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國 漢文文法敎育의 硏究 方向

        안재철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3 漢字 漢文敎育 Vol.30 No.-

        This thesis indicates the direction of educating grammar of Chinese writing in Korea. The things what we suppose to mainly focus on are research direction of morphologic instruction, syntactic instruction, and education history of grammar of Chinese writing. 1. Research direction of morphology education In this research, we mainly discuss formation of words and morphology, and systematically cover derivation and composition. Also, in this study, the accidence which classifies words by grammatical features, should be included. Especially, the study about the functions of an expletive has to be included. And, the contents discussed in morphology education are about finding teaching method which makes educator easily and interestingly approach learner and estimating method which is objective and fair. 2. Research of syntax education In this research, we will cover following things. First, studying syntax education through syntax structure of words of Chinese writing. Second, studying syntax education through structural patterns of sentences of Chinese writing. Third, studying how to improve the sentence interpreting ability through educating patterns of sentences of Chinese writing. Fourth, studying teaching method of syntax. Last, studying method of evaluation of syntax. 3. Research direction of education history of grammar of Chinese writing Researching education history of grammar of Chinese writing should be started from historical research in the process of teaching Chinese writing. It should also be started through transition process and content of grammar education of Chinese writing in the Chinese writing education process at middle, high school, from 'Education-important period' to '2011 revised Education-course period' which is carried out at school recently. Also teaching method and evaluating method of education history are studied. 이 논문은 한국에서 한문문법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연구 방향을 제시한 논문이다. 이 논문에서 주로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려고 한 것은 한국인이 한문문법적인 지식을 통해, 흥미를 가지고 漢文 原典에 다가가 해석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연구하는 것과, 교수자 입장에서 학습자에게 문법적으로 한문을 교육시킬 수 있는 것을 연구하는 방향이었다. 즉, 이 논문에서 주로 살펴 본 분야는 형태론 교육론의 연구 방향과, 통사론 교육론의 연구 방향, 그리고 한문 문법교육사 연구 방향 등이다. 形態論(Morphology)은 形態素와 單語의 構造와 機能, 結合關係 등 모든 형태소들의 文法的 現象들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주로 單語(詞,語彙,詞組)形成, 形態論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며, 派生法과 合成法을 체계적으로 살펴보아야 한다. 또한 이 형태론 연구에서는 단어들이 문법적 性質에 따라 分類되는 品詞論도 포함되어야 하며, 특히 虛詞의 機能에 대하여도 연구되어져야 한다. 그리고, 形態論 敎育論에서 論議되어지는 내용들은 학습자에게 쉽고, 재미있게 접근할 수 있는 敎授法과 객관적이고 공정한 評價法들이 摸索되어져야 한다. 統辭論(Syntax)은 단어(詞)들이 결합하여 文章이 構成되는 原理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漢字語(詞)의 統辭 構造, 漢文 文章의 構造類型을 通한 統辭論 敎育의 연구, 漢文 文章 類型의 교육을 통한 文章 讀解 能力 向上의 硏究, 統辭論 敎授法 연구, 통사론의 評價法 연구 등이 연구되어져야 한다. 漢文文法 敎育史 硏究는 漢文科 敎育課程 속에 나타난 漢文文法 敎育의 史的 硏究로부터 始作되어야 한다. 한국의 한문문법 敎育史는 1945년 光復 후, 美軍政에 의하여 제정되어 過渡的 역할을 담당하였던, ‘敎授要目期’부터 현재 학교 교육현장에서 실시중인 ‘2011년 改定 敎育課程期’까지 중․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 속에서 한문문법 교육의 變遷 過程과 그 내용을 추출하고, 그것을 통해 연구가 시작되어야 한다. 또한 한문문법교육사의 교수법과 평가법도 연구되어져야한다.

      • KCI등재

        기획주제(企劃主題) : 동아시아 한자(漢字),한자교육(漢字敎育)의 현황(現況)과 과제(課題); 한국한문문법교육(韓國漢文文法敎育)의 연구방향(硏究方向)

        Jaechulan ( 安載澈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3 漢字 漢文敎育 Vol.30 No.-

        이 논문은 한국에서 한문문법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연구 방향을 제시한 논문이다. 이 논문에서 주로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려고 한 것은 한국인이 한문문법적인 지식을 통해, 흥미를 가지고 漢文原典에 다가가 해석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연구하는 것과, 교수자 입장에서 학습자에게 문법적으로 한문을 교육시킬 수 있는 것을 연구하는 방향이었다. 즉, 이 논문에서 주로 살펴 본 분야는 형태론 교육론의 연구 방향과, 통사론 교육론의 연구 방향, 그리고 한문 문법교육사 연구 방향 등이다. 形態論(Morphology)은 形態素와 單語의 構造와 機能, 結合關係등 모든 형태소들의 文法的現象들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주로 單語(詞,語彙, 詞組)形成, 形態論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며, 派生法과 合成法을 체계적으로 살펴보아야 한다. 또한 이 형태론 연구에서는 단어들이 문법적 性質에 따라 分類되는 品詞論도 포함되어야 하며, 특히 虛詞의 機能에 대하여도 연구되어져야 한다. 그리고, 形態論敎育論에서 論議되어지는 내용들은 학습자에게 쉽고, 재미있게접근할 수 있는 敎授法과 객관적이고 공정한 評價法들이 摸索되어져야 한다. 統辭論(Syntax)은 단어(詞)들이 결합하여 文章이 構成되는 原理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漢字語(詞)의 統辭構造, 漢文文章의 構造類型을 通한 統辭論敎育의 연구, 漢文文章類型의 교육을 통한 文章讀解能力向上의 硏究, 統辭論敎授法연구, 통사론의 評價法연구 등이 연구 되어져야 한다. 漢文文法敎育史硏究는 漢文科敎育課程속에 나타난 漢文文法敎育의 史的硏究로부터 始作되어야 한다. 한국의 한문문법 敎育史는 1945년 光復후, 美軍政에 의하여 제정되어 過渡的역할을 담당하였던, ``敎授要目期’부터 현재 학교교육현장에서 실시중인 ``2011년 改定敎育課程期’까지 중?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 속에서 한문문법 교육의 變遷過程과 그 내용을 추출하고, 그것을 통해 연구가 시작되어야 한다. 또한 한문문법교육사의 교수법과 평가법도 연구되어져야한다. This thesis indicates the direction of educating grammar of Chinese writing in Korea. The things what we suppose to mainly focus on are research direction of morphologic instruction, syntactic instruction, and education history of grammar of Chinese writing. 1. Research direction of morphology education In this research, we mainly discuss formation of words and morphology, and systematically cover derivation and composition. Also, in this study, the accidence which classifies words by grammatical features, should be included. Especially, the study about the functions of an expletive has to be included. And, the contents discussed in morphology education are about finding teaching method which makes educator easily and interestingly approach learner and estimating method which is objective and fair. 2. Research of syntax education In this research, we will cover following things. First, studying syntax education through syntax structure of words of Chinese writing. Second, studying syntax education through structural patterns of sentences of Chinese writing. Third, studying how to improve the sentence interpreting ability through educating patterns of sentences of Chinese writing. Fourth, studying teaching method of syntax. Last, studying method of evaluation of syntax. 3. Research direction of education history of grammar of Chinese writing Researching education history of grammar of Chinese writing should be started from historical research in the process of teaching Chinese writing. It should also be started through transition process and content of grammar education of Chinese writing in the Chinese writing education process at middle, high school, from ``Education-important period`` to ``2011 revised Education-course period`` which is carried out at school recently. Also teaching method and evaluating method of education history are studied.

      • KCI등재

        한문문법(漢文文法)의 통사론교육론연구(統辭論敎育論硏究)

        안재철 ( Jae Chul Ahn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4 한문교육논집 Vol.42 No.-

        이 논문은 한문문법 통사론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연구 방향을 제시한 논문이다. 이 논문에서 주로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려 한 것은 한문문법 통사론 지식을 통해, 흥미를 가지고 漢文原典에 다가가 해석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과 敎授者입장에서 학습자에게 통사론적으로 한문을 교육시키는 것 등이다. 이 논문에서 주로 살펴 보려한 것은 통사론 교육의 목표, 통사론 교육의 내용, 통사론 교육론의 교수법, 통사론 교육론의 평가법 등이다. 1. 統辭論敎育의 目標 1.1 문장의 개념과 유형을 안다. 1.2 문장의 구성 원리를 안다. 1.3 문장 성분을 안다. 1.4 문장의 기본구조와 확장구조를 안다. 1.5 복합문의 구조를 안다. 1.6 문장의 종류(Sentence Form)를 안다. 1.7 문장을 풀이하고 이해한다. 2. 統辭論敎育의 內容 2.1 통사론 : 통사론은 단어(詞)들이 결합하여 문장을 구성하는 원리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2.2 文章構成原理: 문장은 몇 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 구성 요소를 文章成分이라 한다. 문장성분에는 必須成分과 附屬成分이 있다. 필수성분은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이고, 부속 성분은 冠形語, 副詞語, 獨立語등이다. 2.3 漢字語의 生成과 漢文構造를 통한 讀解(統辭論) 敎育: 한자어의 구조는 한문문장의 구조와 類似하다. 그러므로 한자어의 구성 방식을 이해하고 한문 문장을 讀解한다면, 쉽고 재미있게 의미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2.4 漢文文章의 構造類型을 통한 讀解(統辭論) 敎育: 한문 문장의 구조 유형을 익히고, 독해를 하면, 효과적이다. 單文의 경우는 기본구조와 확장구조를 통하여 구조 유형을 익히고, 複合文의 경우는 병렬, 주종, 포유, 혼합 복합문 등의 구조 유형을 통해 다양한 문장을 익힐 수 있다. 2.5 漢文文章類型을 통한 讀解(統辭論) 敎育: 현행 2011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는 문장의 유형을 敍法을 기준으로 ‘平敍文, 疑問文, 命令文, 感歎文’으로만 설정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여러 가지 유형의 문장을 익힐 수 있다. 2.6 漢文文章의 大單元分析을 통한 讀解(統辭論) 敎育: 한문의 대단원의 문장을 실제 분석을 통해, 글의 주제와 전체 의미를 파악하기 위하여서는 두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첫째 방법은 ‘漢字→大單元’으로 한 단계씩 문장을 파악하면서 올라가는 방법이 있을 수 있고, 둘째 방법은 ‘大單元→漢字’로 거슬러 내려오면서, 글의 구조를 파악하고 주제와 전체 의미를 파악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3. 統辭論敎育論敎授法 통사론의 교수-학습법은 통사론의 내용들을 학습자들이 쉽고 재미있게 체계적으로 그 원리를 터득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문장에 관한 讀解指導法에 대한 연구는 ‘虛辭지도를 통한 독해지도법’, ‘語順4. 統辭論敎育論評價法漢文(文言文)에 대한 통사론 교육론 평가는 통사론의 교수- 학습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한문과 통사론 교육론의 평가는 통사론의 문법적 원리와 기능과 의미기능, 구조와 결합의 원리들을 실제의 자료를 통해 학습자 스스로 발견하게 하고, 그 과정에서 관찰력, 판단력, 분석력, 종합력 등을 평가하면 좋을 것이다. 한국에서 통사론 교육론 평가법은 현행 중·고등학교 한문교과에, 현행 교육과정에 기반을 둔 漢文科成就基準및 成就水準이 개발이 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중학교 ‘한문지식’ 중 ‘문장’ 영역의 성취 기준 및 성취 수준의 경우만을 살펴보았다. 4.1. 中學校漢文文章領域의 成就基準및 成就水準중학교 한문교과의 ‘문장’영역의 교육과정 내용과 성취기준 그리고 단위 성취수준은 교육과정 ‘문장’영역에 대한 각각의 내용요소에서 성취기준이 상세하게 記述되었으며, 각 성취기준에 따라 성취수준을 다시 ‘상, 중, 하’의 3단계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문장 영역의 성취기준 단위 성취수준을 기술할 경우, 성취수준(상, 중,하)간에 질적인 차이를 구분할 때, ‘상’수준은 ‘설명할 수 있다’, ‘중’수준은 ‘말할 수 있다’, ‘하’수준은 ‘조사할 수 있다’라는 行動動詞를 사용하였다. 또한 ‘상’수준에서는 ‘구별하다’, ‘활용하다’ 등의 어휘를 사용하여 ‘중’ 수준과 도달한 정도에 차이를 두어구별하였다. This thesis suggests the research direction of educating syntax of Classical Chinese Grammar in Korea. This thesis mainly focuses on two things. First, developing Korean`s interpretation ability to the original text through the knowledge about syntax of Classical Chinese Grammar. Second, studying the way instructors teach Classical Chinese in syntactic methods. In other words, we will look through the objects, contents, instruct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 of educating syntax. The objects of educating syntax 1.1 Know the concept and type of sentence 1.2 Know the constituting principle of sentence 1.3 Know the constituent of sentence 1.4 Know the basic sentence pattern and expanded pattern of sentence 1.5 Know the complex patterns of sentence 1.6 Know the sentence forms 1.7 Interpret and understand the sentence 2. The contents of educating syntax 2.1 Syntax : Syntax is the study of comprising principles of sentences by vocabularies. 2.2 Comprising principles of sentences : Sentence consists of some elements, and we name them components of sentence. There are essential and annex components. The subject, the predicate, the object, and the complement are essential components. The determiner, the adverb, and the independent element are annex components. 2.3 Reading comprehension education through formation of vocabulary and structure of sentence : Sino-Korean words are similar to the structure of Classical Chinese sentence. Therefore, if person understands composition of Sino-Korean words firstly, and reads Classical Chinese sentences, then that person can understand the sentence more easy and interestingly. 2.4 Syntax education through studying structure types of sentences : It is effective when person learns many types of Classical Chinese sentences and then reads them. In the case of simple sentence, people learn structures through basic and expanded structures. And in the case of complex sentence, people learn many sentences through studying types of structures such as parallel, master and servant, containing, and mixed types. 2.5 Syntax education through studying types of sentence : In current revised Classical Chinese subject curriculum, it establishes types of sentence to ‘declarative, interrogative, imperative, exclamatory’. Through this people can learn various types of sentences. 2.6 Syntax education through analysis of chapters : There are two ways to comprehend topic of writing. First, there is the way to go upward through sentence in the level of ‘words’ to ‘chapter’. Second, there is the way to go downward in the level of ‘chapter’ to ‘word’. 3. Instructing method of syntax It is recommended that students learn the principles and contents of syntax, easy and systematically in the point of ‘instructing-learning method’. For the researches of reading instruction method, there are ‘Reading instruction method through pseudo-element’, and ‘Reading instruction method through word order’. For the instructing methods about word order, there are ‘comparison method’, ‘repetition method’, ‘substitution method’ and ‘search-out method’. 4. Evaluation method of instructing syntax Evaluation of instructing syntax about Classical Chinese should be done as an extension of ‘teaching and learning syntax’ Instructing syntax about Classical Chinese can be evaluated by following questions. “Can learners find, by on their own, grammatical functions, meanings and combination principles of syntax through real materials?” And we can evaluate learners abilities of observation, judgement, analysis and synthesis in that process. In Korea, achievement levels and standards are developed, which are based on current curriculum of Classical Chinese subject in middle.high school. So we studied evaluation method of instructing syntax by these criteria.

      • KCI등재

        "교육학적"의 용례 분석

        장지원 ( Chi Won Chang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5 교육철학연구 Vol.37 No.1

        ‘교육적’과 ‘교육학적’은 형태와 의미를 볼 때 명확히 구분되지만 실제 언중들의 사용에서는 그 차이가 두드러지지 않는 현상을 보인다. 이러한 경향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 하나는 교육학의 도입 과정을 고찰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교육학적’과 결합하는 후행명사들과의 관계에 주목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2장에서 개화기 시기 이후 ‘교육학’에 대한 대중적인 인식이 형성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애국계몽운동 시기에 확산된 교육학은 ``교육에 대한 학``이라는 표층구조와는 달리 내면적으로는 신교육을 위해 교사들에게 요구되는 지식과 기술로 간주되었다. ‘교육학’이 ‘-적’과 결합하여 통용되는 현상이 시작되면서 교육학에 대한 이와 같은 이해방식은 점차 일반화되었다. 3장에서는 ‘교육학적’이 후행명사와 결합한 용례를 분석하였다. 후행명사들은 의견 제시와 사실 기술의 두 형태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의견 제시의 경우 ‘교육학적’은 화자의 의견을 정당화하는 판단의 기준으로 작동하게 된다. 사실 기술의 성격을 지닌 후행명사에 대해 화자는 교육학에 대한 설명을 전달해야만 그 의미가 명료해진다. 의미, 의의, 가치 등은 교육학적과 결합할 때 표면적으로는 객관적 사실을 전달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화자의 의견을 제시하고 있어 충분한 사전설명을 통해 화자와 청자 사이의 혼선을 줄일 필요가 있다. 교육학적은 ``교육학계``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며 일부 형태는 관용화되어 ‘-적’이 탈락하는 현상을 보인다. ‘교육적’을 사용해야하는 상황에서 ‘교육학적’을 사용하는 이유는 자신들의 주장을 ‘교육학’이라는 학적 권위에 기대 정당화하고자 하는 의도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교육학적’에 대한 분석은 ‘-적’의 대표성과 이미지화에 주목한 것으로 궁극적으로는 교육학의 본질을 탐색하고자 하는 시도와 연결되어 있다. In this paper I tried to analyze the problem of ambiguity on adjective educational in Korean. By focusing the conceptual study and syntactic analysis, the reasons of lots of meaning of ``educational`` came out as follows. One reason i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science of education in Korea, the other reason is the meaning and function of suffix ‘-적(的)’ which put after nouns and makes the words adjective in Korean. Education can be translated into two Korean Vocabulary the one is science of education and the other is education, and I focused on the former meaning. In Chosun Dynasty, the meaning of education is endless study and research on greatness which can be found in Great Learning(大學). The method of education is reading and confucianism textbook. However in 19th century there were great invasions from western society, and Japanese Imperialism began to start colonize near countries such as Ryuku and Formosa. From this atmosphere, the Korean intellects tried to adopt to western education theory from Japan to exchange educational method from traditional to western and to enhance their power to independent from Japanese Imperialism. For this context, the term science of education in Korea were inclined to practical and were different from the scientific study on education which was similar to the approach of Wissenschaft. Korean suffix ``-적`` combine after nouns and makes the adjective forms of the nouns. The original meaning of ``-적`` is target and purpose of something, however it is morphed into the suffix to connect western terminology into the Chinese and Japanese. After in 1890s ``-적`` was came to Korea for its various utility in sentence structure. The meaning of ``-적`` is really various and greatness of the word-making ability is so great, it makes a lot of people use the suffix very much. However ``-적`` has weakness in that it lacks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root noun. Therefore the meaning of educational is so ambiguous and makes lots of problems of understanding and translations.

      • KCI등재

        표준 국어 문법의 구축

        유현경,한재영,강현화,구본관,이진호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6 언어와 문화 Vol.12 No.4

        This study, presented in a form of an interim report, is focused on the process of developing a standard Korean language grammar. It aims to examine processes of developing grammatical systems which could be standardized and referenced in Korean linguistics, Korean language educatio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or simply the language use of the general population. For the aim we examine concepts, characteristics, grammar describing attitude and spectrum of the standard grammar development. We also examine basic principles required for a standardized grammar terminology proposal which is to form a foundation of the standard grammar’s description. Phonology, morphology, syntax and discourse theory related content that has been dealt with up to now is also briefly introduced in the study.

      • KCI등재

        진해 교육시설의 시대별 배치 특징에 관한 공간통사론적 해석

        양승정(Yang, Seung-Jung),이현희(Lee, Hyun-Hee),이재홍(Lee, Jae Hong) 한국교육시설학회 2015 敎育施設 Vol.22 No.3

        Jinhae's educational facilities had been located in the most integrated area at the beginning. As Jinhae's spatial layout has been in a rapid growth by constructing new towns and experiencing major consolidations over years, it was argued that this morphological transformation inevitably brought to the change of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facilities' arrangement. In this reason, a number of studies have discussed the ways of how they have been settled down from the beginning of Jinhae. However, they did not take into an account of both the first consolidation happened in 1985 and the second one in 2013. This paper therefore aims to investigate how Jinhae's urban structure has been transformed between the two consolidations from a syntactical perspective, and then to interpret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facilities arrangement accordingly. This study finds out that when Jinhae experienced the first consolidation, educational facilities were occupied in highly segregated areas in terms of both global and local integration values. However, their locations turned out to be more intelligible after the second consolidation. This suggests that the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cess of urban growth at local level. Although the educational facilities particularly in Pungho and Ungchun are in highly integrated spaces at global level, they are still less intelligible.

      • KCI등재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 Performance with Barrier and Seating Layouts in the Classroom: Using the Spatial Syntax Visual Access and Exposure Model

        김민영 한국디자인학회 2022 디자인학연구 Vol.35 No.3

        Background The South Korean education system encourages classrooms to create a suitable environment for active interaction and high performance. However, human behavior can differentiate depending on one’s physical surroundings in the learning space. This research explores the effect that barriers and seating layouts have on classroom design and interaction performance through spatial syntax Visual Access and Exposure (VAE) analysis. Methods In the classroom, both instructors and students preferred having equal levels of visibility and information access with one another. Therefore, equal levels of Visual Access (VA) and Visual Exposure (VE) for each classroom inhabitant was recommended. The researcher analysed 16 types of barrier layouts for each of the 4 different standard classroom seating layouts, using VA and VE levels to determine preferable barrier designs that brought out the highest interaction performance among class participants. In total, there were 64 classroom samples, a combination of 16 variation types of barrier layouts, and 4 variation types of seating layouts, to run a VAE test. Results The highest interaction performance classroom design was selected by the lowest ranked coefficient of variation (CV) values of VA and VE. The barrier did affect the interaction level for classroom participants, and each seating layout had different barrier recommendations. The classroom sample with a closed barrier and a hallow-shape seating arrangement had the lowest CV for VA and VE levels. Conclusions Designing a space with an evenly distributed VA and VE level facilitates greater interaction. Thus, different barriers create a different environment to support group interaction. The data collected from this research offers a prototype design solution. Although not generally applicable to all classroom activities, the research results may be beneficial for design practitioners and space users looking to create or join an interactive and collaborative workspace. In addition, the results can provide insight into how spaces influence social relationships through human visibil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