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李仁老의 사례로 본 고려전기 直翰林院의 운영과 역할

        김보광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4 사총 Vol.83 No.-

        This article examined the operation aspects of auxiliary of Hanlin Academy(直翰林院; kor. jikhanrimwon), a civil post at Hanlin Academy, centered on a case of Yi Il-Lo(李仁老), thereby intending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documentation of the king’s orders and operation process of auxiliary of Hanlin Academy. The main content is summarized as follows. Yi Il-Lo, who was born in 1152, passed a state examination in 1180 and worked as auxiliary of Hanlin Academy from 1185 to 1197 via auxiliary of Historiography Institute(直史官; kor. jiksakwan) in 1183. He was appointed to drafter of royal pronouncements(知制誥; kor. jijego) in 1213 and died at an age of 69 in 1220. Hanlin Academy originated from Department of Royal Pronouncement(元鳳省; kor. Wonbongseong) and was organized into Hanlin Academy under the reign of King Hyeonjong through modification by King Gwangjong and King Seongjong. All posts in Hanlin Academy were concurrent posts. Under the reign of King Yejong, all posts excluding auxiliary of Hanlin Academy were made into concurrent posts under the law. However, auxiliary of Hanlin Academy was operated as both a concurrent post and a full time job. Basically, the successor to auxiliary of Hanlin Academy was selected when there was a vacancy. The candidates were those who had good character and behaviors among successful examinees. If one had some defect in one’s family or status, one was not appointed. In addition, one’s character and behaviors should have no grounds for disqualifications. Not anybody was able to recommend a candidate for auxiliary of Hanlin Academy. Grand Councilors who had passed a state examination, expressed as confucian scholars, exerted their right of recommendation. Yi Il-Lo was recommended by Mun, Geuk-gyeom, a prime-minister at the time. Because the successor to auxiliary of Hanlin Academy was chosen when there was a vacancy, those who were selected thought that they were somebody’s successor. Lastly, I've also assumed the roles of auxiliary of Hanlin Academy at the end of this article. The basic role of auxiliary of Hanlin Academy was to write a ceremony writing, for example, writing a prayer for Buddhist or Taoist ceremony or a composition for the funeral of the king. auxiliary of Hanlin Academy was also in charge of “management”, for instance, managing a schedule for drafter of royal pronouncements, who prepared the king’s orders, so that they were able to write them at a proper timing. auxiliary of Hanlin Academy also played the role of copying what drafter of royal pronouncements had written in an appropriate form into a formal document. For such reasons, a rhetorical expression that auxiliary of Hanlin Academy drafts king’s pronouncements 이 글은 直翰林院이라는 관직의 운영 양상을 李仁老란 인물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서 王言의 작성 과정, 직한림원의 운영 과정 등을 이해하고자 한 것이다. 그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152년에 태어난 이인로는 1180년에 과거에 급제한 후 1183년에 直史館을 거쳐 1185~1197년에 걸쳐 직한림원을 지냈다. 1213년 이후에 知制誥에 임명되고 1220년에 69세로 세상을 떠났다. 翰林院은 元鳳省에서 유래한 것으로, 광종과 성종대의 정비를 거쳐 현종대에 한림원으로 개편되었다. 한림원의 관직은 관례적으로 겸직으로 운영되다가 예종대에 한림원의 거의 모든 관직들이 本品行頭로 지정되면서 겸직으로 운영되는 것으로 법제화되었다. 그러나 직한림원만은 전임직과 겸직 모두 운영되었다. 직한림원은 기본적으로 결원이 발생하였을 때 후임을 선발하였다. 이때 과거급제자 중 성품이나 행동거지가 방정한 이들이 후보가 되었다. 또 가계나 신분상으로도 하자가 있으면 임명될 수 없었다. 게다가 평소의 성격이나 행동거지도 살펴서 결격 사유가 없어야 했다. 직한림원의 후보자를 아무나 추천할 수 있던 것도 아니어서, ‘儒官宰相’ 등으로 표현되는 과거에 합격한 경력이 있는 재상들이 추천권을 행사하였다. 이인로의 경우, 당시 수상이던 문극겸이 추천하였다. 그리고 직한림원은 결원이 발생하면 후임을 뽑는 방식으로 운영되었기 때문에, 선발된 이들은 자신들이 누구의 후임이라는 인식을 갖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직한림원의 역할을 추적하여 밝혔다. 직한림원은 국가나 왕실 차원의 불교나 도교 행사를 위한 기도문인 疏, 靑詞 등을 작성하거나 국왕의 장례식을 위한 挽詞를 짓는 등 예식문의 작성이 기본 역할이었다. 또 왕명의 작성 주체인 지제고들이 제 때 작성하도록 일정을 챙기는 등의 ‘관리’를 하는 역할도 담당하였다. 그리고 지제고가 작성한 내용을 형식에 맞게 베껴 정식 문서로 만드는 역할도 하였다. 이러한 점들 때문에 직한림원이 국왕의 문서를 짓는다고 하는 수사적 표현이 나타나기도 했다.

      • 특집논문 : 이인로(李仁老)의 사례로 본 고려전기 직한림원(直翰林院)의 운영과 역할

        김보광 ( Bo Kwang Kim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4 사총 Vol.83 No.-

        이 글은 直翰林院이라는 관직의 운영 양상을 李仁老란 인물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서 王言의 작성 과정, 직한림원의 운영 과정 등을 이해하고자 한 것이다. 그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152년에 태어난 이인로는 1180년에 과거에 급제한 후 1183년에 直史館을 거쳐 1185~1197년에 걸쳐 직한림원을 지냈다. 1213년 이후에 知制誥에 임명되고 1220년에 69세로 세상을 떠났다. 翰林院은 元鳳省에서 유래한 것으로, 광종과 성종대의 정비를 거쳐 현종대에 한림원으로 개편되었다. 한림원의 관직은 관례적으로 겸직으로 운영되다가 예종대에 한림원의 거의 모든 관직들이 本品行頭로 지정되면서 겸직으로 운영되는 것으로 법제화되었다. 그러나 직한림원만은 전임직과 겸직 모두 운영되었다. 직한림원은 기본적으로 결원이 발생하였을 때 후임을 선발하였다. 이때 과거급제자 중 성품이나 행동거지가 방정한 이들이 후보가 되었다. 또 가계나 신분상으로도 하자가 있으면 임명될 수 없었다. 게다가 평소의 성격이나 행동거지도 살펴서 결격 사유가 없어야 했다. 직한림원의 후보자를 아무나 추천할 수 있던 것도 아니어서, ‘儒官宰相’ 등으로 표현되는 과거에 합격한 경력이 있는 재상들이 추천권을 행사하였다. 이인로의 경우, 당시 수상이던 문극겸이 추천하였다. 그리고 직한림원은 결원이 발생하면 후임을 뽑는 방식으로 운영되었기 때문에, 선발된 이들은 자신들이 누구의 후임이라는 인식을 갖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직한림원의 역할을 추적하여 밝혔다. 직한림원은 국가나 왕실 차원의 불교나 도교 행사를 위한 기도문인 疏, 靑詞 등을 작성하거나 국왕의 장례식을 위한 挽詞를 짓는 등 예식문의 작성이 기본 역할이었다. 또 왕명의 작성 주체인 지제고들이 제 때 작성하도록 일정을 챙기는 등의 ‘관리’를 하는 역할도 담당하였다. 그리고 지제고가 작성한 내용을 형식에 맞게 베껴 정식 문서로 만드는 역할도 하였다. 이러한 점들 때문에 직한림원이 국왕의 문서를 짓는다고 하는 수사적 표현이 나타나기도 했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operation aspects of auxiliary of Hanlin Academy(直翰林院; kor. jikhanrimwon), a civil post at Hanlin Academy, centered on a case of Yi Il-Lo(李仁老), thereby intending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documentation of the king’s orders and operation process of auxiliary of Hanlin Academy. The main content is summarized as follows. Yi Il-Lo, who was born in 1152, passed a state examination in 1180 and worked as auxiliary of Hanlin Academy from 1185 to 1197 via auxiliary of Historiography Institute(直史官; kor. jiksakwan) in 1183. He was appointed to drafter of royal pronouncements(知制誥; kor. jijego) in 1213 and died at an age of 69 in 1220. Hanlin Academy originated from Department of Royal Pronouncement(元鳳省; kor. Wonbongseong) and was organized into Hanlin Academy under the reign of King Hyeonjong through modification by King Gwangjong and King Seongjong. All posts in Hanlin Academy were concurrent posts. Under the reign of King Yejong, all posts excluding auxiliary of Hanlin Academy were made into concurrent posts under the law. However, auxiliary of Hanlin Academy was operated as both a concurrent post and a full time job. Basically, the successor to auxiliary of Hanlin Academy was selected when there was a vacancy. The candidates were those who had good character and behaviors among successful examinees. If one had some defect in one’s family or status, one was not appointed. In addition, one’s character and behaviors should have no grounds for disqualifications. Not anybody was able to recommend a candidate for auxiliary of Hanlin Academy. Grand Councilors who had passed a state examination, expressed as confucian scholars, exerted their right of recommendation. Yi Il-Lo was recommended by Mun, Geuk-gyeom, a prime-minister at the time. Because the successor to auxiliary of Hanlin Academy was chosen when there was a vacancy, those who were selected thought that they were somebody’s successor. Lastly, I``ve also assumed the roles of auxiliary of Hanlin Academy at the end of this article. The basic role of auxiliary of Hanlin Academy was to write a ceremony writing, for example, writing a prayer for Buddhist or Taoist ceremony or a composition for the funeral of the king. auxiliary of Hanlin Academy was also in charge of “management”, for instance, managing a schedule for drafter of royal pronouncements, who prepared the king’s orders, so that they were able to write them at a proper timing. auxiliary of Hanlin Academy also played the role of copying what drafter of royal pronouncements had written in an appropriate form into a formal document. For such reasons, a rhetorical expression that auxiliary of Hanlin Academy drafts king’s pronouncements.

      • KCI등재

        프랑스 예술가들의 공간, 왕립 회화 및 조각 아카데미

        신상철(Shin, Sangchel) 서양미술사학회 2016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44 No.-

        프랑스 왕립 회화 및 조각 아카데미의 종신 감독관이자 루이 14세 궁정의 수석화가였던 르 브룅이 활동했던 17세기 프랑스 미술계는 중대한 변화의 시기였다. 몽테뉴의 자아에 대한 철학적 탐구에서 비롯된 근대적 합리주의 정신이 확립되던 이 시기 미술의 영역에서는 이탈리아 화단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난 프랑스 미술의 독자성이 수립되기 시작했다. 1648년 설립된 왕립 회화 및 조각 아카데미는 이러한 변화의 구심점이었다. 왕립 아카데미 설립을 주도했던 샤를르 르 브룅은 아카데미를 통해 프랑스 작가들에게 미술의 기본 법칙과 조형 기법을 전수하고자 했다. 그의 목표는 프랑스 예술의 보편적 법칙과 규범을 수립하는 것이었으며 궁극적으로는 예술 창작 과정의 표준을 정립하는 것이었다. 르 브룅은 프랑스의 동시대 화가들에게 역사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회화의 영역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는 가독성이라고 생각했다. 이것은 예술적 독창성이나 진정성보다 훨씬 중요한 요소였다. 그는 회화의 가독성은 시각적 기호에 의해 형성된다고 믿었다. 따라서 회화를 구성하는 시각적 기호는 정확하게 표현되어야만 했으며 이러한 그의 생각은 과학적 방법을 기반으로 한 감정표현 기법을 만드는 토대가 되었다. 르 브룅에게 예술적 표현은 인간이 인지하고 경험한 것의 본질을 시각적으로 구현하는 것이었다. 인간의 내면에 존재하는 감정의 원형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하는 작업은 궁극적인 의미에서 그림 속 환영에 리얼리티를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동시에 서사적 구조를 지닌 역사화의 설득력을 높이는 수단이 된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었다. 르 브룅의 회화규범은 이론과 실천을 동시에 강조하는 것이었으며 이러한 그의 방침은 자신이 감독하고 있었던 왕립 아카데미를 통해 17세기 프랑스 화단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쳤다. The 17<SUP>th</SUP> century which Charles Le Brun, the first painter of King Louis XIV and director of the Royal Academy of Painting and Sculpture worked in artistic field actively, was a time of great changes in the French art world. That period was the time to have established the modern rationalist spirits derived from the philosophical quest for the ego of Montaigne and in the artistic area it began to be established, the uniqueness of the French art outside from the influence of the Italian art world. The Royal Academy of Painting and Sculpture, founded in 1648 was the cornerstone of these changes. Charles Le Brun, who had played the leading role in establishing the Royal Academy, had a strong will to educate the basic rules of art and the techniques of formative arts to the French artists through the Academy. His main goal was to set down the universal norms of art and furthermore to establish the canons of France arts, ultimately which, should be said, was to introduce the fundamental rules in creative arts courses. In a way of specifying his plan, Le Bru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history paintings to contemporary French painters. Placing emphasis on the history paintings, he highlighted the manner of delivering and demonstrating convincingly the fundamental subjects which the history paintings universally would imply. He placed stress on the exact mathematical ratios, geometric laws and anatomical details in realizing the individual elements and the overall compositions of the painting. With standing on his belief, he built up the proper foundation of his own geometric systems for producing history paintings. Le Brun was strongly convinced that readability valued most frabjously in the field of paintings, as more significant factors than the creativity and authenticity in artistic view. He considered the readability of paintings should be formed by well performed visual signs, which accordingly led to the foundations of properly expressing ones emotions grounded on the scientific basis of geometry and anatomy to produce a well-proportioned outcomes. Painting norms proposed by Le Brun is consistent with pointing out the significances of the theory and practice should be well balanced equally, which ultimately resulted in becoming the main policy that had enormous influences on the French art world through the Royal Academy in the 17<SUP>th</SUP> century.

      • KCI등재

        『育英公院日錄』연구

        김경용(Kim, Gyung Yong) 교육사학회 2010 교육사학연구 Vol.20 No.2

        이 연구는 조선조 말 1886년에 설립된 육영공원의 學員이었던 朴經遠이 작성한 『育英公院日錄』과 여타 육영공원 관련 사료를 분석하여, 육영공원에 대한 종래의 이해에 미진한 점과 오류가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었으며, 새로운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처음으로 육영공원에 學員을 들일 때 被選과 薦으로 구분하고 있다. 왜 이런 구분을 하고 있는지, 이 구분의 의미가 무엇인지 규명된다면, 육영공원 학원 선발과정과 기준을 더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차 선발 이후에는 신/구 두 개의 분반으로 나뉘어 운영되었다. 좌원(관직자)과 우원(무관직자)으로 구분되어 있었으나, 이들에게 별도의 수업이나 月講이 이루어진게 아니라, 좌·우원 구분 없이 新학원/舊학원으로 분반하여 운영되었다. 우원 학원은 課日에 기숙하면서 수학하도록 규정되어 있었지만, 실제로는 상당수 인원이 일일왕래와 기숙을 번갈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우원 학원이 과거에 급제하면 좌원으로 승급하였으며, 육영공원이 문을 연 후 1년 반 가량 지나자 좌원 학원은 이틀 또는 삼일마다 출석하게 하였다. 이는 좌원 학원이 태만해진 탓이라기보다는 직무수행에 지장이 없도록 조치한 것이었다. 『육영공원일록』에는『육영공원등록』 에 나타난 바와는 달리 복잡하고 다양한 인원변동 내역을 전하고 있으며 육영공원 학원의 減下시기와 그 대상자를 알 수 있는데, 감하의 이유와 의미는 밝혀져 있지 않다. 감하가 졸업을 의미하는 것인지, 아니면 성적부진으로 퇴출당한 것인지 규명할 필요가 있다. 해명해야 할 의문점이 여전히 남아 있지만, 『육영공원일록』에 나타난 사실로부터 육영공원에 대한 종래의 평가에 오류가 있다는 점은 분명히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미국인 교사들의 교수활동이 그다지 성실했다고 보기 어려운 반면에, 이들의 불만 대상이었던 좌원 학원들의 행적에는 그렇게 보일만한 타당한 이유가 있었으며, 수학 도중이든 이후든 국왕의 施政과 왕세자 교육에 늘 이들이 개입되어 있었다. 육영공원에서 수학한 인물들이(특히 좌원 학원) 수학 도중이나 이후에 어떤 직무에 종사하고 있었는지 그 구체적인 실상을 추적·조사하는 과제를『일록』 은 우리에게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 『The Daily Records of Royal Academy(育英公院日錄)』written by Park Gyung Won(朴經遠, 1869-?) who had been a student member of ?The Royal Academy(育英公院)?which had been established in 1886 for teaching foreign language and some other western science to brilliant young men(registered in the Right Department) and public servants(registered in the Left Department). By this analysis, we made it clear that there was some questionable things and several faults on former understanding about ?The Royal Academy?. Even though some unsoluble questions still exist, we can make clear recognition that the previous negative evaluation on ?The Royal Academy?is not correct. The American teachers of ?The Royal Academy?was not so diligent as description made by themselves. Nevertheless, the members of ?The Royal Academy?, especially of the Left Department were busy public servants and not bad students. During and after the period of learning in ?The Royal Academy?, they always took part in the administration of the King and the education for Crown Prince. Now it is available that we should persue some energetic project to trace and investigate exhaustively the concrete activity of the members of the Left Department in those days. It must be an earnest message from the past written in The Daily Records of The Royal Academy.

      • KCI등재

        섬나라에 온 이방인: 18세기 영국 왕립미술원의 외국인 회원들

        전동호 미술사학연구회 2009 美術史學報 Vol.- No.33

        The Royal Academy of Arts was a key institution in promoting the visual arts in Britain by providing artistic training for promising students and, more importantly, by staging an annual exhibition to which members and non-members alike were allowed to contribute their works. Established in 1768 by a Royal Charter, the Royal Academy was a flagship art organization and naturally the full membership of the Royal Academy of which only forty were available was highly coveted . In the eighteenth century, surprisingly, there were a number of foreign artists holding full membership of the British Royal Academy: fourteen in all by the end of the eighteenth century. This study attempts to chart the tidal shift in artistic taste in late eighteenth-century Britain by looking into the activities of continental European artists active in Britain and into the changing perceptions of them in the British public mind. In recognition of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artistic public sphere in this pivotal era in the history of Western art, this paper seeks to highlight the roles played by foreign artists in the formation of artistic cosmopolitanism on the one hand and of British cultural identity on the other. To further the investigation in detail, it addresses and attempts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who these alien artists were and what brought them to Britain; how active they were in Britain as artists; what kinds of public responses these foreign artists elicited in British press and how they changed. In the final analysis, it is suggested that the rise of nationalism in Britain at the end of the eighteenth century drastically changed public perceptions of alien artists but artistic migration and transnational movements of artworks and people were an integral part of British artistic identity-making.

      • KCI등재

        브로드웨이에서 로열 아카데미까지 : 에드윈 어스틴 애비의 영국 미술 수용 과정 연구

        이미경(Rhi, Mikyung)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7 美術史學 Vol.- No.34

        에드윈 어스틴 애비는 브로드웨이(Broadway)에 거주하며 삽화, 회화, 벽화를 통해 영국의 미술 경향을 미국 미술계로 활발하게 전달한 인물이다. 1880 년대 중후반 영국 중서부의 브로드웨이는 애비, 사전트, 밀레를 포함해 미국 예술가들이 집단으로 거주하던 장소였다. 브로드웨이는 미술 공예 운동과 관련된 이들에게 대안이 되었으며, 미술 공예 운동이 사라져 간 자리는 미국 출신의 예술가, 작가들로 대체되기 시작했다. 애비는 중세 전원도시의 영감의 원천지로서 브로드웨이의 매력을 적극적으로 탐구했다. 특히 애비는 1885년부터 1889년까지 런던 북서부의 브로드웨이에 거주하면서 미국에서 삽화가로 활동한 경력을 살려 문학 테마를 더욱 본격적으로 제작했다. 또한 애비의 영국 미술 수용 과정에서 로열 아카데미 역할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애비는 1896년 로열 아카데미 준회원으로, 1898년 로열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애비는 정신적 가치와 도덕성의 강조, 중세주의에 대한 관심, 풍부한 세부묘사와 꼼꼼한 제작 기법에서는 라파엘전파의 미술을 수용했으며, 문학 테마의 선택, 테마를 다루는 방식은 로열 아카데미로부터 수용했다. 애비는 로열 아카데미가 권장하는 문학 테마 가운데 셰익스피어 문학과 테마에 집중했다. 애비가 로열 아카데미에서 존재감을 드러내고 미술가로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복잡한 셰익스피어 문학 테마를 선택했기 때문이다. 애비가 로열 아카데미에서 존재감을 드러낸 또 다른 이유는 세세한 시기 연구와 텍스트에 기반한 역사적, 고증적 자세와 접근 방식 때문이다. 애비는 골동품과 중세, 의상, 건축 등에 관한 광범위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신화, 문학, 유럽 역사에 대한 고증적 자세로 작품을 제작함으로써 역사화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애비의 영국 정착 과정에서 라파엘전파와 로열 아카데미 미술 수용 과정을 기술함으로써 영국 미술이 미국 미술로 전파된 보다 구체적인 경로를 파악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미국 미술가들의 정착촌 브로드웨이의 형성과 애비의 영국 정착 과정을 기술함으로써 라파엘전파, 미술 공예 운동과 관련된 영국 예술가들의 작품들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교류, 제작, 전파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Edwin Austin Abbey(‘Abbey’, 1852-1911) is an artist who actively disseminated United Kingdom’s art trend to America throughout the form of an illustration, paintings and murals. In middle-late 1880, Broadway located in the northwest of London was an alternative option for artists engaged in Arts and Craft Movement, which was stipulated into American painters, writers and illustrators. Abbey actively explored attractive merits of Broadway being a source of medieval rural cities. Stayed in Broadway from year 1885 through 1889, Abbey buckled down to produce literature theme based on his earlier experiences as illustrator in America. Abbey accepted technical methods from Pre-Raphaelites such as spiritual value, emphasis on morality, interest toward Medievalism and rich description in precise details and handling methods from Royal Academy such as selection of literature theme, mode of producing such literature theme. With self confidence of his successful potential, Abbey focused on Shakespearean literature themes out of multiple literatures themes recommended by Royal Academy. Reason of raising sense of his existence and succeeding as an artist was due to his selecting Shakespeare’ complex literature theme as his own theme. Another reason was due to his approach based on detailed historical research and restoring artifacts search. Abbey produced the art by adopting approach of restoring literature, European history and Myths based on his immense and comprehensive knowledge on antiques, medieval, costumes, architecture, which resulted to his positioning as a historical painters. This thesis focused on the process and route to accept English Art trend by Abbey. Especially this thesis will be meaningful to identify the route to trace the process of the establishing Broadway for American artists in England.

      • KCI등재

        18세기 프랑스 사회와 여성 화가들의 위상

        나애리 유럽문화예술학회 2019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0 No.1

        By the time when the French Revolution began in the 18th century, however, the number of female artists rapidly increased and some of them were recognized as members of the Royal Academy(Académie royale de peinture et de sculpture). The number of female artists also grew rapidly who exhibited their pictures in the Salon which was held by the state. That is to say that women intended to advance in society by demonstrating their talents and getting their talents recognized. In this presentation, we figured out how such a drastic change was possible, summarizing several fundamental grounds. The first research subject was the salon culture led by women in the 18th century. The owners of French salons in the 18th century played a role in stimulating women's intellectual desires and they contributed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thinking, literature and art in the 18th century. Salon women greatly contributed to raising the cultural intellectual level in the 18th century by providing a space for philosophers and artists as well as writing literature themselves. In addition, their influence was great to help attendees become members of the Royal Academy and they also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Enlightenment by economically and mentally sponsoring the Enlightenment thinkers who attended their salons. But, The problem is that the women in 18th century still accepted the image of women given by society without refusing it. The traditional conservative society forced women to have traditional feminine virtues, but women themselves were not able to let go of the image of a woman who was humble, virtuous, and non-spontaneous and who always agreed with men’s opinions and always respected the virtue of her family, rather than herself. The second subject was the influence of private art education institutions which were established against the 18th century’s Royal Academy of Arts as well as people who ran and sponsored those art institutions. These arts institution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fostering creativity of individuality of artists unlike the Royal Academy. The art theory of the absolute monarchy had to follow the principles of absolutism and the artist had to restrain his or her freedom and personal preference. Under this social background, the private art institutions increased creativity and diversity of art. But, even though David argued for the complete abolition of the Royal Academy of Painting and Sculpture and he gave the opportunities for the female artists to study arts in his atelier, he was negative about female artists’ advancement in society, saying that women's job was to care for her family. The final subject was the influence of Enlightenment which was popular in the 18th century. Enlightenment in the 18th century argued for freedom and autonomy of mankind, and to respect individuality of others. The Enlightenment thinkers criticized the old system through free debate and insisted on progressive thinking. However, the progress of Enlightenment was only for men. They did not accord equal value to women who made up half of mankind. Enlightenment thinkers thought that women were intellectually inferior, Even though women opened their salons to spread ideas of Enlightenment and played a major role in the spread of culture and advancement of science, the scholars described women from a moral aspect which emphasized women’s virtue of being faithful to their families. For this reason, they did not recognize women’s right to express or create. 프랑스 여성들은 전통적으로 여성의 지위 향상과 여성의 사회적 진출에 있어 매우 소극적인 태도를 고수해왔다. 역사적 여성의 권리를 옹호하려는 움직임이 있었지만, 남성과 여성 지위의 완전한일대일 평등을 내세우지는 않았다. 여성들은 현모양처로서의 전통적인 여성 이미지에서 탈피하지 못하였으므로, 자신의 능력을 개발하여 전문 직업인이 되는 데 있어 매우 소극적이었다. 그런데 18세기 말, 프랑스 대혁명이 일어날 때쯤, 여성 화가들의 수가 급증하고, 이들 화가들 중에는 왕립 아카데미 회원으로 인정받은 화가들도 있었으며, 국가에서 개최하는 상롱 전시회에 그림을전시한 여성 화가들도 급증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일어나게된 이유가 무엇인지를 그당시 정치 사회적인 배경에서 찾아보고자 했다. 18세기 현명 이전 절대왕정시대의 왕립미술아카데미에서의 화가들의 지위에 대해 살펴보고, 사설미술기관에서의 여성 화가 교육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또한 18세기 여성들이 주로 활동했던 살롱에서의 문화예술 활동 및 에 대해서도 살펴보며, 당시 사회적 사상의 기반이 되었던 계몽주의 사상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이러한 조사를 통하여, 18세기 여성화가들이 급증하고 화가로서 인정받게된 가장 큰 이유는 당시 사설미술관을 운영했던 화가들의 영향이 컸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18세기 살롱문화를 이끌어간 여성들의 영향 또한 여성 권리의 신장에 큰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남녀평등을 주장할 것같은 계몽주의 사상가들은 오히려 여성들에게 천부적인 여성적인 역할을 강조해왔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Libertas philosophandi and Cloistered Women in Margaret Cavendish’s The Convent of Pleasure

        이시연 한국18세기영문학회 2022 18세기영문학 Vol.19 No.2

        This essay explores Margaret Cavendish’s The Convent of Pleasure (1668) as a vindication of the liberty of mind for early modern women for its own sake, a distinguishing feature from other ‘female academy’ proposals or fictions including those of much later dates. The notion of cloistered female communities was abhorred in Protestant England for their associations with Catholic monasticism and female celibacy, while few missed old nunneries except as a place to conveniently lock away “their withered daughters.” Thus proposals of female academies, including Mary Astell’s, routinely faced mockery and censure and relied on the ultimate defense of educating “better Christians.” The Convent of Pleasure is unique in imagining a female society devoted to natural knowledge per se as subject of such knowledge production, at the historical juncture when natural philosophy was being enclosed within all-male spaces such as the Royal Society and its Baconian model Salomon’s House. Lady Happy, founder and Prioress of the Convent, proclaims unapologetically that hers is a “Cloister ... of freedom,” and “not for the gods sake, but for opinion’s sake.” Lady Happy’s Convent stands in elaborate contrast to Salomon’s House, whose “Art” is to “deceive” and coerce nature, and she differentiates her “Wit” from “your Wit” that “measures” and “weighs,” as at the Royal Society. The Convent besieged with intrusive men outside is reminiscent of Bacon’s mandate in Novum Organum for the “true sons of the sciences” to penetrate into nature’s “inner rooms,” but Cavendish subverts this setting to reconfigure the cloistered women as the self-knowing subject, not the object of male gaze and knowledge. One Prince indeed manages to infiltrate, disguised as Princess, but Lady Happy and this Prince/ss’s marriage at the end does not simply signal the Convent’s closure but serves to rebuke the monastic, misogynous, and anti-liberal society of male philosophers.

      • KCI등재

        러시아 <미술 아카데미>의 태동과 ‘러시아적인’ 예술문화의 전개

        김상현 한국노어노문학회 2021 노어노문학 Vol.33 No.1

        As has been well known, the Russian <Academy of Arts>, which was established in the reign of the Empress Elizabeth Petrovna in 1757, was created under the heavily influence from the French <Royal Academy of Arts>. From the most of its important curricula to specific administrative programs, the Russian <Academy of Arts> itself represents the starting point of Russian art, particularly painting, though it began with French artistic hierarchy and legacy from historical painting and portrait depicted the Russian tsars and tsarinas. Yet, it had not past a century until Russia found and developed her genuine characteristics, with a piece of evidence showing that ‘the 14 people’s revolt’, as well as the Wanderers following the democratic and anti-governmental power politics stand for the typically Russian style of paintings. Given these basic developments of the Russian <Academy of Arts>, this article scrutinizes not only the general contour of history of Russian paintings from the early period of the imperial institute, but the so-called genuine Russian characteristics reflected in paintings, in particular. To this end,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ilot experiment is to examine and explore the Russian paintings’ long history and essential features which are different from those of French arts during the period of the early 18th century into the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1757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개원한 <미술 아카데미>는 제국 러시아, 제정 러시아의 역사관과 예술관을 분명하게 보여주는 엘리트 예술가를 양성하는 전문 기관이었다. 회화 장르의 위계질서에서 최상위를 차지하는 역사화 장르를 가장 우선시하여 젊은 예술가들을 교육한 기관으로 출범한 아카데미는 총 4분과(회화, 조각, 건축, 판화)를 개설하였다. 아카데미는 사회적 의무와 시민의 덕행, 국가와 국가 기관에 대한 충성을 장려하는 주제를 선택하도록 학생들에게 거의 강요된 예술 교육을 주입하였다. 그리하여 고대 그리스·로마의 신화 및 성경의 주제를 바탕으로 한 관변적 역사화는 가장 중요시된 교육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관행과 예술교육 방침은 점차 아카데미 내부에서 갈등과 새 양식에의 도전을 야기하였다. 1830년대부터 시작된 탈고전주의적 움직임을 비롯하여, 반제도권적 저항의 움직임은 1863년 일명 ‘14인의 반란 사건’을 통해 그 정점에 달하였다. 정부가 제시한 지정 주제에 반대하여 자유 주제를 부여할 것을 요구하며 아카데미를 자진 퇴학한 14인의 저항 사건은 이후 이동파의 전신이 되었고, 19세기 후반 러시아 예술 문화의 흐름을 형성하는 가장 거대한 움직임으로 부상하였다. 본 연구는 <미술 아카데미>의 역사를 1)프랑스의 <왕립 미술 아카데미>와의 비교, 2)러시아 <미술 아카데미>의 기본 특징과 역사 전개, 3)14인의 반란 사건을 통해 본 러시아 예술의 특징, 4)이동파 화가들의 화풍을 기본적으로 살피면서 러시아 예술문화의 큰 흐름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로써 본 연구는 19세기를 중심으로 러시아 미술의 본질적인 특징이 반규범적 민주주의 정신, 관제적 예술 규범 타파, 친민중적인 화풍 창조, 그리고 민주주의적인 봉사 정신의 의무감 등에 있음을 제시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목적으로 한다.

      • KCI등재

        프랑스 미술 아카데미의 교육에 관한 연구 - 17세기 프랑스 왕립 회화, 조각 아카데미의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

        현정아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5

        본 연구는 17세기 프랑스의 ‘왕립 회화, 조각 아카데미’의 교육적인 변화와 내용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648년 설립된 프랑스 왕립 미술 아카데미는 이탈리아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더욱체계적이고 규칙화된 강연과 교육을 제시하여 이후에도 미술가를 훈련시키는 데 있어 오랫동안 기초적인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 논문은 17세기 아카데미의 교육에 관해 연구하기 위해 아카데미의 교육방식과 내용 등을 살펴본 것이다. 그리고 당시의 대표적 작가이자 교육자인 ‘샤를 르 브룅’의 강연을비롯해 아카데미에 큰 영향을 미쳤던 ‘앙드레 펠리비앙’과 ‘로제 드 필’의 사상에 대해서 중점적으로분석한다. 왕립 미술 아카데미의 역할은 교육 기능 이외에도 전람회를 열거나, 사회적 신분을 보장하는 기능 등을 가지고 있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왕립 미술 아카데미의 여러 기능 중에서 특히, 교육적인 기능에 중점을 두고 언급한다. 미술 아카데미의 역사가 16세기 이탈리아의 ‘아카데미아 델 디세뇨’ 에서 시작되어 그 정착을 이룬 것은 17세기 프랑스의 왕립 미술 아카데미라고 볼 수 있을 것이며, 당시 다른 유럽 국가들의 아카데미 형성 및 미술계의 형성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후 18세기 말까지 유럽전역에 아카데미는 계속 증가하게 되었으며, 특히 교육의 커리큘럼과 방법에 관한 부분에서 드로잉과석고상의 모사, 실물을 그리는 방식들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20세기까지 유럽의 전통 안에서미술가 교육의 기초가 되었다. 또한, 프랑스 왕립 미술 아카데미는 동경예술학교와 같은 일본의 미술교육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영향은 우리의 미술대학 교육 현장 곳곳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미술 아카데미 교육의 원류를 찾아 당시의 교육적인 특성을 파악하는 것에 의의를두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