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중 전략적 경쟁시기 양안관계: 수렴과 확산의 이중성

        이상만 중국지역학회 2019 중국지역연구 Vol.6 No.2

        The full-fledged US-China trade war that began in 2018 has led to several pieces of evidence that suggest the bilateral relationship that, up until now, was based on both competition and cooperation, has now entered a phase where strategic competition is its defining characteristic. The recent US-China relationship is complicated because it involves a global hegemony competition China's that has followed rise. The relationship is one that involves the structure of international politics and time will be required to resolve the issues that the relationship faces. There is an imperative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through a perspective of confrontation that is centered on the core interests of both sides. Cross-strait relations issue are very important hotspots that may be the site of real clashes between the Chinese and the Americans. The basic issues and contradictions inherent to the current Sino-American relationship include the following: 1) from a political and diplomatic perspective, the issues of travel to Taiwan, National Defense Authorization Act and Taiwan Assurance Act issue; 2) from a military perspective, the blockading of China by the US through its Indo-Pacific strategy and freedom of navigation strategy in the South China Sea; and, 3)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the Belt and Road policy and the trade war between China and the US to dominate advanced fields of technology. Of course, while the two countries are clashing due to the contradictions that have emerged from these basic issues, China and the US are still coexisting under the framework of competition and cooperation, in contrast to the confrontational relationship that existed between the US and the Soviet Union during the Cold War. This means that the US-China relationship is not a zero-sum game and that there is space for the two countries to cooperate across many different spheres. China's From perspective, the aim is to complete unification of the country. Chinese leaders believe that the goal is peaceful unification and desire avoiding people unification by force, yet focus on the feelings of the and believe that the barrier to unification is the US. The Taiwan issue is a very big card that countrys the US can play to put China in line. The issue involves both interests carrier and neither can abandon it. Taiwan is like an unsinkable aircraft to the mainland. US, and, to China, territory that must be reunified with the Both the US and China cannot back down on the issue. In short, there are four phenomena that will not change in regards to US and Chinese involvement in Taiwan. As a result, as long as the US and Taiwan maintain their current policies, China will be forced to maintain a hardline response toward them. 2018년 본격화된 미중 간 무역전쟁을 기점으로 경쟁과 협력이 병존하던 양국관계가 전략적 경쟁이 주가 되는 시기에 접어들었다. 최근 미중관계는 중국의 부상에 따른 글로벌 레벨의 패권경쟁의 문제이기 때문에 1) 복합적 성격을 가지고 있고, 2) 국제정치에서 구조적인 문제이고, 3) 문제를 해결할 시간이 필요하며, 4) 쌍방이 핵심이익을 두고 대치적인 관점에서 현 상황을 분석해야 한다. 특히 양안관계는 미.중관계에서 실제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핫스팟(hot spot)에 해당한다. 현재 미중관계의 모순은 첫째는 정치외교적으로 대만여행법과 국방수권법과 대만보증법 문제이고, 둘째는 군사적 측면에서 인도-태평양전략과 남중국해 항행의 자유전략을 통해 중국을 봉쇄하는 것이며, 셋째는 경제적 측면에서 일대일로 정책과 첨단기술분야의 패권 장악을 위해미.중간의 무역전쟁이다. 물론 미.중간에 이러한 근본적인 문제에서 모순이 발생하여 충돌을 하고 있지만 여전히 냉전시대의 미.소대결 양상과는 달리 경쟁과 협력이 병존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미중간 제로썸 게임은 아니고 다방면에서 협력할 수 있는 공간은 확보되어 있다중국입장에서 대만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은 목표는 평화통일이고, 무력통일은 억제되어야 하며, 관건은 민심이며, 장애는 미국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대만문제는 미국이 중국을 적절히 통제하는데 아주 유용한 빅 카드이기에 미.중이 모두 포기할 수 없는 중대한 국익이 걸린 핵심사안이다. 그래서 미국과 대만이 현재의 정책 방향을 변경하지 않는 한 중국은 강경 대응 기조를 유지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미국의 대중국 견제 구도와 파급영향

        정인교,유정호,박슬기,위민 한국무역상무학회 2019 貿易商務硏究 Vol.81 No.-

        본 논문은 미중 통상마찰이 당사국간 문제로 그치지 않고 우리나라 수출에 심각한 영향을 초래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미중은 우리나라의 최대 교역상대국이고, 우리 기업들의 투자가 가장 많은 국가이며 긴밀한 가치사슬(VC)을 형성한 지역이다. 미중 갈등으로 인한 틈새시장을 예상할 수 있지만, 현재의 국제무역질서가 훼손되면 무역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가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본 논문은 스페셜 301조, 무역확대법 232조와 비시장경제국가 규정을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국 압박 전략차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동태일반균형모형(Dynamic CGE)을 이용하여 미중 통상갈등이 세계(한국) 수출입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며 우리나라의 대응방안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US' Approach for Pressing China's Economic System Reform and its Effects on World Trad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the US-China trade friction can not only be a problem between the parties, but can also have a serious impact on Korea 's exports. The US and China are the largest trading partners of Korea, the region with the largest investment of our corporations, and the region that formed a close value chain (VC). It is possible to predict a niche market due to the US-China conflict, but if the current international trade order is damaged, the Korean economy, which is highly dependent on trade, will suffer. In Chapter II of this paper, we examine the trends of US trade conflicts with China. In Chapter III, we analyze Special 301 and Trade Expansion Act 232 and the regulation of non-market economy in terms of Trump administration's pressing strategy against China. We then estimate the effects of US-China trade conflict on world trade by using a dynamic CGE model and try to find implications for companies in the era of US-China conflict.

      • KCI등재

        투키디데스 트랩: 갈등과 협력의 가능성

        박봉규 한국보훈학회 2022 한국보훈논총 Vol.21 No.4

        The conflict between the US and China is emerging in the wake of the war in Ukraine. Conflict or cooperation between the two major countries, comparable to the G-2,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uture world order, but the current deepening conflict can lead to conflict. After Trump, Biden continues to take an offensive policy against China, and China is also taking a confrontational stance rather than a defensive stance or cooperation. If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neglected, there is a possibility of falling into the trap of Thucydides. From our point of view, the US-China relationship will have a considerable impact on the Korean Peninsula, so it is very important to prevent conflict and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operation. So far, studies on the US-China conflict have remained in a passive position to prevent the deepening of the conflict and seek peace. Since the Korean Peninsula issue is international and, above all, closely related to the US-China relationship, it can be said that research on the possibility of harmony and coopera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is more important in resolving pending issues such as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opera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overcoming the Thucydides trap, focusing on the Security Dilemma and Prisoner's Dilemma games. 우크라이나 전쟁을 통해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G-2로 비견되는 두 주요 국가의 갈등 혹은 협력은 앞으로의 세계질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나 현재같은 갈등의 심화는 충돌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트럼프 이후 바이든은 지속적으로 중국에 대해 공세적 정책을 취하고 있으며 중국 역시 수세적 입장이나 협력보다는 대립의 자세를 취하고 있다. 양국의 갈등이 방치된다면 투키디데스의 트랩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우리의 입장에서 미중관계는 한반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므로 갈등을 방지하고 협력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지금까지 미중 갈등에 대한 연구는 갈등의 심화를 막고 평화를 모색하는 소극적인 입장에 머무르고 있다. 한반도 문제가 국제적이고 무엇보다도 미중관계와 밀접하므로 북핵 등 현안 해결에는 미국과 중국이 같이 화합하고 협력할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안보 딜레마와 죄수 딜레마 게임을 중심으로 미국과 중국이 투키디데스 트랩을 극복하고 협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 KCI등재

        강대국정치(Power politics)와 미중갈등 : 한반도 문제의 연계성

        박인휘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20 국가안보와 전략 Vol.20 No.4

        Since the beginning of the modern international relations ‘power politics’ has centered on international system, and the current power politics means US-China conflict. Even though it is quite hard to cleary identify when the current US-China conflict had begun, it is said that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was a critical moment in terms of the conflict. Because US-China conflict has experienced a certain type of phased developments including ‘even-driven competition’, ‘system-driven competition,’ and the current ‘global standard-driven competition,’ and the Chinese-led system such as BRI, AIIB, SCO, NDB after 2008 have shown a very complicated structure of the two countries’ competition. US-China conflict faces a serious debate whether its scope reaches to the whole global subjects or not. In the meantime substantial group of scholars insist that it is only significant in terms of the East Asian region, in particular some strategic places such as the Korean Peninsula. Since the North Korean regime justifies its nuclear development for its survival, US-China conflict on the peninsula is more complicated one. The North’s survival strategy by nuclear development associates the continuing engagement of the U.S. and China to the security issues of the Korean Peninsula. It is assumed that the North believes as long as US and China stay in the peninsula, the strategic circumstance for survival is beneficiary to North Korea. Finally to avoid the ‘nuclear problem reductionism’ all the players including South, North, US, and China need to recognize the imporatance of diplomatic approaches to handle with the nuclear problem. 근대국제질서의 가장 큰 특징은 ‘강대국정치’의 중요성이고, 현 시점에서의 강대국정치는 미중갈등이다. 현재와 같은 미중갈등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를 정확하게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2008년을 전후로 한 글로벌 금융위기는 중요한 분기점이 되었다. 왜냐하면 미중갈등은 일정한 단계적 변화를 보이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는데, 2008년 이후 중국은 과거 미국을 상대로 전개하던 ‘사건 중심적인 대결’에서 벗어나 ‘일대일로’ 등을 내세워‘제도중심적인 대결’로 전환했고, 이러한 대결은 무역, 국제금융, 국제안보등의 영역에서 국제공공재를 누가 제공하느냐의 문제이므로, 매우 치열한경쟁국면을 의미하게 되었다. 미중갈등이 글로벌 차원에서는 논쟁적 여지가 있지만,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매우 구체적인 현실인 까닭에 한반도는 동아시아 미중갈등의 한 가운데에 위치한다. 북한 스스로 핵개발 논리를 ‘생존을 위한 정당성’에 두고있는 까닭에, 한반도에서의 미중경쟁은 더욱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1990년대 이후 남북한 사이의 국력 격차가 심각한 수준으로 확대되면서, 핵개발을 통한 북한의 생존전략은 미국과 중국이라는 초강대국을 한반도 안보에 지속적으로 개입시키게 만드는 효과를 유발했고, 북한은 한반도게임이 강대국정치와 결합하는 상황이 어떤 형태로든 북한에게 유리한 국면을 제공한다고 판단했을 것이다. 한반도 평화정착 과정에서 한반도 안보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모든 노력이 ‘핵문제 환원론’ 즉, 북한 비핵화가 선행하지 않고서는 어떤 논의도 불가하다는 ‘환원론’에 빠지는 우를 범하지않도록 국내외적 모든 관여자들의 인식론적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 KCI등재

        Navigating Geopolitical Change in Northeast Asia: A Realist Approach to Analyze the Matrix Scenario of US‐China Conflict and US–North Korea Relations

        민경태 인하대학교 국제관계연구소 2023 Pacific Focus Vol.38 No.3

        This article examines the intricate dynamics of US‐China and US–North Korea relations, focusing on the strategic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Drawing upon the realist theories of Kissinger and Mearsheimer, the study delves into how various intensities of US‐China conflict might influence North Korea's strategic value and the prospects for improved US–North Korea relations. The research underscores that escalating US‐China competition could reshape the geopolitical landscape in Northeast Asia, paving the way for new strategic alignments and partnerships. Four distinct scenarios are presented, each reflecting a different intensity of US‐China conflict and the ensuing reactions from both North Korea and the USA. The analysis suggests that the most probable scenario entails an intensifying US‐China rivalry, which correspondingly elevates North Korea's strategic significance. Such a turn of events would necessitate a shift in US strategy – from isolating North Korea to forging more favorable geopolitical conditions. Potential strategies might include reducing North Korea's reliance on China, disrupting the alignment between China, Russia, and North Korea, or even contemplating the integration of Pyongyang into the US security framework. These strategic adjustments could reshape the power dynamics and address regional challenges in Northeast Asia, promoting peace and stability and safeguarding the nation's core interests.

      • KCI등재

        화웨이(Huawei) 제재를 통해 본 미․중 무역분쟁에 대한 유럽연합(EU)의 대응책과 시사점

        김태황,강유덕 서강대학교 유로메나연구소 2020 통합유럽연구 Vol.11 No.3

        This study examines how the EU's trade policy responds to the US-China trade conflict and focus on the case of Huawei. It aims to examine the EU's response to the U.S.-China trade conflict in its trade policy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Korea. To this end, this study reviews EU’s trade policy with China and examines the case of Huawei, which has emerged as a source of conflict between the advanced economies, including US and the EU, and China. The EU takes a compromising position on China, defining it as a cooperation partner, a negotiating partner, an economic competitor and a systemic rival promoting alternative models of governance. The EU is exercising strategic autonomy in response to the trade dispute between the US and China in the Huawei case. The EU is proposing measures to mitigate the risk of 5G network security so that member states can respond indirectly to Huawei sanctions. The EU is utilizing strategic and flexible countermeasures by implementing strategic measures as well as technical ones. Korea will be able to respond flexibly to the uncertainty of US-China trade disputes by taking advantage of the EU's policy implications for systematic time gain and strategic autonomy, and expanding the infrastructure for trade policy.

      • KCI등재

        미중 간의 갈등과 협력: 현실주의 이론을 중심으로

        이상윤 ( Sang Youn Lee ) 한국비교경제학회 2023 비교경제연구 Vol.30 No.1

        이 연구는 미중 간 관계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국제정치학 이론 중 자유주의와 현실주의에 대해 고찰하였다. 미중 간 갈등은 점진적인 군사적 분야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군사적 분야보다는 경제적 또는 사회적 분야에서 이루어 질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현실주의자 들은 중국이 동아시아에서 주도적 지위를 가진 미국을 대체하고 미국과 미국의 우방 들 간의 관계를 바꾸며 시장과 천연자원에 대한 미국의 접근을 막고자 할 것이라고 본다. 자유주의자 들은 경제적 종속(economic interdependence)과‘공격(aggression)’의 잠재적 비용은 중국의 대외정책에 있어 억제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본다. 미중 양국이 전쟁을 수행한다고 가정해보면, 한 국가가 어떤 이익을 본다고 하기에는 그 대가와 손실이 너무나 거대할 것이다. 미중 간 무역 갈등이 양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역시 매우 클 것으로 보인다. 미중 양국은 불확실성과 갈등의 요인에도 불구하고 현명하게 정치적, 군사적, 경제적 협력을 추구하고 있다. 중국의 부상은 미국과의 경쟁에서 반드시 제로섬 게임(zero-sum game)이 되는 것은 아니다. 미중 간 전략적 협력은 발전기와 쇠퇴기를 거듭하며 닉슨 행정부 이후 양측간의 정책 대화, 함선 방문, 군사분야 고급 책임자의 상호방문 등을 통해 소통과 접촉을 이어왔다. 미국은 중국과 갈등구조를 보이고 있으나 실제로 미국기업들은 중국과 많은 비즈니스를 진행하고 있으며 미국의 많은 제조업체들이 중국에 해외직접투자 형태로 투자를 하고 있는 현실이다. 우리는 이시기에 경제측면에서는 반도체, 자동차 등 분야의 역량을 최대한 활용하고 군사분야에서는 국방력을 착실히 키우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진정한 위기 상황에서 한국이 동맹국과 전략적 파트너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examined Liberalism and Realism among the theories of international politics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The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is more likely to take place in the economic or social field rather than the military field, despite the gradually increasing military uncertainty. Realists view that China will try to replace the US, which has a leading position in East Asia, chang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US and its allies, and prevent the US’s access to markets and natural resources. Liberalists view that the potential cost of economic interdependence and ‘aggression’ will act as a deterrent power to China’s foreign policies. When it is assumed that the US and China would conduct war, it can be seen that the cost and loss would be too huge to say that any one country would gain any advantage. The impact of the trade conflict between the US and China on the economies of the two countries is also expected to be very large. The US and China are wisely pursuing cooperation despite the factors for uncertainty and conflicts. China’s rise will not necessarily lead to a zero-sum game in its competition with the United States. Strategic coopera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has repeated periods of development and periods of decline and continued communications and contacts since the Nixon administration through policy dialogues between the two sides, visits to ships, and mutual visits by senior military officials. Countries in geopolitical hubs such as South Korea and Taiwan will need wisdom and strategies to see the big picture of the international situations and dynamics as such and proceed with international relations, diplomacy, and economic cooperation. At this time, we should make the most of our capabilities in sectors such as semiconductors and automobiles in the economic aspect and steadily develop our defense capabilities in the military sector. Through this, it is thought that preparations are needed to allow South Korea to choose allies and strategic partners in a real crisis.

      • KCI등재

        미국과 중국 간 세력경쟁에 따른 한반도에서의 대리전쟁 가능성 분석

        박휘락 21세기정치학회 2020 21세기 정치학회보 Vol.30 No.3

        This paper is written to assess the possibility of a proxy war of the US and China in the Korean Peninsula. For this purpose, it introduces predictions of two US scholars, John A. Mearsheimer and Graham Allison on the possible collision between the US and China. Then it analyzes the real possibility of the collision and North Korea's invasion into South Korea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the proxy war. As a result, this paper concluded that the possibility of the proxy war of the US and China in the Korean Peninsula appeared to be not low. The US and China could think that the proxy war could be less risky than their war against each other. North Korea would be the initiator of the war possibly using its nuclear weapons in order to escape from current desperate economic difficulties. South Korea should strengthen alliance with the US in order deter or prevent the proxy war. Especially, it should reduce its "balanced diplomacy" between the US and China and strengthen its self-reliant defense posture for its survival from precarious regional security situation.

      • KCI등재

        중국-미얀마 관계의 지속과 변화 : 미얀마 3차 군부쿠데타 발생과 지정학적 부상 요인을 중심으로

        정혜영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21 중소연구 Vol.45 No.2

        This study discusses the continuation and change of China-Myanmar relations in relation to the geopolitical rise factor of Myanmar and the 3rd military coup d'etat.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historical context of China-Myanmar relations and discussed emerging geopolitics of Myanmar. The military coup d'état, which occurred on February 1, 2021, caused mixed reaction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is is expected to change China-Myanmar relations. The short-term outlook for bilateral relations can be seen as stronger sustainability than rapid change. As for Myanmar's emerging geopolitical position, United States and Western societies has called for openness and political change. On the other hand, internal politics and diplomacy in Myanmar were consistent with prudence. The current Myanmar government (NLD), in examining the factors of cooperation between India and China, between them, determines that China economic cooperation is more effective if it develops the Yunnan border linked Myanmar. However, cooperation with India and maritime powers in Myanmar’s maritime cooperation, also helpful in terms of security, trade with the West, and balance of Chinese forces. However, in the history of Myanmar, there has never been a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China, India, and Myanmar, which face borders. The fact that India and China have returned to the conflict phase acts as a diplomatic burden for Myanmar. Opening Myanmar territory to mainland China through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was a result of Myanmar’s national interest and the decision of the leadership. China has also provided loans and technology to Myanmar, which lacks technology and capital, in exchange for infrastructure construction. However, China’s technology and wealth brought in without internal democratization will return to the benefit of some classes and Chinese companies. The origin of anti-Chinese sentiment in Myanmar stemmed from the problem of wealth distribution. Decades of ethnic minority armed conflict have also been a headache for Myanmar’s government, but China's its support has worked for indirect intervention of Myanmar’s internal affairs. The Chinese forces that have changed Myanmar’s geopolitics have become vast. The axis that can serve as a support for maintaining that balance, namely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has demanded more political reform from the Suu Kyi government, and while the Suu Kyi government was neglected due to the Rohingya crisis, Myanmar’s food, energy, natural resources, and security pathways have been come up to China. Myanmar's challenge at the time of the third military coup d’etat in Myanmar is stability in internal politics and sophisticated balanced diplomacy by its leaders. But the ripple of international relations due to the powerful dynamics will make it difficult for the Myanmar government to do anything in a short time. 본 논문은 미얀마의 지정학적 부상요인 및 3 차 군부쿠데타 요인과 관련하여, 중국-미얀마 관계의 지속과 변화를 논한다, 이를 위해 중국과 미얀마 관계의 역사적 맥락을 먼저 살폈으며, 일대일로 사업 협력으로 인해 부상한 미얀마의 지정학을 논했다. 2021년 2월1일 발생한 군부 쿠데타에 대해, 국제사회는 각기 다른 대응양상을 보였는데, 이에 따라 ‘중국-미얀마’ 관계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양국관계의 단기적 전망은 급속한 변화요인 보다는 지속요인이 더 강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부상한 미얀마의 지정학적 입지에 대해, 서방사회는 개방과 변혁을 요구해왔던 것에 반해, 미얀마 내부 정치와 외교는 신중함으로 일관했기 때문이다. 아웅산 수찌 미얀마 정부(NLD)는 자신을 사이에 둔 인도와 중국의 협력요인 검토에서, 국경내륙지방과 연계된 중국 윈난 국경을 연계하는 것이, 인도 동북지방을 통한 인도연계 보다 경제협력 효과가 더 크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바다를 접한 해상의 인도 및 해양세력과의 협력은 안보적 측면 및 서방과의 교역 측면에서, 미얀마 국익 및 중국세력 균형에도 도움이 된다. 다만, 미얀마 역사에서 국경을 마주한 중국, 인도, 미얀마가 협력적 관계가 형성된 적은 없었으며, 인도와 중국이 갈등국면으로 돌아선 환경이, 미얀마의 외교적 부담으로 작용한다. 일대일로를 계기로 중국 대륙세력에게 미얀마 영토를 열어준 것은, 미얀마 국익과 지도부 결정에 따른 결과였다. 중국은 기술과 자본이 부족한 미얀마에게 인프라 건설을 조건으로 차관과 융자, 기술을 제공했다. 그러나 내부 민주화가 진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들여오는 중국의 기술과 부는 미얀마 일부 계층과 중국기업의 수혜로 돌아간다. 미얀마 반중정서의 기원은 줄 곧, 부의 분배 문제에서 촉발했다. 수 십 년 계속된 소수민족 무장 갈등도 미얀마 정부에게는 골치거리 이지만, 중국에게는 활용효과가 있었다. 미얀마의 지정학을 변화시킨 중국세력은 방대해 졌다. 그 균형 유지를 위한 지지대 역할이 가능한 축, 즉 미국과 유럽은 수치정부에게 더 많은 정치개혁을 요구해 왔으며, 로힝야 사태로 수찌 정부를 방치하는 동안, 식량, 에너지, 자연자원, 안보 통로가 필요한 중국으로 하여금, 미얀마와의 밀착만을 도왔다. 미얀마 3차 군부 쿠데타 발생시점의 미얀마 당면과제는 내부 정치 안정과 지도자들의 정교한 균형외교이지만, 강대국 동학(動學)으로 인한 그 국제관계 파급은 미얀마 정부로 하여금, 그 어느 것도 단시간 안에 이루어지기 힘들게 만들 것이다.

      • KCI등재

        미중관계의 과거, 현재, 미래 : 협력자 혹은 경쟁자

        주형민(Hyung-min Joo)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2011 평화연구 Vol.19 No.1

        중국의 부상에 기인한 국제정치 역학구조의 변화, 특히 G-2로 표현되는 미중관계는 최근 국제정치의 주된 담론을 형성할 만큼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군사적으로 미국과 동맹관계에 있지만 경제적으로 중국의 비중이 점차 커지는 한국의 입장에서 볼 때 중국의 부상과 미중관계의 재편은 우리의 미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다. 따라서 미중관계의 전망을 정확히 진단하고 적절한 대비책을 강구하는 것은 우리시대 지식인이 해야 할 중요한 과제다. 본 논문은 그 과제의 첫 걸음으로써 미중관계에 관한 이론을 정립하고, 그 이론적 관점에서 미중관계의 과거와 현재 및 미래를 분석하고자 한다. 1장의 문제제기에 이어, 2장에서는 논문의 이론적 틀을 세운다. 구체적으로 국제정치의 ‘구조’가 미중 ‘관계’의 범위를 규정하고, 이 범위 안에서 나타나는 양국의 구체적인 ‘상호인식’은 이념, 가치, 다양한 사안(issue)과 같은 ‘비구조적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는 이론적 입장을 취한다. 3장에서는 논문의 이론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는 ‘구조, 관계, 비구조적 요소, 상호인식’에 대한 개념의 구체화 작업을 통해 이론의 완성도를 높인다. 4장에서는 논문의 이론적 관점에서 미중관계의 과거를 조명함으로써 냉전시기 미중관계의 다양한 변화를 설명한다. 5장에서는 소련붕괴이후 나타난 국제정치구조의 전환과 이에 따른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미중 관계의 현주소를 진단하다. 6장에서는 중국의 지속적 성장으로 인한 국제정치역학 구조의 변화와 그 안에서 형성될 미중관계의 미래를 이념, 가치, 현안 등과 같은 비구조적 요소의 분석을 통해 진단한다. 논문의 결론에서는 향후 미중관계변화가 우리에게 주는 함의를 논한다. The rise of China and the resulting transformation of the US-China relations, often described as “G-2” in recent years, constitute one of the most discussed topics in international relations. From the viewpoint of Korea, the topic is of particular importance because it is a military ally of the United States but at the same time, its economic ties with China have deepened during the last two decades. As a result, the future of the US-China relations, especially the possible conflict or rivalry between the two countries, poses a serious challenge to Korea.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elaborate a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US-China relations and then to analyze its past, present and future from such a framework. After a brief introduction, it is attempted to theorize the US-China relations in the second section of the paper. In particular, it is argued that the “structure” of international politics determines the possible range of the US-China “relations” and within this range, a certain “percep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constructed by “non-structural factors” such as an ideology, values, issues of conflict or cooperation, and so on. In the third section, the key notions of our theory such as international structure, inter-state relations, non-structural factors, and mutual perceptions are conceptualized in order to further elaborate the theory. From the fourth to sixth sections, it is then attempted to analyze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the US-China relations from our theoretical perspective. Finally, the policy implication of our finding is discussed in the conclusion of the pap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