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의 학생 실수에 대한 인식과 학습자 중심 수업 인식 간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연구

        이성신,박인우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敎育問題硏究 Vol.34 No.3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for making good use of student errors, which often occurs within the process of learning, as a learner-centered instruction by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rception of student errors and teachers' perception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 This study also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which is known as one of the strongest indicators of instructional effect, in the relationship of teachers' perception of student errors and teachers' perception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 For those purposes, data from 281 incumbent teachers in middle and high school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ption of student err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s' perception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rception of student errors and teachers' perception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teacher efficacy. The findings suggest that student errors need to be accepted as a natural part of learning and to be used as an instructional means and learning process in order to improve teachers' learner-centered instruction. Moreover, the findings suggest that efforts to raise teacher efficacy are needed to improve teachers' learner-centered instru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의 실수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사의 학습자 중심 수업 인식 간 관계를 검증하여 학생의 실수를 학습자 중심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학생의 실수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사의 학습자 중심 수업 인식 간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고등학교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281명의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가 학생의 실수를 학습 과정에서 일어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판단할수록 학습자 중심 수업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학생의 실수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교사의 학습자 중심 수업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사의 학습자 중심 수업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학생의 실수가 수업에서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받아들여지는 동시에 교수・학습 전략으로 활용될 필요가 있다는 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학습자 중심 수업의 확산을 위해서는 교사효능감 함양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TETE 수업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이명애 ( Myung Ae Lee ) 글로벌영어교육학회(구 호남영어교육학회) 2010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Vol.15 No.1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on 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TETE).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sets specific objectives as follows;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teachers` perception on TETE according to the teachers` variables?,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students` perception on TETE according to the students` variables?, Third, what factors affect to the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n TETE considering the variables of teachers and students? 200 middle or high school teachers and 500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speaking competency and the amount of classroom English are effective in teachers` perception on TETE. Teachers with high speaking competency and more English use in class are tend to perceive positively on TETE. In students` perception on TETE, the competencies in reading, speaking, writing are effective. Also, there are some discrepancie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male and female. Considering both of teachers` and students` variables, teachers` speaking competency, students` perception in TETE`s helpfulness and the amount of classroom English are effective in students` perception on TETE. But only teachers` speaking competency is effective in teachers` perception on TETE.

      • KCI등재후보

        역사교사의 갑신정변 인식과 역사수업

        권정애 한국역사교육학회 2008 역사교육연구 Vol.- No.7

        Teacher is the main for the overall determination and the leading in the history teaching. The contents, materials and methods of teaching depend on how teachers understand the history, therefore historical perception of the teachers have an direct influence on the teaching conten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perception of teacher how to have an effect on the teaching by analys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aching content and appraisal on the same historical matters The reformist revolution in 1884 was selected as a model, and by the qualitative study method, the teaching contents were examined and analysed how to teach for the three different teachers who have dissimilar perceptions This study showed that previous knowledge on the reformist revolution in 1884, one's view of text, degree of load on the examination for admission and mode of understanding on the students have an influence on teaching content, teaching material and special emphasis. However, some other explanation that of own perception was observed by the load on the examination for admission. The examination for admission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teaching of teachers in academic high school. The teacher's perception on the specific matter was incorporated by the teacher's value on the text and the degree of load on the examination for admission rather than exactly what they thought in the view of text description rather than own perception, otherwise the teachings of "Kwon" and "Kim" were proceeded by the each own perception. And own views of teachers were carefully expressed in teaching about controversy parts in academic world. Such a case was revealed in teacher Kim's classroom. This fact show that teachers still have heavy load on new development for historical knowledge and they places main reliance on the studies of historian. Although shackles of the examination for admission, teacher's thoughts on academic studies and subject what is called history were well brought out in this study. I could be convinced that through me intention of "Kwon" is teacher's historical view should be actively expressed on students, and that of "Kim" is the purpose of historical teaching is the supports of democratic development of society by having more desirable perception about realistic problem. 역사 수업의 전반적인 모습을 결정하고 이끌어나가는 주체는 교사이다. 교사가 어떤 식으로 역사를 이해하고 있느냐에 따라 수업의 내용, 자료 방법은 차이가 나며, 교사의 역사인식은 수업내용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역사적 사실을 다루는 수업의 내용이나 수업에서 다루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평가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교사가 가지고 있는 역사인식이 수업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체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갑신정변’을 사례로 선택하고, 서로 다른 인식을 가진 3명의 교사를 선정하여 학생들에게 어떻게 가르치는지 질적인 연구 방법을 통해 수업 내용을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같은 주제를 가지고 수업을 진행한 세 교사의 수업 내용은 모두 같거나 비슷하지 않았다. 교사마다 자신이 갖고 있던 갑신정변에 대한 선행지식, 교과서에 대한 관점, 입시에 대한 부담정도, 학생에 대한 이해 방식 등에 수업내용, 자료, 강조점은 서로 달랐다. 그러나 입시 부담 등으로 자신의 인식과는 다른 설명을 하는 경우도 눈에 띄었다. 인문계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수업은 입시에 커다란 영향을 받는다. 특정 사건에 대한 교사의 역사인식은 수업에 그대로 반영되기보다는 교사의 교과서관과 입시에 대해 느끼는 부담 정도에 따라 다르다. ‘이’ 교사는 자신의 인식보다는 교과서의 서술 시각에 따라 수업을 진행하고, ‘권’ 교사와 ‘김’ 교사는 대체로 자신의 인식에 따라 수업을 진행하는 것에서 이를 알 수 있다. 그리고 교사가 학계에서 논란이 되는 부분을 수업할 때, 자신의 견해를 매우 조심스럽게 표현하고 있었다. ‘김’ 교사의 수업에서 이런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다. 이것은 교사가 여전히 새로운 역사지식 창출에 큰 부담을 갖고 있으며 주로 역사학자들의 연구 결과에 의존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역사라는 학문과 교과에 대해 갖고 있는 교사의 생각은 입시라는 굴레 속에서도 분명히 나타나고 있었다. 교사의 역사관을 학생들에게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권’ 교사와 역사교육의 목적이 현실 문제에 대해 좀 더 바람직한 인식을 가짐으로써 사회의 민주적 발전을 돕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김’ 교사의 예를 통해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쓰기 윤리에 대한 경험과 인식

        서수현 ( Soo Hyun Seo ),정혜승 ( Hye Seung Chung ) 한국작문학회 2013 작문연구 Vol.0 No.18

        이 연구는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쓰기 윤리와 관련된 인식을 조사하여 문제점을 찾아내고, 교육적 제언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계와 정치계를 막론하고 사회 전 영역에 걸쳐 표절이 문제가 되어, 쓰기 윤리와 관련된 교육적 담론이 활성화, 구체화되는 시점에서 초등 예비 교사인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쓰기 윤리 실태를 파악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의 5개 교육대학교 1학년~3학년 588명 학생들에게 쓰기 윤리에 대한 인식을 묻는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쓰기 윤리 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학습 경험은 거의 전무하며, 학생들은 쓰기 윤리를 표절하지 않고 올바른 인용 방법을 사용하여 글을 쓰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절에 대한 인식을 하고 있음에도 학생들은 쓰기 윤리를 준수하는 것에는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과제 파악의 어려움, 글을 쓰기 위한 자료 찾기의 문제, 전공 지식 부족과 같은 원인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교육대학교 학생들은 대체로 자신은 쓰기 윤리를 고려하면서 글을 쓰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이에 비해 자신의 쓰기 윤리 실천 수준은 낮은 편이라고 평가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쓰기 윤리 인식이나 실천수준이 높지 않음을 시사한다.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쓰기 윤리는 그들이 미래의 우리나라 초등 교육을 담당할 예비 교사라는 점에서 더욱 엄격한수준에서 요구될 필요가 있다.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쓰기 윤리 교육을 위하여 쓰기 윤리를 위반하지 않게 하는 행동의 목록을 구성하고 이를 지도하는 명시적인 교육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 쓰기 윤리를 교육하는 것과 함께 과제 구성 등의 측면에서 교수자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 학생들의 쓰기에 대하여 쓰기 윤리 측면에서 보다 적극적인 피드백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 필자로서의 쓰기 윤리와 쓰기 지도 교사로의 쓰기 윤리두 가지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는 교육대학교 학생을 위한 맞춤식 쓰기윤리 지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students in teachers colleges related to writing ethics, discover any issues, and make pedagogical suggestions. It is meaningful to determine the status of writing ethics of students in teachers Colleges who are pre-service teachers for elementary schools, at this time of active development of pedagogical discourse related to writing ethics as plagiarism becomes a problem throughout society, let alone academia and politic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y purpose, we conducted a survey that asked 588 students between freshmen and juniors in five teachers colleges in Korea in relation to perception of writing ethics.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little systematic education on writing ethics among students in teachers colleges, and the students think writing ethics means writing by using correct quoting methods without plagiarizing. Despite having perception of plagiarism, students were found to have difficulty in complying with writing ethics, due to the reasons including the difficulty with understanding the assignment, the problem with finding materials for writing, and the lack of knowledge in their majors. In addition, teachers college students thought they were mostly writing with the consideration of writing ethics, but, in contrast, evaluated the level of their practice of writing ethics was low.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erception and practice of writing ethics of students in teachers colleges are not high. More stringent requirements are needed for writing ethics of students in teachers colleges in that they are pre-service teachers to be responsible for the future of our country`s elementary school education. For education in writing ethics for students in teachers colleges, we propose the following: (1) to prepare a list of behaviors to avoid violating writing ethics and providing explicit education of them, (2) instructors` efforts in terms of creating assignment for as well as teaching writing ethics, (3) to provide more active feedback on students` writing on the aspects of writing ethics, and (4)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 to teach writing ethics that is tailored for students in teachers colleges in the aspects of writing ethics both as a writer and as a writing teacher.

      • KCI등재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학생의 교사태도에 대한 지각이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박영숙 ( Young Sug Park ),유순화 ( Soon Hwa Yoo ),한귀녀 ( Gui Nyeo Han ),정애리 ( Ae Ree Chu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7 초등교육연구 Vol.20 No.3

        Study results have frequently reported that children`s perceptions of teachers` attitudes have an influence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However, these studies do not examine how teachers` job satisfaction affects teachers` attitudes, and how it is thereby a factor having an influence on children and educational outcomes. This study examines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children`s perception of teachers affect children`s school adjustment.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 50 homeroom teachers in charge of 4~6 graders from 3 elementary schools in Busan and their 1,082 children.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reveal the effect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children`s perception of teachers on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oth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children`s perception of teachers were shown to be significant variables in predic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 In addition, teachers` job satisfaction appeared as a significant variable after controlling a common part with children`s perception of their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nd increase effectiveness of school education, it is very important to ensure teachers` job satisfaction.

      • KCI등재

        초등 특별편입 예비교사의 체육에 대한 인식변화

        조순묵(Soon Mook Cho)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05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2 No.1

        이 연구는 체육과 교육과정을 이수한 초등 특별편입 예비교사들의 체육교과에 대한 인식의 변화과정 및 내용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대학교 초등 특별편입학과 학생 631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를 통한 자료 수집과 귀납적 범주 분석을 통한 내용 분석을 바탕으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의 결과 예비교사들의 인식 변화를 `교과인식`, `교사인식`, `수업인식`, `변화 없음` 이라는 4개의 대영역으로 분류하여 범주화 할 수 있었는데, 「교과인식」의 변화 범주는 4가지의 대영역 중 가장 많은 사례를 기록 하였으며 `교과로서의 체육교육 인식, 체육교육의 중요성 인식, 체육교육의 필요성 인식, 체육교육에 대한 불신`이라는 중영역을 토대로 생성되었다. 「수업인식」의 변화 범주는 `교수방법의 중요성 인식, 수업계획의 중요성 인식, 힘들고 어려운 수업, 수업에 대한 자신감, 수업에 대한 기대`라는 중영역의 인식들을 기초로 하여 생성되었으며, 「교사인식」의 변화 범주는 `교사로서의 자신감, 노력이 필요한 교사, 전문성이 필요한 교사`를 기초로 하여 생성되었다. 그리고 나아진 큰 변화가 없었다는 인식에 기초하여 「변화없음」이라는 범주가 생성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특별편입 체육교육과정을 이수한 예비교사들의 체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적극적으로 이루어졌으며, 대부분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d what the perception change was about the physical education at the point of ending the teacher education of preservice teachers in elementary special enlist. This study have collected the data through the open-ended questionnaire in the object of 621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special enlist in ○○university for this purpose, and produced the result through the inductive contents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is study have classified the perception change of preservice teachers into `the subject perception`, `the teacher perceptio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es perception`, and `no change` of 4 large categories and categorized them. The change category of "the subject perception] has recorded the most cases out of the 4 large categories, and it has been produced on the basis of midium categories of `the perception of physical education as a subject,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of physical education, the perception of necessity of physical education, and the disbelief about physical education`. The change category of `the physical education classes perception_, has been produced on the basis of medium categories of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of instruction method,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of instruction plan, the hard and difficult instruction, the confidence about instruction, and the expectation about instruction`, and the change category of 1 the teacher perception] has been produced on the basis of `the confidence as a teacher, the teacher wanting efforts, and the teacher wanting the expertise`. And the category of ` no change] has been produced on the basis of the perception that there wasn`t any big change. It is viewed that the perception change about the physical education of preservice teachers having completed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by elementary special enlist has been made positively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and that it has been made mostly positive way.

      • KCI등재

        초등 교사의 독자로서의 자기 인식과 독서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서수현 ( Seo Soo Hyun ) 한국독서학회 2014 독서연구 Vol.0 No.33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교사의 독자로서의 자기 인식과 독서교육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는 데에 있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초등 교사 24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초등 교사들은 독자로서 자신의 모습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자신의 읽기 능력에 대해서는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또한, 독서교육과 관련해서는 ‘읽기’를 ‘의미를 창조하기 위한, 독자와 텍 스트의 교섭 활동’으로 개념 규정하고 있었으며, 독서가 필요한 까닭에 대해 서는 지식과 정보의 습득, 사고력 계발을 꼽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 교사들 은 독서교육에 있어 독서의 생활화와 즐거운 독서를 가장 강조하면서, 인쇄 매체 읽기를 독서 활동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텍스트로 여기고 있었다. 초등 교사의 독자로서의 자기 인식과 독서교육에 대한 인식은 자신의 교수.학습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주목해야 할 지점이라 하겠다. 초등 교사 스스로가 좋은 독자로서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독서교육에 임하는 것이 야말로 양질의 독서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reader self-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erception of their teaching of reading. 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y purpose, I conducted a survey that asked 247 teachers. The results show that teachers had positive self-perception as reader. Related to teaching of reading, the teachers mainly defined reading as transactions between reader and text to create meaning. The teachers thought importance of reading and reading education, they was aware of the necessity of reading practice for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for developing students`` ability to think. The teachers emphasized making reading a way of life and they had a strong preference for reading printed text and put high value on it. Teachers`` perception of their own reading impacts their teaching of reading. Therefore, teachers must be cognizant of their self-perception of reading and how reading instruction is manifested in their classrooms.

      • KCI등재

        영재 유아와 유아 영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경험

        김승희 ( Seung Heui Kim ),김승희 ( Seung Hee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 유아와 유아 영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경험을 교사의배경 변인에 따라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G광역시에 근무하는 교사 38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으며,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이용하여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영재 유아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소속기관 유형에 따라, 유아 영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소속기관 유형과 교사 연령에 따라, 영재 유아를 교육한 경험은 교사 학력과 경력, 소속기관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국공립유치원 교사들과 20대 교사들, 경력 3~6년 미만 교사들의 인식과 경험이 다른 교사들과 비교하여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영재 유아를 이해하고 교육하는 방법이 다양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인식과 경험의 차이를 고려하여 유아 영재교육에 대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이 구성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retely investigat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gifted children and education for the gifted children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80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metropolitan area of G. This study conducted survey research including a questionnaire, and the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eachers’ perception of gifted children according to the type of organization, in teachers’ perception of education for the gifted children according to the type of organization and teachers’ age, and in teachers’ experience of teaching gifted children according to the type of organization as well as teachers’ academic ability and career. In particular,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teachers, who worked in public kindergartens, were in twenties, and had experience between three years and six year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teachers. That is to say, the methods to understand and educate gifted children are different according to early childhood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Therefore,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contents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regarding to education for the gifted children should be composed taking account of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 KCI등재

        초등 교사의 쓰기와 쓰기 능력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서수현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4 한국초등국어교육 Vol.56 No.-

        이 연구는 초등 교사의 쓰기와 쓰기 능력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있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 교사 247명에게 쓰기와 쓰기 능력에대한 인식을 묻는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초등 교사들은 대체로 쓰기의 개념을 필자의 사고 과정을 반영한 것으로 규정하고 있었으며, 쓰기의 가치와중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 교사들은 필자로서 자신의 모습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이러한 긍정적인 모습이 개인적 쓰기 경험을 통해 형성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었다. 또한 대다수의 초등 교사들은 교사의 쓰기 능력과 쓰기 경험이 학생들에게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초등 교사는 일정 수준 이상의 쓰기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에 비해 정작 자신의 쓰기 능력에 대해서는 그리 높지 않은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교사의 쓰기에 대한 인식과 교사 자신의 쓰기 능력은 학생들과 함께 하는 교수-학습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교사가 긍정적인 쓰기 인식과 함께 일정 수준 이상의 쓰기 능력을 함양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self-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related to writing and writing abilit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y purpose,I conducted a survey that asked 247 teachers in relation to perception of theirwriting and their writing ability.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ersmainly defined writing as translation of their thinking and emotions. Althoughthe teachers considered themselves to somewhat unskilled writers, teachersthought importance of writing and they thought elementary school teachers’writing ability was important. Teachers’ perception of their own writing impacts their teaching of writing. Therefore, teachers must be confident, avid writer to be effective writing teachers.

      • KCI등재

        어린이집 교사의 학습공동체 경험에 관한 인식이 교사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반성적 사고의 매개효과

        오문선 ( Oh Moon Sun ),김지연 ( Kim Ji Ye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4 유아교육연구 Vol.44 No.1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교사의 학습공동체 경험에 관한 인식이 교사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반성적 사고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기타 지역 소재의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30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SPSS 26.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빈도분석 및 Pearson 상관관계분석을 하였으며,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학습공동체 경험에 관한 인식과 교사 전문성 인식, 반성적 사고 간의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단, 학습공동체 경험에 관한 인식의 하위요인인 지원환경은 반성적 사고의 하위요인인 이해 · 습관적 행위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 교사의 학습공동체 경험에 관한 인식이 교사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반성적 사고의 매개 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어린이집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학습공동체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 교사의 반성적 사고 수준을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reflective thinking on the effect of daycare teachers’ perception of learning community experience on their perception of teacher professionalism.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score of the perception of learning community experience and the total score of the perception of teacher professionalism.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also found in the total score of reflective thinking and the total score of the perception of teacher professionalism.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reflective thinking was verified on the effect of the daycare teachers’ perception of learning community experience on their perception of teacher professionalism. Consequently, the daycare teachers’ perception of learning community experience affected their perception of teacher professionalism mediated through reflective thinking. Therefore, when operating a learning community to improve daycare teachers’ professionalism, support from institutions and communities is needed to raise their perception of learning community experience and promote reflective thin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