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말씀의 예배(예전)의 형성과 신학 : 성서부터 종교개혁까지

        전창희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61

        예배는 기독교 신앙의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예배를 통해 기독교 신앙의 가장 본질적인 사건인 하나님과의 만남이 이루어지기도 하고, 또한 그 만남을 통해 형성하는 기독교적 정체성을 가지고 삶으로 나아가기도 하다. 한국교회에는 다양한 예배가 있다. 그 예배들 가운데 주일날 오전에 드리는 예배를 우리는 소위 주일대예배라고 부른다. 그러나 ‘주일대예배’는 개신교뿐만 아니라 기독교 예배의 역사에서 살펴볼 때 정확한 표현은 아니다. 사실 예배의 크고 작음을 나타내는 언어적 표현이 예배에 있어 상당히 어리석은 인간의 창작물일 수 있다. 개신교회에서 지칭하는 주일대예배에 대해 보다 바람직하고 정확한 표현을 찾자면 ‘말씀의 예배’(The Service of the Word)이 오히려 적합할 수 있다. 주일예배에 대한 현대의 한국개신교의 특징 가운데 하나는 예배 자체를 설교와 동일시하는 경향이다. 예배를 드리는 성도들 자체도 예배 순서 전체의 비중을 평등한 관계에서 놓지 않는다. 사실 오늘날의 한국교회의 예배는 ‘말씀의 예배’라기보다 ‘설교 중심의 예배’(Preaching –centered worship)이다. 오늘날 개신교의 설교중심 예배의 역사와 신학에 대해 성서로부터 종교개혁까지 살펴보려고 하는 것은 오늘날 우리가 가는 길을 점검해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설교를 예배(예전)의 맥락에서 이해하는 것은 “설교를 하나님의 말씀으로서 청중의 참여와 경험 속에서 세울 수 직접적이고 포괄적” 작업이다. 실제로 초대교회 이후 기독교는 설교를 독립적인 사건에서가 아니라 예배의 맥락에서 이해하고 발전시켜 왔다. 이 논문에서 말씀의 예전에 대한 유래와 신학적 배경에 대해서 살펴보고 있다. Worship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Christian faith. A human meets God through worship. He/She moves on to life with the christian identity formed through the meeting. There are various services at the Korean Church. Among the services, we call Sunday service in the morning ‘Ju-il-dae-ye-bae(the great Sunday worship).’ However, 'the great Sunday worship' is not an accurate expression in the history of Christian worship as well as Protestant churches. In fact, the language expression that represents the size of the worship can be quite a foolish creation of the service. The Service of the Word may be more appropriate to find a better and more accurate expression for the worship service to be referred to by the Protestant Church.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n Protestantism about Sunday worship is the tendency to equate worship with sermon itself. The congregations in worship do not regard the elements of the service as equal. In fact, today's Korean church service is more of a 'preaching-centered' rather than 'the service of the Word.' Today, we are looking at the history and theology of the service of the Words from the Bible to the reformation because we need to check the way we are going today. Understanding preaching in the context of worship is the direct and comprehensive work of building it in the audience's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as the word of God. In fact, since the early Church, Christianity has developed and understood Words in the context of worship, not in independent cases. In this paper we look at the origins of such words and theirological background.

      • KCI등재

        John Wesley의 1784년 판 『주일예배서』 Sunday Service의 예배신학적 의의

        김순환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9 복음과 실천신학 Vol.53 No.-

        오늘날 교회를 둘러싼 환경의 급격한 변화 앞에서 교회는 어떻게 예 배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적지 않은 고민을 하게 되었다. 이런 상황 속 에서 18세기에 John Wesley가 미국의 감리교인들에게 보낸, 『주일예 배서』Sunday Service of the Methodists in North America는 고민에 처한 현대 교회들을 위해 중요한 지침과 도움을 제공하고 있다. 그는 강한 예전적 전통의 성공회 사제였지만 또한 많은 설교를 행한 열정적 전도자이기도 했다. 그가 미국 감리교도들에게 전해 준『주일예배서』 는 이후 여러 나라의 감리교회들의 예배 개정에 매우 중요한 기초와 거 울이 되었다. 이 논문은 그의 개정된 예배서, 『주일예배서』안에 함축 된 개정의 원리들을 찾아내어 급격히 변화하는 현대 사회 속에서 어떻 게 교회들이 변화와 도전에 대처하면서 동시에 본질을 잘 지킬 수 있는 지 찾고 그 대안들을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의 내용은 먼저 첫 번째 파 트에서는 John Wesley의 예배 개정에 끼친 그 이전 시대의 영국교회 의 배경들을 살펴본 후, 이어서 두 번째 파트에서는 그의 예배 개정안 에 담긴 함의들, 즉 어떻게 하면 오늘날의 교회가 현대 사회에 잘 적응 하는 예배를 할 것인가? 어떻게 하면 예배가 강력한 복음적 확신을 제 공할 것인가? 셋째, 어떻게 하면 성례전의 긍정적인 전통을 살펴 균형있게 예배할 것인가? 넷째는, 어떻게 하면 예배 안에 회중의 참여도를 높일 것인가? 등에 관한 통찰을 제시하고 있다. In the face of the radical changes surrounding the contemporary churches, the churches are forced to deeply consider how to worship properly. In this context, John Wesley’s Sunday Service of the Methodists in North America provides important guidance and assistance for troubled contemporary situation. As an anglican priest belonged to a strong liturgical tradition, Wesley lived as an active field preacher delivering powerful evangelical sermons as well. The Sunday Service has played an significant role in revisions of later Wesleyan worships. This article deals with the principles of revision implied in his Sunday Service, and seeks the answers of how contemporary churches in rapidly changing society can effectively cope with such challenges by properly adapting themselves to those environment while keeping the pure identity of their worships. Thus, in the first part, this article examines the backgrounds of previous periods imbedded in John Wesley’s revision of the liturgy, and in the second part, based on his revisions and related activities, it deals with issues about how the worships can be adapted to contemporary society appropriately, how they can constantly remain in strong evangelical dynamics, how they can be in balance with other aspects like sacramentality, and how they increase participation of the congregation in worship.

      • KCI등재

        「부활쥬일례」(1905)를 통해서 본 예전전통과 교훈 고찰

        안수강 한국교회사학회 2018 韓國敎會史學會誌 Vol.50 No.-

        본 연구는 1905년에 발행된 「부활쥬일례」를 고찰함으로써 ‘찬송’, ‘성경본문’, ‘문답’을 중심으로 예전전통과 교훈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예수 그리스도의 죽으심과 부활은 기독교의 핵심적 복음이며, 그리스도인들은 매년 부활주일에 주님의 부활을 기념한다. 이 부활절 예배에 관한 독특한 사료는 그리스도인들이 부활절에 어떻게 하나님을 예배해야 하는지를 가르쳐주는 가장 고전적인 지침서이다. 한국교회는 이 소중한 문헌이 담고 있는 예전적 유산과 교훈을 후세대 그리스도인들에게 전수해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제2장에서는 ‘찬송’, ‘성경본문’, ‘문답’ 사이의 상호 유기적(有機的)인 밀접한 관련성에 대해 다루었다. 제3장에서는 ‘문답’을 중심으로 문답의 각 항목에 내재된 함축적인 의미들을 분석하였으며 이 분석 작업을 위해 ‘히스토리에’와 ‘게시히테’의 양면적 관점에 초점을 맞추어 다양한 교훈들을 고찰하였다. 제4장에서는 의미심장한 예전적 개념들을 고찰함으로써 오늘날 부활절 예배를 위한 네 가지의 유익한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부연하여, 이 연구가 향후 ‘신앙교육을 위한 문답식 토론회’, ‘공동체 신앙의 회복’, ‘주일성수’, ‘예배갱신의 방향’, ‘절기예배의 개혁적 패러다임’, 교파별 부활절 예배 비교연구‘ 등과 같은 예전적 실천분야 탐구로 확장되어지기를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liturgical heritage and lesson through Easter Sunday Service(1905) focusing on ‘hymns’, ‘text of scripture’, and ‘questions and answers’. The death and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is the core gospel of Christianity. Christians celebrate His resurrection on Easter Sunday every year. This unique historical document on Easter Service is the most classical guide for teaching Christians how to worship God on Easter Sunday. Korean church needs to prepare a plan to transmit the liturgical heritage and lesson of this precious literature to the next Christian generation. In chapter 2, I treated with the organic correlations among ‘hymns’, ‘text of scripture’, and ‘questions and answers’. In chapter 3, I concentrated on the ‘questions and answers’ to analyze implications in each item.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I searched for various lessons focusing on both ‘the views of Historie’ and ‘the views of Geschichte’. In chapter 4, I studied the meaningful liturgical concepts to present four useful ways for today’s Easter Service. In addition, I suggest future extensions of this research into other liturgical practice and thoughts such as ‘dialogue debate for faith education’, ‘rehabilitation of the community faith’, ‘observation of Lord’s day’, ‘direction of worship renewal’, ‘reformed paradigm for seasonal worship’, ‘comparative study of denominational Easter Sunday Service’, and so on.

      • KCI등재

        엘리엇의 「엘리엇 씨의 일요일 아침 예배」다시 읽기

        김명옥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9 외국문학연구 Vol.- No.33

        Eliot wrote two religious quatrain poems, “Hippopotamus” and“Mr. Eliot's Sunday Morning Service” and in this article I have attempted to read this poem closely with my own perspectives. This poem is difficult to comprehend partially due to the technical traits--omission of the connectives between parts and the compressed formal stanza form and the use of obscure, allusive references. The poet, however, presents some poetic strategies such as epigraph, title, and the symbolic images, which are important to pursue the hidden meanings of the poem. The theme of this poem is the creative power of God's Word in contrast with the sterility of the diverse types of men. The Lord's servants such as Lord's “sutlers” and the church “presbyters” have lost their spiritual productivity because of their materialistic avarice. And the theologians like “Origen”, who enjoys the intellectual controversies with producing numerous books on the Bible and on the birth of Christ are physically powerless. And finally the appearance of sensual, natural man, “Sweeney” in the final stanza implies some important points about his function. That is, Sweeney in contrast to the “enervate” Origen represents the possibility of the physically rich productivity in obedience to God's command, “Be fruitful and increase in number.” And along with the Sweeney-typed personae in other quatrain poems, Sweeney's emergence implies one of Eliot's poetic efforts to free from his personal prejudice and abhorrence on man's body. Furthermore it foresees that the direction and the final goal of Eliot's religious works would be toward Christ's Incarnation and a complete union of man's spirit and body. 본 논문은 엘리엇이 1920년에 출간한 7편의 4행시 중에서 종교를 주제로 한 엘리엇의 「엘리엇 씨의 일요일 아침 예배」를 분석한 것이다. 필자는 그 이전의 초기 시와 달리 정형의 틀 속에 연결사가 생략된 단편적인 객관적 상관물과 지나치게 암시적이고 모호한 인유 및 인용 등으로 비평가들 사이에 해석이 다양한 이 시를 엘리엇이 제안한 독서법으로 다시 읽기를 시도하였다. 「아침 예배」는 매우 단순한 대조 기법으로 교회와 성직자를 비판하고 있는「하마」와 달리 하나님의 “말씀”의 창조 능력이 다양한 인간들에 의해 타락하고 무력해진 양상들을 대위법, 병치, 그리고 풍자적인 이미지들, 암시적인 인유 등으로 복합된 구조 속에 짜 넣고 있다. 시인은 성육하신 예수의 세례 장면을 중심으로 그 주변에 물질적 탐욕으로 타락한 하나님의 일군들, 그리고 무수한 신학 서적을 써서 신학적 논쟁을 일삼으면서 상대적으로 육체적인 생 산을 무시하는 정신적인 불모자 들을 배치하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이 시의 핵심적 인물은 마지막 연에 잠깐 등장하는 ‘스위니’이다. 그는 성스러운 주일에 교회가 아닌 집에서 벌거벗고 목욕을 즐기는 관능적인 인물로 등장하고 있으나 필자는 바로 이런 유형의 인물 등장이 엘리엇 전체 시의 발전에 중요한 모티프를 제공한다고 보았다. 그는 인간에게 육체적인 번식으로 땅에 충만 하라는 하나님의 다산多産의 명에 순종할 수 있는 인간 유형의 대변자인 셈이다. 그의 등장은 지적, 혹은 물질적인 탐욕으로 하나님의 육적, 영적 다산의 능력을 상실한 주의 일군과 종교 신학자들의 위선적 행위를 간접적으로 부각시키고 있으며 나아가서 앞으로 진행될 엘리엇의 창작 방향이 예수의 ‘성육신’을 목표 로 하면서 실천적으로는 영혼과 육체가 조화를 이루는 전인적인 인간상을 향한 탐구의 여정일 것을 예견케 한다. 더구나 「아침 예배」에서 활용된 시적 기법들은 다음 시 『황무지』의 주요한 기법으로 자리 잡고 있다는 점에서 비록 학자들의 연구 대상에서 소외되고 있으나 이시의 가치를 새삼 재인식하게 된다.

      • KCI등재후보

        교회학교의 서비스 품질이 청소년들의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승환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2019 피어선 신학 논단 Vol.8 No.1

        This research conducted a validation study on the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and intent to revisit of Sunday schools targeting Korean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the service quality of Sunday schools were divided into five dimensions, reliability, assurance, tangibility, empathy and responsiveness, to examine its effects on the satisfaction and intent to revisit of adolescents attending Sunday schools. The study finds that the service quality dimensions as recognised by adolescents exert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levels of adolescents, with responsiveness and reliability exerting the most significant effects. Satisfaction toward Sunday schools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intent to revisit. Given this result, it could be understood that adolescents who are satisfied by the service quality of Sundays chools are less likely to cease attendance. This study hopes to offer a small help to the Korean churches' movement to overcome its crisis by offering a new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and making progress in varied and practical attempts for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본 논문은 한국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교회학교의 서비스 품질과 만족도 , 재방문 의도에 대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회학교의 서비스 품질을 신뢰성, 확신성, 유형성, 공감성 그리고 반응성의 가5지 품질 차원으로 구분하여 교회학교에 출석 중인 청소년들의 만족도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대해서 살펴 보았다. 그 결과 청소년들이 인지하고 있는 교회학교의 서비스 품질 차원은 모두 청소년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반응성과 신뢰성이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회학교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가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교회학교의 서비스 품질에 만족한 청소년은 교회학교를 이탈할 가능성이 적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학문 간 융합을 위한 새로운 연구와 다양하고 실천적인 시도들을진행함으로써 한국교회의 위기를 타개해 나가려는 움직임에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주제어

      • KCI등재
      • KCI등재

        1784년 존 웨슬리의 주일 예배와 수용 과정, 그리고 재조명에 대한 연구

        김형락 한국실천신학회 2023 신학과 실천 Vol.- No.86

        감리교회의 창시자인 존 웨슬리는 1784년 미국 감리교도들을 위해 예배서를 전수 하였다. 이 예배서는 웨슬리의 신학적 배경들, 영국 성공회와 개혁주의적 청교도의 예 배관들이 융합되어 형성된 예배였다. 웨슬리는 형식적으로는 영국 성공회의 예전을 중심으로 예배를 구성하였고, 내용적으로는 경건하고 소박한 청교도들의 분위기를 많 은 부분 도입하였다. 또한 웨슬리의 초기 기독교 예배에 대한 관심은 그가 이 예배에 초대교회의 자료들을 사용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그렇지만 이 예배는 미국 상황에서 잘 받아들여지지 못했다. 미국은 개척지로 고정된 기도문을 읽는 예배를 드릴만한 준 비가 되지 않았고 목회자들 역시 이 예배 형식을 선호하지 않았다. 특히, 18세기 말부 터 감리교 전통 내에서 천막집회가 급속도로 유행하였고, 이는 미국 감리교회가 존 웨슬리의 예배를 멀리하게 된 주요한 원인들 중 하나가 되었다. 1792년 미국 감리교 회의 장정에 나타난 예배는 웨슬리의 예배가 많은 부분 제외되거나 축소된 형태로 나 타난다. 이후로 웨슬리의 예배는 19세기 동안 감리교 전통에서 점점 멀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 웨슬리의 예배는 미국 감리교 전통에서 다시 재조명을 받게 되었다. 이는 20세기에 들어 예전부흥운동과 같은 초대교회 예전으로 돌아가려는 움 직임이 유럽과 영국 그리고 북미까지 유행했으며 감리교 전통에서는 자신들의 신학적 뿌리인 웨슬리의 예전에 다시 눈을 돌리게 되었다. 로마 가톨릭 교회의 제 2차 바티 칸 공의회는 이러한 움직임을 더욱 가속화하였다. 이로 인해 미국 감리교 전통은 1932년 최초로 다시 웨슬리의 예배를 자신들의 예배에 복원하였고 1945년에 발간된 최초의 예배서에 수록하였다. 이후에도 웨슬리의 예배는 꾸준하게 감리교 예배신학의 근간이 되어 1992년 연합감리교회의 예배서의 예배를 형성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자료 로 사용되었다. 현대 예배에서 웨슬리의 예배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나, 웨슬리가 추구했던 예배에 대한 신학적 의미와 고려들을 수용하여 21세기의 상황에 맞게 융합화하는 것이 오늘날 웨슬리 예배를 다시 회복하는 일이다. John Wesley, the founder of the Methodist Church, handed down the Book of Worship for American Methodists in 1784. Wesley formed this worship book based on his theological backgrounds, the perspective of the Church of England and the Reformed Puritan on Christian worship. Wesley organized his structural form of liturgy based on that of Anglican liturgy, while in terms of content, he included many parts of the atmosphere of pious and simpleness influenced from Puritan tradition. In addition, Wesley's interest in early Christian worship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him to use materials from the early church for this worship. Wesley’s Sunday service, however, was not welcomed in American context. The churches, mostly located in the frontiers, were not ready for performing the liturgy consisted of the fixed prayers, and moreover, the pastors did not prefer this form of worship. Particularly, from the end of the 18th century, camp meeting rapidly became popular within the Methodist tradition, which was one of the main reasons why the American Methodist Church distanced itself from John Wesley's worship. The Book of Discipline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in 1792 excludes many parts of Wesley's worship or appears in a reduced form. Wesley's worship subsequently moved away from the Methodist tradition during the 19th century. In the 20th century, however, Wesley's worship was re-examined in the American Methodist tradition. In the 20th century, the movement to return to the liturgy of the early church, such as the liturgical movement, was popular in Europe, England, and North America. Methodist traditions, then, turned their eyes to Wesley's liturgy, which was their theological root. The Second Vatican Council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further accelerated this movement. Due to these movements, the Methodist traditions in the United states restored Wesley's worship for the first time in 1932, and included it in the first worship book published in 1945. Even after that, Wesley's worship continued to be the foundation of Methodist liturgical theology and was used as the most important material in shaping the United Methodist Book of Worship in 1992. It is not easy to use Wesley's worship in 1784 itself into today’s worship, but accepting the theological meanings and considerations that Wesley pursued and integrating it to adjust the contexts of the 21st century would be necessary..

      • KCI등재

        천도교 의례의 변용과 특성: 시일식을 중심으로

        고병철 한국종교교육학회 2007 宗敎敎育學硏究 Vol.24 No.-

        이 글은 천도교 의례의 변화와 특징을 파악하고, 이러한 변화와 특징들이 한국 신종교 의례 문화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1905년의 대고천하(大告天下) 사건 이전은 제1기, 1945년 이전은 제2기, 1945년 이후는 제3기에 해당된다. 다시 제1기는 각각 최제우와 최시형 시기, 제2기는 각각 손병희와 박인호의 시기, 제3기는 해방 이후의 시기로 설정되었다. 특히 제2기 이후의 천도교 의례는 정기적인 집단 의례인 시일식을 중심으로 검토되었다.제2장에서는 최제우와 최시형 시기의 의례들을 검토하면서 천도교 의례가 어떤 맥락에서 형성되었고, 그 내용이 무엇이었는지에 대해 서술하였다. 제3장에서는 손병희와 박인호의 시기, 그리고 해방 이후의 시기에 의례의 어떤 맥락에서 어떤 내용으로 개혁되었고 정착되었는지에 대해 서술하였다. 제4장에서는 천도교 의례의 특징에 대해 서술하였다. 그리고 5장에서는 천도교 의례의 위상을 한국 신종교의 의례 문화사에서 간략하게 평가하였다.그동안 천도교는 동학혁명, 진보회와 일진회, 31운동 참여, 친일 문제, 근대성 등 다방면에서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았고, 관련 연구도 상당히 진척되었지만 의례 관련 연구는 거의 없는 편이다. 이런 상황을 감안할 때 이 글이 천도교 의례 전반과 특징을 이해하고, 나아가 한국 신종교 의례 문화사에서 천도교 의례의 위상을 파악하는 데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존 웨슬리의 두 가지 예배음악적 속성 연구

        김용화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22 성경과신학 Vol.104 No.-

        John Wesley was a liturgist who thoroughly defended the liturgy of Thomas Cranmer’s HThe Book of Common PrayerH(1662), updated in the tradition and heritage of the Church of England. This can be clearly seen through HThe Sunday ServiceH (1784), which he revised and edited based on HThe Book of Common PrayerH(1662) and sent to North American Methodists. At the same time, he is an evangelist who, while maintaining his priesthood in the Church of England, quenched the religious and social thirst that the Church of England could not satisfy the marginalized and poor through the Methodist movement. In particular, the empirical and practical evangel- ical congregational hymns about the words of Jesus Christ used in Methodist worship and gatherings became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revival movement. Therefore, it can be evaluated that Wesley maintained a good balance between doctrinal and formal liturgical music as a liturgical advo- cate and personal and confessional evangelical congregational singing as an evangelist. It is as if Martin Luther removed the superstitious element of the Roman Catholic liturgy, the Missa, and maintained its framework and introduced the chorale. The most important musical methods in liturgical music are responsory and antiphon. If you are looking for a biblical source for this, it is the ‘Song of Moses and Miriam’ in Exodus 15. This tradition of responsory and anti- phon continued into the 18th-century Church of England, but it did nothing to improve their faith and spirituality. On the other hand, Methodists could easily sing along to the evangelical congregational hymns through the ‘lining out’ method. However, some congregations who were fascinated by gospel hymns sometimes showed disorderly attitudes toward singing, so in the end, Wesley standardized singing style and music by including 7 prac- tical ‘Directions for Singing’ in the appendix of HSelect HymnsH(1761). 존 웨슬리는 영국교회의 전통과 유산 속에서 갱신된 토마스 크랜머의 H공동 기도서, The Book of Common PrayerH(1662)의 예전을 철저하게 옹호하는 예 전주의자였다. 이것은 그가 H공동기도서H를 기반으로 개정하고 편집하여 북 미 감리교인들에게 보낸 H주일예배서, The Sunday ServiceH(1784)를 통해 우리 는확실히알수있다. 동시에그는영국국교회사제신분을유지하며국교 회가 미처 소외되고 가난한 사람들에게 채워줄 수 없었던 신앙적 갈증들을 메소디스트 운동을 통해 해소해 주었던 복음 전도자이기도 하다. 특별히 메 소디스트의 예배와 집회에서 활용된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에 대한 경험적이 고 실천적인 복음주의 회중찬송들은 부흥 운동의 원동력이 되었다. 결국, 존 웨슬리는 예전옹호자로서의 교리적이고 형식적인 예전음악과 복음전도자로 서의 주관적이고 고백적인 복음주의 회중찬송 사이에서의 균형을 잘 유지했 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것은 마치 마틴 루터가 로마 가톨릭 예전인 미사 (Missa)의 미신적 요소를 제거하고 그 틀을 유지하며 회중찬송(Chorale)을 도 입한 것과 마찬가지다. 예전음악에서 중요한 노래방식은 응창(Responsory)과 교창(Antiphon)이다. 이 것의 성서적 출처를 찾는다면 출애굽기 15장에 나오는 ‘모세와 미리암의 노래’이다. 이러한 응창과 교창의 전통이 18세기 영국교회에서도 이어졌지만, 그것은 그들의 신앙과 영성을 향상시키는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했다. 반 면 메소디스트들은 ‘Lining out’ 방식을 통해 웨슬리 형제의 복음주의 회중찬 송을누구나쉽게따라부를수있었다. 그러나일부복음주의찬송의매력 을 느낀 메소디스트들은 때때로 무질서한 찬송 태도를 보임으로 인해, 결국 존 웨슬리는 H찬송선집, Select HymnsH(1761) 부록에 실제적인 7가지 찬송지 침을 수록하여 노래방식과 음악을 표준화하였다.

      • KCI등재

        일요법회 의례 한글화 시론

        신규탁 한국정토학회 2014 정토학연구 Vol.21 No.-

        종교에 있어서 의례의 중요성은 매우 중요하다. 불교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한국 불교의 역사 속에서 승려들은 이 점을 중요하게 인식하여 의례를 정비했고, 그것이 현재까지 내려오고 있다. 그런데 한문으로 각종 문서를 작성하던 시대가 끝나고, 한글 시대가 시작되면서 한국 불교계의 의례는 많은 문제에 봉착하게 되었다. 첫째로, 의례와 음악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한문을 한글로 번역하는 것만으로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다. 그렇다고 전통을 무시하고 새롭게 한글로 의례문을 제작하는 것도 문제가 있다. 둘째로, 전통적인 의례에는 부처님께 올리는 ‘공양’ 의례가 매우 세련되게 정비되어 있지만, 신도 대중들을 위한 ‘설법’ 의례는 정비되어 있지 않았다. 그런데 현대사회에서 신도 대중을 위한 ‘설법’도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전통을 고려하면서 한글 시대에 부합하는 의례의 제작을 실험적으로 시도했다. 그리하여 ‘공양’과 ‘법회’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의례를 모색했다. 필자는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삼보통청(三寶通請)’을 기본으로 삼고, ‘설법’의 의례를 거기에 첨가하여, 이 모두를 한글화로 구축해보았다. The importance of rituals is tremendous in religion, and Buddhism is no exception. Throughout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Buddhist monks who recognized the significance of rituals have adjusted and maintained formalities of Buddhist rituals, which have been maintained up to this day. However, as Hangul has become the common orthography departing from the old custom of using Chinese characters in documents, Korean Buddhism has confronted various problems in its rituals. First of all, since rituals are closely related to music, simply translating Chinese characters into Korean cannot solve the problem. Still, composing new ritual phrases in Korean while discarding the tradition cannot offer a solution either. Secondly, in traditional ceremonies, the ritual of “Offering to Buddha” is carefully organized whereas the practice of “Buddhist Preaching” for the public was not considered a part of the ceremony. Yet, in the Buddhist culture of today’s society, the necessity for “Buddhist Preaching” to the public has arisen. In this essay, I attempt to suggest reforms and rearrangements in rituals that can accord with the needs of this era of Hangul more effectively, while still respecting tradition – a ritual in which both “Offering to Buddha” and “Buddhist Preaching” can be served. Adopting the “Calling on the Three Treasures,” Sambotongcheong” as the basis of the service, the ritual of “Buddhist Preaching” is added, all translated and revised in Kore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