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Usability Testing and Analysis Framework for the Physical Interface Between Product and User

        Wonsup Lee,Kihyo Jung,Hyunju Lee,Hwagyu Song,Jangkeun Oh,Heecheon You 대한인간공학회 2011 大韓人間工學會誌 Vol.30 No.2

        Objective: The present study developed a comprehensive usability testing and analysis framework based on a physical interface model of product and user and applied the proposed framework to usability testing of canister-type vacuum cleaner. Background: The development of a user-centered product design is important to satisfy customers who want to use the product with ease of use and to keep the manufacturer competitive in the market. Method: The proposed testing and analysis framework consists of (1) characterization of physical product-user interface, (2) preparation and administration of usability testing questionnaire, and (3)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usability testing results. A usability evaluation of five vacuum cleaners was planned and administered based on the proposed framework and its analysis produced detailed and overall usability testing results for various aspects such as tasks, usability criteria, and design components. Results: The testing results were further utilized to identify usability problems and preferred design features of the vacuum cleaners. Conclusion: The proposed usability testing and analysis framework was found effective to identify preferred features and problems of a product design in a systematic, holistic manner. Application: The proposed framework can be of effective use for practitioners of product design and development to obtain comprehensive, quantitative usability testing information in a systematic manner.

      • KCI등재

        항해장비 표준화모드 지침 개발을 위한 사용자 선호도 조사에 관한 연구

        안영중,전계정,정재훈,강남선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42 No.6

        Navigational equipment standardization mode is a function which is used to standardize key functions, screen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of major navigation equipment. This is aimed towards to quickly and accurately checking information relevant for safe navigation. Currently,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s working on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the application of navigational equipment in the standardized mode to the task of NCSR Sub-Committe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users’ opinions and preferences in the application of standardization modes and to reflect them in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In addition, the test program was designed to investigate user preferences for ECDIS among the navigational equipment, such as the types of information and functions that are necessary or preferentially required to perform navigational duties, and the screen configuration. In the study, 333 preference surveys were conducted in 35 countries using a web - based test program. ECDIS users confirmed the content and screen layout of their preferred ECDIS information when conducting navigation du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ignificant as the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guidelines by presenting user requirements to be considered in the standardization mode.te to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guidelines by presenting user requirements to be considered in the standardization mode. 항해장비 표준화 모드는 안전항해에 필요한 정보들을 신속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하여 주요 항해장비의 핵심기능과 화면표시, 작동법등을 표준화하는 기능이다. 국제해사기구는 표준화 모드의 항해장비 적용을 위한 지침 개발을 항해통신수색구조위원회의 과업으로 배정하여 진행 중에 있다. 본 연구는 표준화 모드 적용에 대한 실제 사용자들의 의견과 선호도를 조사하여 지침 개발에 반영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항해장비 중 ECDIS를 대상으로, 항해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수적 또는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정보 및 기능의 종류, 화면 구성, 메뉴트리의 사용자 선호도 조사를 위한 테스트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웹 기반의 테스트 프로그램을 통해 35개국 333명의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ECDIS 사용자들이 항해당직 수행 시 선호하는 다양한 ECDIS 정보의 내용과 화면배치들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표준화 모드에 고려할 사용자 요구 사항을 제시하여, 실효성 있는 지침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실시간 교통안전 경고정보 제공을 위한 이용자 선호도 분석 연구

        송태진,오철,오주택 대한교통학회 2009 대한교통학회지 Vol.27 No.4

        실시간 경고정보제공은 운전자의 안전과 직결되는 중요한 정보라 할 수 있다. 적절한 실시간 경고정보는 교통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지만 잘못된 정보제공이나 부적절한 양의 정보는 운전자에게 혼란을 주어 오히려 교통안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실시간 경고정보제공은 교통사고 감소에 있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운전자에게 안전운전을 유도할 수 있는 경고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가변전광표지와 같은 인프라를 이용한 경우와 차내 단말기를 이용한 경우를 대상으로 경고정보 컨텐츠를 개발하고 이용자 선호도를 조사․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인프라기반을 이용한 경고정보에서는 VMS를 이용하여 위험구간에 대한 상황과 위험상황 회피를 위한 속도제한정보를 2개의 정보현시로 표출해 주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차내단말기를 이용한 경고정보에서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하여 위험구간을 지도에 표출하며 속도제한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것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이용자 선호도를 고려하여 향후 효율적인 실시간 경고정보 설계를 하기 위한 유용한 정보로 활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Provision of advanced warning information is one of the useful countermeasures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Analysis of user’s preference for any information contents would be a backbone in designing more effective warning information systems. This study aimed at deriving more comprehensive and valuable warning information that leads to user’s safer driving by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In total, 258 people including various age groups and driving experiences participated in the survey. Preferable warning information contents were identified by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would be useful data for providing warning information to drivers.

      • KCI등재

        Portable Variable Message Signs(PVMS)를 이용한 교통안전 경고정보 메시지 이용자 선호도 분석

        박재홍,오철,송태진,오주택 대한교통학회 2009 大韓交通學會誌 Vol.27 No.5

        Variable message signs (VMS) are a useful tool for providing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to drivers. In particular, effective warning information provision leading to safer driving would be an important countermeasure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users’ preferences for traffic safety warning information formats. A variety of warning information scenarios using text and pictograms were devised and investigated for the purpose of selecting more effective methods to provide warning information. A portable variable message sign (PVMS) was used to evaluate users’ prefer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designing better warning information for the enhancement of traffic safety. VMS(Variable Message Signs)는 도로를 주행하는 불특정 다수의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수단으로써 널리 보급되어 있다. VMS를 통해 제공되는 메시지는 운전자에게 교통운영 및 교통제어의 기능을 수행하며, 경고정보 메시지는 교통사고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개별차량의 속도와 운전자의 주행경로 선정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VMS를 통한 정보제공 방안 중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경고정보 메시지 설계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경고정보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 할 수 있는 메시지 설계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특정지점에 이동하여 설치‧운영할 수 있는 PVMS(Portable Variable Message Signs)를 이용한 실험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을 1·2차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1차 실험은 TEXT 표출방법, ‘픽토그램 또는 기호’ 표출 방법, TEXT와 ‘픽토그램 또는 기호’의 조합을 통한 표출방법으로 구분하여 이용자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2차 실험은 1차 실험(이용자 선호도 조사)의 결과를 조합하여 PVMS 메시지를 설계 후 실제 주행환경에 적용하여 1차 실험 결과의 현장 적용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정보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