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신입생의 대학생으로의 전환 경험: 근거이론적 접근

        홍송이,임성택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8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types of the first semester transitions from secondary to college education of the first-year college students in post-adolescences over various areas of university life.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by Strauss and Corbin(2001) was used in this qualitative investigation. In order to collect qualitative data,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32 interviewees including 12 male students and 20 female students, who were entering university. 165 concepts, 37 subcategories, and 10 categories were extracted by open and axial coding. 12 attributes and 27 dimensions were found across the categories. As a result of axial coding, 'successful college student standards' category was derived as a causal conditions and 'awareness of difference between high school and college environment' as a context conditions. The central phenomena was 'motivation to transition', and the intervening conditions were 'characteristics of department', 'support of professor and seniority', and 'satisfaction of college life'. Interactional strategies were 'collecting the information for transition', 'imitating transition', and 'establishing personal transition strategies'. Finally, 'coping with a different university life' was derived as a consequences category. The core category derived from selective coding was named as ‘new challenges with strange roles’. Six types of transition were determined by the combinations of the levels of motivation of trans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partment, and significant others’ supports: ‘passive and individualistic transition’, ‘active and individualistic transition’, ‘active and collective transition’, ‘conforming transition’, ‘partial transition’, ‘drifting’. Thes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taking a transitional perspective in understanding of early college experiences is necessary to help college students adapt successfully to college world. 이 연구는 후기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대학신입생들이 입학 후 약 2개월 간 겪게 되는 전환 경험을 이해하고자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것이다. 면담을 통해 수집된 연구참여자들의 전환 경험을 개방코딩한 결과, 165개의 개념과 37개의 하위범주, 10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 결과, 원인 조건으로 ‘성공적인 대학생 기준’ 범주가 도출되었고, 맥락적 조건으로 ‘고등학교와 대학환경의 차이 인식’ 범주가 나타났다. 중심 현상은 ‘전환 동기 형성’이었고 개입 조건으로는 ‘학과의 특성’과 ‘교수, 선배의 지원’, ‘대학생활에 대한 만족’이 나타났다. 상호작용 전략은 ‘전환 정보 수집’, ‘전환 모방’, ‘개인적 전환 전략 수립’이었고, 최종적인 결과 범주로는 ‘달라진 대학생활에 대처’가 도출되었다. 선택코딩에서 도출된 핵심 범주는 ‘낯설지만 받아들인 세계, 새로운 도전’으로 요약되었다. 10개의 범주에 걸쳐 발견된 12개의 속성과 27개 차원을 면담 원 자료와 비교분석한 결과, 대학신입생들의 전환 경험은 주로 성공적인 대학생 기준, 학과의 특성, 주변의 지원에 영향을 받고 있었고 6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에 근거하여 대학신입생의 대학생으로의 전환 경험을 ‘나홀로 소극 전환형’, ‘나홀로 적극 전환형’, ‘더불어 적극 전환형’, ‘더불어 적당히 동조형’, ‘선별적 전환형’, ‘표류형’의 6가지로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대학신입생의 첫 학기 대학생활을 이해함에 있어 전환적 관점이 갖는 의의와 대학생활적응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우수등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Theory of Transition to College Student : A Sequential Mixed Method of Grounded Theory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대학신입생 전환 이론 개발과 검증 : 근거이론과 구조방정식 모델링의 순차적 혼합 연구

        홍송이(Hong, Song-Ee)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3

        본 연구는 대학신입생들이 대학에 전환하는 과정을 탐색하여 이론을 개발하고 이를 근거로 관련 변인을 구성하여 그 이론이 타당한지 검증하는 것이다.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여 대학생으로의 전환 경험의 본질과 그 의미를 파악하였고, 구축된 전환 이론 모형을 토대로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이론의 타당성은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통해 분석되었다. 또한 거주 형태에 따라 기숙사, 자취, 통학 집단으로 구분하여 각 구조 모형에 차이가 있는지 다집단분석을 하였다. 근거이론을 활용한 질적 연구 결과, 개방코딩에서 112개의 개념, 34개의 하위범주, 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구조방정식 검증 방법을 적용하여 양적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대학에 대한 기대감과 자신감을 높게 가질수록 대학생으로 전환을 잘 한다고 생각하였으며, 자신의 전환에 대한 만족감과 대학에 대한 만족감도 높아졌다. 둘째, 자기 관리를 잘 한다고 생각할수록 전환을 더 잘하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전환만족도와 대학만족도도 증가하였다. 셋째, 자신의 전환에 대한 인식과 전환만족도는 기대감과 자신감 및 자기관리와 대학에 대한 만족 사이에서 매개 변인의 역할을 하고 있었고, 이로 인해 순차적 이중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다집단분석 결과, 자취와 통학 집단 사이에서 전환만족이 대학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대학생으로의 전환과 적응을 위한 교육 정책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heory of students’ transition to college and to confirm that theory. To understand the nature and meaning of the first-year transition,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using grounded theory, and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established transition theory. The validation of the theory was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d a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what differences existed in the structural model for dormitory, self-catering, and commuting to school. As a result of the qualitative study, 112 concepts, 34 subcategories, and 9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open coding. As a result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through SEM, first, the higher the expectation and confidence in college, the better the transition and the greater the satisfaction. Second, the better the first-year students did at self-management, the better they transitioned, and the more satisfied they were with the transition and college. Third, transition and satisfaction with transition played a role as mediating variables between expectations and confidence, as well as between self-management and satisfaction with college, and this resulted in a sequential double mediating effect. Fourth, in the multi-group analysis, there was only on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 of satisfaction with transition on satisfaction with college, and that was between the self-catering and commuting group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olicies for student transition and adaptation to college are discussed.

      • KCI등재

        후기청소년의 대학생으로의 전환 효능감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홍송이,임성택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20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7 No.3

        The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cale for the self-efficacy of transition to college’ (SSTC)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late adolescents’ transition from high school to colleg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enagers who were planning to enter the university, and college students. Four typical transition tasks in forms of stories which were extracted from previous studies and interviews and three questions (readiness, confidence, and strategy) for each transition task were given to assess 906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of transition to college.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those four transition tasks were contracted to four transitional factors: self-management of life, academic development, social relations, and independenc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firmed that the factor structure of SSTC fits to the date. In order to examine the criterion validity of SSTC,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between the four factors of the SSTC and expectancy of successful university life (ESUL) and student adjustment to college (SACQ). All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moderate, implying that SSTC is a good predictor for future successful college life. The reliability coefficients (Cronbach’s α) of the SSTC were satisfactory, ranging from .913 to .934.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ortance of measuring the self-efficacy of transition to college and it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후기청소년의 대학생으로의 전환 과정을 이해하고자 전환 효능감 측정도구(scale for the self-efficacy of transition to college: SSTC)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 대학입학예정인 청소년 및 대학재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생으로의 전환에 대한 면담을 실시하였고, 선행연구와 면담 자료에 근거하여 측정도구의 구성요인들을 구성하였다. 이에 대하여 전문가 내용타당도와 예비검사 단계를 거쳐 4개의 이야기와 각 3문항(준비성, 자신감, 전략)으로 확정한 후, 대학신입생 906명을 대상으로 본검사를 실시하였다. 구인타당도 분석을 위해 예비검사 단계에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본검사에서는 구조방정식모형 검증을 활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4개의 이야기는 자기주도성, 학업, 동료관계, 독립성이라는 전환 요소로 추출되었고, 확인요인분석에서는 4개 영역별 전환 준비도, 자신감, 전략으로 이루어진 요인 구조가 적합하다는 것이 확증되었다. 준거타당도 분석을 위해 성공적인 대학생활 기대 설문지(expectancy of successful university life: ESUL)와 대학생활적응 설문지(student adjustment to college: SACQ)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영역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나 준거타당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측정도구의 신뢰도 분석 결과, 생활 전환, 학업 전환, 사회적 관계 전환, 독립성 전환의 신뢰도는 0.913에서 0.934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신입생의 대학생으로의 전환 효능감 측정의 의의와 대학생으로의 전환 연구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중도탈락률 분석을 통한 고교-대학 교육과정 연계의 필요성

        김대석(金大石),홍후조(洪厚祚)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아시아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대학 전공 공부에 필요한 고교 선수교과를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요구한 모집단위와 요구하지 않는 모집단위의 대학 중도탈락률 및 자퇴율(이하 중도탈락률) 차이를 분석하여 고교-대학 교육과정 연계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영역별 요구여부에 따른 대학 중도탈락률 차이분석에서, 중도탈락관련 다른 변인을 통제한 후에도, 고교 교육과정,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영역 및 대학 전공이 연계된 경우 일관되게 낮은 대학 중도탈락률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첫째, 대학의 중도탈락률을 줄이고 보유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처음부터 고교교육과정과 대학 전공이 연계되게 공부한 학생을 선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대학입학 때부터 전공 적응도가 높은 학생을 선발하는 것이며, 고교 교육과정부터 희망 대학전공과 관련된 고교 선수 교과목이 적성에 맞아 꾸준히 공부한 학생을 선발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고교 교육과정과 대학입시 및 대학 교육과정이 연계되어야 한다. 삼자가 연계된다면, 고교 때부터 대학전공과 관련된 고교 선수 교과목이 적성에 맞아 공부한 학생은 대학에 가서도 중도탈락하지 않고 잘 적응할 것으로 예측된다. This study examined 142 college drop-out rates from a point of view of curriculum transition from high school to college. We examined the college drop-out rates difference between college prerequisite subjects are required in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nd not required, in order to claim the curriculum transition from high school to college. In the study of the college drop-out rates difference between Korean is required in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nd not required, the dropout rates difference of liberal arts and social sciences was great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ropout rates difference of engineering and natural science, however, was minor and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Math shows contrary results. In the college dropout rates difference between Math is required in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nd not required, the dropout rates difference of liberal arts and social sciences was minor and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ropout rates difference of engineering and natural science, however, was great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llege drop-out rates difference between English is required in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nd not required, the dropout rates difference of international studies was great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ropout rates difference of engineering and natural science studies, however, was minor and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 of the study is that when the students’ high school courses consist in their college entrance test’s subjects and college majors, their college dropout rate hit a record low. This means that college drop-out rates problem could be approached from a point of view of curriculum transition from high school to college. We could predict that students study well in college without drop-out if they have studied well college preparatory course with interest and aptitude in high school.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it is needed to categorize high school’s courses with college majors from a point of view of curriculum transition from high school to college.

      • KCI등재

        대졸 청년의 눈높이가 첫 일자리 이행 기간에 미치는 영향과 재학 중 직무경험의 조절효과

        유재연,강순희 한국취업진로학회 2019 취업진로연구 Vol.9 No.1

        대졸 청년층의 취업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진로설계과정에서 눈높이를 고려하여 맞춤형 지원과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취업자를 대상으로 개인특성별로 눈높이가 취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각종 취업준비활동 가운데 긍정적인 활동이 무엇인지를 찾아낼 필요가 있다. 그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2015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기대임금 충족률로 정의한 개인의 눈높이에 따라 일자리 이행 기간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대표적인 취업준비활동으로서 재학 중 직무경험이 이들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분석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 모두에서 눈높이 충족률은 첫 일자리 이행 기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 눈높이 이외의 다른 요인들이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임금소득 3분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전문대학의 상위임금계층 집단에서 눈높이 충족률이 높을수록 첫 일자리 이행 기간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나 임금소득분위에 따라 눈높이 영향이 다름을 확인하였다. 재학 중 직무경험의 조절효과를 위계적 조절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전문대학의 상위임금계층 집단에서만 재학 중 직무경험 동기가 생계형 또는 기타인 경우, 눈높이 충족률이 높은 집단에서 재학 중 직무경험이 첫 일자리 이행 기간을 줄이는 영향을 조절하고 있다. 또한 전문대학의 중ㆍ하위임금계층 집단과 4년제 대학 모든 집단에서 재학 중 직무경험의 일부 동기가 첫 일자리 이행 기간을 줄이고 있다. 눈높이가 첫 일자리 이행에 미치는 영향은 2년제와 4년제 대학, 임금소득분위에 따라 다르고, 재학 중 직무경험의 조절효과는 직무경험에 참여하게 된 동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이러한 특징을 고려한 맞춤형 진로상담과 진로설계·지도가 필요하다. 진로지도 과정에서 개별 학생의 눈높이와 직무수행능력을 진단하고 기업의 요구를 적절하게 고려한 맞춤형 정보제공과 진로설계·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4년제 대학 하위임금계층 등 일부에서는 재학 중의 직무경험이 첫 일자리 취업에 반드시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기에 재학 중 인턴이나 직무체험활동은 개인의 의향과 참여 목적에 맞추어 선택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재학 중 자기주도형 진로탐색을 충분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보완책 마련이 필요하다. 나아가서 대학생들의 노동시장 이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변인들을 고려한 연구들이 더 많이 이루어지고 그에 기초하여 대학내외의 진로지원 프로그램을 수요자 맞춤형으로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It is important to provide tailored information in the career design process in order to facilitate the employment of college graduates.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find out factors that have positively influenced the employment by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employed, especially the positive activities among various types of job preparation activities. This study analyzed, by using 2014GOMS raw data,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first job transition period according to the personal eye-level, and whether the in-school job experiences as a typical job preparation activity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is relationship. The results are as follows; B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atisfaction rate of the eye-level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irst job transition period in 2-3 year college graduates and 4 year college graduates. It means that other factors other than eye level had much bigger influence. However, according to the analysis by three wage quintile, the higher satisfaction of the eye level of upper income group of 2-3 year college is, the shorter the first job transition period is. That is to say, the effect of eye level is different according to wage income level. The moderating effect of in-school job experiences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ye-level and transition periods to the first job only in the upper wage group of 2-3 year college. In addition, some motives of in-school job experience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first job transition period. Overall, the effects of the eye-level on the first job transition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college and wage level. And also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in-school job experiences on the first job transition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motive of in-school job experience. These results imply that it needs to provide the tailored career guide by the target characteristics, such as college type, eye-level, job experience participation motive, other individu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대학생 전공전환 경험의 내용과 과정 및 유형에 대한 질적 분석

        이수진(李壽進),임은미(任銀美)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아시아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전공전환 과정에 포함된 경험의 내용, 과정, 유형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공전환 경험이 있는 4년제 대학생 16명을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하고, 그 자료를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 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182개의 개념과 62개의 하위범주, 2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대학생 전공전환 과정의 중심현상은 전공전환 가능성에 대한 기대와 걱정, 인과적 조건은 잘못된 전공 선택, 맥락적 조건은 전공전환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중재적 조건은 전공전환을 위한 지원요인,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전공전환을 위한 활동, 결과는 진로준비행동 강화와 취업걱정임을 알 수 있었다. 대학생의 전공전환 과정은 전공전환의 필요성 인식 및 구상, 대안 학과와 자신에 대한 이해 및 탐색, 중요한 타자들과의 상담, 새로운 학과에 대한 의사결정, 계획실행의 단계로 나타났다. 전공전환 과정에서 나타나는 핵심범주는 ‘성공적인 전공전환을 꿈꾸며 탐색과 실천을 계속해 나감’ 이었다. 대학생의 전공전환 경험 유형은 자기의지-지지형, 자기의지-인내형, 주변 권유-강압형, 주변권유-수용형의 4가지 유형이었다. 대학생의 전공전환 과정과 유형별로 진로지도와 상담 서비스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 하였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students experienced in major transition process and how the experiences were processed and what types were appeared to college students’ major transition. For these purposes, 16 students who did major transition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grounded theory of Strauss and Corbin(1998). As a result, 182 concepts, 62 sub-categories, and 25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e process of university students’ major transition. Through a paradigm model of the grounded theory, the major phenomena in the process of college student’s major transition was expectation and worry about the possibility of major transition. Causal condition was faulty choice of major, contextual condition was to see the necessity of major transition, intervening conditions were internal/external resources for major transition, action-interaction were the behaviors for major transition, and results were keep doing behaviors for getting job and anxiety for job-getting. Students’ major transition processes consisted of five steps: the first was awareness and planning stage for major transition, the second stage was understanding and exploring alternative majors, the third was consulting stage with significant others, the fourth stage was to decide new major, and the final was plan implementation stage. The core category of major transition process was to keep going on searching and executing with hope for successful major transition. The major transition experience types of college students were classified 4 categories such as ‘self volition-support,’ ‘self volition-patience,’ ‘others’ recommendation-coercion,’ and ‘others’ recommendation-acceptance’. These types were derived from 2×2 type of self volition type and others’ recommendation type.

      • KCI등재

        전문대학 졸업생의 경력경로 유형과 실태: 1960년대 세대를 중심으로

        최수정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5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describe career patterns of college graduates in Korea. The study also intented to reveal differences of career patterns between the university graduates and college’s. The study used longitudinal data from KLIPS(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A total 480 college and university graduates who born in 1960s were analyzed using the optimal matching method and cluster analysis. Their career patterns consisted of three types: maintaining regular worker status, transition from the employed into the self-employed, and the others(late employment in regular job, remaining in inactive-labor, career-seeker, etc). But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shows that career pattern of college graduates is relatively unstable compares to university graduates. For example, the ratio of maintaining regular worker status in college male graduated(41.6%) is lower than of university male graduates(55.5%). Also college graduates have experienced various economic status such as irregular workers. Career patterns of female graduates of college and university graduates were similar in terms of career interruption during their early 30’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has made some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the better research on colleges. 이 연구의 목적은 1960년대 세대의 전문대학 졸업자의 경력경로 유형 및 실태를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분석을 위해 한국노동패널(KLIPS: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의 1차~11차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이에 더해 1차 조사에서 측정된 개인의 회고적 직업력을 함께 활용하였다. 그 결과 최종학력이 전문대학 졸업 및 대학 졸업자인 480명이 연구의 목표 모집단으로 확정되었으며, 대학 졸업자는 전문대학 졸업자의 비교그룹으로 선정되었다. 자료 분석은 R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최적일치법 및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문대졸자(남성) 및 대졸자(남성)의 경력경로는 크게 4개, 6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전문대졸자(남성)일수록 정규직의 안정적 유지율이 낮고, 직업변동이 잦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여성의 경우 전문대졸자와 대졸자 모두 4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30대 초반에 결혼, 출산, 육아에 따른 전형적인 경력단절 현상이 발견되었다. 단 전문대졸자(여성)일수록 정규직 진입 후 경력단절 유형의 비중이 크고, 재진입시 낮은 수준의 직업군으로 진입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전문대학 졸업자 경력경로 심층분석, 대학 및 전문대학의 교육성과 평가 지표의 재검토, 여성의 경력단절 방지를 위한 사회적 인프라 확충, 산업부문별 경력경로에 대한 심층연구 필요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장애청소년의 성인기 전환을 위한 대학기반 전문직무 - 진로소양 연계 프로그램 개발연구

        민기연,이영선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1 장애와 고용 Vol.31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청소년의 성인기 전환성과 향상을 위하여 전문직무교육과 진로소양 교육이 연계된 대학기반 전환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문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첫째, 대학기반 전문직무-진로소양 연계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둘째, 대학기반 전문직무-진로소양 연계 프로그램의 운영체계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이다. 연구방법: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설계기반연구의 원리를 적용하였고, 2017부터 2019년까지 총 세 차례의 형성적 순환 과정을 통해 프로그램의 현장 적합성 및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최종 프로그램의 전체 교육과정은 3단계 구성으로 1단계 준비과정(1단계 진로소양교육), 2단계 집중교육과정(2단계 진로소양교육, 전문직업교육), 3단계 정리 및 평가과정(3단계 진로소양교육)이다. 프로그램에 관여하는 참여기관 간 협력체계는 교육청, 지역사회 대학, 협력기관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시사점: 연구의 결과는 장애청소년을 위한 전환교육 연구의 성과로 축적될 수 있으며, 대학기반 전환교육을 시도하려는 이후의 노력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search objectives: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college-based integrated transition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which focuses on both hard and soft skills. Research question: First research question is, ‘What are the elements of college-based integrated transition education program?’ Second research question is,‘How is college-based integrated transition education program structured? Method: Design-based research method is used to solve the problem. Field-suitability and applicability are examined by formative circulation process which were conducted for three times from 2017 to 2019. Results: The final version of college-based transition education program model has three structures: preparation process(career knowledge education), concentrated education system(career education, professional vocation education), evaluation process(career knowledge education). The Office of education, local colleges, and partner organizations are suggested as the elements of the main structure of this collaborative system. Conclusion: This study and the model could add value to this area of research and future application of this model is expected to lead to improvements in transition education programs for teenager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Detecting the Changes of Latent Profiles in 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in School-to-work Transition

        Lee, Ji-Hee(이지희),Lee, Sang-Min(이상민) 한국웰니스학회 2020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잠재프로파일분석과 잠재전이분석을 사용하여 사회진출전환기에 있는 대학생들의 탄력성 변화양상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잠재프로파일 소속과 그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총 세 번의 반복 측정에 참여하였으며, 각 측정 시점에 각각 306명, 254명, 229명의 학생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분석 결과, 첫 번째와 두 번째 시점에서는 3개의 집단 구조(탄력성 집단, 역경부재-유능성 집단, 부적응 집단)를 나타냈고, 세 번째 시점에서는 4개의 집단구조(탄력성 집단, 반역경 집단, 역경부재-유능성 집단, 부적응 집단)를 나타냈다. 소속 집단 간의 시간 변화에 따른 집단 이동결과를 살펴보면, 탄력성 집단은 첫 번째 시점에서 두 번째 시점으로 이동 시 다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하지만 두 번째 시점에서 세 번째 시점으로 이동할 때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이에 반해 부적응 집단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소속집단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이 무엇인지를 분석한 결과, 통제감이 높은 학생일수록 부적응 집단보다는 탄력성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진출전환기 대학생들의 집단 간 이동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정책결정자나 상담자들이 적절한 개입 프로그램을 만드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changes of latent profiles in the 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in school-to-work transition. To this purpose, we used latent profile analysis(LPA) and latent transition analysis(LTA).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latent profile membership and covariates(cognitive-emotional regulation and control) by using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306 college students at Time 1, 254 college students at Time 2, and 229 college students at Time 3 participated in the current study. Adversity scale and adaptation scale were used to measure the levels of adversity and adaptation for identifying profiles.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the college students could be best described by three latent profiles at Time 1 and Time 2. At Time 3, the new type of profiles appeared. The four latent profiles were a resilient group, semi-challenged group, competent-unchallenged group, and maladaptive group.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ransitions of profiles. Further, the result showed that a sense of control had effects on resilient group membership across all three times. Students who had more sense of control had higher mean scores of being in a resilient group than in the maladaptive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it was possible to detect the patterns of college students’ resilience in the school-to-work transition. The present study yielded implications for policy-makers and counselors to identify what kind of students are needed help and intervention programs.

      • KCI등재

        Detecting the Changes of Latent Profiles in 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in School-to-work Transition

        이지희,이상민 한국웰니스학회 2020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5 No.2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changes of latent profiles in the 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in school-to-work transition. To this purpose, we used latent profile analysis(LPA) and latent transition analysis(LTA).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latent profile membership and covariates(cognitive-emotional regulation and control) by using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306 college students at Time 1, 254 college students at Time 2, and 229 college students at Time 3 participated in the current study. Adversity scale and adaptation scale were used to measure the levels of adversity and adaptation for identifying profiles.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the college students could be best described by three latent profiles at Time 1 and Time 2. At Time 3, the new type of profiles appeared. The four latent profiles were a resilient group, semi-challenged group, competent-unchallenged group, and maladaptive group.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ransitions of profiles. Further, the result showed that a sense of control had effects on resilient group membership across all three times. Students who had more sense of control had higher mean scores of being in a resilient group than in the maladaptive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it was possible to detect the patterns of college students’ resilience in the school-to-work transition. The present study yielded implications for policy-makers and counselors to identify what kind of students are needed help and intervention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