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한제국기 평택지역 계몽운동의 전개양상과 성격

        서태정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2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71

        평택지역은 지리적인 위치로 인하여 동학과 기독교 등의 유입이 비교적 쉽게 이루어졌다. 20세기 초반 경부선 개통에 따라 상업중계지로서 성장하는 주요한 계기였다. 철도 개통으로 성장한 대표적인 근대 도시 중 하나이다. 이는 주민들에게 급변하는 시대상을 직접 목격ㆍ체험하는 현장이었다. 이곳 최초의 공립학교인 진위소학교는 1898년 사립으로 설립되어, 주민들의 청원에 의해 1899년 공립화되었다. 설립자인 이범철은 신문과 잡지, 열국사기 등을 통해 조선이 처한 현실적인 문제를 두루 인식하였다. 국가적인 위기상황 타개를 위한 방책은 근대교육 진흥임을 강조했다. 이는 의무교육 시행을 역설하기에 이르렀다. 그는 학교 운영에서 파생되는 재정적인 문제 등을 해결하고자 흥학회를 조직하였다. 근대교육운동 실천을 위한 장기적인 방책은 여기에서 엿볼 수 있다. 주민들 또한 시세변화와 더불어 근대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절감하는 상황이었다. 학교 유지를 위한 자발적인 모금과 유지회 결성 등은 이를 반증한다. 근대교육에 대한 열망은 사회적인 책무로서 인식되는 분위기였다. 사립교육기관은 보통소학교 과정 외에도 사범양성학교ㆍ노동야학회ㆍ강습소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졌다. 1906년 고종의 ‘사학설립 조칙’ 반포 이후 전현직 지방관들은 사립학교설립운동에 적극적이었다. 이는 을사늑약과 통감부 설치 등 일제의 식민지화가 본격적으로 추진되는 상황과 맞물려 전개되었다. 근대교육은 부국강병을 위한 시무책이자 국권회복 일환임을 의미한다. 1907년 3월 평택군 주사 박준화와 진위공립소학교 교원 윤대선의 국채보상운동 참여에 대한 격절권고는 경쟁적인 참여로 이어졌다. 신문기사에 나타난 모금자는 전ㆍ현직 관료나 유림ㆍ계몽운동가뿐만 아니라 여성ㆍ학동ㆍ상인ㆍ종교인 등 다양한 계층이 참여했다. 특히 학동들은 저녁 끼니를 아껴 의연했으며, 단체조직이 전무했던 여성 참여도 두드러졌다. 이는 민중들의 각성과 현실인식 심화로 이어졌다. 경험적인 산물은 ‘사회적인 책무’를 자각하는 주요한 계기였다. 사립학교 설립운동과 국채보상운동은 부국강병을 위한 문화계몽운동이지만 ‘국권회복’을 추구하는 시발점이었다. 평택지역 학교 설립의 주체자 중 국채보상운동 참여 역시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흥학회의 발기인인 진위군수 백남규와 이범창ㆍ이범철과 진문소학교의 교원인 고제항, 마두리 사숙의 설립자 이병철도 국채보상 모금에 참여하였다. 이는 학생들 참여와 일반 민중들의 각성으로 이어졌다. 사회운동의 참여는 당시 현실문제에 대한 관심을 증폭시키는 요인이었다. 계몽운동을 주도한 계층의 차후 행방은 대부분 모순된 현실을 적극적으로 개혁하기보다 원만한 타협을 추구하였다. 진흥의숙 설립자 이범창은 대동학회 회원, 진위군수 김영진은 총독부 중추원 참의까지 올랐다. 이들은 사회진화론 영향으로 다양한 계몽운동을 펼쳤다. 그러나 문명개화론에 매몰되어 약육강식을 현실적인 사회질서로서 수용하는 등 한계를 보였다. 이는 대한제국기 계몽론자의 인식 한계이자 계몽운동이 지닌 한계점이었다. Due to its geographical advantages, Donghak and Christianity entered Pyeongtaek area more easily than to other regions. With the opening of the Gyeongbu line in the early 20th century, Pyeongtaek area became one of the modern cities that quickly developed as a center of commerce. The residents had an opportunity to observe and experience the quickly changing phases of the times. The first public school was Jinwi Elementary School, which was established in 1898 as a private institution, but changed into a public school in 1899 with the petition of residents. The founder Lee Beom-cheol fully recognized the realistic issues of Joseon from newspapers and magazines. He emphasized the promotion of modern education to overcome the national crisis. He organized Heugnhak Hoei to solve any financial problems derived from operating school. This was a long-term measure to practice the campaign for modern education. Residents also felt the necessity of modern education amid the changes in the times. Efforts to maintain the school such as voluntary donation and formation of Yooji Hoei show how strong their desire was. The desire for modern education was perceived as a social obligation. Other than the elementary school course, private institutions like normal schools and labor night schools were operated. After Emperor Gojong‘s ’Rotyal edict on Private School Establishment‘ was promulgated in 1906, former and current local government officials began to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movements to establish private schools. In March 1907, the participation of county clerk of Peongtaek Park Joon-hwa and a faculty at Jinwi Public Elementary School Yoon Dae-sun encouraged an aggressive participation. Donors listed in the newspaper included not only former and current government officials and enlightenment movement activists but also women, school children, merchants and religious leaders. Fruits from the experience were the crucial motivator that awaked ‘social obligations.’Movements to establish private schools and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were culture and enlightenment movements that aimed to enhance national prosperity and defense, but also were the starting point that called for the ‘recovery of the sovereignty of the nation.’ This is the reason why it is not difficult to find people who were founders of schools in Pyeongtaek area who were also a participant of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Founder of Heunghak Hoei Nam-gyu Baek Lee Beom-chang, Lee Beom-chul, the teacher of Jinmun primary school Ko Je-hang, and founder of Madoori private school Lee Byeong-chul also had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debt repayment donation. This effort was continued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and the public. The ones who led the enlightenment movement later sought after amicable agreements rather than trying to actively reform the contradicting reality. Later, the founder of Jinheungeuisook Lee Beom-chang became a member of Daedong Society, and the governor of Jinwi Kim Young-jin became a government general, Jungchuwon counsellor. With the influence of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they participated in various enlightenment movements. However, the movement hit a limit as it was buried by the civilization-enlightenment theory, and as people accepted the law of the jungle as the realistic social order. This was the limit of the understanding that enlightenment movement activists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and the enlightenment movement itself had.

      • KCI등재

        일제강점기 후반 불교계의 동향과 한용운의 불교사상

        이덕진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화예술연구소 2014 불교문예연구 Vol.3 No.-

        일제강점기 후반 불교계의 당면한 과제는‘자주권 확립’과‘민족해 방운동’이었다. 주류적 흐름이었던‘불교계의 자주권 확립’은 전통 불교 생존의 측면은 물론이거니와, 왜색불교에 맞선 우리불교 정체 성의 수호와 함께 불교의 대중화 및 활성화라는 측면, 더 나아가 사 찰령 등에 맞서서 우리나라의 전통 불지(佛旨)를 잇고자 하는 노력이 었다. 그러나 대다수의 불교계 인물과는 달리 만해는‘민족해방운동’ 에 보다 중점을 두었다. 만해는 꺼져가는 불법을 되살리고 그 대중화 및 활성화에 천착했지만, 보다 큰 안목으로 일제로부터의 조선 독립 에 더 큰 의미부여를 하였다. 하지만 그렇다 하더라도‘자주권 확립’ 의 차원에서 한국불교의 주체적 발전 방향을 끊임없이 모색하였다. 초기의 저작인『조선불교유신론』에서 만해는 불교적 계몽주의자로 서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만해는 이 글에서 불교사상에 기반을 두 지만 서구의 사회진화론을 수용하여 봉건적인 불교의 개혁을 주장한 다. 하지만 사상의 원숙기에 이르면서『십현담주해』를 완성하고『유 마경』을 번역한다. 요컨대 여기에서 볼 수 있는 만해 사상의 요체는 실천불교인‘대중불교’이다. 만해는 한편으로는 불교를 통해서 세상을 구하겠다는 강렬한 구세 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조선불교계의 출세간적인 면모에 대해서 강렬한 비판의식을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그의 구 세의식은 깨달은 자의 우월의식이 아니라 저자거리에서의 동참의식 이다. 이런 의미에서 만해의 선은 대중들이 행할 수 있는 선이며, 그 가 표방하는 바의 보살행은 구원(救援)이나 시혜(施惠)이 아니라‘더 불어 삶’이다. 만해는 이러한 입장에 대한 구체적 실천을 위한 안을 제시하는데, 그것이「조선불교의 개혁안」이다. 그는 이 개혁론에서 초기의『조선불교유신론』을 계승하면서도 당시 변화된 불교계의 동 향에 유의하여 개혁의 당위성, 그리고 대상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만해를 근·현대 한국불교계를 대표할 수 있는 가장 뛰어난 선지식 중의 한 분이라고 하는 것은 그에 대한 적당한 표현이 아니다. 오히 려 그는 한국근대사의 중심에서 민족이 가야할 길을 묵묵히 걸어간 지사였다. 만해가 민족운동가, 독립운동가, 선사, 선생 등의 여러 가 지 명칭으로 회자되는 이유는, 그가 항일민족운동에 매진하였을 뿐 아니라 하나의 명사로는 그를 제대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문학, 사상, 불교, 지성 등 각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행적을 우리에게 남겼 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서 만해의 개혁은 불교 개혁을 포함하여 철저하게 대중보 다 한 발 앞서 갔다는 점에서 아주 특별하다. 그뿐만 아니라 수많은 저작과 실천을 통하여 봉건불교의 개혁 그리고 일본 제국주의 식민 지 상태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투쟁의 행적을 우리에게 남겨 놓았 다는 점에서도 만해는 우리에게 아주 의미심장하다. Urgent task of Buddhist circle in the late Japanese ruling period was ‘establishment of autonomy’and ‘national liberalization movement’. ‘Establishment of autonomy in Buddhist circle’which was a mainstream not only intended survival of traditional Buddhism but also keeping identity of Korean Buddhism against Japanese Buddhism. This also aimed at popularization and activation of Buddhism. Furthermore, this was an effort to transmit traditional Korean Buddhist spirit. But differently from most of figures in Buddhist circle, Manhae put focus on ‘national liberalization movement’. Manhae strived to recover dying Buddhism and concentrated on popularization and activation of Buddhism. Rather, he gave larger meaning on Joseo’s independence from Japan from long view. But even for this, he explored direction of independent development of Korean Buddhism from dimension of‘ establishment of autonomy.’ In this early writing,『 Joseon Buddhism Yooshinron 朝鮮佛敎 維新論』, Manhae shows himself as Buddhist illuminati. The writing of Manhae is based on Buddhist thoughts but insists reform of feudal Buddhism by accepting social evolution theory of the West. In his mature period in thoughts, he completed 『Siphyundamjuhae 十玄談註解』and translated 『The Vimalakirtinirdesha Sutra 維摩經』. In conclusion, main point of Manhae thoughts seen here is‘ popular Buddhism’. On the other hand, Manhae had strong consciousness to save the world through Buddhism while he had much critical consciousness about aspects of the supra-mundane world or realm in Joseon Buddhist circle. Rather, his consciousness to save the world is not consciousness of superiority of enlightened one but is consciousness of participation in the midst of this world. In this sense, Seon of Manhae is one which the public can do and Bodhisattva conduct that he emphasizes is‘ life together with the others’not salvation or dispensation. Manhae suggested concrete solutions to implement such position. This is the very 「proposal for reform of Joseon Buddhism」. He succeeded his early 『Joseon Buddhism Yooshinron 朝鮮佛敎維新論』in the reform theory. Furthermore, he gave attention on trend of changed Buddhism circle then and suggested appropriateness, object, and method of reform It is not proper expression that Manhae is one of most outstanding Seonjisik(善知識) who can represents Korean Buddhist circle in recent and present era. Rather, he was a patriot who walked on path, on which Korean people should go in the center of Korean recent history. Manhae is named National movement activist, activist for independence, Seon master, teacher etc. This is because he not only strived to do national movement against Japan, but also had outstanding performances in several fields such as literature, thoughts, Buddhism, intellect etc. In addition, reform of Manhae including Buddhism is very special because he went ahead of the public. He also tried to reform feudal Buddhism through many writings and implementation, and struggled to overcome colonial condition by Japan in various ways. Thus, Manhae is very meaningful to us.

      • KCI등재후보

        임시정부에 대한 남북한의 견해 차이 비교

        양정훈 한국보훈학회 2013 한국보훈논총 Vol.12 No.4

        It has been 60 years since Korea began to live with agony of national division. From directly after the liberation, it can be said that historical studies of North and South Korea have gone through different pathways due to the dissimilarity of their own realistic situations. For this reason, two nations, for over sixty years, researched and educated history for their own distinctive purposes and by disparate methodologies. This means that two Koreas each insist their legitimacy of regimes to interpret and educate history. Moreover, there are contentions in international society that North Korea is driving a conflict to dead end, instead of settling it by sincere communication. This kind of behavior of the North does not correspond to what North Korea say it pursues; a united people in a united nation. The North even dared to launch a rocket on 12 December back in 2012, followed by the third nuclear test 12 February following year which left the rest of the world in shock. This is not acceptable whatsoever. As such we need to resolve the pain of a divided nation that has itgie rationale of this study is also in progress for this purpose have been. Both Koreas went through Japanese colonialism era, which gave true legitimacy of national history. It was a matter of the role played in national liberation. Hence, two governments should embody ancestors' spirits and pay attention to what people say. Only when the governments successfully understand the wills and wishes of the nation —desires to be realized through national liberation— will they be able to gain objective evaluation of how much support they received. In this respect, accurate historical knowledge about the provisional government should re-evaluated from both North and South Korean people's point of view, who have to stand the division of territory and the neoliberalism reorganization, to elicit today's practical task from the study. 분단의 아픔을 가지고 살아온 지 어언 60여년. 해방 직후부터 남북한 역사학은 각자의 현실적 상황과 맞물려 상이한 경로를 거쳐 왔다고 볼 수 있다. 이로 인해 남과 북은 60여 년이 넘는 기간 서로 다른 연구목적과 방법론으로 역사연구를 진행하고 교육하였으며, 역사서를 서술해 왔다. 또한 서로의 체제 정당성에 따른 논리를 앞세워 역사의 해석과 교육을 진행해 왔다. 이러한 시각에서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정을 거치는 동안 남북한의 역사에 대한 인식이 얼마나 달리 표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임시정부 사례를 토대로 그 차이를 상호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임시정부에 대한 남북한의 인식차가 현상적으로만 비교․분석할 때 돌아올 수 없는 자유의 다리만큼이나 괴리가 심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차 극복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역사적 사실에 대한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연구를 통한 더욱 풍부한 연구성과 축적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특히 쟁점화 되고 있는 이데올로기적 선입견이나 대립보다는 전문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한 치열한 상호 토론 속에 민족해방운동사의 합법칙인 발전과정과 이의 한 단계로 자리 잡은 임시정부에 대한 새로운 역사상 재구성 노력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이 같은 임시정부에 대한 올바른 역사인식은 남북이 안고 있는 오늘의 괴리를 극복하고, 통일을 위한 초석을 놓는데 기반이 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 조봉암의 평화통일론 재검토

        정진아(Chung Jin A)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2009 통일인문학 Vol.48 No.-

        과거는 현재와 만나면서 끊임없이 재해석된다. 조봉암의 평화통일론 또한 평화통일론에 하나의 원형을 제시한 모델로서 뿐만 아니라 현재와 만나면서 끊임없이 재해석되어야 한다. 조봉암의 평화통일론은 이승만의 북진통일론이 통일론을 전유하는 상황에서 평화통일론의 원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의 평화통일론은 분단을 온몸으로 막아내고 통일정부를 수립하고자 했던 해방후 중간파의 통일정부수립론을 계승하여 평화통일문제가 단지 통일문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한반도에 국제적 긴장완화를 실현하고 사회의 민주화와 자주화, 그 결정체로서 통일을 실현하는 문제라는 점을 보여주었다. 또한 그는 좌우파 정치세력에게 이상적 이념형으로 존재해온 미국의 자본주의, 소련의 사회주의를 비판적으로 사유함으로써 통일을 주체적으로 사유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조봉암의 평화통일론은 이러한 의미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중대한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첫째, 그는 통일의 주체를 남북의 민족 구성원 전체로 설정하지 않고, 남한 중심, 남한 민주세력 중심의 통일론을 주장했다. 냉전적 사고가 일정하게 투영되어 있었던 것이다. 둘째, 통일문제를 접근하는데 있어서 남북관계의 제약성을 이해하지 못했다. 이는 남북한 정권을 미국과 소련에 종속된 존재로서만 이해한 결과였다. 따라서 조봉암의 평화통일론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면서 우리가 해결해야 할 과제는 무엇보다도 먼저 남북의 정권을 비롯한 민족 구성원 모두를 통일문제 해결의 주체로 인정하고, 통일의 원칙과 방안에 대한 민족적 합의를 이루는 것이다. 또한 하루빨리 한반도 긴장의 주역인 북한과 미국, 통일의 주역인 남한과 북한, 반공동맹을 형성하고 있는 남한과 미국의 관계를 재정립함으로써 평화로운 통일의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통일에 대한 전민족적 합의를 이루어내고, 한반도 긴장의 주역인 남한과 북한, 미국이 합의하여 평화체제를 수립하는 것, 그것이 진정 미래의 한반도를 평화와 통일로 인도할 수 있는 길이다. The past is reinterpreted unceasingly as it meets the present. Cho Bong­am’s theory of peaceful reunification should also be reinterpreted continuously not only as a model that suggested a prototype for theories of peaceful reunification but also as a past idea encountered today. Cho Bong­am’s theory of peaceful reunification has a critical meaning to us in that it provided a prototype for theories of peaceful reunification in the situation that Rhee Syng­man’s theory of reunification through marching north was dominating debates over reunification. Inheriting the middle­ofthe­ roader’s theory of united government after the liberation, which aime to prevent the division of the country by throwing the body and to establish a united government, his theory of peaceful reunification demonstrated that peaceful reunification was not limited to the issue of reunification but was for easing international tension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and achieving the democratization and independence of the society. Moreover, the theory opened a way for the subjective speculation on reunification by critically discussing the capitalism of the U.S. and the socialism of the U.S.S.R., which had been ideal ideologies for the left and right political groups. Although having these significances, Cho Bong­am’s theory of peaceful reunification has a number of serious limitations. First, it did not include all the people of South and North Korea as the subject of reunification, but insisted on reunification led by South Korea and democratic powers in South Korea. This suggests that his idea reflects the cold­war thought. Second, he did not understand restrictions coming from the rel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approaching the issue of reunification. It was because he regarded the South and North Korean regimes as subordinate to the U.S. and the U.S.S.R.,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tasks we should do while reflecting on Cho Bong­am’s theory of peaceful reunification critically are acknowledging all national members including the South and North Korean governments as the subject of reunification and reaching a national agreement on the principles and methods of reunification. Moreover, we need to foster environment for peaceful reunification by reestablishing the rel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S. as the main actors of tension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s the parties to be unified, and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S. as anti­communist allies. Achieving a national agreement on reunification and establishing a peace system agreed upon by South and North Korea and the U.S. that guarantees the national agreement, this is the only way to the peace and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future.

      • KCI등재

        북한의 최근 법제 동향과 전망 : “북한에도 법이 있는가?”에 대한 성찰

        장명봉 법무부 통일법무과 2010 統一과 法律 Vol.- No.1

        This paper provides a general description of the North Korea's legislative trends including recent constitutional reform and attempts to foresee its outlook. The introduction of 'Theory of reinforcement of a socialist law-abiding life', which has been emphasized meanwhile in North Korea and 'Theory of Establishment of a socialist constitutional state' that presents these days would be given first of all. Subsequently the result of the efforts for the completion of a socialist legislative system(Codification) is continued. After giving the outline of the recent key statue laws, the major contents of a law on arbitration in foreign economy, which was recently amended, and some features that are found in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in 2009 would be followed. In the last work it would be covered, how to build the North Korea's socialist constitutional state and what's the next of it. Raising 'Theory of Establishment of socialist constitutional state', to stand firmly on its successful realization of the "Songun(Military-First)" Politics, today North Korea strongly stress on the all of the citizen's respect and observance of the national law. At the same time North Korea asserts to reinforce the socialist law-abiding life in all kind of field of revolution and establishment and to keep legislate, revise and supplement the laws to meet the demands of the era of “Songun(Military-First)” and to complete the socialist legal system constantly. All things taken together, it seems that North Korea will tight up the national undertaking of legislation for the completion of a socialist legal system. As an idea under the leadership of party, the north korean theory of establishment of a socialist constitutional state is different in essence from south korean, but a gradual transition to a constitutional nation in north korean society is expected in future. In other words, at a glance of the contents of recently legislated and amended laws in North Korea, instead of an ideological elements, the function and role as an objective social norms is expected and it might be possible, that north korean society would make a change from a country under the rule of instruction to a law-governed country. 이 논문에서는 북한의 최근 헌법개정을 비롯한 전반적인 법제동향을 개괄적으로 서술하고 향후 전망을 시도해 보기로 한다. 먼저 북한에서 그동안 강조되어 온 ‘사회주의법무생활 강화론’과 근자에 제기되고 있는 ‘사회주의 법치국가 건설론’에 관한 북한에서의 이론을 소개하고, 이어 북한의 사회주의 법제 완비를 위한 구체적인 노력의 성과(법전발간)를 정리한다. 다음에 최근의 주요 제정법률들의 개요를 다룬 후 최근 개정된 대외경제중재법의 주요내용과 2009년 헌법개정의 특징을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맺음말에서 북한에서 주장하는 ‘사회주의 법치 국가건설’ 의 방도와 그에 대한 전망을 다루어 보기로 한다. 오늘날 북한은 ‘사회주의 법치국가 건설론’을 제기하면서 선군정치의 성과적 실현을 확고히 담보하기 위해 모든 공민들의 자각적인 국가의 법 존중과 준수를 매우 강조하고 있다. 동시에 선군시대의 요구에 맞게 혁명과 건설의 모든 분야에서 사회주의 법무생활 강화를 강조하고 법을 제정하고 수정보충하며 끊임없이 사회주의 법률제도를 완성해 나가야 한다고 한다. 이로 미루어 앞으로 북한은 사회주의 법률제도 완비를 위해 법제정사업을 강화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주장하는 사회주의 법치국가 건설론이 당적 영도하의 사회주의 법치국가 건설론으로서 우리의 법치국가 개념과 본질적으로 다르긴 하지만 앞으로 북한 사회에서도 점차로 법에 의한 통치로의 변화가 기대된다. 다시 말해 근자에 제정 또는 개정된 북한의 법률들의 내용을 일별할 때, 이데올로기적 요소가 줄어들고 대신 객관적 사회규범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이 기대됨으로써 북한사회에서도 앞으로 교시에 의한 통치로부터 법에 의한 통치로의 변화가 서서히 진행될 가능성이 엿보인다.

      • KCI등재

        1920년대 민족주의 운동과 기독교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 기독교사회윤리의 관점에서

        김명배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9 기독교사회윤리 Vol.43 No.-

        This article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ism and Christianity in the 1920s. When Korea became a Japanese colony in 1910, The Korean national movement is divided into two groups: Sillyeogyangseonglon(실력양성론) and Mujangtujaenglon(무장투쟁론)During the 1920’s, the former was to develop into ‘the right-wing of bourgeois nationalist movement’ that claims to Products encouraging movement, Educational movement by founding school in various levels, and Self-government movement. The latter was developed as ‘the left-wing of bourgeois nationalist movement’ that proclaims to Political struggles and absolute independence based on the People. During the 1920’s, the right-wing of nationalist experienced the division of the forces through the culture governing policy of the Japanese imperialism. In the course of this division, the right-wing of nationalist movement wanted to explore each of the theory of the state construction through mutual solidarity and interconnectedness. In this process, Christian nationalists have adopted the principle of democracy based on political justice and humanitarianism after the 3.1 movement as the basic principle of national movement, as they adopted Protestant capitalist economic ethics, socially pursued social transformation ethics based on Social remodeling and social gospel. 이 글은 1920년대 민족운동과 그에 기독교민족주의자들의 윤리를 다룬다. 1910년 한일합방이 되자, 국내의 민족운동세력은 실력양성론을 주장하는 세력들과 ‘애국계몽운동’을 계속하면서 무장투쟁노선으로 전환하는 입장을 지닌 세력으로 분화되었다. 1920년대 들어와서 전자의 입장은 물산장려운동, 각종 학교설립운동, 자치운동 등을 주장하는 개량주의적 운동인 ‘민족주의 우파’로 발전하게되었고, 후자의 입장은 대중에 기초한 정치투쟁과 절대독립을 우선적으로 주장하는 비타협적인 ‘민족주의 좌파’로 발전하게 되었다. 1920년대 국내외의 우파 독립운동세력과 민족주의 운동세력은 일제의 문화통치를 통하여 세력의 분화를 경험하였다. 이 분화의 과정에서 우파 민족주의 운동세력은 상호연관성과 연대를 통하여 각각의 국가건설론을 모색하였다. 이 과정에서 기독교 민족주의자들은 3.1 운동 이후 정치적으로 정의와 인도에 입각한 민주주의 정치원리를 민족운동의기본원리로 삼아 경제적으로는 개신교자본주의 경제윤리와 사회개조와 사회복음에 입각한 사회변혁윤리를 추구하였다.

      • KCI등재후보

        예배에 있어서 사도신앙고백이 한국교회 신학과 신앙고백에 끼친 영향

        위형윤 한국실천신학회 2009 신학과 실천 Vol.0 No.20

        사도신앙고백이 단번에 형성된 것이 아니고 예배 속에서 교부들이 고백한 신앙고백들을 주후 750년 피르미니우스가 만든 것을 서방교회가 최종 채택한 것이다. 그러한 영향으로 역사발전과 함께 기독교신학이 형성되었으며 그 신학은 오늘 한국교회에 영향을 끼친 루터와 칼빈, 그리고 칼 바르트신학을 형성하게 된 것이다. 그러한 영향으로 한국교회는 믿음과 생활규범으로서 신앙고백서를 만들어 교단을 형성하였으며, 오늘날 한국교회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그것으로부터 파생된 신학적 문제로 많은 교단들이 생겨나고 똑 같은 주님을 믿으면서 혼돈을 야기하고 사회적 갈등까지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예배에서 사도신앙고백을 외우고 고백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2천년전의 사도들의 신앙고백이 오늘 우리들과 무슨 상관이 있는 것인가? 사도신앙고백이 한국교회 신학과 신앙고백에 끼친 문제점은 무엇이며, 그 해결책은 무엇인가? 먼저 우리의 자주적인 신앙고백이 새롭게 자리 잡아 고백되어져야 교회갱신의 역사가 전개되리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우리나라 대표적인 교단들이 외국의 신앙고백들을 줄이고 덧붙이고 달리 강조할 뿐 우리 민족신앙의 고백이 없다는 것이다. 둘째로 신앙고백을 통한 새로운 신학정립을 수립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특히 장로교회의 두교단 예장과 기장은 둘다 칼빈주의를 내세우면서도 분열하고 있다. 그 분열의 문제는 신학적 해석의 차이이지 신앙고백의 차이는 아니다. 왜냐하면 둘 다 예배 속에서 사도신경을 고백하고 실천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기 때문에 도전해 오는 역사적 질문들에 대한 신학적 답변을 내놓고 그리스도의 구원에 맞추어 나가기 위해서 새롭게 신학적 해석을 해야 하고 통일 민족신학의 정립을 수립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교회 신앙고백은 대개가 이상적이고, 비실천적이다. 그래서 신앙고백은 신앙과 행위가 하나의 규범인 동시에 생활론이다. 그래서 신학적 해석의 제약을 받을 수 없는 것이다. 즉 행위는 신학의 대상은 될 수 있어도 신학의 평가나 제약을 받을 수는 없는 것이다. 그래서 신앙고백의 생활론을 강조해야하고, 신자의 교회생활과 성결한 도덕적 삶을 성화로 승화시키는 의인화를 이룩하는 것은 정통 장로교회의 근본적 교리에 어긋남이 없는 것이다. Confession was not the one that was formed at a stretch but the one that the West End church adopted. The West End church mirrored the confessions already made in the worship, which Pirminius formed it in the weeks after 750 years. Such effects had the Christian theology formed along with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the formed theology has contributed in South Korea to the theology influenced by Luther, Calvin, and Karl Barth until now. Thanks to such influence, denominations were formed on the basis of confession of faith and norm of life in the Korean churches. And this ha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Korean churches. However the theoretical issues, for example, continuous emergence in chaos of the churches believing the same Lord derived from it and have caused even the social conflicts. Viewing these, why do we recite and confess the faith of the apostles?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Apostle's Confession of Faith of 2000 years ago and that of today? What are the issues of the Apostle's Confession of Faith affecting the Korean church theology and Confession of Faith and what is solution? First, I think that undated history of the church will deploy on the condition that new independent confessions of ours get a new position. It is because the representative denominations in Korea just append, reduce, or emphasize the other leading countries' confessions without doing in our national belief. Secondly, I think a new theoretical formulation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the confession of faith. The two denominations in Presbyterian church seem to be divided even though they follow the Calvin's principle. The problem of division is not the difference in Confession of Faith but in the theological interpretation. It is because both of them in Presbyterian church confess the Apostles' Creed in worship and keep that in life. Therefore, a new theoretical interpretation and formulation of national unification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o make theological answers to the challenging and historical questions and match the answers to the salvation of Christ. Finally, Confession of Faith in Korean churches is on the whole rather idealistic and non-realistic. Confession of faith is the theory of life as well as the norm in belief and conduct. So theological interpretation would not be constrained. That action could be the target of the theology of a theological evaluation and will not be able to receive constraint. So, life theory of Confession of Faith must be emphasized, and the moral, holy and pure church life of believers need to be turned into for personalization. Then fundamental doctrine of the Orthodox Presbyterian Church is not on the discrepancy.

      • KCI등재

        창산 김정기의 유적조사와 한국고고학

        이주헌 국립문화재연구원 2017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0 No.4

        Kim Jeong-gi (pen-name: Changsan, Mar. 31, 1930 - Aug. 26, 2015) made a major breakthrough in the history of cultural property excavation in Korea: In 1959, he began to develop an interest in cultural heritage after starting work as an employee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For about thirty years until he retired from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in 1987, he devoted his life to the excavation of our country’s historical relics and artifacts and compiled countless data about them. He continued striving to identify the unique value and meaning of our cultural heritage in universities and excavation organizations until he passed away in 2015. Changsan spearheaded all of Korea’s monumental archeological excavations and research. He is widely known at home and abroad as a scholar of Korean archeology, particularly in the early years of its existence as an academic discipline. As such, he has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archeology. Although his multiple activities and roles are meaningful in terms of the country’s archaeological history, there are limits to his contributions nevertheless. The Deoksugung Palace period (1955-1972), whe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as situated in Deoksugung Palace, is considered to be a time of great significance for Korean archeology, as relics with diverse characteristics were researched during this period. Changsan actively participated in archeological surveys of prehistoric shell mounds and dwellings, conducted surveys of historical relics, measured many historical sites, and took charge of photographing and drawing such relics. He put to good use all the excavation techniques that he had learned in Japan, while his countrywide archaeological surveys are highly regarded in terms of academic history as well. What particularly sets his perspectives apart in archaeological terms is the fact that he raised the possibility of underwater tombs in ancient times, and also coined the term “Haemi Culture” as part of a theory of local culture aimed at furthering understanding of Bronze Age cultures in Korea. His input was simply breathtaking. In 1969,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NRICH) was founded and Changsan was appointed as its head. Despite the many difficulties he faced in running the institute with limited financial and human resources, he gave everything he had to research and field studies of the brilliant cultural heritages that Korea has preserved for so long. Changsan succeeded in restoring Bulguksa Temple, and followed this up with the successful excavation of the Cheonmachong Tomb and the Hwangnamdaechong Tomb in Gyeongju. He then explored the Hwangnyongsa Temple site, Bunhwangsa Temple, and the Mireuksa Temple site in order to systematically evaluate the Buddhist culture and structure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We can safely say that the large excavation projects that he organized and carried out at that time not only laid the foundations for Korean archeology but also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studies in related fields. Above all, in terms of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Korean archeology, the achievements he generated with his exceptional passion during the period are almost too numerous to mention, but they include his systematization of various excavation methods, cultivation of archaeologists, popularization of archeological excavations, formalization of survey records, and promotion of data disclosure.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is “Excavation King” devoted himself to excavations, kept precise records, and paid keen attention to every detail, he fail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his era in the process of defining the nature of cultural remains and interpreting historical sites and structures. Despite his many roles in Korean archeology, the fact that he left behind a controversy over the identity of the occupant of the Hwangnamdaechong Tomb remains a sore spot in his otherwise perfect reputation. 창산 김정기(昌山 金正基, 1930.3.3~2015.8.26)는 우리나라 문화재 발굴사에 있어서 큰 획을 그으신 분이다. 1959년 국립박 물관 직원으로 문화재와 인연을 맺으신 이후, 1987년 문화재연구소를 퇴직할 때까지 약 30년에 가까운 세월동안 유적과 유물을 발 굴하고 자료를 정리하며 2015년 영면하기 전까지 대학과 발굴 전문기관에서 우리 문화재의 가치와 의미를 밝히려고 노력하였다. 창산은 국내의 기념비적인 고고학 발굴조사를 모두 진두지휘하고 초창기 한국 고고학을 대표하는 학자로 국내외에 알려져 있으며, 한국 고고학에 적지 않은 영향을 남겼다. 그의 활동과 역할은 고고학사적으로 의미가 있으나 나름의 한계 또한 찾아 볼 수 있다. 다양한 성격의 유적이 활발히 조사되어 한국 고고학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시기로 평가되고 있는 국립박물관의 덕수궁시기 (1955~1972년)에 창산은 선사시대 패총유적이나 주거지와 같은 고고학 조사에 적극 참가하여 유적측량과 유구 실측을 비롯하여 사진촬영과 유물 제도 등을 맡아서 하였다. 그는 일본에서 익힌 발굴기술을 마음껏 발휘하였고, 전국을 무대로 종횡무진 이루어진 그의 고고학조사는 학사적으로도 높게 평가되고 있다. 특히, 창산의 견해 가운데 고고학적으로 주목되는 것은 고분에 있어 수릉의 가능성을 지적한 것과 청동기시대 문화의 이해에 “해미문화”라는 지역문화론을 처음으로 언급한 것은 탁견이었다. 1969년 문화재연구실이 설치됨에 따라 그 책임을 맡은 창산은 미약한 규모인 연구실의 운영과 총체적인 책임을 맡아 찬란한 우리문화를 지켜내고자 조사와 연구에 고심하였다. 그는 불국사 복원공사와 경주 천마총, 황남대총의 발굴 등을 성공적으로 수행 하였고, 이후 황룡사지, 분황사, 미륵사지 등을 조사하며 삼국시대 불교문화와 가람의 구조를 체계적으로 파악해 보고자 노력하였다. 당시 창산이 기획하여 진행한 대형 발굴조사는 한국 고고학의 기틀을 다짐과 동시에 관련분야의 연구를 활성화시키는데 크게 이바지 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한국 고고학의 계기적인 발전과정 상에서 볼 때, 다양한 발굴조사법의 시도와 체계화, 고고학 전문 인력의 양성과 발굴조사의 대중화, 조사기록의 정형화 및 자료공개 활성화 등은 이 시기 창산의 열정으로 이루어진 성과로 손꼽을 수 있다. 한편, 유적조사에 있어서 정확한 기록과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며 열정적으로 발굴에 심혈을 기울인 발굴왕 창산도 유적의 성격을 밝히고 유구를 해석하는 과정에 있어서는 시대적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였는데, 황남대총 주인공 논쟁의 불씨를 남겨둔 것은 그의 역할을 재음미해볼 때 매우 아쉬운 한부분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