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천시 인구·고용분산화와 도시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구정현(Koo Jeong Hyun) 한국지역개발학회 2013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5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opulation and employment decentralization and the urban spatial structure of Incheon, focusing on the land use LQ by administrative diistrict 'Dong'. This study will help to suggest urban policy alternatives for inducing desirable urban spatial structure of Incheon. For this purpose, firstly the process of population and employment decentralization is analyzed through population and employment density distribution by Dong. Second, the land use LQ by Dong is calculated, using the land uses from building management registration, which are categorized into urban uses and non-urban uses. Third, The influence of the population and employment decentralization to the urban spatial structure of Incheon by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population and employment decentralization is highly correlated process. Secondly. population service industry employment influence land use LQ in the opposite directions. Thirdly, sales and residential are the most prominent land uses in the process of population and employment decentralization and the change of the urban spatial structure of Incheon

      • KCI등재

        광역도시권의 스프롤 변화 양상: 광역도시권의 설정과 밀도 기반의 인구 및 고용 스프롤 측정을 중심으로

        류나영,신정엽 한국지리학회 2020 한국지리학회지 Vol.9 No.2

        This paper aims to delimitate the metropolitan regions (MRs) based on interregional functional linkages and to investigate temporal change of urban sprawl in those regions. The five MRs (Seoul MR, Busan MR, Daegu MR, Gwangju MR, and Daejeon MR) delimitated have the sprawl index of population and employment calculated, respectively. The result shows that both population and employment have sprawled out in all the MRs since 2000. Population sprawl is more active than employment sprawl, and population size of each MR tends to have an inverse relationship with sprawl level. Especially population sprawl is proceeded with relatively rapid speed in Seoul MR. Future research needs to measure urban sprawl based on multidimensional aspects in the subregions of MRs.

      • KCI등재

        도시개발에 따른 인구 및 고용변화 추정

        박헌수 ( Heon Soo Park )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08 不動産學硏究 Vol.14 No.2

        This paper explores determinations of population and employment changes by using simultaneous spatial econometric models. The results suggest that simultaneity introduced from spatial dependence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at due to traditional sources of endogeneity, and this difference can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properties of estimators. By using economic, demographic, transportation accessibility, and urban amenity data of 230 cities, I estimate the simultaneous spatial econometric models of population and employment changes and analyze the impacts of major urban development plans in Pyeongtak city on its population and employment changes in the future.

      • KCI등재

        지하철 확장이 도시 인구와 고용 분포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지영,구유,전명진 한국콘텐츠학회 202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4 No.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 urban subway expansion's effects on population and employment distribu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MA). The study employed generalized spatial two-stage least square (GS2SLS) models for analyzing the subway catchment area's (SCA) role in determining residential and firm locations by dividing subway stations opened before (existing stations) and after 2000 (new stations), while considering endogeneity and spatial dependence of data.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existing and new SCAs played different roles in the population and employment distribution. New stations contributed to population suburbanization, while existing stations attracted jobs to the central city, thus worsening jobs-housing imbalance. In other words, new subway stations had a strong centrifugal force dispersing the population to the suburbs, while existing subway stations had a strong centripetal force causing concentration of employment in the central city. This imbalance increased subway commuting times during the 2000-2015 period.

      • KCI등재후보

        도시재난과 도시성장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종국 한국재난정보학회 2017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3 No.2

        We analyzed the effect of urban disaster on urban growth in 82 cities in Korea.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violent crime has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income growth, and other theft crime and violent crimes have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anticipated crime. Disaster accidents and incidents do not have a direct effect on employment and population growth, and are the result of rejecting hypotheses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Finally, although the three indicators representing urban growth, that is, income, employment, and population,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statistical data basically, they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planatory power even though they use the same explanatory variables. This result suggests a new research task in addition to suggesting the use of the three indicators. 우리나라 82개 도시를 대상으로 도시재난이 도시성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강력범죄는 소득성장에 정(+)의 관계를 보이는 것이 특이하며 그 외 절도범죄와 폭력범죄는 기대와 같이 부(-)의 관계로 일반적으로 범죄가 많은 도시에서는 경제활동을 위축시켜 투자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재난사고와 발생은 고용성장과 직접적인 영향관계를 가지 않은 것으로 기존의 선행연구 등에서 제시하는 가설을 기각하는 결과이다. 도시 내의 재난사고와 범죄발생은 인구성장과는 직접적인 영향관계를 가지지 않은 것으로 기존의 선행연구 등에서 제시하는 가설을 기각하였다. 끝으로 도시성장을 대표하는 세 가지 지표 즉 소득, 고용, 인구가 기본적으로 통계자료의 특성 차이가 있지만 같은 설명변수를 활용하여 추정하였음에도 큰 설명력 차이를 보이는 것은 이 세 지표의 활용에 유의점을 제시함과 더불어 새로운 연구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The Linkage between Employment and Population Movements in the Decentralisation Process

        Ma, Kang-Raea 韓國地域開發學會 2008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0 No.4

        고용의 공간적 재배치는 인구의 공간적 이동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국내외 주요도시들에서 직장지와 주거지를 잇는 통근통행의 소요시간이 수년 혹은 수십 년간 그다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는 사실은 공간구조의 분산화 및 교외화 과정 속에서 인구와 고용이 긴밀한 연관관계 하에 재배치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인구주택총조사 2%표본의 네시점자료(1990, 1995, 2000, & 2005)를 이용하여 수도권에서 고용과 인구의 분산화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인구와 고용의 재배치 속에서 나타나는 역동적 인과 관계성에 대해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고전적 단일중심모형을 인구와 고용으로 나누어 추정하여 공간구조 분산화의 대략적 패턴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였다. 두 번째로 인구와 고용의 인과관계성을 확인하기 위해 그랜져 인과관계 검정(Granger Causality Test)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과거 15년간의 수도권은 해외의 거대 도시들이 보여왔던 것처럼 괄목할 만한 인구고용의 분산화가 진행되어 왔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인구의 교외화가 고용의 교외화를 주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도권의 직장과 인구의 분산화에 관한 현상적 이해를 도모한 본 논문의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상에 관한 맥락적 해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The Linkage between Employment and Population Movements in the Decentralisation Process

        Ma, Kang-Rae(마강래) 한국지역개발학회 2008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0 No.4

        고용의 공간적 재배치는 인구의 공간적 이동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국내외 주요도시들에서 직장지와 주거지를 잇는 통근통행의 소요시간이 수년 혹은 수십 년간 그다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는 사실은 공간구조의 분산화 및 교외화 과정 속에서 인구와 고용이 긴밀한 연관관계 하에 재배치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인구주택총조사 2%표본의 네시점자료(1990, 1995, 2000, & 2005)를 이용하여 수도권에서 고용과 인구의 분산화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인구와 고용의 재배치 속에서 나타나는 역동적 인과 관계성에 대해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고전적 단일중심모형을 인구와 고용으로 나누어 추정하여 공간구조 분산화의 대략적 패턴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였다. 두 번째로 인구와 고용의 인과관계성을 확인하기 위해 그랜져 인과관계 검정(Granger Causality Test)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과거 15년간의 수도권은 해외의 거대 도시들이 보여왔던 것처럼 괄목할 만한 인구고용의 분산화가 진행되어 왔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인구의 교외화를 주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도권의 직장과 인구의 분산화에 관한 현상적 이해를 도모한 본 논문의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상에 관한 맥락적 해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도시재난과 도시성장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Jonggook Seo 한국재난정보학회 2017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3 No.2

        우리나라 82개 도시를 대상으로 도시재난이 도시성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강력범죄는 소득성장에 정(+)의 관계를 보이는 것이 특이하며 그 외 절도범죄와 폭력범죄는 기대와 같이 부(-)의 관계로 일반적으로 범죄가 많은 도시에서는 경제활동을 위축시켜 투자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재난사고와 발생은 고용성장과 직접적인 영향관계를 가지 않은 것으로 기존의 선행연구 등에서 제시하는 가설을 기각하는 결과이다. 도시 내의 재난사고와 범죄발생은 인구성장과는 직접적인 영향관계를 가지지 않은 것으로 기존의 선행연구 등에서 제시하는 가설을 기각하였다. 끝으로 도시성장을 대표하는 세 가지 지표 즉 소득, 고용, 인구가 기본적으로 통계자료의 특성 차이가 있지만 같은 설명변수를 활용하여 추정하였음에도 큰 설명력 차이를 보이는 것은 이 세 지표의 활용에 유의점을 제시함과 더불어 새로운 연구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We analyzed the effect of urban disaster on urban growth in 82 cities in Korea.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violent crime has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income growth, and other theft crime and violent crimes have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anticipated crime. Disaster accidents and incidents do not have a direct effect on employment and population growth, and are the result of rejecting hypotheses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Finally, although the three indicators representing urban growth, that is, income, employment, and population,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statistical data basically, they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planatory power even though they use the same explanatory variables. This result suggests a new research task in addition to suggesting the use of the three indicators.

      • KCI등재

        The Linkage between Employment and Population Movements in the Decentralisation Process

        마강래 한국지역개발학회 2008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0 No.4

        고용의 공간적 재배치는 인구의 공간적 이동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국내외 주요도시들에서 직장지와 주거지를 잇는 통근통행의 소요시간이 수년 혹은 수십 년간 그다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는 사실은 공간구조의 분산화 및 교외화 과정 속에서 인구와 고용이 긴밀한 연관관계 하에 재배치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인구주택총조사 2%표본의 네시점자료(1990, 1995, 2000, & 2005)를 이용하여 수도권에서 고용과 인구의 분산화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인구와 고용의 재배치 속에서 나타나는 역동적 인과 관계성에 대해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고전적 단일중심모형을 인구와 고용으로 나누어 추정하여 공간구조 분산화의 대략적 패턴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였다. 두 번째로 인구와 고용의 인과관계성을 확인하기 위해 그랜져 인과관계 검정(Granger Causality Test)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과거 15년간의 수도권은 해외의 거대 도시들이 보여왔던 것처럼 괄목할 만한 인구고용의 분산화가 진행되어 왔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인구의 교외화가 고용의 교외화를 주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도권의 직장과 인구의 분산화에 관한 현상적 이해를 도모한 본 논문의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상에 관한 맥락적 해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