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神)을 닮는 것: 스토아 윤리학 및 자연철학에 전해진 플라톤의 유산 -『티마이오스』를 중심으로-

        이창우 ( Lee¸ Chang-uh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0 가톨릭철학 Vol.0 No.15

        초기 스토아 철학자들의 윤리학 체계 안에 플라톤적 요소가 들어가 있는지의 여부는 오랫동안 분명하지 않은 문제였다. 하지만 키케로의 『투스쿨룸 토론』 제5권에 의하면 스토아 철학의 논제는 분명히 플라톤적 권위로부터 온 것이다. 『투스쿨룸 토론』 제5권에는 스토아의 근본 관점, 즉 우주의 질서는 인간의 내적, 심리적 질서를 위한 패러다임이며 행복은 우주 관조에서 출발한다는 관점이 드러나 있다. 스토아 철학자들은 이 관점에 신에 대한 모방이라는 이념을 가미함으로써, 그들의 윤리학을 자연철학적ㆍ자연신학적으로 정초한다. 플라톤의 『티마이오스』, 특히 90a-d에도 우주론적 윤리학의 시각이 들어 있다. 이에 따르면 인간은 삶의 목적과 행복에 이르기 위해 신적 우주의 운동을 모방해야 한다. 『티마이오스』에서 데미우르고스 신은 우주적 지성을 위한 상징이다. 그리고 우주적 지성은 이 우주 안에서 내재화되어 있다. 그런 점에서 이 우주는 “가시적인 신”이다. 인간의 모방의 대상은 세계 초월적이지 않다. 윤리적 패러다임은 인간과 가까이 있다. 『티마이오스』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신 모방 관념을 스토아는 수용했고 적절히 변용했다. It has not been clear for a long time whether some Platonic elements are included in the ethical system of the early Stoic philosophers. However, according to Cicero’s Tusculanae Disputationes, Bk.5, the thesis of Stoic philosophy has clearly come from Platonic authority. This text presents the Stoic basic view that the order of the universe plays a role as a paradigm for the inner and psychic order of the human being, and happiness starts from a contemplation of the universe. To this view the early Stoic philosophers added an ideal of imitatio Dei and thereby tried to lay a natural philosophical-theological foundation for their ethics. Plato’s Timaeus, especially 90a-d, presents a cosmological ethical viewpoint too. According to this viewpoint, the human being should imitate the motion of the divine universe in order to reach the end of life and happiness. The divine Demiurge of the Timaeus symbolizes the cosmic intelligence(nous). And the cosmic intelligence reveals itself as immanent in this universe. In this sense this universe is “visible God”. The object of imitation by the human being is not world-transcendental. The ethical paradigm stands near the human being. This idea of the imitatio Dei in the Timaeus was accepted and partially transformed by the Stoics.

      • KCI등재

        해석(解釋)과 전용(轉用)의 사이에서 - 키케로의 『티마이오스』번역에 나타난 철학적 변용의 모습들 -

        김유석(Kim, Iouseok) 한국서양고전학회 2020 西洋古典學硏究 Vol.5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플라톤의 『티마이오스』에 대한 키케로의 라틴어 번역을 검토하는 가운데, 그리스 철학이 로마인들에 의해 해석되고 수용되는 과정과 방식을 이해해보려는 것이다. 키케로는 자신의 저서 곳곳에서 그리스 철학의 용어들을 라틴어로 번역하고 싶다는 욕구를 드러내곤 했다. 그의 이러한 욕구는 그저 그리스인들의 사유를 수동적으로 모방하고 답습하려는 것이 아니라, 보다 적극적인 해석과 비판적인 평가를 통해 능동적으로 자기화하려는 의도였다. 본 연구는 키케로의 『티마이오스』번역을 통해서 그리스 철학이 라틴화되는 과정의 주요한 측면들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플라톤의 『티마이오스』와 키케로의 『티마이오스』에 나타난 도드라진 차이점들을 검토해 볼 것이다. 그것들은 대화의 극적인 형식, 그럼직한 이야기 로서의 우주론, 가지적 형상과 물질의 관계, 신적인 제작자(데미우르고스)의 위상 변화, 그리고 경험적 인식을 바라보는 태도를 중심으로 진행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tradition of Roman reception of Greek philosophy by examining the way of Cicero’s Latin translation of Plato’s Timaeus. In his works, Cicero revealed his desires to translate Greek philosophical terms into Latin. But his desire was confined neither in the passive following of Greek thought nor its imitation. Rather his desire was focused on the philosophical appropriation by way of active interpretations accompanied with critiques. By examining and analyzing Cicero’s translation of Timaeus, I in this paper expect to reveal some important aspects of the Latinization of Greek philosophy. To do so, this paper will bring into focus some essential differences between Plato’s Timaeus and Cicero’s translation of it. Those differences will be examined in the dramatic form of both dialogues, the nuance of likely story (or the meaning of probability), the relation between intelligible forms and matters, the disappearance of divine craftsman (demiurge), and the different attitudes on empirical knowledge.

      • KCI등재

        플라톤에서 ‘신(神)을 닮음’의 윤리적 의미

        김영균(Kim, Young-Kyun) 한국서양고전학회 2017 西洋古典學硏究 Vol.56 No.2

        이 글은 『테아이테토스』(176a-b)와 『티마이오스』(90a-d)를 중심으로 ‘신을 닮음’이 플라톤 철학에서 지니는 윤리적 의미를 고찰한다. 먼저 이와 관련된 논의에서 ‘표준적인 전거’(locus classicus)가 되는 『테아이테토스』 176b의 언급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이 구절을 애나스(J. Annas)의 해석과 달리 세상사를 초탈하라는 권고로 해석할 수 없음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신을 닮음’에서 강조되는 ‘정의’(正義) 개념은 모든 것에 질서를 부여해서 좋음을 구현하고자 하는 지성 개념의 특성과 연관해서 볼 때, 세상-참여적 의미의 정의로 해석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티마이오스』90a-d에 대한 세들리(D. Sedley)의 해석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서, 신을 닮기 위해서 우리가 회복해야 할 지성은 관조적 활동을 지향하는 것이 아니며, 지적인 덕과 도덕적인 덕이 비우호적으로 대비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밝히고자 했다. 그리고 『티마이오스』에서 분명히 제시되듯이, ‘신을 닮음’은 데미우르고스의 선성(善性)을 닮아서, 개인의 차원이든 나라의 차원이든 좋음을 구현하는 것이다. 결국 ‘신을 닮음’을 목표로 하는 플라톤 철학에서 이론과 실천은 분리되어 있지 않다. ‘신을 닮는 것’은 필연적 조건 속에서 지성이 지배하는 삶의 방식을 추구하는 것이지, 이 세상을 초탈해서 지성만의 활동을 추구하는 것은 아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lucidate the ethical meaning ‘Godlikeness’ has in Plato’s philosophy with focus on Theaetetus 176a-b and Timaeus 90a-d. First, the close examination of Theaetetus 176b, the locus classicus in this discussion, has brought me to realize that this clause can not be taken as an admonition for transcending the worldly affairs, as J. Annas suggests. And the concept of justice, given the characteristic concept of intelligence that seeks to realize the good by endowing order to everything, can be understood in the meaning of realizing justice by social engagement. And by the critical reconsideration of D. Sedley’s interpretation of Timaeus 90a-d, I argue that the intelligence that we have to restore for Godlikeness is not oriented to contemplation and that intellectual virtue and moral virtue are not contrasted unfavorably. As is explicitly suggested in Timaeus, Godlikeness means the imitating of the good nature of demiurge and the realizing of the good whether in private or public terms. After all, in Plato’s philosophy that seeks Godlikeness, theory and practice are not separable. The aim of Godlikeness is not activity of mere intelligence separated from the real life but the way of life where intelligence rules in the inevitable conditions.

      • KCI등재

        플라톤의 『티마이오스』편에서 필연에 대한 지성의 설득

        김영균 ( Young Kyun Kim ) 한국동서철학회 2015 동서철학연구 Vol.78 No.-

        이 논문은 "티마이오스"편의 우주론에서 제시된 필연에 대한 지성의 설득 방식이 인간의 삶에서 지니는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성의 화신인 데미우르고스가 필연을 설득하여 이 우주를 창조하는 과정은 만듦의 본보기를 보여주는 것이다. 데미우르고스에게 주어진 무질서한 상태에 있는 원초적 물질들은 ‘필연의 산물’로 언급되는데, 그는 형태와 수를 이용하여 이것들에 질서를 부여한다. 그러나 그가 질서를 부여하는 원초적 물질들은 완전한 혼돈 상태에 있는 것은 아니다. 그것들은 이미 4원소의 흔적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질서화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데미우르고스의 창조 방식은 ‘설득’이라 불릴 수 있다. 이런 설득의 과정에서 무엇보다도 강조되는 개념은 ‘적도’ 또는 ‘균형’이다. 또한 인체 구성과 관련된 설명에서 잘 드러나듯이, 필연에 대한 설득에서는 필연성의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해서, 그것들을 좋음을 위해 도움이 되는 것들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우주론적 설명 방식은 인간 존재에게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인간의 육체적 조건이나 욕구와 감정 등은 인간에 있어서 필연적인 요소들이다. 이러한 것들은 그 자체로는 과도하거나 왜곡될 수 있기 때문에, 인간이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이러한 것들을 올바로 다스리는 것이 중요하다. 플라톤은 이와 관련해서 ‘설득’이란 표현을 쓰고 있지 않지만, 인간에 있어서 필연적인 것들에 대한 다스림에도 우주론적 차원에서 이루어진 설득의 방식이 잘 적용될 수 있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lucidate how intelligence persuades necessity as is presented in the cosmology of Plato`s Timaeus and what meaning the intelligence`s way of persuasion has in the human life. The process by which Demiurge, the incarnation of intelligence, persuades necessity to create the cosmos offers an example of making in the wide sense of the word. The precosmic materials in the state of disorder given to Demiurge is mentioned as “the effects of necessity”, and he endows them with order by using shapes and numbers. But the precosmic materials do not exist in the state of utter disorder. Since they already retain the traces of the four cardinal elements, they has the potential capability of becoming ordered being. Therefore Demiurge`s way of creation can be regarded as one of persuasion. In the course of persuasion it is the concepts of measurement and proportion above all that are emphasized. Moreover, as is well shown in the exposition as to the constitution of human body, in intelligence`s persuasion it is of great importance to minimize the negative influences so as to make necessity conduce toward goodness. Such a cosmological explanation can also be applied to the account of human existence. Human physical conditions, desires, passions, etc. are all necessary elements for human being. Because these can by themselves be excessive and perverted, it is quite important to control these in the right way for human happiness. Though Plato did not use the word ‘persuasion’ in this respect, the way of persuasion presented in the cosmological terms can also be properly applied to the ruling of inevitable elements for human being.

      • KCI등재

        백낙청의 「시민문학론」에서 인식과 실천의 매개로서의 ‘사랑’ — 「티마이오스」에 대한 전유를 중심으로

        김대진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人文論叢 Vol.7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Baek Nakcheong’s intellectual practice in relation to the flow of knowledge field in the mid-1960s through a reading of “The Citizen Literature Theory” (1969). Recent studies on “The Citizen Literature Theory” sought to clarify the text’s position in relation to the intellectual flows formed in knowledge fields outside literature, such as history and religion. However, discussion has tended to be about the influence or acceptance of knowledge formed outside the literature field. This paper argues that “The Citizen Literature Theory” is a response to the challenge left by Park Chung-hee’s ‘national democracy’ in the 1960s knowledge field. That challenge was the synthesis of ‘citizens’ and ‘nation’. Baek Nak-cheong’s answer was to abstract the concept of ‘citizen’ and present it as a kind of situation. Baek Nak-cheong’s mechanism of synthesising ‘citizen’ and ‘nation’ was formed through reference to Plato’s “Timaeus”. In the “The Citizen Literature Theory”, Baek Nak-cheong, like Plato, implicitly presupposes that holistic recognition causes feelings of obedience. In that premise, Baek Nak-Cheong argues for the superiority of realism literature. After “The Citizen Literature Theory”, Baek Nak-Cheong’ logic emphasized feelings of obedience rather than holistic recognition. This paper explains such changes from a point of view of inversion in the Platonic scheme. Finally, this study asks whether the Baek Nak-cheong’s theory achieved only the effect that he intend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logic of Baek Nak-cheong emphasized the emotions of the individual rather than the collective and may have paradoxically produced unintended results. 이 연구의 목적은 1960년대 중반 지식장의 흐름과 연관하여 백낙청의 지적인 실천이 지닌 의미를 「시민문학론」(1969)에 대한 독해를 통해 규명하는 것이다. 「시민문학론」에 대한 최근의 연구들은 역사학계나 종교계 등, 문학장 외부의 지식장에서 형성된 지적인 흐름과 관련하여 「시민문학론」의 위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주로 문학장 외부에서 형성된 지식에 대한 백낙청의 영향 또는 수용이라는 측면에서논의가 이루어졌다. 이 논문은 「시민문학론」이 박정희의 ‘민족적 민주주의’가 1960년대지식장에 남긴 과제에 대한 하나의 응답이라고 주장한다. 그 과제는 ‘시민’과 ‘민족’의 종합이라는 문제였다. 백낙청의 해답은 ‘시민’ 개념을 추상화하여 그것이 일종의 상태를 의미하도록 제시하는 것이었다. ‘시민’과 ‘민족’을 종합하는 메커니즘은 플라톤의 「티마이오스」에 대한 참조를 통해 형성되었다. 「시민문학론」에서 백낙청은 플라톤과 같이 전체론적 인식이 그것에 대한 복종의 감정을 불러일으킨다는 가정을 암묵적으로 전제한다. 이러한 전제로부터 백낙청은 리얼리즘 문학의 우월함을 주장한다. 「시민문학론」 이후, 백낙청의 논리는 전체론적 인식보다 복종의 감정을 중요시하게 된다. 이 논문은 그러한 변화를 플라톤적 도식 내에서의 도착(倒錯)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연구를 통해 백낙청의 이론이 그가 의도했던 효과만을 일으켰는가에 대해 질문한다. 이 연구의 결론은 백낙청의 논리가 집단보다 개인의 감정에 주목하게 함으로써 역설적으로 그가 의도했던 바와 상반된 결과를 낳았을지도 모른다는 가설을 제시한다.

      • KCI등재

        식물의 혼과 플라톤의 채식주의

        김유석(Iouseok Kim) 철학연구회 2015 哲學硏究 Vol.0 No.111

        In the Timaeus, Plato describes the composition of various kinds of soul. It is the Demiurge who, making the sensible world, devotes himself to the making of the souls. He constitutes the world soul, the souls of stars and human souls. Since the Demiurge is good and excellent, his creatures are also good and excellent. That is the reason why human souls are immortal and divine. Only the souls of plants are made by the star-gods, the assistants of the Demiurge. Since the star-gods are inferior to the Demiurge, their creatures are also inferior to the those of the Demiurge. That is the reason why the soul of the plants are mortal. Moreover, Plato says that plants are created by the gods as the food of human beings. In other words, the survival of human beings is the raison d`etre of the plants. His description on the plants makes us suppose that Plato was taking a vegetarian position, even though he did not express it clearly. According to Plato, animals are not the creature of gods but the result of the metensomatosis of degraded human souls. In that case, eating animals has an implication of cannibalism, because the animals have also the human soul.

      • 플라톤의 이데아론과 형이상학적 사유

        정진규(Jin kyu JEONG)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4 철학과 문화 Vol.28 No.-

        본고는 지금까지 많은 학자들에 의해 논의되었던 플라톤의 이데아론에 대하여 살펴보고, 그것을 바탕으로 우리가 왜 그의 이데아론, 달리 말해 형이상학적인 사유를 지속적으로 해야 하는지에 관한 설명함에 목적이 있다. 플라톤의 이데아론에 대하여 다수의 학자들은 그것을 이원론적인 세계로 분석한다. 그러나 필자뿐만 아니라, 또 다른 다수의 학자들은 그의 이데아론이 이원론적 세계가 아닌, 일원론적 세계라고 설명한다. 이와 같은 일원론적 세계관은 현재 우리가 직면한 많은 문제점을 해결해 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그의 이데아론을 통한 형이상학적 사유는 현재의 문제점들을 해결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필자는 그의 우주론을 대변하는 데미우르고스 개념을 이용할 것이다. 데미우르고스는 그리스어로 제작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 제작자의 노고에 의해 플라톤의 우주론은 완성된다. 이 과정에서 등장하는 데미우르고스는 신과 같이 완벽하지는 않지만, 그 나름대로 최선을 다하는 행위를 한다. 이와 같은 행위는 플라톤이 그의 저서들에서 밝히는 이상적인 국가를 닮은 현실세계에서의 최선의 국가가 건설되는 것이다. 이상 국가와 닮은 최선의 국가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데미우르고스는 우리가 현재 살고 있는 세계에서 정치가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에서 정치가는 플라톤이 말하는 데미우르고스와 같이 완벽하지는 않지만, 지속적으로 형이상학적 사유를 통해 올바른 국가, 최고의 선을 실현하는 국가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why Plato's Ideas, which has been discussed by many scholars, needs to be reviewed continuously in the future as well. Plato's Ideas, that is, metaphysical thought, is usually defined as dualism. However, many scholars including myself sees it as monism. This monistic view can solve many problems that may be confronted. Especially, metaphysical thought will play crucial roles in getting rid of the problems. In the study, the concept of demiurge will be used. Demiurge means manufacturer in Greek, and it is his efforts that complete Plato's cosmology. In the process, the manufacturer is not perfect as God, but tries his best. Through his efforts, the real world that resembles the ideal states in Plato's works, can become the best states. The manufacture, who can create the just states that are similar to the ideal states, functions as a modern-day politician. In the contemporary society, politician is not perfect as demiurge in Plato's works, but can develop the current state into good, best and the ideal state by continuously reviewing metaphysical thought.

      • KCI등재

        연구논문 :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라톤의자 연철학에서 무엇을 배웠나? -물질의 기본 단위로서 4요소 이론의 경우-

        손윤락 ( Yun Rak Sohn ) 한국동서철학회 2012 동서철학연구 Vol.64 No.-

        이 논문은 ‘플라톤이 『티마이오스』에서 펼친 자연철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무엇을 배웠나’라는 물음에 대한 하나의 대답이다. 우리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생성소멸론』에서 물질의 기본 단위로 제시한 네 종류의 요소들에 관한 이론의 경우를 주로 살펴볼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달의 천구 아래에 펼쳐진 우리의 감각대상의 세계인 ‘월하계’의 요소들은 영원한 운동과 변화 속에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질료-형상의 복합체인 구체적 개별자로서의 실체와는 다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소들은 내부 성격쌍의 역동적인 상호 역할, 즉 토대가 되는 “쉼볼론”(symbolon)의 질료 역할과 그 위에서 주고받는 두 대립자의 형상 역할로 인하여 최종적인 “실체적 상태”로 불릴 수 있으며 따라서 물질적 사물들의 굳건한 토대가 된다. 뤽 브리송은 아리스토텔레스가 플라톤의 『티마이오스』에 나타나는 자리(chora) 개념에 대해 비판한 것에 반대하면서, 『자연학』 제4권의 한 구절에서 발견한 “제일 질료”를 공격한다. 즉, 그는 아리스토텔레스가 플라톤의 자리(chora) 개념을 비판하고 있지만 아리스토텔레스의 제일 질료 개념은 오히려 그 자리 개념과 유사한 것이라고 반격하고 있다. 그런데 브리송의 해석을 따라 가면, 궁극적인 실체로서 사물들의 변화의 계열에서 제일의 기체가 되는 것은 요소들이 아니라 요소들의 자리들이 될 것으로 보인다. 사실 전통적인 입장에 서 있는 해석들은 요소 변환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에서 “쉼볼론”이라는 중요한 개념을 간과하고 있다. 만일 브리송이 요소 이론의 맥락에서 ‘기체’로서의 질료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개념을 공격하기를 원했다면, 그는 다름 아닌 “쉼볼론”을 겨냥했어야 했다. 왜냐하면 요소 변환에서 ‘기체’의 역할을 하는 것은 변환에 임한 두 요소의 공통 성격인 이 “쉼볼론”이지 요소들의 텅빈 ``자리``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가 “쉼볼론”을 겨냥했다면, 그것이 두 요소의 상호 변환에서 공통의 ‘기체’ 역할을 하지만, 이것이 “궁극적인 물체적 수용자”도 아니고, “순수 가능태”로서의 제일 질료도 아니라는 사실이 드러날 것이며, 따라서 그의 반론은 과녁을 잃게 될 것이다. According to Aristotle, the elements in this "infra-lunar" world which is our ordinary world of perception lie in an everlasting movement and change. An element is different from a substance as particular thing that is composite of matter and form. But elements are able to be called "the last substantive states" because of the mutual role of the sets of their intrinsic characters: the role of "symbolon" as matter, and the role of two contraries as form. Therefore the elements are to be the film foundation of material things. However, if we follow the interpretation of Luc Brisson, the first subject in the series of change of things as ultimate substance could not be the elements but the "place" of elements. In fact, I argue, interpretations on the traditional position fail to notice the symbolon, one of the mostt important concepts in Aristotle`s theory of elements, especially in that of the mechanism of mutual transformation of elemental characteristics. If Brisson wanted to attack the aristotelian concept of "matter as hypokeimenon (subject or substratum)" in the context of theory of elements, he should have to aim at symbolon. Because what plays the role of hypokeimenon in an elemental transformation is not the ``places`` of elements, which are empty, but these symbola that are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two e1ements taking part in this transformation. And if he had aimed at symbol on, he would have find the fact that, though symbol on plays the role of common ``base`` in the mutual transformation of two elements, it is neither an "ultimate corporeal receptacle" nor the "prime matter" as so called "pure potenti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