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3D모델링 기술을 활용한 모바일 튜토리얼 방식의 치아카빙 실습지원도구 개발

        박종태(Jong-Tae Park),박사범(Sa-Beom Park),이정은(Jeong Eu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2

        치의학 분야에 입문한 학습자가 치아 형태를 이해하고 임상의 기반 기술을 익히기 위해서는 치아카빙 실습이 필요하다. 치아카빙 실습은 단계별 모델을 필요할 때마다 관찰할 수 있을 때 더 효과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치아카빙 실습모형을 제안하고, 카빙 단계에 대한 3D모델링 정보를 제공하는 튜토리얼 방식의 모바일 실습지원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치아카빙 실습 모형은 치아형태학 강의 및 실습을 포함하는 강의실 활동과 학습자의 실습과 일상적 학습을 모바일 실습지원도구로 연계하는 모바일 심리스러닝 형태로 도출하였다. 모바일 실습지원도구는 치아형태학 사전, 치아카빙 실습 튜토리얼, 3D 치아 모델링으로 구현되었다. 개발된 콘텐츠에 대한 전문가 평가 결과 내용 및 기능이 타당하게 설계된 것으로 분석되었다(내용 타당도: 5.0, 인터페이스 타당도: 4.53). 따라서 개발된 모바일 실습지원도구도구는 치아카빙 실습의 모바일 심리스 러닝을 지원하는 데 적합한 학습도구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치의학 분야에 ICT를 활용하는 수업모형과 지원도구인 모바일 콘텐츠 개발 연구가 촉진되기를 기대한다. Tooth carving practice is required for novice learners in dentistry to understand dental morphology and acquire clinically underlying skills. Tooth carving practice is more effective when sequential models can be observ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tooth carving practice model and to develop a mobile practice supporting tool based on tutorial providing 3D modeling information about steps of tooth carving. As a result, tooth carving practice model consists of the class activity including tooth information lecture and practice and mobile seamless learning connecting learners’ practice and regular learning with the mobile tutorial tool. The mobile tutorial tool is implemented with tooth morphology dictionary, tooth carving practice/training tutorial, and 3D tooth modeling. The experts’ evaluation on the developed contents shows that the content and function are valid(content validity: 5.0, interface validity: 4.53). Therefore, the mobile tutorial tool is suitable for supporting mobile seamless learning for tooth carving practice. Further researches are expected to be conducted to develop instructional models utilizing ICT and mobile contents in dentistry.

      • KCI등재

        가상현실형 치아조각 교육 및 실습 시스템

        임은정(Eun-Jeong Im),이재기(Jae-Gi Lee)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0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1

        Dental clinicians should accurately identify the anatomical factors affecting tooth treatment and carving. Education on dental sculpture in a university curriculum involves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using two-dimensional illustrations in teaching materials, which have limitations due to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teeth. Since the education and practice of tooth carving are difficult to achieve using 2D images, 3D models can be helpful. In this study, for implementing virtual reality education and practical systems of teeth, SOLIDWORKS was used to perform 3D modeling of teeth in steps based on parametric modeling, while texture mapping was performed on the 3D model using 3D Studio MAX.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that can be trained with a Head Mounted Display was implemented by Unity, thereby helping dental clinicians in achieving proficiency with tooth carving techniques.

      • KCI등재

        3차원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모바일 과제정보 제시가 치아카빙에 관한 지식, 수행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박종태(Jong-Tae Park),김지효(Ji-Hyo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5

        본 연구는 3차원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모바일 과제정보 제시가 치아카빙지식, 수행 및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치의학 전공 대학생 66명을 대상으로 3D 모델링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실험집단과 텍스트와 삽화로 구성된 2차원 수업자료를 활용한 통제집단에 각각 33명씩 배정하여 실험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2차원 수업자료를 활용한 과제정보 집단(통제집단)이 3차원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모바일 과제정보 집단보다 치아형태에 대한 이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3차원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치아카빙 수행 능력 향상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3차원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모바일 과제정보 제시 집단의 수업만족도가 통제집단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치아형태학 수업에서 3D 모델링을 제공하는 것은 수업만족도를 높여주며, 치아카빙 수행 향상을 돕는 교육콘텐츠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bile task information presentation using 3D multimedia on tooth carving knowledge, performance and class satisfaction for dentistry. To accomplish this purpose, we divided 66 dental students into the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esented with mobile task information using 3D modeling. and the control group was presented task information using textbook. As a result for the study, First, Mobile task information presentation using 3D multimedia in class has significant effect on the tooth carving performance and class satisfaction. Second, tooth morphology knowledge in control group presenting task information using the text book showed relatively higher than in experimental group which presenting mobile task information using the 3D modeling.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class presenting mobile task information using 3D modeling can be enhances class satisfac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to improve tooth carving performance.

      • KCI등재

        증강현실 기술과 삼차원 튜토리얼 방식을 활용한 단계별 치아 형태 조각 실습 컨텐츠 개발과 관련된 융합 연구

        임은정,이재기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증강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상악 우측 중절치의 치아 형태 조각의 반복 실습이 가능한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이다. 치아 형태의 단계별 실습을 위해, 1단계부터 16단계까지의 단계별 실습스토리 보드에 의한 근심, 원 심, 협면, 설면의 특징을 반영한 단계별 치아 조각 형태를 삼차원 모델링 하였다. 이 자료가 학습자의 모바일 기기 화면 상에 출력될 수 있도록 단계별 이미지 마커를 인식하여,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치아 형태 조각 연습을 반복적으로 수행해 완성도 높은 상악 우측 중절치를 조각할 수 있었다. 이 콘텐츠 를 이용하여 치아 형태학 강의실 수업과 치의학 입문자의 실습이 함께 연계되어 치아 형태 조각 능력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ntent that enables repetitive carving practice of the maxillary right central incisor (MRCI) based on augmented reality (AR). For a step-by-step practice of achieving the tooth shape, after creation of the storyboard from the square box shape in step 1 to the completed MRCI block in step 16, three-dimensional (3D) modeling data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sial, distal, lingual, and labial surface of the MRCI were generated. An application was built in which 3D modeling data were output on the screen of the learner’s mobile device, and image markers suitable for 3D modeling in steps 1 to 16 of the MRCI model were respectively generated. Using this information, the learner could carve a high-quality MRCI by repeatedly performing the tooth shape carving exercises. With AR, we intend to contribute to improved tooth morphology carving skills by linking the theory and practical techniques for a beginners in denti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