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역』 번역의 현황과 과제 -『한국주역대전』 집성을 중심으로-

        이선경 한국고전번역원 2018 民族文化 Vol.52 No.-

        This study identifies the current stateus of how Zhou-Yi(周易) and relevant classics have been translated, and also contemplates the future tasks in translating Zhou-Yi(周易). The classic literature of I Ching(易經), that is Zhou-Yi, is vast in scale, deserving to be called the best of the Chinese Thirteen Classics.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the translations of Zhou-Yi based on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1) translations and explications of the source text of Zhou-Yi; 2) translations of the Chinese commentaries on Zhou-Yi, and 3) translations of the Yi-Xue(易學) classics. In addition, the translations are divided , according to who carries out, into two kinds: individual translations and institutional translations. The current Korean-into-Chinese translations of Chinese classical literature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above-mentioned framework. Individual translations have this advantage: An individual translator can work deeply and precisely on a specific literary work. On the other hand, institutional translations have this advantage: The large-scale studies can be systematically carried out, which is beyond the capacity of an individual translator within a limited time frame. Current translations of Zhou-Yi were mainly conducted by individuals. The translations have gradually increased from 1967 when the first translation was published. The translations of the Zhou-Yi commentaries were published in the mid- 1990s and the translations of the 『ZhouYiZhuanYi(周易傳義)』(A Commen tary by Mr. Chung(程) and Mr. Zhu(朱) on Zhou-Yi) began to be intensively published since the late 1990s. Other than ZhouYiZhuanYi, commentary written from the viewpoint of ChengZhuXue(程朱學, the studies led by Mr. Chung and Mr. Zhu), a variety of Zhou-Yi commentaries have increasingly been translated and published, which means that the Yi-Xue research in Korea has made a steady, sound, and balanced growth. The leading example of the institutional translations is A Korean Zhou-Yi Comprehensive Collection, done through compilation and translation. In the past In spite of an immense volume of the classics related to Zhou-Yi retained in Korea, the Korean translations were fewer than the Chinese Zhou-Yi literature. However, the publication of 『A Korean Zhou-Yi Comprehensive Collection』 has changed this situation. 『A Korean Zhou-Yi Comprehensive Collection』 - a the grand collection which combined 58 commentaries on Zhou-Yi- exemplifies the functions and effects of the translation projects conducted by institutions. From now on, translating the Yi-Xue literature, which mainly comprises the Yi-Xue history, and translating the Chinese Yi-Xue(易學) literature exerting influence on the Korean need for Yi-Xue to take place. In addition, continuous efforts to discover and translate the Korean Yi-Xue literature with a deep interest in the Korean Yi-Xue studies are required. Furthermore,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 Japanese Zhou-Yi does not exist yet. If it exposes the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the Korean academic culture in the academic culture of the three main East Asian nations (Korea, China, and Japan), attention should be put on translating the Japanese Zhou-Yi literature in the future. 『주역』은 13경의 으뜸이라는 위상에 걸맞게 관련된 고전문헌이 방대하다. 이글에서는 관련 번역서를 『주역』 원문을 직접 번역 및 해설한 경우, 『주역』 주해서인 한문고전을 번역한 경우, 『주역』 자체는 아니지만 역학고전을 번역한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 개인번역과 기관번역으로 분류하고, 그 틀에서 한중문헌을 나누어 보았다. 개인 번역은 특정인이 한 문헌을 정밀하게 연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기관번역은 개인의 힘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규모의 연구를 일정시간 내에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현대의 『주역』 번역서는 대체로 개인에 의해 수행되었다. 1967년 처음 출간된 이래 점차 증가해 왔으나, 『주역』 주해서의 번역은 1990년대 전반에 이르러 비로소 출판되었으며, 한국역학연구의 중추적 문헌인 『주역전의』 번역서는 1990년대 후반에 집중적으로 출판되기 시작했다. 이후 정주학적 시각의 주해서인 『주역전의』 이외 다양한 『주역』 주해서들이 점차 번역 출간되어 온 것은 우리 학계의 역학연구가 균형 잡힌 모양새로 성장해온 모습을 반영한다. 기관번역의 대표적 사례로 2017년 출간된 『한국주역대전』 14권의 편찬과 번역을 들 수 있다. 그동안 한국의 『주역』 관련 고전은 그 방대한 양에도 불구하고, 중국문헌에 비해 현격히 번역서가 적었으나 이 책의 출판으로 그 양상을 달리하게 되었다. 이 출판물은 한국의 『주역』 주해문헌 58편을 집성해서 번역한 대작으로, 기관이 수행할 수 있는 번역사업의 기능과 효과를 잘 보여 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앞으로 학술적으로 중요한 역학문헌 및 한국역학에 영향을 끼친 중국역학문헌을 먼저 번역하는 일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지속적인 한국역학 문헌 발굴 및 번역이 필요하며, 일본의 주역관련문헌의 번역도 요청된다. 『주역』의 번역이 우리 사회의 문화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길이 무엇일지 생각해 보는 것 역시 번역자의 일이다.

      • KCI등재

        상박초간 『주역』 汬괘 고찰

        원용준 한국유교학회 2015 유교사상문화연구 Vol.60 No.-

        이 논문은 上海博物館藏戰國楚竹書 『周易』 중 汬괘(제44호간~46호간)의 문자, 음운, 내용에 대하여 분석하고, 사상사적 입장에서 고찰하여 전국시대 당시 汬괘의 괘효사는 본래 어떤 의미였는가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박본 汬괘에는 선진시기 『주역』의 특징을 보여주는 몇몇 용례들이 있는데, 이를 통해 선진시기 『주역』의 양상을 명확하게 밝히고자 한다. 지금까지 『주역』에 관하여 여러 방면에서 수많은 연구가 행해졌지만,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새로운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 이유는 최근 중국에서 계속 발견되고 있는 출토문헌 때문인데 2015년 현재 『주역』 텍스트만도 3종류가 발견되었으며, 넓은 의미의 ‘易’과 관련되는 자료까지 포함하면 대단히 많은 양이 발견되었다. 그 중 상박초간 『주역』은 전국시대 『주역』의 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최적의 자료다. 상박초간 『주역』 汬괘는 통행본의 井괘에 대응하는 괘로 제44호간~제46호간의 3매의 죽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선 괘명인 汬에 대하여 살펴보면 ‘汬’이 『설문해자』에 보이는 ‘阱’의 古文과 자형이 일치하기 때문에 ‘함정’으로 보아야 한다는 설도 있다. 그렇지만 「彖傳」, 『經典釋文』도 우물로 해석하고 있다. 효사의 내용들 역시 ‘우물’로 해석해야 좋다. ‘汬’의 字形이 ‘井’ 아래 ‘水’가 있는 형태인 것은 오히려 우물임을 방증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괘사의 ‘无喪无得’은 우물의 항상성(常), 불변성(不變)을 의미하는 구절이나, 상박본의 경우는 그 항상성, 불변성을 일상생활적 관점에서 파악해야지, 유가, 도가의 常德이나 恒德의 의미, 즉 철학적 함의를 지닌 표현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기존의 주석들은 철학적 함의를 지닌 常德을 강조함으로써 전국시대의 『주역』의 본래의 의미가 변색되었다. 상박본에는 ‘汬朻(井收)’라는 말이 九三과 上六에 거듭 보이는데, 이는 왕필 등이 행해온 효의 위치에 따라 효사를 해설하는 방법론이 전국시대의 『주역』을 해석하기에는 적당하지 않음을 보여주는 증거다. 즉 왕필은 ‘井收’가 상륙효 즉 최상층에 위치한 효의 효사이기 때문에 물을 이미 끌어올렸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것은 일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상징하며 그래서 크게 길하다는 占斷이 내려졌다고 한다. 그렇지만 상박본에는 “井收”가 상륙효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구삼효에도 있는데, 구삼효의 효사는 왕필의 방법으로는 설명할 수 없게 된다. 이상으로 전국시대 『주역』인 상박본은 아직 유교의 경전이 되기 전의 『주역』의 모습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그 해석도 철학적인 방향이 아닌 점서로서의 모습에 치중하여 행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characters, phonemes, and contents of Jing 汬 hexagram (strips 44~46) in the Shanghai Museum Zhou Yi manuscript and to further explore, from a perspective of philosophical history, the original meaning of the hexagram and line statements of Jing hexagram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In the Shanghai Museum Zhou Yi’s Jing hexagram, there are several examples that highlight the characteristics of the Zhou Yi of pre-Qin period. This paper seeks to shed light on the true nature of the pre-Qin Zhou Yi by analyzing such characteristics. Jing hexagram 汬 of the Shanghai Museum Zhou Yi manuscript, corresponding with Jing 井 hexagram of the received text, consists of three strips, strips 44~46. If we first examine the name of the Jing hexagram 汬, there is an interpretation that posits the character jing 汬 should be understood as a “trap” since its shape accords with that of the ancient form (gu wen 古文) of the character 阱 which appears in the Shuo wen jie zi 說文解字. However, both Tuan zhuan 彖傳 and Jing dian shi wen 經典釋文 interpret it as a “well”, and the “well” interpretation works better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the line statements. The shape of the character jing 汬 is composed of shui 水 under jing 井 and this corroborates the meaning of a well. “Wu sang wu de 无喪无得” in the hexagram refers to a phrase reflecting consistency(chang 常) and invariance (bu bian, 不變) of a well. However, in the case of the Shanghai Museum Zhou Yi, the meaning of consistency and invariance should be understood from a daily-life perspective,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from a philosophical perspective such as chang de 常德 or hang de 恒德. The original meaning of the Zhou Yi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was distorted by traditional commentaries which overly emphasized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chang de 常德. The phrase “jing shou 汬朻(井收)” is repeatedly shown in the jiu san 九三 and shang liu 上六 of the Shanghai Museum Zhou Yi, and this proves that Wang Bi 王弼 et al.’s interpretation of line statements in accordance with their respective position is not appropriate to interpret the Zhou Yi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To be specific, Wang Bi comments that, because “jing shou 汬朻(井收)” is located in the top level (shang liu) of the line statements, water is already pulled up to the top, and this symbolizes great success, leading to the designation of grand accomplishment. However, “jing shou” is also appeared in the jiu san and its line statement cannot be properly explained by the Wang Bi’s interpretation. The above demonstrates that Shanghai Museum Zhou Yi, the Zhou Yi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still retains the features of the Zhou Yi before it became a Confucian canon. Therefor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n aspect of a divination book, not from a philosophical perspective.

      • KCI등재

        『周易』의 위기상황의 은유적 개념화와 두려움의 감정 체계

        안승우 한국유교학회 2016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65

        Expressions regarding difficulties as perilous situations and fear as the corresponding emotion often appear in the Zhou Yi 周易. In particular, it is found that a way of responding to dangerous situations and fear shown in the Zhou Yi is to break through initiatively, not to feel depressed or desperate, and it is called “youhuan yishi”(a strong sense of crisis and adversity, 憂患意識). This paper studies the youhuan yishi of the Zhou Yi from two aspects: cognition on difficulties in the Zhou Yi and emotion of fear, corresponding to or arising from the difficulties. To do this, this paper studies the metaphorical conceptualization on difficulties appeared in the Zhou Yi. To begin with, danger is recognized as “treading” (lu, 履). In the hexagram Lu 履卦, treading on a tiger’s tail is directly linked to a bad result to be bitten by the tiger. In the Shang Shu 尙書, treading on a tiger’ s tail is likened to a sense of crisis which arouses the trembling anxiety(you wei, 憂危) of mind and in the Huainanzi 淮南子, danger is likened to treading. As such, this paper examines how the concept of difficulties had been conceptualized related to “treading” by analyzing the Zhou Yi and pre-Qin and Han 先秦兩漢 texts. Next, this paper studies the metaphorical conceptualization on perilousness(xian, 險) as a physical obstruction. From this, it is identified that the Zhou Yi metaphorically recognizes a perilous situation as a physical obstruction and a geographical constraint, the inside and outside of hole and this is one of the human cognitive traits. Furthermore, the Zhou Yi conceptualizes perilousness as a visible and knowable thing and this is a unique characteristic of the Zhou Yi’s cognition on difficulties. The metaphorical conceptualization on difficulties in the Zhou Yi is linked to fear as the corresponding emotion. Joseph LeDoux determined that fear, one of the basic human emotions, unconsciously and instinctively emerges. The concept of fear as an unconscious and instinctive emotion also appears in hexagram Zhen 震卦 of the Zhou Yi. Moreover, fear of the Zhou Yi shows more diverse aspects; for example, conscious and intentional fear and preventive fear can be found in the Zhou Yi. This paper studies diverse aspects of fear shown in the Zhou Yi by analyzing fear-related emotions such as ti 惕, you 憂, and etc.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emotional system of fear in the Zhou Yi including different types, targets, and characteristics of fear appeared in the Zhou Yi by specifically investigating what is excluded from the targets of fear, what is included as the targets of fear, a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fear shown in the Zhou Yi. 『주역』에는 위태롭고 위험한 위기상황과 이에 대해 두려워하고 걱정하는 인간의 감정과 관련된 표현들이 종종 등장한다. 특히 『주역』은 이러한 위기상황을 막연한 공포나 절망으로 대응하기 보다는, 이를 대비하고 주체적·능동적으로 돌파하려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를 ‘憂患意識’이라고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주역』의 우환의식을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하나는 『주역』에서의 위기상황에 대한 인식이고, 또 다른 하나는 이로 인해 발생하는, 혹은 이에 대응하는 두려움, 걱정으로서의 감정이다. 이를 위해 우선 본 논문에서는 『주역』의 위기상황에 대한 은유적 개념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위태로움은 밟음(履)으로 인식된다. 履卦의 호랑이 꼬리를 밟음(履虎尾)이 호랑이에게 물리는 흉한 결과로 직결되기도 하는데, 『尙書』에서는 호랑이 꼬리를 밟음이 걱정스러움과 위태로움(憂危)을 불러일으키는 위기감으로 비유되고, 『淮南子』에서는 위태로움을 밟음(履危)으로 표현한다. 이처럼 『주역』과 先秦 兩漢 문헌들을 통해 위태로움이 밟음과 연관되어 개념화되고 있는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험함(險)에 대한 은유적 개념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에서 위기상황을 구덩이(坎) 안팎의 물리적 장애물, 지형적 난관으로서 은유적으로 인식하는 인간의 인지적 특징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주역』은 여기에서 더 나아가 험함을 볼 수 있고 알 수 있는 것으로 개념화하고 있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주역』의 위기상황에 대한 은유적 개념화는 이에 대한 대응방식으로서의 두려움과 연관된다. 조셉 르두(Joseph LeDoux)는 인간의 기본적인 감정 중 하나인 두려움이 무의식적·반사적으로 일어난다는 점을 밝혔는데, 이러한 위기상황에 대한 반사적 반응으로서의 두려움이 『주역』의 震卦 등에서도 나타난다. 하지만 『주역』에 보이는 두려움은 이를 넘어 보다 다양한 층위를 나타내는데, 의식적·의지적 두려움, 예방적 두려움 등의 다양한 두려움의 감정을 惕, 憂 등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주역』에 보이는, 두려움의 대상에서 제외되는 것과 두려움의 대상, 그리고 그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주역』의 두려움의 종류, 대상, 특징 등의 감정 체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조선시대(朝鮮時代) 역학(易學) 도상(圖象)의 역사(歷史)에 관한 연구

        유권종 ( Kwon Jong Yoo ) 동양철학연구회 2007 東洋哲學硏究 Vol.52 No.-

        This paper has a purpose to study history of diagrams, which had been made by Confucian scholars in Chosun Dynasty, relating to Zhou-yi(周易) and their features. Even though this result is tentative and will be complemented with advanced research, the history and its features are as follow. First, influence of Yixueqimeng(易學啓蒙), written by Zhuxi, to making the diagrams is to be thought very important. Specially why context of Zhou-yi learning, Yixue(易學) in Chosun Dynasty had not made too much of interpretation of meanings as a method of studying Zhou-yi and had kept its balance with interpretation of images and numbers as another one is thought to have been just due to the influence of Yixueqimeng. In the middle of the Dynasty, Gyemongjuni(啓蒙傳疑) was published by Yi Hwang and after this discussions and studies on interpretation of images and numbers of Zhou-yi had been activated. In addition many kinds of diagrams which showed and analysed details of principles of Zhou-yi had been made continually until the end of the Dynasty. The others, the history of the diagrams also shows that studies about the whole and various aspects of Zhou-yi had been deepened. For example Diagrams of Zhou-yi Learning, Yokhakdosul(易學圖說) made by Seon Wuhyup showed general principles of Zhou-yi with diagrams and explanations, another Diagrams of Zhou-yi learning made by Jang Hyun-kwang show comprehensible phase of Zhou-yi which includes all the other 4 classics of Confucianism. 24 Diagrams and explanations of Zhou-yi Learning, Yokhakyisipsadohae(易學二十四圖解) by Kim Seokmun show that Zhou-yi learning includes principles not only of human affairs but also of natural phenomena. Finally the history of diagrams has shown new systems of Zhou-yi learning. They are In-yok(人易) and Sim-yok(心易). The first means the learning of Zhou-yi principles focused to human affairs and the latter means the principles focused to human mind affairs. They had emerged form the context of the history and must be important target of study.

      • KCI등재

        주역정의의 유가적 특색

        이오륜 새한철학회 2021 哲學論叢 Vol.104 No.2

        The Zhou Yi Zheng Yi was a state-level project involving a large number of renowned Confucian scholars in the early Tang Dynasty tha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both the recruitment of talents as well as the state administration. However after the Song Dynasty, Zhou Yi Zheng Yi was criticized by many Confucian scholars, because it was based on Wang Bi and Han Kang Bo’s annotations. Wang Bi and Han Kang Bo are the representative figures of Xuan Xue. They put emphasis on Wu and Wu Xing, or interpret Zhou Yi based on Zi Ran Wu Wei emphasized by Taoism, so they are highly praised all around the world. Therefore, the use of Wang Bi and Han Kang Bo's annotations was in direct contrast to the characteristics of Zhou Yi Zheng Yi which highly centers on Confucianism. For Zhou Yi Zheng Yi that advocates Confucianism, the Xuan Xue overtone of Wang Bi and Han Kang Bo must be corrected. For this reason, Zhou Yi Zheng Yi tried to avoid conflicts between Confucianism and Xuan Xue by proposing one principle – that is, on the one hand, based on the writings of Wang Bi and Han Kang Bo’s annotation, but on the other hand, argued that “consideration of work must place Kong Zi at the core.” Zhou Yi Zheng Yi accepted what can be accommodated in Wang Bi and Han Kang Bo’s annotations, and interpretations that could be problematic were discarded. Through this process, Zhou Yi Zheng Yi tried to accept the two scholars’ interpre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nfucianism, and the idea of “Remove the glamour and take the real” was used as a way to understand exactly Zhou Yi. When Zhou Yi Zheng Yi discussed various issues related to Zhou Yi, it was clearly revealed that it belonged to Confucianism itself through dialogues from the Confucian perspective. Furthermore, the Confucian tradition emphasizes Li,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 manifestation of the laws of the universe to some degree. This therefore means that politics should be based on Li, and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actice of Li was directly related to the stability of society. 주역정의 는 당대 초기 권위 있는 유학자들이 대거 참여한 국가급 프로젝트로서 당대의 인재 등용과 국정 운영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송대 이후 주역정의 는 많은 유학자들의 비판 대상이 되었는데, 왜냐하면 주역정의 가 저본으로 삼는 것은 왕필과 한강백의 주석이었기 때문이다. 왕필과 한강백은 현학의 대표적인 인물로 무 · 무형을 중시하거나 도가가 강조하는 자연무위에 입각하여 주역 을 해석하였으며 이로 인해 세간으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다. 따라서 왕필과 한강백의 주석을 저본으로 삼는 것은 유가를 추숭하는 주역정의 의 성격과 정면으로 배치될 수밖에 없었다. 유가를 표방하는 주역정의 에게 있어서 왕필과 한강백의 현학적 색채는 반드시 교정을 해야하는 부분일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주역정의 는 하나의 원칙을 제기함으로써 유가와 현학 사이에서 충돌을 회피하고자 하였는데, 그것은 한편으로 왕필과 한강백의 주석을 저본으로 삼지만 다른 한편으로 “일을 고찰함은 반드시 중니를 종주로 삼는다.”를 주장하는 것이다. 주역정의 는 왕필과 한강백의 주석 속에서 수용할 것은 수용하고 문제의 소지가 될 수 있는 해석들은 폐기함으로써 철저히 유가의 입장에서 이들의 해석을 수용하고자 하였으며 이것이야말로 “화려함을 제거하고 실제를 취하는 것이다.”라고 하여 주역 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방법이라고 여겼다. 주역정의 는 주역 과 관련된 여러 문제들을 토론할 때에 유가의 입장에서 논의를 전개함으로써 자신이 유가에 속하는 전적임을 뚜렷이 드러내었으며 주역 을 해석할 때에도 유가의 주요 경전들과 역대 유학자들의 해석을 적극적으로 인용하였다. 나아가 예를 중시하는 유가 전통을 계승하여 예는 우주의 법칙을 일정 부분 드러낸 것으로 인식하고 정치는 예에 입각해야한다고 주장하였으며 예의 실천 여부가 사회의 안정과 직결된다고 파악하였다.

      • KCI등재

        중국 북방 지구 商나라 말기~西周전기 "夷式簋"의 전파와 족군 변동

        Fang Hui(方輝) 한국상고사학회 2014 한국상고사학보 Vol.85 No.-

        "夷式簋"는 상나라 말기~서주 전기 商式簋ㆍ周式簋와 형식적 계보를 달리하면서 黃河 유역에 공존하고 있던특징적인 토기이다. 夷式簋는魯겗지구에서가장먼저 출현하였는데, 그계보는魯겗지구의岳石文化로까지거슬러 올라간다. 魯겗지구의夷式簋는주로商나라말기의고분에서 출토되는데, 商式簋와같은고분군에공존하고 있으면서도 단일 고분에는 결코 동반되지 않는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夷式簋는 商나라 때 夷人족군을 상징하는 표지물이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夷式簋는 魯北 지구를 빼면 商나라 말기의 도성이었던 安陽 殷墟에서도 확인되는데, 이러한 발견 정황은 商나라와 夷族이 서로 상호 작용을 하였던 것과 관련이 있다. 安陽 殷墟 일대의 夷式簋는 고분 외에 폐기구덩이와 문화층에서도 출토되는데, 이러한 출토 정황은 원래 夷式簋가 제작되던 지역을 벗어난 곳에서도 계속적으로 제작되었다는 점과 함께 사용상의 일정한 변화 또한 발생하였음을 시사한다. 夷式簋는商나라말기~西周전ㆍ중기陝西省의周原과甘肅省의 河西走廊일대까지 확산되었는데, 이는 商나라 말기 秦人의 서쪽으로의 이주와 周나라가 商나라를 멸망시킨 이후 일부 東夷族이 周나라지배집단에딸려 서쪽으로 이주된 것과 연관이 있다. So-called Yi-style Gui-pot was a kind of pottery that distributed in the Yellow River valley in the period of late Shang to early Zhou dynasty, which existed with other two different style Gui-pots, Shang-style and Zhou-style Gui-pots at the same time. Yi-style Gui pot origin from northern Shandong province, and its earliest type could be traced back to the Yueshi Culture (Late Xia Dynasty to Early Shang). Yi-style Gui-pot in northern Shandong only excavated from burials. They existed with Shang-style Gui-pot in the same graveyard, but never together in the same burial. So Yi-style Gui-pot should have been treated as social identity goods. Another site where Yi-style Gui-pots existed is Yinxu in Anyang, the capital of late Shang period. Literature and oracle bone inscription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Shang royal court and East-Yi people was quite close. Yi-style Gui-pots excavated from Yinxu site should be reflection of the relationship. However, although most Yi-style Gui-pots were existed in burials, several cases found in ash pits and cultural layers unexpectedly, which indicates that their functions had changed to a certain extent after Yi-style Gui-pots left their country of origin. Yi-style Gui-pot of late Shang and early-middle Zhou were also found in Zhouyuan site in Shaaxi, and even west to Gansu province. I believe they were remains of East-Yi people including Qin people and other groups, which were recorded in ancient documents.

      • KCI등재

        조선초 세종 시기의 『주역(周易)』 경연(經筵) 현황과 군신간의 정치적 활용 사례 연구

        황병기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4 동방학지 Vol.206 No.-

        세종은 『주역 』에 대한 깊은 이해에 바탕하여 정사를 논할 때 경문을 활용하였는데, 『주역 』 경연 자료와 『주역 』이 활용된 18곳의 실록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대체로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주역 』의 텍스트가 제왕학으로 기능했다는 점이다. 『주역 』의 텍스트는 정책을 실현하기 위해서 또는 반론을 펴거나 제지하기 위해서 쌍방간에 활용되었다. 둘째 세종은 『주역 』의 학습이 이른 시기에 있었고, 그 수준이 강관을 압도했으며, 직접 세자에게 강론할 정도였다는 점이다. 이는 즉위 전에 이미 『주역 』의 학습이 어느 정도 경지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셋째 세종대에 세종 자신이나 강관 또는 간관들의 『주역 』 활용은 대체로 자연재해에 대한 대책, 이단 비판, 인재선발, 세자교육 등의 정책 및 외교정책의 조정 등과 같은 시무(時務)와 연관되어 있었다는 것이다. King Sejong used the text of that when discussing political affairs, based on a deep understanding of the Zhou Yi. There are three points that can be confirmed in the materials of the Gyeong-yeon and 18 cases of Joseonwangjosillok in which the Zhou Yi was used in King Sejong's period. First, the texts of the Zhou Yi functioned as disciplines of kingship. In domestic political and foreign policy, in the process of exchanging opinions between the king and his subjects, the texts of the Zhou Yi was used to realize policies or to argue or restrain objections. Second, King Sejong's learning of the Zhou Yi was early, overwhelming his servants, and even lecturing the crown prince directly. This is because the learning of the Zhou Yi had already reached a certain level before the accession. Third,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the use of the Zhou Yi by Sejong himself or his subjects was largely related to the political requirements of the time, such as countermeasures against natural disasters, heresy criticism, talent selection, foreign policy coordination, and crown prince education.

      • KCI등재

        중국 북방지구 상나라 말기~서주 전기 "이식궤"의 전파와 족군변동

        방휘 한국상고사학회 2014 한국상고사학보 Vol.85 No.-

        So-called Yi-style Gui-pot was a kind of pottery that distributed in the Yellow River valley in the period of late Shang to early Zhou dynasty, which existed with other two different style Gui-pots, Shang-style and Zhou-style Gui-pots at the same time. Yi-style Gui pot origin from northern Shandong province, and its earliest type could be traced back to the Yueshi Culture (Late Xia Dynasty to Early Shang). Yi-style Gui-pot in northern Shandong only excavated from burials. They existed with Shang-style Gui-pot in the same graveyard, but never together in the same burial. So Yi-style Gui-pot should have been treated as social identity goods. Another site where Yi-style Gui-pots existed is Yinxu in Anyang, the capital of late Shang period. Literature and oracle bone inscription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Shang royal court and East-Yi people was quite close. Yi-style Guipots excavated from Yinxu site should be reflection of the relationship. However, although most Yistyle Gui-pots were existed in burials, several cases found in ash pits and cultural layers unexpectedly, which indicates that their functions had changed to a certain extent after Yi-style Gui-pots left their country of origin. Yi-style Gui-pot of late Shang and early-middle Zhou were also found in Zhouyuan site in Shaaxi, and even west to Gansu province. I believe they were remains of East-Yi people including Qin people and other groups, which were recorded in ancient documents. ““夷式簋”는 상나라 말기~서주 전기 商式簋․周式簋와 형식적 계보를 달리하면서 黃河 유역에 공존하고 있던 특징적인 토기이다. 夷式簋는 魯北 지구에서 가장 먼저 출현하였는데, 그 계보는 魯北 지구의 岳石文化로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魯北 지구의 夷式簋는 주로 商나라 말기의 고분에서 출토되는데, 商式簋와 같은 고분군에 공존하고 있으면서도 단일 고분에는 결코 동반되지 않는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夷式簋는 商나라 때 夷人 족군을 상징하는 표지물이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夷式簋는 魯北 지구를 빼면 商나라 말기의 도성이었던 安陽 殷墟에서도 확인되는데, 이러한 발견 정황은 商나라와 夷族이 서로 상호 작용을 하였던 것과 관련이 있다. 安陽 殷墟 일대의 夷式簋는 고분 외에 폐기구덩이와 문화층에서도 출토되는데, 이러한 출토 정황은 원래 夷式簋가 제작되던 지역을 벗어난 곳에서도 계속적으로 제작되었다는 점과 함께 사용상의 일정한 변화 또한 발생하였음을 시사한다. 夷式簋는 商나라 말기~西周 전․중기 陝西省의 周原과 甘肅省의 河西走廊 일대까지 확산되었는데, 이는 商나라 말기 秦人의 서쪽으로의 이주와 周나라가 商나라를 멸망시킨 이후 일부 東夷族이 周나라 지배 집단에 딸려 서쪽으로 이주된 것으로 연관이 있다.

      • KCI등재

        오징(吳澄)의 『주역(周易)』 해석 방법론

        임재규 ( Im Jaekyu ) 온지학회 2017 溫知論叢 Vol.0 No.51

        오징의 『역찬언외익(易纂言外翼)』의 『주역(周易)』 해석 방법론 중에서 『주역(周易)』의 괘효사를 해석하는 데 있어서 주요한 방법론은 괘변(卦變), 변괘(變卦), 호괘(互卦)이다. 괘변(卦變)은 괘사를 해석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방법론이고, 변괘(變卦)는 효사를 해석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방법론이며, 호괘(互卦)는 괘사와 효사를 해석하는 데 모두 활용되는 방법론이다. 이 세 가지 방법론 중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방법론은 호괘(互卦)라 할 수 있다. 이 세 가지 방법론 외에 괘통(卦統)과 괘대(卦對)는 『주역(周易)』의 괘효사를 해석하는 데 쓰이는 방법론이 아니고 64괘의 순서와 구조에 대한 해석이라 할 수 있으며, 괘주(卦主)는 각 괘의 여섯 획 중 하나의 획이 그 괘의 주인 역할을 한다는 점을 밝힌 것이고, 상례(象例), 점례(占例), 사례(辭例)는 64괘 괘사와 384효 효사 전체를 분석하여 상사와 점사 그리고 상사와 점사로 분류하기 어려운 사례로 나누어 분류한 것이고, 변례(變例)는 괘를 얻기 위해 시행되는 서법을 설명한 것이고, 역원(易原)은 『주역(周易)』이 형성되기 이전 8괘와 64괘의 괘획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에 대한 기원을 밝힌 것이고, 역류(易流)는 『주역(周易)』 형성 이후 『주역(周易)』을 모방한 지류를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이 아홉 가지 방법론은 위에서 언급한 세 가지 방법론과 달리 『주역(周易)』 괘효사의 해석에 직접적으로 적용되는 방법론은 아니다. 그러므로 오징의 괘변(卦變), 변괘(變卦), 호괘(互卦) 이 세 가지 방법론은 오징의 『주역(周易)』 해석 방법론 중 가장 중심적인 방법론이며, 이 세 가지 방법론은 결국 『주역(周易)』 괘효사의 `상(象)`을 찾기 위한 수단에 해당하며, 이러한 점에서 오징의 역학은 `상학(象學)`으로 규정할 수 있다. 그리고 오징이 『주역(周易)』 해석에서 이처럼 `상(象)`을 강조한 것은 주희가 『주역본의(周易本義)』를 지은 의도와 같이 『주역(周易)』의 원래적 의미를 찾기 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왜냐하면, 주희의 역학에 대한 기본적인 관점도 오징과 같이 『주역(周易)』의 괘효사를 상(象)과 점(占)의 구조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징의 역학은 큰 틀에서 보자면 주희의 역학을 계승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그리고 『주역(周易)』의 괘효사를 상과 점의 구조로 보는 관점은 조선후기 다산 정약용에 의해 계승되고 있다는 점에서 오징의 역학은 조선조 역학사에 있어서도 주희 역학과 함께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Wu Cheng(吳澄) is a great Confucian Scholar in the Yuan Dynasty. He wrote Yizuanyanwaiyi(易纂言外翼, Further Interpretations to the Commentaries and Supplements to Yi), which is a his representative work about Yi Studies. In Yizuanyanwaiyi(易纂言外翼, Further Interpretations to the Commentaries and Supplements to Yi), Wu Cheng classfied methods of interpretation of Zhou yi into 12 methods as follows. 1. Guatong(卦統), 2. Guadui(卦對), 3. Guabian(卦變), 4. Guazhu(卦主), 5. Biangua(變卦), 6. Hugua(互卦), 7. Xiangli(象例), 8. Zhanli(占 例), 9. Cili(辭例), 10. Bianli(變例), 11. Yiyuan(易原), 12. Yiliu(易流). In these 12 methods, Main methods for interpretation of Zhouyi are Guabian (卦變, transformation between the hexagrams), Biangua(變卦, transformed hexagrams), and Hugua(互卦, interlocking trigrams or hexagrams). Guabian is a theory of interpreting Guaci(卦辭, hexagram statesment), and Biangua is a theory of Yaobian(爻變), which is a method of interpreting Yaoci(爻辭, six line statements). Hugua is a theory of interpreting Guaci and Yaoci, which play a key role in the interpretation of Guayaoci in the Wu Cheng`s Yi Studies. These 3 major methods of interpretation of Zhouyi are central theories of Wu Cheng`s Yi Studies, and these 3 major theories eventually are methods of taking images. So we can define that Wu Cheng`s Yi Studies as a image-orientated system. Through these studies, Wu Cheng wanted to trace back to the original meanings of Yi. From this standpoint,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Wu Cheng succeeded Zhu xi(朱熹)`s Yi Studies. And we also can imagine that Wu Cheng`s Yi Studies exerted a favorable influenc upon Cheong Yakyong(丁若鏞)`s Yi Studies of Chosun Dynasty.

      • KCI등재

        출토문헌을 통해 본 다산 정약용 역학 고찰

        원용준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18 다산학 Vol.- No.33

        This paper explores creativity and meaning of Tasan(茶山) Jeong Yak-yong(丁若鏞)’s research methodology in Yeokhak(易學) by comparing and investigating a theory regarding xiang(象) among Yeokhak theories with the Qinghuajian(淸華簡) “Shifa(筮法)”. The Qinghuajian “Shifa” is a divination text about the system of shizhan(筮占) written in the Warring Sates period. In “Shifa”, there is a gua(卦) just as the Zhou Yi(周易) has. It also includes guaming(卦名) and each gua and yao have its xiang. Furthermore, the divination statements often determine good and bad fortune 吉凶(jixiong) by analyzing its xiang, and therefore, it can be considered that “Shifa” may put emphasis on xiang. In conclusion,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texts related to shizhan of the Warring Sates period, including the Zhou Yi, emphasized on xiang. According to divination cases of the Zuo Zhuan(左傳), containing plentiful records of divination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he Zhou Yi had been often interpreted by analyzing xiang. From this, it can be regarded that the ancient Zhou Yi might be understood focusing on xiang. Tasan Jeong Yak-yong stated that xiang is the key to interpret the Zhou Yi and the basis for understanding it is to use wuxiang(物象) of the “Shuogua Zhuan(說卦傳)”. He supplemented the missing wuxiang in it with reference to the Zuo Zhuan and other texts. If he had known the wuxiang in the Qinghuajian “Shifa”, he would have supplemented the Zhou Yi’s wuxiang based on it. Moreover, Jeong Yak-yong divided the “Shuogua Zhuan” into two parts; chapter one to three had been written by Confucius, on the other hand, the other chapters had been completed by an ancient sage before Confucius. Jeong Yak-yong’s analysis on the “Shuogua Zhuan” is very accurate, except for his mention about Confucius’ writing because chapter one to three of the “Shuogua Zhuan” turned out that they were the parts of the “Xici Zhuan(繫辭傳)” through the chapter “Zhong(衷)” of the silk manuscript Yi Zhuan(易傳) excavated at Mawangdui(馬王堆). It is Jeong Yak-yong’s distinction that he applied creative methodologies into his research for the Zhou Yi much before being introduced modern studies. 이 논문은 다산 정약용의 역학 이론 중 ‘상象’에 관한 이론을 청화간淸華簡 『서법筮法』과 비교 고찰하여 그의 역학 연구 방법론이 지니는 독창성과 의의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청화간 『서법』은 서점筮占체계의 전국시대 점술문헌이다. 『서법』에는 『주역』처럼 괘가 있고, 괘명卦名이 있는데 각각의 괘, 효는 ‘상’을 가지고 있다. 그 점사占辭 또한 ‘상’을 가지고 길흉을 판단하는 경우가 많아 『서법』이 ‘상’을 매우 중시하는 문헌임을 알 수 있다. 이로 보면 『주역』을 포함한 전국시대의 서점문헌들은 ‘상’을 중시하였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춘추시대 서점 기록을 풍부하게 담고 있는 『좌전』의 점례占例를 보면 『주역』을 해석할 때 ‘상’을 가지고 풀이를 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통해 고대 『주역』은 ‘상’을 중심으로 이해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다산 정약용은 ‘상’이 『주역』 해석의 관건임을 논술하고 『주역』 이해의 기본은 「설괘전」의 물상을 이용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는 「설괘전」에 없는 물상을 『좌전』 등을 이용하여 보충하고 있다. 만약 청화간 『서법』의 물상을 알았다면 이를 가지고 『주역』의 물상을 보충했을 것이다. 또한 정약용 효변설의 착안 역시 청화간 『서법』과 비교하여 볼 때 고대 『역』과 상통하는 부분이 있다. 정약용은 「설괘전」을 두 부분으로 나눠 제1장~제3장은 공자가 지었지만 그 뒷부분은 공자보다 더 오래전 성인이 지었다고 본다. 「설괘전」 제1장~제3장은 마왕퇴백서 『역전』 「충衷」을 통해 「계사전」의 한 부분이었음이 밝혀져 있기 때문에, 정약용의 「설괘전」 분석은 공자 저술 부분만 제외하면 매우 정확하다고 하겠다. 아직 근대적 학문 이론이 도입되기 이전에 독창적인 방법론을 가지고 『주역』 연구에 활용했다는 점이 정약용 역학의 뛰어남을 증명한다고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