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중.일 산업별 기술무역 경쟁력분석

        백은영(Eunyoung Baek) 한국통상정보학회 2021 통상정보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지정학적으로 밀접하면서도 갈등관계인 동시에 가장 큰 무역 흑자와 적자국인 중국과 일본을 대상으로 하였다. 4차 산업혁명기 기술패권시대에 중국과 일본과의 상품 및 서비스 교역내 부가가치 창출의 근간이 되는 산업별 기술경쟁력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이를 위해 무역특화지수(TSI)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기술무역수지 흑자국인 중국의 경우, 대부분의 산업에서 기술무역경쟁력을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소재산업의 경우 분석대상기간 내내 기술수입특화, 즉 기술수출보다 기술수입이 많았으며 더욱이 2019년을 기준으로 그동안 기술수출특화였던 기계, 전기/전자, 건설 산업 등이 기술경쟁력을 상실하며 기술수입이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절대적인 기술약세를 보이고 있는 일본의 경우, 우리나라는 일본에 대해 역대 매우 강한 기술의존을 보이고 있다. 특히 섬유, 전기/전자, 소재산업 등에서는 분석대상 10년간 –1에 가까운 기술수입특화로 나타나고 있다. 다만, 정보/통신산업은 기술서비스와 함께 기술수출특화로 나타나고 있어 對日기술무역수지 적자 감소에 기여하는 산업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과 일본에 대한 산업별 흑자와 적자를 메트릭스 기법으로 다시 살펴본 바, 우리나라가 양 국가에 가장 큰 기술의존을 보여주는 산업은 소재산업과 기계산업이었다. 이는 2019년 일본의 수출규제 이후, 소재ㆍ부품ㆍ장비산업(소부장)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는 기술경쟁력 강화 정책이 시급함을 반증하는 결과이다. 더불어 전기/전자 산업은 중국과의 기술경쟁력이 지속적으로 약화되면서 2019년에는 적자산업으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정치․경제적 상호관계가 매우 밀접한 동북아 3국간 기술경쟁력을 기술무역 데이터를 활용하여 살펴봄으로써 각 산업별 기술경쟁력의 변화 양상을 분석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對中전기/전자산업은 흑자기조에서 적자기조로 전환되었고, 그리고 양국 모두에서 취약한 기술경쟁력을 보이고 있는 산업이 소재 및 기계산업임을 분석결과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들 산업의 기술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기업의 실질적인 노력과 정부의 적극적인 기술교역 지원정책 수립이 시급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imed at China and Japan, the countries with the largest trade surpluses and deficits, while also having close and conflicting relations with Korea. In the era of technological hegemon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 attempt was made to analyze th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each industry, which is the basis for creating added value in goods and services trade with China and Japan. For this purpose, the trade specificity index (TSI) was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case of China, Korea s representative technology trade surplus, it had technological trade competitiveness for most industries. However, in the case of the material industry,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was weak during the analysis period. Moreover, as of 2019, the mechanical, electrical/electronic, and construction industries, which had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lost their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nd technology imports are increasing. Also, in this study, by examining the surplus and deficit by industry for China and Japan again using a matrix method, it was found that the industries showing the greatest technological dependence of Korea on both countries were the materials industry and the machinery indust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analyzed the changes in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each industry by examining th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the three Northeast Asian countries, which have very close political and economic interrelationships, using technology trade data. In addition, when analyzing the competitiveness of technology trade with China, which had been in a surplus of technology trade balance, by industry, it was found that the electric/electronic industry is rapidly changing from a surplus to a deficit industry. This suggests that practical efforts by companies to strengthen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nd the establishment of an active technology trade support policy by the government are urgently needed.

      • KCI등재

        삼극특허 정보를 이용한 기술혁신 역량의 국제 경쟁력 분석 -원자력 기술 사례-

        이태준,권찬용,김익철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9 지식재산연구 Vol.14 No.3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each country in the field of nuclear technology using triadic patent information. Triadic patents in the field of nuclear technology produced for 21 years from 1995 to 2015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t the national level in terms of technical competitiveness, market competitiveness and integrated technological innovation competitiveness. We also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triadic patent performance and domestic demand size. The empirical results find that the integrated technological innovation competitiveness of nuclear triadic patents, unlike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is highly related to the market competitiveness measured by quantitative activity and has low relation to the technical competitiveness measured by patent citation. In addition, domestic demand size was highly related to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competitiveness. This result implicates that in order to secure competitiveness in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 case of nuclear technology, the quantitative performance of the triadic patent should be improved first as well as the citation of the triadic patent along with fostering domestic market. This paper notes this result comes mainly due to the large and complex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nuclear technology. 본 논문에서는 삼극특허 정보를 이용해서 원자력 기술 분야의 국가별 국제 경쟁력을 비교·분석하였다. 1995년부터 2015년까지 21년 동안 생산된원자력 기술 분야의 삼극특허를 국가 단위에서 조사·분석하여, 기술 경쟁력과 시장 경쟁력 그리고 통합적인 기술혁신 경쟁력을 분석하였고, 추가적으로 삼극특허 성과와 수요 규모와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에서는, 기존 연구와는 다르게, 원자력 삼극특허의 통합적인 기술혁신경쟁력이 양적인 활동도로 측정된 시장 경쟁력과는 높은 관련성을, 특허 피인용도로 측정된 기술 경쟁력과는 낮은 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국내 수요규모가 삼극특허의 총체적인 기술혁신 경쟁력과 높은 연관성을 보였다. 이 같은 결과는 원자력 기술의 경우에 기술혁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삼극특허의 피인용도뿐만 아니라 양적인 성과를 우선적으로 높여야 하고 또한국내 시장도 육성되어야 함을 암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결과가 원자력 기술의 대규모적이고 복합적인 기술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 KCI등재

        한국의 산업별ㆍ기술별 기술무역 경쟁력 연구: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백은영 국제e-비즈니스학회 2022 e-비즈니스 연구 Vol.23 No.2

        Research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Korea's industrial and technology policies by analyzing the technology trade competitiveness by industry and technology for the United States and China, the largest trading partners of trade and technology. Research Methods: By examining the shortcomings of MDGs, temporary goals of SDGs are suggested. In addition, four countermeasures are recommended for further consideration. Results in Research: In the case of the electronic components, computers, video, sound, and communication equipment industries, the technology inferiority has recently intensified in the analysis of technology trade competitiveness (TSI) with the U.S. and China. Research Conclusion: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recent publication, video, broadcasting, and information service industries (information/communication industries), technology exports in both the U.S. and China are expected to play a central role in spreading technology exports in the future. It was analyzed that Korea's top five companies' technology import and export bias toward the U.S. and China intensified, and there were more technology inferior industries than technology superiority to both countries. Suggestions in Research: This study suggests that, above all, the legal and institutional development of technology trade to secure global technology competitiveness is urg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lternative technologies and find items for technologies that are highly dependent on technology imports. Third, there is an urgent need to build a virtuous cycle ecosystem for technology development, commercialization, and technology export through cooperation between companies. Fourth, It is an urgent need for a systematic technology export strategy for industries with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to other countries such as Southeast Asia. 최근 심화되고 있는 미국과 중국의 기술패권 다툼은 한국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다. 미국과 중국은 한국의최대 무역 및 기술교역국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무역과 기술의 최대 교역국인 미국과 중국을 대상으로 산업별ㆍ기술별 기술무역경쟁력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산업 및 기술정책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해KOITA에서 제공하는 산업별ㆍ기술별 기술무역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도구는 TSI기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전자부품ㆍ컴퓨터ㆍ영상ㆍ음향 및 통신장비 산업의 경우, 미ㆍ중과의 기술무역경쟁력(TSI) 분석에서 최근 기술열위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근 출판ㆍ영상ㆍ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산업(정보/통신산업)의 경우, 미ㆍ중 양국 모두에서 기술수출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어 향후 수출선 다변화차원의 기술수출 확산에 구심점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의 상위 5개 기업의 미ㆍ중에 대한 기술수출입 편중현상이 심화되었고 양국에 대한 기술우위보다는 기술열위산업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시사점은 첫째, 글로벌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술무역과 관련한 법/제도적 정비가 시급하다. 둘째, 기술수입 의존도가 높은 기술의 대체기술 개발 및 품목 발굴이 요구된다. 셋째, 기업간협력을 통해 기술개발, 사업화, 기술수출의 선순환 생태계 구축이 절실하다. 넷째, 기술경쟁력이 있는 산업의동남아시아 등 타 국가로의 체계적인 기술수출 전략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 KCI등재

        철강 분야의 과학기술경쟁력 제고전략 : PSFA 방법론을 중심으로

        엄익천,박문수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3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7 No.11

        철강산업은 탄소중립이 정책적 화두로 등장하면서 철강 R&D을 통한 기술개발의 중요성이 더욱 중요해 지고 있다. 특히 탄소저감을 위한 수소환원제철법은 탁월한 기술력을 갖춘 ㈜POSCO조차 단독으로 기술개발을 추 진하기에 많은 도전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탄소중립 등에 대응하기 위한 철강 분야의 과학기술경쟁력 제고전략 수립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 선행연구들을 검토해보면 철강산업의 대응전략 수립은 주로 정성적인 동료평 가가 대부분으로 철강 분야의 과학기술경쟁력 제고전략에 대한 정량화된 상대적인 우선순위는 거의 찾아볼 수 없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사결정자의 응답에 대한 태도와 신뢰도를 반영해낼 수 있는 Um et al.(2015)[1]의 PSFA(PEST-SWOT-FUZZY-AHP)를 활용해서 철강 분야의 과학기술경쟁력 제고전략을 정량적으로 제시하였 다. 분석결과, ‘ⓛ철강 R&D의 투자 확대[공격전략]’와 ‘②차세대 철강 제조기술의 R&D 역량 제고[만회전략]’, ‘③ 철강제품의 고부가가치화[우회전략]’, ‘④철강 중소·중견기업의 육성·지원(생존전략)’이 도출되었다. 특히 ⓛ철강 R&D의 투자 확대[공격전략]’의 상대적 우선순위가 제일 높아 가장 먼저 추진할 철강 분야의 과학기술경쟁력 제고 전략으로 나타났다. The steel industry is becoming increasing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through steel R&D as carbon neutrality takes the spotlight as a policy priority.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hydrogen reduction steel method for carbon reduction, even POSCO, which has excellent technology, requires many challenges to promote technology development alone. Accordingly, it is very important to establish a strategy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steel field to cope with carbon neutrality. However, upon reviewing existing research, the development of response strategies in the steel industry has mostly relied on qualitative peer review methods. Consequently, quantified relative priorities for enhancing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in the steel sector are scarcely found. In this study, strategies for enhancing science and technology competitiveness in the steel field were quantitatively sought by using PSFA(PEST-SWOT-FUZZY-AHP) of Um et al. (2015)[1], which can reflect the attitude and reliability of decision-makers’ respons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xpanding investment in steel R&D (attack strategy)”, “enhancing R&D capabilities of next-generation steel manufacturing technologies (catch-up strategy)”, “high value-added steel products (detour strategy)”, and “fostering and supporting small and medium-sized steel companies (survival strategy)” were derived. In particular, among these four enhancement strategies, the “expansion of investment in steel R&D (attack strategy)” has the highest relative priority, indicating that it is a strategy to enhance science and technology competitiveness in the steel sector to be pursued first.

      • KCI등재

        한·중 기술경쟁력 분석: 기술수출입 데이터를 활용하여

        백은영,이이림 한국무역학회 2024 무역학회지(貿易學會誌) Vol.49 No.4

        본 연구는 한국의 유·무형재화 교역 1위국가이자, 기술무역수지 흑자 1위 국가인 중국을 대상으로 양국간 글로벌 기술무역 경쟁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과 중국에서 각각 구축한 기술무역데이터를활용하여 글로벌 기술시장에서의 기술경쟁력을 파악하고 양국의 산업별 기술경쟁력의 특징과 차이점을살펴보았다. 중국 기술무역데이터에 의하면, 2013년 시진핑 집권과 함께 기술수입이 폭증하면서 글로벌기술무역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다. 반면, 한·중간 기술무역특화지수(TSI) 분석 결과에 의하면, 중국의기술경쟁력이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본 실증분석 결과, 한국이 기술우위를보이던 기계산업과 전기전자산업의 對中 기술경쟁력이 약화추세가 이어지고 있어 산업계 및 정부 정책수립 방향에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global technology trade competitiveness between Korea and China, with China being the top trading partner in both tangible and intangible goods and the leading country in technology trade surplus. Utilizing technology trade data from both Korea and China,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ompetitive dynamics in the global technology market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in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cross various industries in the two countries. According to China’s technology trade data, there has been a surge in technology imports since Xi Jinping’s rise to power in 2013, leading to a weakening of China’s global technology trade competitiveness. In contrast, analysis of the Technology Specialization Index (TSI) between Korea and China indicates a continuous strengthening of China’s technology competitiveness. Notably, the empirical analysis reveals that Korea’s technological advantage in the machinery and electrical/electronic industries has been diminishing in the face of competition from China. This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industry and government policy formulation.

      • KCI등재

        창업환경 요소가 기술경쟁력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길호(Chong, Kil-Ho),김병근(Kim, Byung-Keun) 한국창업학회 2017 한국창업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는 기술창업기업의 창업환경요소인 창업자의 역량과 조직문화, 외부협력, 창업지원활용이 기술경쟁력과 기업성과간의 관계를 실증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여 창업연구에 기여한다. 본 연구는 창업자의 역량, 조직 문화, 외부협력 및 창업지원을 포함한 기술 창업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알아보았다. 데이터는 기술창업 관련 128명의 설문 조사를 통해 응답한 자료를 회수하여 구조 방정식 모델링을 통해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창업자의 역량, 조직 문화, 외부협력 및 창업 지원은 기술 경쟁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기술 경쟁력은 창업 기업의 성과에도 영향을 주었다. 통제변수로 연구원 출신여부, 성별, 학력 등을 사용했지만 연구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또한 경로분석을 통해 매개효과 분석을 한 결과, 독립변수인 창업자의 영향요인은 기술경쟁력이라는 매개요인을 통해 간접적으로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와 함께 대부분의 기존 기술창업기업 관련 논문들이 창업가 개인역량 및 개인적 특성, 네트워크 환경 등 특정한 요인들에 초점을 둔 연구가 대부분이다. 또한 기술 창업기업의 내부 자원,조직문화, 외부 협력, 창업지원 활용 등 체계적으로 접근한 연구는 많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학술적 기여부분으로는 첫째, 기술창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기술경쟁력의 매개효과로 보았다. 둘째, 창업팀 들의 내부적인 요소인 창업자 역량, 창업팀 조직문화와 외부적 요소인외부협력, 창업지원 활용을 통해 창업자 개인적인 면과 팀적인 면을 살펴보았다. 셋째, 대표적인 정부출연연구기관인 ETRI의 창업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study of entrepreneurship by presenting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trepreneus’competence, organizational culture, collaboration and government supports for entrepreneurship on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nd corporate performance of technology start-ups. This study examines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 start-ups including the entrepreneurs’ competence, organizational culture, collaboration and government support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urvey on technology start-ups. Survey data of 128 respondents were analys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entrepreneurs’ competence, organizational culture, collaboration and government supports positively influences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nd technology competitiveness affects the performance of start-ups. We used the researcher s background, gender, and academic ability as control variables, but did not affect the research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through the path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factors of the entrepreneurial who are the independent variables indirectly affect corporate performance of technology start-ups through mediating factors of technical competitiveness. Furthermore, most of the papers related to the existing technology start-up companies focus on specific factors such as the entrepreneur s personal capacity,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network environment. Moreover, there are not many researches systematically approached such as internal resources of technology start-up companies, organizational culture, collaboration and government supports. The academic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echnological entrepreneurship and is considered as mediating effect of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Second, we examined the individual aspect and team aspect of the entrepreneurial through the internal factors of entrepreneurial teams, entrepreneurial capacity, organizational culture of start-up team and external factors, collaboration and government supports. Third, we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f ETRI s start-up companies, which are representative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 KCI등재

        대·중소기업간 하도급유형에 따른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영향 분석

        박문수,이호형 한국엔터프라이즈아키텍처학회 2013 정보기술아키텍처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대기업과의 하도급 관계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 분석하였다. 대·중소기업간 거래 특성과 구조 특성에 따라 중소기업 유형을 종속형, 주변형,협력형, 독립형 4가지로 구분하여 유형에 따라 중소기업 기술경쟁력에 어떤 영향력을 미치는지 측정하였다. 추가적으로 기술지원정책을 활용하였을 때 기술경쟁력의 영향도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중소기업 기술경쟁력과 연관성이 높은 기업 유형은 협력형과 독립형이며, 독립형은 기술지원정책 활용을 통해 기술경쟁력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기업 종속형 기업은 기술경쟁력이 낮았고 정책 활용이 기술경쟁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주변형 기업은 하도급 관계가 기술경쟁력 수준에 부정적 영향을 주지만 정책 활용시 개선되었다. 하도급 관계 중 구조 특성이 중소기업 기술경쟁력에 상당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하도급 기업 특성에 따라 특성화된 정책 활용, 특히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정책의 성공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술지원 정책과 함께 불공정한 하도급 관계가 개선되어야 함을 시사점으로 제안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subcontracting affects the SMEs technology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SMEs. Depending on the trading characteristics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SMEs are separated into four types that dependent,peripheral-type cooperative, stand-alone. The impacts to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were measured,depending on the type of SME. The results show that SMEs technology competitiveness associated companies type are cooperation and stand-alone. We had confirmed that stand-alone type has high competitiveness through the technical support policy.

      • KCI등재

        특허정보를 활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의 기술경쟁력 분석

        김대기(Dae-gi Kim),이필우(Pill-woo Lee),김재성(Jae-sung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14 기술혁신학회지 Vol.17 No.1

        우리나라 정부는 최우선 국정운영 전략으로 ‘창조경제’를 강조하면서, ‘국민 행복과 희망의 새 시대 실현’이라는 비전달성을 위해 범정부차원에서 다양한 실천방안을 수립?추진하고 있다.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가치 있는 지식재산으로 창출한다는 점에서 지식재산은 창조경제의 핵심 요인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식재산 중 대표적인 특허정보를 활용하여 주요 5개국의 기술경쟁력을 분석하였다. 기술경쟁력 분석을 위한 평가항목으로는 기술활동력, 특허경쟁력, 시장확보력, 특허집중력을 설계하였으며, 특허출원건수, 패밀리특허 수, 삼극특허 수, 특허집중지수를 평가요소로 반영하여 배점하였다. 분석대상 기술로는 KISTI에서 발표한 미래기술백서 2013의 미래기술 500선에 선정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의 주요 세부기술인 열전, 압전, 태양광 소자를 이용한 기술로 분류하여 각 세부기술별 각 세부기술별 특허정보를 조사?분석하여 기술경쟁력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미국이 열전소자와 압전소자 이용기술에서 75점, 70점으로 1위를 차지하였고, 태양광 소자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에서는 일본(90점)이 1위를 차지하였다. 한국은 압전과 태양광 소자를 이용한 분야에서 2위를 차지하였으며, 열전소자를 이용한 기술에서는 5위를 차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five major countries by using patent information that is typical intellectual property. Technological activity, patent competitiveness, market securement and patent concentration were designed as evaluation items for th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nalysis, and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family patents and triad patent families, and the paten concentration index were reflected as evaluation factors to be scored. For technologies to be analyzed, it referred to the energy harvesting technologies selected as 500 future technologies in the future technologic white paper 2013 published by KISTI. They were classified into technologies using thermoelectric, piezoelectric and photovoltaic elements, which are main detailed technologies of the energy harvesting technology, to investigate and analyze patent information for each detailed technology to understand their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s a result, the United States ranked top with 75 and 70 points in the technology using thermoelectric and piezoelectric elements respectively, and Japan ranked top with 90 points in the energy harvesting technology using photovoltaic elements. It was analyzed that Korea held the second rank in the field using piezoelectric and photovoltaic elements, and the fifth in the technology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KCI등재

        환경산업기술 분류체계 및 기술 경쟁력 평가

        한대건,배영혜,김태용,정재원,이충기,김형수 한국습지학회 2020 한국습지학회지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the environmental industry with developed countries in order to establish an international market expansion strategy of the Korean environmental industry and technology. In order to evaluate the competitiveness of the environmental industry and technology, core technologies were classified by the environmental industry sector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al industry and technology. After developing the evaluation index data, the Delphi analysis, journal and patent analysis, as well as the export and import analysis were carried out and the standardizat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index data. Moreover, the weights of each evaluation index were calculated using the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and the evaluation results of competitiveness of the environmental industry and technology in Korea,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Germany, and France were derived.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the United States was rated with the highest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in all the environmental industry sectors, while Korea got the lowest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rating compared to the 4 developed countries. In particular, Korea got the lowest level of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in the sector of multi-media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development for a sustainable social system. Therefore, in order for the Korean environmental industry and technology to enter the global advanced marke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fourth environmental industry based on IoT(Internet of Things), cloud, big data, mobile, and AI(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are currently the country’s domestic strengths.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환경산업 해외시장 진출 전략 수립을 위하여 선진국과의 환경산업 기술경쟁력을 평가하고자하였다. 환경산업 기술경쟁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내·외 환경산업기술 분류체계를 바탕으로 환경산업 분야별 중점 기술을 분류하고, 기술경쟁력 평가지표를 구축하였다. 평가지표 자료 구축을 수행한 후 델파이 분석 및 논문·특허 분석, 수출· 입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지표값에 대한 표준화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통해평가지표별 가중치를 산정하여 한국,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의 환경산업기술 경쟁력 평가 결과를 도출하였다. 평가 결과, 모든 환경산업 분야에서 미국이 상대적으로 기술경쟁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한국은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한국은 다매체 환경관리 및 지속가능 사회시스템 구축분야가 선진국에 비해 기술경쟁력 수준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내 환경산업기술이 글로벌 선진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국내 강점인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모바일, 인공지능 기반의 4차 환경산업 개발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중국의 지역 내 경쟁력 제고를 위한 R&D 투자요인 분석

        윤대상(Daisang Yoon),이진호(Jinho Lee),박상현(Sang-Hyun Park)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기술혁신학회지 Vol.20 No.3

        중국은 2001년 WTO 가입 등을 계기로 경제 성장을 거듭하여 과학기술 분야를 포함한 거의 모든 분야에서 G2 국가로 위상이 높아졌다. 이는 중국 정부의 일관성 있는 과학기술 중시정책과 함께 과학기술과 경제를 연계시킨 것이 주요 요인이다. 한편, 이러한 중국의 급부상 이유를 분석하는 데 있어 과학기술 경쟁력을 국가 단위의 총량적 통계량을 통해 분석해 온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광대한 중국의 경우 동부, 중부 및 서부 등 지역간의 발전 양상이 상이하고 각 지방은 경제적 지방분권이 확립되어 있어 지역마다의 산업화 및 과학기술 경쟁력의 차이가 존재한다. 따라서 중국의 경제성장의 주요 요인을 지역단위로 분석해 보는 것이 보다 의미가 있다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31개 지역을 대상으로 124개의 다양한 지표를 통하여 중국의 지역 R&D 경쟁력을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기초적인 통계 분석과 부분최소제곱 회귀분석(Partial Least Squares Regression Analysis)을 통하여 각 지역의 경제성장 주요 지표인 지역내총생산과 첨단기술제품 수출액의 경쟁력 제고요인을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중국 지역의 규모 및 사회 인프라와 기업의 R&D 능력이 지역내총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주요한 요인이었으며, 과학기술논문, 특허, 기술이전 및 정부와 기업의 첨단기술 R&D 투자 등이 첨단기술제품 수출액의 핵심적인 요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중국 지역의 산업 및 과학기술 경쟁력 차이를 만드는 요인에 대한 분석결과는 한국이 직면한 정체된 산업 및 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정책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China has become the group of two (G2) in almost fields including the scientific technology following the economic growth and joining the WTO in 2001. The main reason is that the government had strong intention for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scientific technology and connected the scientific technology and the economy. Typically, for analyzing the cause of the meteoric rise of China, the competitiveness of the scientific technology was analyzed by the entire score of the nation. However, in the case of China,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attern of the development between the eastern, central, and western province. Also, the industrialization and the competitiveness of the scientific technology are difference because each province established the decentralization of power. Therefore, it is more meaningful to analyze the main factors of Chinese economic growth on a province unit. In this study, therefore, we analyzed the competitive of R&D in China by 124 indexes in 31 areas. The data was analyzed by Partial least squares regression analysis. In conclusion, the scale of the area and the ability of R&D of the company are very important factors for total amount of production in the area. And the journals, patents, the transfer of technical know-how and the investment of R&D are main factors of the amount of export on the high-tech product.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factors which make the difference in the industrialization and the competitiveness of the scientific technology in China were analyzed. Finally, it will be helpful to establish the policy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ialization and the scientific technology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