문, 즉 ‘所VP’, ‘所介VP’, ‘所(介)VP’구조 가운 데, 비교적 연구가 많이 되어 있고 의견의 통일성을 보이는 ‘所VP’구조를 제외한, 나머지 두 개의 구조를 《史記》속에 출현하는 용례를 가지고 집중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史記》를 통해서 고찰한 ‘所介VP’, ‘所 (介)VP’의 두 구조는 명사화 한 뒤,지칭하는 어의 성분의 유형에 있어 서로 동일한 면을 띠고 있지만, 두 구조가 지칭하는 어의 성분 별 출현 횟수는 확연히 차이가 난다. ‘所介VP’구조가 지칭하는 성분은 개사의 목적어 성분이다.《史記》에 출현하는 ‘所介VP’구조는 모두 447회이며, 출현하는 개사의 종류로는 ‘以’、‘為’、‘與’、‘從’、‘由’、‘自’의 6종이다.‘所(介)VP’구 조는 외형상 ‘所VP’구조와 같지만, 지칭 성분은 동사의 목적어가 아닌 개사의 목적어인데, 단지 개사가 출현하지 않았을 뿐이다. ‘所(介)VP’구조는 ‘所介VP’구조와 마찬가지로 원인, 수단, 방법, 대상, 장소 등을 지칭하지만, 그 중 가장 많이 지칭하는 성분은 장소 성분으로 개사‘於’의 목적어가 된다. 이 점은 ‘所介VP’구조와 확연하게 차이가 나는데, ‘所介VP’구조 중 가장 많이 지칭하는 성분은 원인, 장소이며, 장소를 지칭하는 ‘所於VP’、‘所 于VP’구조는 전혀 보이지 않는다. 본고에서는 두 가지 관점에서 이 차이점에 대해 고찰하였다. 첫째는 원래의 진술구에 있던 개사가 변환하는 과정 에서 생략된 경우이다. 곽예(郭銳)가 이미 언급하였듯이, ‘개사+NP’의 개사구조가 보어 위치에 있을 때, 변환 과정중 NP는 所字에 의해 대체되어 문두로 도치가 되어 개사가 홀로 문미에 남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고대한어에서 이러한 상황이 용납이 되지 않기 때문에 문미에 홀로 남은 개사는 생략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둘째로 원래 진술문에서 이미 개사가 없는 상태를 所字구조가 변환과정에서 그대로 반영하여 개사가 출현하지 않는 경우이다. 고대한어에서 명사가 개사 없이 단독으로 부사어나 보어가 되어 술어를 수식하는 경우는 명사의 일반적 기능으로 흔히 발생하며, ‘所 字’ 구문은 바로 이러한 경우를 반영한 것이다.

      • KCI등재

        Exploring VP/vP Preposing in Multiple Nominative Constructions

        Hee-Don Ahn,Sungeun Cho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2023 語學硏究 Vol.59 No.2

        This study investigates VP/vP preposing within the context of Multiple Nominative Constructions (MNCs). In Korean, a verbal constituent can be moved to the sentence-initial position. However, when an unbound trace is contained within the preposed constituent, it violates the Proper Binding Condition (PBC), rendering the sentence ungrammatical. The PBC effect has non-trivial implications for the structure of VP/vP. This paper investigates VP/vP preposing across diverse categories of MNCs in Korean to illuminate their structural characteristics. MNCs occur in various environments, broadly classified into Major Subject constructions and Nominative Object constructions (Kuno 1973). Previous literature classifies the two types of MNCs into several sub-types. An important question is concerned with the structure of the various MNCs. This paper explores whether previous analyses can adequately explain the (im)possibility of VP/vP preposing within each sub-type of MNCs. We show that the (im)possibility of VP/vP preposing in MNCs results from their unique structure, in combination with the PBC effect and many other syntactic principles.

      • KCI등재

        ‘难免(不)VP’ 구문 연구

        정은 대한중국학회 2016 중국학 Vol.55 No.-

        본 논문은 잉여부정현상 가운데 하나인 ‘难免(不)VP’ 구문을 연구하였다. 통시적 고찰을 통 해 ‘难免’의 문법화 과정을 분석하고, 공시적 관점을 결합하여 형식과 의미의 비대칭 양상을 분류하였으며, 문법화 과정을 이끄는 기제 및 통사 층위에서 의미를 부여할 수 없었던 잉여 성분 ‘不’의 인지, 화용 층위에서 역할을 모색해보았다. 먼저 ‘难免’은 동사에서 부사로 4단계 문법화를 거쳤다. 첫 번째 단계는 ‘难免’이 단독으로 술어로 활용되는 시기로 문법화는 시작 되지 않았다. 두 번째 단계는 체언성 또는 용언성 목적어가 후행하기 시작하면서 통사구조 관계가 술목구조로 변하는 시기이다. 여전히 동사성이 강하게 나타나며, 이때 ‘难免’은 ‘难以 避免, 很难避免’으로 확장 가능하다. 또한 후행하는 성분들은 객관적인 조건하에 추측 가능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세 번째 단계는 부사화가 시작되어 과도기적 단계를 거치는 시기로 용언 성 목적어가 후행하는 빈도가 급증하였다. 술목관계에서 술어로 활용되는 ‘难免’의 통사 위치 는 문법화되기 쉬운 부사어 자리이이며, 또한 후행하는 VP의 의미 변화 등과 더불어 외재하 는 구조형식의 변화로 문법화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이때 ‘难免’은 동사 또는 부사로 볼 수 있었다. 네 번째 단계는 부사화가 성숙되고 완성되는 단계이다. ‘难免’의 두 형태소는 원래의 의미를 소실하고 완전히 결합하여 더 이상 ‘难以避免, 很难避免’으로 확장할 수 없었다. 또한 재분석과 화용강화를 통해 잉여성분을 포함한 부정형식 ‘难免不VP’가 나타나고, ‘难免’은 완 전히 부사화 되었다. 문법화가 완성된 후 ‘难免(不)VP’ 구문은 후행성분 VP와의 통사, 의미관 계 속에서 긍정형식 또는 부정형식으로만 활용 가능한 경우와 긍정형식과 부정형식이 의미상 차별이 모호해지는 3가지 비대칭 양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难免VP’ 구문과 잉여부정 ‘难免不 VP’ 구문은 전경과 배경의 역전 현상을 통해 ‘难免VP’ 구문은 VP의 발생은 피할 수 없다는 것이 전경이 되어 VP를 지향하고, ‘难免不VP’ 구문은 VP의 발생을 희망하지 않는 화자의 심 리 상태가 전경이 되어 ‘不VP’를 지향함을 알 수 있었다. 객관적으로 동일한 사태(VP)를 주 관적으로 해석해낸 것이다. 따라서 ‘难免(不)VP’ 구문은 개념화자의 인지적 경향성과 인지적 전략에 따라 전경과 배경의 시점이 역전되는 현상을 기저로 통시적 문법화 과정에서 재분석 으로 나타나는 것이며, 또한 ‘不’를 통해 화자가 보다 적극적이고 의도적으로 주관적 의미를 부여하고, 무표 형식인 ‘难免VP’ 구문에 대립되는 유표 형식인 ‘难免不VP’ 구문을 통해 주관 화가 실현된 표현으로 ‘不’는 주관화의 표지로 이해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nanmian(bu)VP’ construction, one of the redundancy negation phenomena. This study analyzed the grammaticalization of ‘nanmian’ through a diachronic consideration, classified the asymmetrical aspects of forms and meanings by combining synchronic perspectives, and finally sought the roles of ‘bu’ in the cognitive and pragmatic level as the meaning of ‘bu’ is not granted as a surplus component on the mechanism and syntax level that leads the grammaticalization. To begin with, ‘nanmian’ changes from an adverb to a verb through 4-stage grammaticalization. The first stage indicates a period when ‘nanmian’ is solely used as a predicate. The second stage is a period when its syntax structure changes into a predicate-object structure, while starting to accept substantive or predicate objects. The third stage is when the grammaticalization starts, and the number of its accepting predicate objects is rapidly increasing. Being used as a predicate in the predicate-object relation, the syntactic position of ‘nanmian’ is the place of adverb where is easy to be grammaticalized, further providing a foundation of grammaticalization through external changes in the structure type, such as changes in the meaning of VP following. The last stage is a period when ‘nanmian’ has completely changed into an adverb through reanalyses and pragmatic reinforcement. After the grammaticalization, this study found out that ‘nanmian(bu)VP’ constructions have three different asymmetrical aspects; they are used as a positive type and a negative type in the syntactic and semantic relations with the following component, VP, and their semantic differences become ambiguous between the positive and negative types. Besides, it was found that through the phenomenon of reversing grounds and backgrounds, the fact that the ‘nanmianVP’ construction cannot avoid the occurrence of VP becomes a ground, further orienting VP. On the other hand, the surplus negation ‘nanmianbuVP’ constructions orient ‘buVP’ by subjectively interpreting the objectively same situations as the psychological state of a speaker who does not want the occurrence of VP becomes a ground. Accordingly, the ‘nanmian(bu)VP’ construction appears as a reanalysis through diachronic grammaticalization, based on the phenomenon of reversing grounds with backgrounds by the cognitive tendency and strategy of a conceptual speaker. Besides, through ‘bu’, speakers are able to actively and intentionally give subjective meanings, and through the ‘nanmianbuVP’ construction in a mark type against the ‘nanmianbuVP’ construction in a non-mark type, the subjectivization is realized.

      • KCI등재

        VP-fronting, VP-ellipsis, VP-anaphora and Phases

        김선웅 한국영어학회 2015 영어학 Vol.15 No.3

        Sun-Woong Kim. 2015. VP-fronting, VP-ellipsis, VP-anaphora and Phases. Korean Journal of English Language and Linguistics 15-3, 423-442. This paper discusses Johnson’s (2001) claim that VP-ellipsis and VP-fronting (or VP-topicalization) are basically parallel. This paper observes that they are not as parallel as Johnson claims, and argues that they show different distributional properties. In addition, this study tries to explain why VP-ellipsis is more widely allowed than VP-fronting. For these purposes, this paper bases its theoretical apparatus on the notion of phase and its non-rigid definitions (den Dikken 2007 and Bošković 2014 among others). The observed non-parallelism between VP-ellipsis and VP-fronting is shown to follow by non-rigidly defining phases with respect to ellipsis and movement. It is eventually concluded that movement is more restricted than ellipsis in that the former is governed by locality in terms of the Intervention Effect and the PIC while the latter is no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