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방부장관의 불온서적 영내 반입금지 지시에 대한 헌법소원 제기를 이유로 한 군법무관에 대한 징계처분 등의 효력

        김도형 사법발전재단 2019 사법 Vol.1 No.48

        The subject case revoked the disposition of disciplinary action, which was imposed on the Plaintiff, a judge advocate general’s corps officer, or a military advocate, on the ground that he brought a constitutional complaint along with other military advocates against the order issued by the Minister of National Defense, which banned bringing seditious books into military barracks. In the instant case where a soldier’s duty to obey and a citizen’s right to a trial appear to conflict on the surface in that the subject of the constitutional complaint is the order of the Minister of National Defense, who is a superior, the Supreme Court determined that the pertinent constitutional complaint did not violate a soldier’s duty to obey, in light of the fact that: (i) the purpose of exercising the right to a trial was not directed toward disobeying the instant order; and (ii) the instant order excessively restricted ordinary soldiers’ spiritual fundamental rights, that is, freedom to read, and carried a presumption of unconstitutionality, and thereby setting forth the standard for determining when exercising the right to a trial does not constitute a violation of the duty to obey. Moreover, the subject case concluded that not having followed internal procedures requiring military personnels to make a proposal prior to seeking external resolution, which is not stipulated as a legal requirement, cannot constitute grounds for disciplinary action, thereby affirming that the principle of statutory reservations pursuant to Article 37(2) of the Constitution must be complied with even in a case where a person whose fundamental rights are restricted is a member of the armed forces. In addition, the pertinent case confirmed the existing legal principle that a “collective action committed for purposes other than military service” means any activities that undermine military discipline or violate one’s duty as military personnel, and proposed the standard of determining what constitutes such a collective action. 대상판결은 군법무관인 원고가 다른 군법무관들과 함께 국방부장관의 군 내 불온서적 반입 금지 지시에 대하여 헌법소원을 제기하였음을 이유로 받은 징계처분 등을 취소하였다. 헌법소원의 대상이 상관인 국방부장관의 지시라는 점에서, 군인의 복종의무와 국민으로서 재판청구권 행사가 일견 충돌하는 것으로 보이는 이 사안에서, 대법원은 재판청구권 행사의 목적이 이 사건 지시에 불복종하려는 것이 아니고, 이 사건 지시가 일반 군인들의 책 읽을 자유라는 정신적 기본권을 과도하게 제한하여 위헌의 의심이 있었다는 점 등에 비추어 볼 때, 복종의무에 위반되지 아니한다고 판단함으로써 군인의 재판청구권 행사가 복종의무에 위반되지 아니하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또한 법령의 근거가 없는 군 내 사전건의 절차를 거치지 아니하였다는 이유만으로 징계사유가 될 수 없다고 판단함으로써, 군인이라 하더라도 기본권을 제한하기 위하여는 헌법 제37조 제2항에 따른 법률유보원칙이 준수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군무 외 집단행위란 군복무에 관한 기강을 저해하거나 기타 그 본분에 배치되는 행위라는 기존 법리를 확인하고, 그 판단 기준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전쟁기 미군의 전쟁범죄 조사와 처리 -전쟁범죄조사단(KWC)을 중심으로-

        양정심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0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4

        The U.S. force raised the need for organized investigation about war crimes with mentioning the concept of war crimes immediately after the Korean war's break out. It resulted in setting up a War Crimes Division. War Crimes Division was organized under the need of investigation, arrest for war criminals and the organization charged with the task of trial. The War Crimes Division was organized in judge advocate general of the U.S. Eighth Army on 13, October in 1950. It transferred to military district of quartermaster in Korea in September of 1952. This organization was released on 31, May in 1954 since the war ceased. The War Crimes Division’s task was mainly to investigate some events that were suspected of war crimes and to organize case files in the preparation of war-crimes trial after the war. Its investigation was performed generally through interrogation to POWs. Field trip investigations were also made to demonstrate war crimes’ evidence. Another method to obtain the evidence of war crimes was the body recovery program and collecting statements given by returnees with the exchange operation of prisoners. The investigation of the War Crime Division was focused on the prisoner of war returnees since it moved to military district of quartermaster in Korea. Its activities were performed linked with ‘Little Switch’ and ‘Little Switch’, the exchange operations of prisoners. At the same time, the investigation of the War Crime Division primarily devoted to the screening of case files and re-tabulation of statistics for the preparation of the interim report. As the result, 1,956 cases were referred to the Office of the Judge Advocate General and Army Headquarters in Washington D.C. and Far Eastern Military Headquarters. The War Crime Division not only investigated the atrocities suspected as People’s Army and People's Liberation Army committed, but also checked and preserved huge number of case files systematically. Some parts of those case files were submitted as corroborative facts to a special subcommittee on Korean War Atrocities. However, the U.S. never conducted a war-crime trial, nor took legal action against war crimes through the International Court. The POWs were exchanged. It was declared that even non-repatriated war criminals from People’s Army were not charged with war crimes. The policy of the U.S. force was not to use war criminal materials to make it easier for UN POWs to return. There was the situation of the U.S. was not immune from the suspicion of war crimes’ perpetrators behind its attitude like above. Finally, investigation activities of War Crimes Division could not be far from propaganda charging hostile countries at war and collecting evidences for the preparation in post-wartime. 미군은 한국전쟁이 발발한 직후부터 전쟁범죄의 개념을 거론하면서 조직적인 조사 활동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그것은 전쟁범죄조사단 설치로 이어졌다. 전쟁범죄조사단은 한국전쟁 관련 전쟁 범죄자들에 대한 조사와 체포, 그리고 재판을 위한 운용 책임을 맡을 조직이 필요하다는 판단 속에서 조직되었다. 1950년 10월 13일 전쟁범죄조사단은 미 8군 법무과 내에 설치되었고, 1952년 9월 한국병참관구로 이관되었다. 이 조직은 전쟁이 끝나고 1954년 5월 31일에야 해체되었다. 전쟁범죄조사단의 주요 활동은 전쟁범죄로 추정되는 사건을 조사하고 이후의 전범재판에 대비하기 위해 사건 기록을 정리하는 것이었다. 조사 활동은 주로 거제도 포로 심문을 통해 이루어졌고, 전범 증거를 입증하기 위한 현장 조사가 실시되었다. 이와 함께 증거들을 획득하는 또 다른 방법은 포로교환 작전으로 회수된 미군 유해와 귀환자들의 진술이었다. 한국병참관구 이관 이후 조사단의 조사 활동은 주로 귀환한 포로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이는 포로 교환 작전인 ‘Little Switch’와 ‘Big Switch’와 연계되어서 진행되었다. 전선이 고착화됨에 따라 1952년 말 조사단의 활동은 중간보고서 준비를 위한 사건파일의 검토와 재도표화에 집중되었다. 그 결과 한국에서 일어나 1956개의 사건이 전쟁범죄 조사 및 분석 대상으로 워싱턴의 법무감실과 육군 본부, 그리고 극동군 사령부에게 제출되었다. 전쟁범죄조사단은 북한과 중국군이 저질렀다고 여겨지는 잔학행위를 조사했을 뿐만 아니라 방대한 사건 기록을 체계적으로 정리ㆍ보존했다. 이 기록들 일부는 한국전쟁의 잔학행위를 조사하기 위한 미 의회 청문회에 증거 자료로 제출되기도 했다. 하지만 미국은 전범재판을 열지도 않았고 국제재판소에 제소하지도 않았다. 포로들은 교환되었고, 송환되지 않은 북한군 전범일지라도 전범혐의가 유지되지 않는다고 공표했다. UN군 포로들의 순조로운 귀환을 위해 전범 자료를 이용하지 않겠다는 것이 미군의 정책이었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전쟁범죄의 가해자 혐의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미국의 상황이 있었다. 결국 전쟁범죄 조사 활동은 상대국을 비난하는 선전전 성격과 전쟁 이후를 대비한 증거 수집의 양상을 벗어나기 힘들었던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