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쑥갓(Chrysanthemum coronarium L.)에 처리된 살충제 Methoxyfenozide에 대한 몇 가지 설정기준

        김창성,송창훈,추환용,김평열,장한섭 한국과학수사학회 2014 과학수사학회지 Vol.8 No.2

        본 연구는 쑥갓(Chrysanthemum coronarium L.) 재배지에 살충제 methoxyfenozide를 기준량과 배량으로 살포한 후 경시적으로 채취하고 식물체 중 잔류량 측정을 통한 생물학적 반감기를 조사하여 생산단계 허용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쑥갓 시료는 methoxyfenozide를 표준처리량과 배량으로 처리한 후 14일에 걸쳐 8번(2시간, 1, 2, 3, 5, 7, 9 및 14일)채취하였다. Methoxyfenozide는 acetonitrile로 추출하여 dichlorometane으로 분배한 후 PDA가 장착된 UPLC로 분석하였다. Mehtoxyfenozide의 정량한계는 0.02 mg/kg 이었고 회수율은 0.2와 1.0 mg/kg의 수준에서 각각 80.0과85.1% 이었다. 생물학적 반감기는 기준량과 배량 처리에서 각각 5.7과 5.6일 이었다. Methoxyfenozide가수확전 10일에 쑥갓에 처리되면 수확 시 잔류량은 최대잔류허용량 미만으로 검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므로 쑥갓에 처리된 살충제 methoxyfenozide의 잔류량은 물론, 정량분석한계 및 생물학적 반감기 등의자료는 식물체 및 농약의 증거물로서 비교대상의 표준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Effect of Warm and Cold Stratification on 1H-NMR Profiles, Endogenous Gibberellins and Abscisic Acid in Styrax japonicus Seeds

        Taiga Horimoto,Masaji Koshioka,Satoshi Kubota,Lewis N. Mander,Nobuhiro Hirai,Nobuaki Ishida,서정근,이애경,Mark S. Roh 한국원예학회 2011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Vol.52 No.3

        Germination of Styrax japonicus seeds is promoted by warm stratification (WS) at 18-20°C followed by cold stratification (CS) at 4-5℃. The objective of this work was to analyze the state and mobility of water molecules measured by 1H-NMR and endogenous gibberellins (GAs) and abscisic acid (ABA) by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mass spectrometry (UPLC-MS/MS) as influenced by WS and CS treatments had not previously been investigated. Styrax seeds that received 35 days of WS (35D WS) followed by 63 days of CS (63D CS) (35D WS + 63D CS) germinated. Seeds that received only 35D WS failed to germinate. Endogenous GA_1, GA_8, GA_(19), GA_(20), and GA_(53) were identified as well as GA_(17), GA_(23), GA_(28), GA_(29), and GA_(97) by gas chromatography/MS (GC/MS) and UPLC-MS/MS in seeds that were treated with warm and cold stratification (WS + CS). This suggests that the early C-13 hydroxylation pathway [-GA_(53)-(GA_(44))-GA_(19)-GA_(20)-GA_1-GA_8] of GAs is a major biosynthetic pathway in the seeds. The concentration of GA_(53) and GA_(19) increased following WS and that of GA_(53) increased after WS + CS. The concentration of GA_(19) increased only slightly after WS + CS. The concentration of GA1 increased only after WS + CS. ABA concentr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following the WS treatment. It is concluded that the mobility of water molecules and water content in cotyledons and endosperm is increased following WS + CS treatments. The occurrence of C-13 hydroxylated GAs suggests that the early C-13 hydroxylation pathway, → GA_(53) → GA_(44) → GA_(19) → GA_(20) → GA_1 → GA_8, is a major biosynthetic pathway in Styrax seeds.

      • SCOPUSKCI등재

        상업용 올리브 잎 추출물의 화합물 특성과 이들의 oleuropein 함량 비교분석

        박미현 ( Mi Hyeon Park ),김두영 ( Doo-young Kim ),알판대니아르비안토 ( Alfan Danny Arbianto ),김정희 ( Jung-hee Kim ),이성미 ( Seong Mi Lee ),류형원 ( Hyung Won Ryu ),오세량 ( Sei-ryang Oh ) 한국응용생명화학회(구 한국농화학회) 2021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64 No.2

        올리브 (Olea europaea L.) 잎은 풍부한 폴리 페놀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는 항산화, 항균, 항 바이러스, 항암 활성을 연관시키고 혈소판 활성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 되어있다. 올리브 잎은 건강기능성식품 및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로 상업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건강상의 이점은 올리브 잎의 주요 생리활성 물질인 oleuropein와 관련이 있다. Oleuropein은 항산화, 항노화, 항염증, 항암, 항미생물, 항바이러스, 항죽상동맥혈증, 지질 저하 효과, 혈당 저하 효과, 피부 보호 효과가 보고되어 있다. oleuropein이 올리브 잎의 중요한 화합물 임에도 불구하고 상업용 제품에서 oleuropein 함량을 밝히는 정량적 접근 방법은 아직 없다. 본 연구에서는 UPLC-QTof/MS, PDA, CAD로 개발된 방법을 이용하여 10개의 상업용 올리브 잎 추출물의 성분 및 oleuropein 함량을 분석 하였다. Iridoids (1, 3, 4, 14, and 16-18), coumarin (2), phenylethanoids (5, 9, and 11), flavonoids (6-8, 10, 12, and 13), lignan (15)을 포함한 총 18종의 화합물이 올리브 잎에서 예상되었다. 총 10종의 올리브 잎 추출물 분석은 3종의 제품(A, G, H)에서 제품에서 제시한 oleuropein 함량보다 높게, 5종의 제품(B, E, H, I, J)에서 5-10%의 오차범위로 나타났고 C, D에서 함량 미달로 검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oleuropein의 함량분석이 올리브 잎의 품질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판단하였다. Olive (Olea europaea L.) leaves, a raw material for health functional foods and cosmetics have abundant polyphenols including oleuropein (major bioactive compound) with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antioxidant, antibacterial, antiviral, anticancer activity, and inhibit platelet activation. Oleuropein has been reported as skin protectant, antioxidant, anti-ageing, anti-cancer, anti-inflammation, anti-atherogenic, anti-viral, and anti-microbial activity. Despite oleuropein is the important compound in olive leaves, there is still no quantitative approach to reveal oleuropein content in commercial products. Therefore, a validated method of analysis has to develop for oleuropein. In this study, the components and oleuropein content in 10 types of products were analyzed using a developed method with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o quadrupole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charge of aerosol detector, and photodiode array. The total of 18 compounds including iridoids (1, 3, 4, 14, and 16-18), coumarin (2), phenylethanoids (5, 9, and 11), flavonoids (6-8, 10, 12, and 13), lignan (15), were tentatively identified in the leaves extract based high resolution mass spectrometry data, and the content of oleuropein in each product was almost identical between two detection methods. The oleuropein in three commercial product (A, G, H) was contained more over the suggested content, and it of five products (B, E, H, I, J) were analyzed within 5-10% error range. However, the two products (C, D) were found far lower than suggested contents. This study provides that analytical results of oleuropein could be a potential information for the quality control of leaf extract for a manufactured functional food.

      • SCOPUSKCI등재

        설탕 사양꿀의 특이 성분 분석

        김세건(Se-Gun Kim),홍인표(In-Phyo Hong),우순옥(Soon-Ok Woo),장혜리(Hye-Ri Jang),한상미(Sang-Mi Han) 한국식품과학회 2017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9 No.4

        천연꿀과 사양꿀의 성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천연 아카시아꿀, 밤꿀 그리고 잡화꿀을 대상으로 하였고, 사양꿀은 사탕수수 사양꿀 그리고 사탕무 사양꿀을 시료로 분석하였다. 사양꿀은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단일물질을 분리하고, 이화학 분석을 통해 트랜스-2-데센다이산으로 동정하였다. 또한 UPLC를 이용하여 천연꿀과 사양꿀에서의 트랜스-2-데센다이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사탕수수 사양꿀과 사탕무 사양꿀은 121±5.9, 127±4.5 mg/100 g 확인된 반면 천연 아카시아꿀에서는 13±0.9 mg/100 g, 밤꿀은 17±0.6 mg/100 g, 그리고 잡화꿀에서는 13±1.3 mg/100 g로 사양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적게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트랜스-2-데센다이산 성분은 사양꿀에서는 주요 성분이지만 천연꿀에서는 미량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천연꿀과 사양꿀을 구분 할 수 있는 성분으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We investigated and compared certain 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natural honey and sugar-fed honey for assessing quality characteristics. The specification component was extracted using an organic solvent, and a single substance was isolated and identified as (E)-2-decenedioic acid. The content of (E)-2-decenedioic acid was 121±5.9 mg/100 g in sugar cane-fed honey and 127±4.5 mg/100 g in sugar beet-fed honey. Natural acacia, chestnut, and multi-floral honey contain 13±0.9, 17±0.6, and 13±1.3 mg/100 g of honey, respectively. Therefore, (E)-2-decenedioic acid was a major component of sugar-fed honey, however, it occurred in trace amounts in natural honey. We conclude that natural and sugarfed honey can be distinguished by determining the (E)-2-decenedioic acid cont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