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DN/CP 비율이 젖소 12~14개월령 육성우 영양소 섭취량, 증체량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김겸헌,황원욱,김현진,김수기,Kim, Gyeom-Heon,Hwang, Won-Uk,Kim, Hyun-Jin,Kim, Soo-Ki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6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6 No.2

        본 연구는 수정 전 단계인 생후 12~14개월령의 육성우에게 급여하는 사료의 적정 영양소 수준에 대해 알아보고자 에너지와 단백질의 비율에 따른 영양소 이용성 및 증체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건물 섭취량은 T1 (TDN/CP 비율, 5.0:1), T2 (TDN/CP 비율, 4.5:1) 그리고 T3 (TDN/CP 비율, 4.0:1)가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분 중 회분은 T1이 11.07%로 T3 (9.69%) 보다 유의적으로 높아졌으며, TDN/CP 비율이 높아질수록 분 내 회분 함량도 증가되었다. 초기 체중과 상관없이 증체량은 실험 개시 후 30일째 사료 내 CP 비율이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60일째에는 T2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증체를 보였다 (p<0.05). TDN 비율이 감소하거나 단백질 비율이 높아질수록 증체량은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p<0.05). 실험 종료 시의 혈중 GPT는 T1과 T3 (112.6, 88.3 u/l)가 T2 (50.9 u/l)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phosphorus는 T1 (46.3 mg/dl)이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p<0.05). HDL cholesterol은 T2 (145.2 md/dl)가 T1 (121.0 mg/dl)과 T3 (132.3 mg/dl)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triglyceride는 T3 (40.6 mg/dl)가 T1, T2 (20.7, 29.0 mg/dl)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였다(p<0.05). BUN 농도를 비롯한 그 외의 혈액 분석항목들에서는 처리구별에 있어서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섭취량과 증체율에서는 TDN/CP 비율이 4:1이 가장 좋았으나 체지방 축적이 과잉될 가능성이나 혈액대사 수치를 함께 고려한다면 이 시기에서는 4.5:1의 비율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effect of energy and protein ratio on the nutrient availability and body weight gain was determined to find the proper nutrient level for the stage of replacement dairy heifers before fertilization at approximately 12~24 months old after birth. Dry matter intake showed that the TDN/CP rate of T1 (5.0:1), T2 (4.5:1) and T3 (4.0:1) resulted in similar values. Among feces, the ash content of T1 was 11.07%, which was significantly (p < 0.05) higher than that of T3 (9.69%). It was also significantly (p < 0.05) higher than that of T2 (10.32%). When the TDN/CP rate was increased, the ash content in the feces was also increased. Regardless of the initial weight, weight gain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CP rate in the feed was increased on the $30^{th}$ day. On the $60^{th}$ day, T2 showed the highest rate of gain (p < 0.05). As the TDN rate was decreased or the protein rate was increased, weight gain was significantly (p < 0.05) increased. Regarding GPT level in the blood after finishing the test, T1 and T3 (112.6, 88.3 u/l) showed significantly (p < 0.05) higher value than T2 (50.9 u/l). For phosphorus level, T1 (46.3 mg/dl) showed significantly (p < 0.05) higher value than other treatments. For HDL cholesterol level, T2 (145.2 mg/dl) had significantly (p < 0.05) higher level than T1 (121.0 mg/dl) or T3 (132.3 mg/dl). For triglyceride levels, T3 (40.6 mg/dl) had significantly (p < 0.05) higher value than T1 (20.7 mg/dl) and T2 (29.0 mg/dl). For other blood parameters including BUN concentr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p > 0.05) difference among treatments. As a result, although feed intake and weight gain with TDN/CP rate of 4:1 showed best results, considering the excess body fat accumulation possibilities or blood metabolism, it seems 4.5:1 ratio is most appropriate.

      • KCI등재

        면양에서 사료전용 벼와 식용 벼의 실제 TDN함량과 추정 TDN함량 간 비교

        김지융,이배훈,Jalil Ghassemi Nejad,김병완,성경일 강원대학교 동물자원공동연구소 2018 동물자원연구 Vol.29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equation being used to estimate the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of whole crop rice silage (WCRS) in sheep. To compare the observed and estimated TDN contents [estimated TDN content=87.57-(0.737×ADF)], two varieties of WCRS from Nokyang (NS) and Samgwang (SS) as forage and food source, respectively, were used as a treatment. Nine female Corriedale sheep (average body weight: 49.2±6.3 kg) were used as the experimental animals. The ewes were fed according to their nutrient requirements at the maintenance level. To check the difference between the observed and estimated TDN contents, one sample non-parametric t-test was applied. The CP, NFE and CF contents of the NS were 43.6, 74.2 and 64.2%, respectively, and that of the SS were 46.2, 58.1 and 44.9%, respectively. The observed and estimated TDN contents of the NS were 63.5 and 61.5%, whe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observed and estimated TDN contents of the SS were 48.9 and 59.0%, wher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p<0.05) This research confirmed the validity of TDN estimation equation being used for estimation of TDN of WCRS as forage source, but further research is recommended on the equation for estimating TDN contents of WCRS as food source.

      • KCI등재

        홀스타인 육성우(15~18개월령)에 있어서 TDN:CP 비율이 영양소 섭취량, 증체 및 혈액대사에 미치는 영향

        김겸헌,김현진,황원욱,김수기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7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1 No.6

        Proper energy and protein supply in Holstein heifers prior to pregnancy and after the latterhalf of the growing period has an influence on the growth of the individuals and milk yieldafter parturition. In this study, to determine the optimal TDN:CP ratio at the latter half of thegrowing period, 5.0:1(T1), 4.5:1(T2) and 4.0:1(T3) were fed to 15 months old growing heifer,then the body weight, feed intake and blood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The dry matter intakewas 8.07 kg/day at an average which was similar among treatments regardless of the TDN:CPratio. Protein intake decreased from 1.45 to 1.29 and 1.17 kg/day, but did not show anysignificant difference. Body weight gain increased significantly at ratio of 4.0:1 with the highestaverage daily gain 0.74 kg/day(p<0.05). After 60 days, the daily weight gain of all treatmentsmet the recommended level, but the 4.0:1(1.28 kg/day) ratio could cause the excessive body fataccumulation which in turn should to be considered relating breeding and pregnancy. DifferentTDN:CP ratios mentioned above(4.0:1, 4.5:1 and 5.0:1) did not affect blood composition according to protein content in feed given to growing heifers at 15~18 months old. Inconsideration of pregnancy, body weight, and the lactation, the ratio of 4.5:1 to 5.0:1 isappropriate, and is thought to be reasonable to increase the energy to protein ratio up to 5.0:1in case of approaching parturition. 임신 전 젖소의 육성기 후반에 있어서 적정한 에너지와 단백질 급여 관리는 개체의 성장과 분만 후유생산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육성기 후반의 적정 TDN:CP 비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생후 15개월령에 5.0:1(T1), 4.5:1(T2) 및 4.0:1(T3)의 비율로 급여하여 체중, 사료섭취량 및 혈액조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건물섭취량은 평균 8.07kg/day로 TDN: CP 비율에 관계없이 유사하였다. 단백질 섭취량은TDN:CP 비율이 낮아짐에 따라 각각 1.45, 1.29 및 1.17kg/day로 감소하였으나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않았다. 증체량은 4.0:1 비율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며, 평균 일당증체량도 0.74kg/day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60일 이후 모든 처리구의 일당증체량이 권장 수준을 충족하였으나,4.0:1 비율구(1.28kg/day)에서 과잉 체지방 축적이 될 수 있는 수준이기 때문에 임신 및 번식과 관련하여 주의해야 한다. 육성우 15~18개월령에서 상기의 모든 TDN:CP 비율은 혈액 조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체중과 출산 및 비유 등을 고려했을 경우 4.5:1에서 5.0:1의 비율이 적합하고, 출산 시기가가까울수록 에너지 단백질 비율을 5.0:1까지 높여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소에 의한 다양한 사일리지의 이용율 및 TDN 평가

        지병주(Byung Ju Ji),김광림(Guang Lin Jin),Judder Shinekhuu,Wei-ze Qin,오영균(Young Kyoon Oh),손용석(Yong-Suk Sohn),서성(Sung Seo),송만강(Man Kang Song)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0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0 No.2

        본 시험은 국내에서 생산되어 곤포형태로 포장된 청보리 사일리지, 호밀 사일리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사일리지 및 수단그라스 (수수 × 수단그라스 교잡종) 사일리지의 반추위 내 발효특성과 분해율 및 전장소화율과 TDN을 평가하기 위해 반추위 누관이 장착된 소 4두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사일리지가 반추위액의 pH에 거의 영향하지는 않았으나 사일리지 급여 후 3시간에서 다른 종류의 사일리지를 섭취한 경우와 비교할 때 수단그라스 사일리지를 섭취한 소의 반추위액의 암모니아 농도가 7.28㎎/100 ml로 가장 낮았다 (p<0.049). Acetate 조성 비율은 다른 종류의 사일리지에 비해 수단그라스 사일리지 급여 1시간 (p<0.018), 3시간 (p<0.004) 및 6시간 (p<0.019) 후에 채취한 반추위액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propionate 조성 비율은 사일리지 급여 후 6시간까지 호밀사일리지와 청보리 사일리지를 섭취한 소에서 높은 (p<0.001~p<0.042) 반면 수단그라스 사일리지를 섭취한 소에서 가장 낮았다. Butyrate 조성 비율은 사일리지 급여 후 대부분의 반추위액 채취 시간 (1~6시간)에 걸쳐 청보리 사일리지를 섭취한 소에서 가장 낮은 (p<0.007~p<0.027) 것으로 나타났다. 반추위 내 건물의 유효분해율은 호밀 사일리지에서 59.64%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청보리 사일리지 (56.12%) 및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사일리지 (55.64%)에서 높았고 수단그라스 사일리지의 유효분해율이 54.02%로 가장 낮았다 (p<0.048). 이러한 경향은 조단백질 (p<0.014) 및 유기물 (p<0.039)의 유효분해율에서도 비슷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단그라스 사일리지 내 건물 (p<0.032), NDF (p<0.034) 및 유기물 (p<0.041)의 전장소화율은 다른 종류의 사일리지에 비하여 현저히 낮았으나 다른 세 종류의 사일리지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전장소화율을 이용하여 산출된 TDN 값은 호밀 사일리지가 61.1%로 가장 높았으며 (p<0.001), 청보리 사일리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사일리지 및 수단그라스 사일리지의 TDN 값은 각각 57.1, 57.9 및 50.7%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보아 국내에서 생산, 이용되고 있는 사료작물사일리지의 성분이 VFA 조성 비율 및 소화율에 영향하는 것으로 보이며, 특히 사일리지의 NDF 함량이 소화율에 기초를 둔 TDN 값에 크게 영향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with four ruminally fistulated cattle to examine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effective degradability (ED) in the rumen, and whole tract digestibility and TDN values of various silages (whole crop rye, RS; whole crop barley, BS; Italian ryegrass, IRGS and sudangrass, SGS) which were produced in Korea. The pH of rumen fluid were not greatly affected by silage at most times after feeding but SGS decreased (p<0.049) the ruminal ammonia-N concentration as 7.28 ㎎/100 ml at 3h after feeding compared to other silages. An acetate proportion from SGS feeding was higher at 1h (p<0.018), 3h (p<0.004) and 6h (p<0.019) after feeding than those from other silages. The propionate (C₂) proportion, however, was greater (p<0.001∼p<0.042) for the RS and BS than the corresponding values of other silages up to 6h after feeding while the lowest C2 proportion was observed from SGS. The butyrate proportion was lowest (p<0.007∼p<0.027) in the cattle fed BS at 1∼6h after feeding among silages. An ED of dry matter (DM) in the rumen was highest (P<0.048) for RS as 59.64%, and was reduced in the order of BS (56.12%), IRGS (55.64%) and SGS (54.02%). Similar tendency was observed in the EDs of crude protein (p<0.014) and organic matter (OM, p<0.039). The whole tract digestibility of DM (p<0.032), neutral detergent fiber (NDF, p<0.034) and OM (p<0.041) of SGS was greatly reduced. The TDN value based on whole tract digestibility of silages was highest for RS as 61.1%, and TDN values of BS, IRGS and SGS were 57.1%, 57.9% and 50.7%,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components in various whole crop silages produced in Korea might affect the ruminal VFA proportion, and especially, NDF content could greatly influence on the TDN value of silage calculated based on the NDF content.

      • KCI등재

        고온스트레스 하에서 한우 번식우의 유지를 위한 영양소 요구량 설정에 관한 연구

        박동우,황보순,한옥규,조익환,최창원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5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9 No.5

        본 연구는 지구온난화 시 예상되는 고온기를 대비하여 고온 및 사료 에너지 급여 수준이 한우 번식우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고온 스트레스 시 한우 번식우의 영양소 요구량을 설정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은 한우 번식우 4두(평균체중 491±85.6kg)를 공시하였고, 시험구는 고온 및 사료 에너지 급여 수준에 따라 4 시험구(한국가축사양표준 한우 번식우 유지요구량 TDN의 100%(대조구), 고온 처리 및 TDN 100%(T100), TDN 115%(T115), TDN 130%(T130))로 나누어 개체별 대사케이지에 4×4 Latin square design으로 배치하여, 각 period당 21일씩 대사시험을 실시하였다. 대조구는 온도 24℃, 습도 60%(온습도지수(THI)=71.46), 나머지 3개 처리구는 온도 30℃, 습도 70%(THI=81.38)로 설정하였다. 외관상 건물소화율은 대조구와 T100구가 각각 81.64와 81.39%로 T115(78.23%), T130구(78.15%)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대조구 대비 혈중 thyroxine, glucose 및 BUN 함량은 T100구에서 수치적 감소가 나타났으나 T115 및 T130구에서 다시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고온처리구의 일당증체량을 기준으로 한우 번식우 유지를 위한 TDN 요구량 산정식 (Y=0.2097X+111.2428)을 도출하였고, 이는 지구온난화(고온기) 시 유지를 위한 한우 번식우 TDN 요구량은 현재 한국가축사양표준에서 제시된 요구량 대비, 11.24%를 증량 급여해야 함을 의미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nutrient requirements for maintenance of Hanwoo cow under heat stress against global warming. Four Hanwoo cows weighing 491±85.6kg in 4×4 Latin square design were fed four different energy level diets; 100%(control), 100%(T100), 115%(T115) and 130%(T130) of TDN(Total digestible nutrients) levels of Hanwoo cows based on Korea Feeding Standard for Hanwoo using rice straw and commercial concentrate. The cow in the control was housed with no stress(temperature 24℃ and humidity 60%), whereas the cows in the other groups were under 30℃ in temperature and 70% in humidity. Each period lasted 21days including 4days as a sampling period. Apparent digestibility of dry matter was significantly(p<0.05) higher in control(81.64%) and T100(81.39%) than T115(78.23%) and T130(78.15%). Compared with control, numerically lower blood thyroxine, glucose and BUN concentrations appeared in the T100. Average daily gain(ADG) for T100(-56.00g) was significantly(p<0.05) lower than control(-31.25g), T115(35.50g) and T130(77.25g), respectively. Based on ADG among the treated groups, the equation(Y=0.2097X+111.2428) of TDN requirement of Hanwoo cow for maintenance was calculated, indicating that 11.24% TDN for maintenance of Hanwoo cows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 may additionally be supplied.

      • KCI등재

        TDN/CP 비율에 의한 영양소 공급이 젖소 육성우의 영양소 섭취량, 소화율, 반추위 발효 및 혈액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겸헌,김현진,황원욱,김수기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6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0 No.5

        본 연구는 국내 실정에 맞는 적정 TDN/CP 비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4.6:1(T1)과 4.3:1(T2)의 비율로 생후 13개월령 육성우에게 급여하여 영양소 섭취량, 소화율, 반추 위액 특성 및 혈액조성에 대하여 조 사하였다. 건물 섭취량은 9.0kg/day로 동일하였으며, 조단백질 섭취량은 T1이 1.34kg/day, T2가 1.45kg/day로 T2가 조금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섬유소 섭취량과 소화율은 T1이 조금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사료 섭취 후 4시간째 위액의 pH, ammonia-N, VFA 농도 를 비교한 결과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전반적인 VFA 수치는 TDN/CP 비율에 따 라 큰 영향이 없었으나 T1 처리구에서 iso-butyrate, iso-valerate 및 A/P ratio가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혈액 특성에는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TDN/CP 비율이 4.3:1과 4.6:1 수준은 반추위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소화율과 비교하였을 때 생후 13개월 령 육성우 시기에는 섬유소 섭취량과 소화율이 증가되는 4.6:1 수준이 보다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 proper management and nutrient supply for raising replacement heifers to improve lactating performance. In order to determine a proper TDN/CP ratio that would be suitable for domestic use, 13-month-old replacement heifers were fed in the ratios of 4.6:1(T1) and 4.3:1(T2), respectively, to examine the changes in nutritional intake, digestibility, characteristics of rumen fluid and blood compositions. While dry matter intake was same at 9.0kg/day, CP intak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though T2(1.45kg/day) was slightly higher than T1(1.34kg/day). In fiber intake and digestibility, two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hough T1 was slightly higher than T2. The pH, NH3-N and VFA densities in rumen fluid examined at the fourth hour after feed intak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either. Overall level of VFA was not influenced largely by the TDN/CP ratio, but the iso-butyrate and iso-valerate levels and the A/P ratio were significantly high in T1(p<0.05). In blood characteristics, the treatmen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clusion, the TDN/CP ratios of 4.3:1 and 4.6:1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uminant stomach, but in comparison with digestibility of 13-month-old heifers, the ratio of 4.6:1 was more appropriate for increased intake of fiber and higher digestibility.

      • KCI등재

        곰소만 조간대에서 Salts, DIP, TDN의 물질 수지

        정용훈,김영태,김기현,김소영,김병훈,양재삼,Jeong Yong-Hoon,Kim Yeong-Tae,Kim Ki-Hyun,Kim Soh-Young,Kim Byung-Hoon,Yang Jae-Sam 한국해양학회 2006 바다 Vol.11 No.2

        조간대가 잘 발달된 곰소만의 생지화학적인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용존인(DIP)과 총용존질소(TDN: DIN과 DON의 합)에 대한 계절별 물질수지를 추산하였다. 현장조사는 1999년에서 2000년 동안 계절별로 연평균 강우량을 보인 봄철(4월), 건조한 여름철(8월), 집중호우가 있었던 여름철(9월), 비가 없었던 겨울철(11월)에 각각 13시간씩 염분, 유속, 영양염 , Chlorophyll-a 등에 대한 연속 관측을 수행하였다. DIP는 봄, 건조한 여름 조사기간 중 곰소만에서 외해로 각각 $-1.10{\imes}10^6g\;P\;day^{-1},\;-4.50{\times}10^5g\;P\;day^{-1}$로 순유출(net efflux)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반면 집중호우가 있었던 9월과 겨울철인 11월은 곰소만 내부로 각각 $2.72{\times}10^6g\;P\;day^{-1},\;1.06{\times}10^4g\;P\;day^{-1}$로 순유입 (net influx)되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따라서 곰소만 조간대는 flux의 크기로 볼 때 봄과 여름에 대부분 연안해수에 대하여 DIP의 공급원 역할을 하고, 단기적으로 집중호우가 있을 때 한시적으로 DIP의 저장장소로서 역할을 하며, 겨울철에는 비록 그 크기는 여름철에 비하여 작지만 연안해수에서 조간대로 유입되어 저장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곰소만 조간대를 유출입하는 flux들(조류에 의하여 곰소만 내외로 해수교환, 염지하수 유입, 육상기원 담수에 의한 유입) 중 겨울철을 제외하고 해수교환에 의한 flux가 연중 가장 크게 나타났다. 한편 TDN은 겨울철을 제외하고 염지하수의 유입에 의한 flux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전체적인 유동량은 봄, 여름, 집중호우 시기에 각각 $1.38{\times}10^7g\;N\;day^{1},\;2.45{\times}10^6g\;N\;day^{-1},\;4.65{\times}10^7g\;N\;day^{-1}$이 곰소만 조간대로 순유입되어 소모 내지 저장되었고, 겨울철에는 $-1.70{\times}10^7g\;N\;day^{-1}$이 곰소만 외부로 유출되는 것으로 추산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곰소만은 겨울철을 제외하고 TDN의 소모 내지 저장 장소로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As one of the on-going projects to investigate the bio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idal flat, we develop seasonal mass balance calculations (or DIP, DIN and DON in Gomso Bay. We have obtained 13-hours time-series data of salinity, tidal current, nutrients, and chlorophyll-a of seawater for spring, dry summer, rainy summer and winter during $1999{\sim}2000$. DIP of $-1.10{\times}10^6g\;P\;day^{-1},\;-4.50{\times}10^5g\;P\;day^{-1}$ was out-fluxed from the bay to the bay proper for spring and dry summer, respectively. Whereas $1.06{\times}10^4g\;P\;day^{-1}$ of net influx of DIP was found during winter and $2.72{\times}10^6g\;P\;day^{-1}$ of net influx was also found during the rainy summer. Therefore we suggest the role of Gomso tidal flat as a source of DIP fur the seasons of spring and summer, but as an opposite role during the rainy summer and winter but much smaller in magnitude. Except winter, the advection process by tidal current is found the most dominant flux among the diverse fluxes of DIP in the bay. Whereas ground water is estimated as the strongest flux of TDN except winter. TDN of $1.38{\times}10^7g\;N\;day^{-1},\;2.45{\times}10^6g\;N\;day^{-1},\;and\;4.65{\times}10^7g\;N\;day^{-1}$ was in-fluxed to the bay from the bay proper far spring, rainy summer and summer, respectively. Only $-1.70{\times}10^7g\;N\;day^{-1}$ of net out-flux was found during the winter. Therefore we suggest the role of Gomso tidal flat as a sink of TDN far the year round except winter.

      • KCI등재

        생육시기 및 품종이 총체 벼의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김종근(Jong Geun Kim),정의수(Eui Soo Chung),함준상(Jun Sang Ham),서성(Sung Seo),김맹중(Meing Joong Kim),윤세형(Sei Hyung Yoon),임영철(Young Chul Lim) 韓國草地學會 2007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7 No.1

        본 시험은 사료용 총체 벼의 수확시기 및 품종이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축산연구소에서 수행되었다. 식용벼인 추청벼와 총체벼 전용품종인 하마사리를 이용하여 생육시기별로 6회(출수, 개화, 유숙, 호숙, 황숙 및 완숙기)에 걸쳐 수확하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수확이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TDN 함량은 증가되었다. ADF 함량으로 추정된(TDN=88.9-(0.79×ADF)) 평균 TDN 함량은 60% 내외로 나타났다. ADF 및 NDF 함량은 수확이 지연됨에 따라 감소되었다. 건물수량은 황숙기에 가장 높았으며(p<0.05) 추청벼가 하마사리 보다 약간 높았지만 유의적이 차이는 없었다. TDN 수량도 건물수량과 같은 경향을 보였으나 매 수확시기별 품종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5).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총체 벼의 수확적기는 호숙기~황숙기로 추천되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growth stage and variety on the yield and quality of whole crop rice (WCR) at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from 2003 to 2005. Two types of rice (“Chucheong” for food and “Hamasari” for feed) were harvested at six different growth stages (heading, flowering, milk, dough, yellow ripening and fully ripening stage). Crude protein content decreased with progressed maturity at harvest. As growth stage delayed,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 content of all rice varieties increased. The average TDN content of two type of rice was about 60% (59.3) which was calculated from ADF(acid detergent fiber) content. The contents of ADF and NDF(neutral detergent fiber) decreased with harvest maturity. The highest DM(dry matter) yield was at the ripening stage (p<0.05) and “Chucheong” gave higher yields than for “Hamasari”. In this experiment, the DM yield of all varieties was low. The yield of TDN followed a similar trend to DM yield. According to this results that dough to yellow ripening stage of harvest maturity will be recommendable as proper harvest time for whole crop rice silage.

      • KCI등재

        보리와 완두의 혼파재배에서 혼파비율과 예취시기에 따른 사료가치의 변화

        오태석,김창호,이효원 한국작물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54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서부지역인 충청지역에서 사료작물의 새로운 작부체계로 보리와 완두를 혼파재배할 때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혼파비율과 예취시기에 따른 사료가치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고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건물수량은 보리의 파종비율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보리와 완두 혼파비율이 85 : 15% 파종구에서 5월 16일에 예취할 때 가장 많았다. 조단백질, 가급태단백질 및 가소화 단백질은 4월 25일 예취시에는 혼파비율간 유의차가 없으나, 5월 2일 예취 이후부터는 완두의 혼파비율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보리의 혼파비율이 높을수록,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ADF와 NDF는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RFV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TDN함량은 완두의 혼파비율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나, 예취시기별로는 5월 9일 예취시까지는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감소하였고 그 이후는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P와 Mg함량은 혼파비율간 유의차가 없었으며, 완두의 혼파비율이 높을수록, Ca은 증가하였고, K은 감소하였다. 예취시기별로는 P, Ca 및 K은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감소하였으나. Mg은 5월 9일 예취시기까지는 별 변동이 없었고, 그 이후 예취시 부터는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였다. 에너지함량에서 ENE, NEM 및 NEG는 혼파비율과 예취시기 간에 유의성이 있어 완두의 혼파비율이 높을수록, 예취시기가 빠를수록 증가하였다. 건물중에 각 성분의 함량을 적한 수량에서 보면 단백질, P, Ca, K 및 Mg 등의 무기물 수량은 보리와 완두의 혼파비율이 75 : 25% 파종구에서, ENE, NEL, NEM 및 NEG 등의 에너지 수량과 TDN수량은 보리와 완두의 혼파비율이 85 : 15% 파종구에서 가장 높았다. 예취시기별로는 TDN 수량, 모든 무기물 및 에너지수량은 5월 16일에 예취하는 것이 가장 높았다. This study carried out to find out feed value of barley plus pea mixture with different ratio and cutting date to got basic information when introduced the mixture as new cropping system in middle part of Korean peninsular. Dry matter (DM) yield increased as barley seeding rate was higher and showed the highest yield in the plots with barley 85% plus 15% ratio when harvested on May 16. There was no different in crude protein, available protein and digestible protein cutting on April 25 in every mixture, but the content increased with higher pea mixture rate after May 2. The content of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increase coincided with higher barley rate and late cutting dates. But relative feed value (RFV) resulted in opposite trend. Higher pea ratio influenced increased content of total digestible nuterients (TDN), but decreased before May 9 cutting and increased after the next cutting regime.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P and Mg between sowing rate, but Ca increased at higher pea ratio and P, Ca, K decreased in all plots as harvests were delayed. The content of estimated net energy (ENE), net energy maintenance (NEM) and net energy gain (NEG)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higher pea rate and earlier cutting. But net energy lactation (NEL)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eeding rates and cutting dates. In conclusion, mineral yield such as P, Ca, K and Mg showed the highest yield at barley plus pea ratio of 75 : 25 and energy yield of ENE, NEL, NEM, NEG and TDN was the highest at 85 to 15 mixture plots and DM yield, TDN yield, mineral yield such as P, Ca, K and Mg and energy yield of ENE, NEL, NEM, NEG were the highest on each treatment cutting on May 16.

      • KCI등재

        국내 TMR 배합소에 대한 실태조사

        기광석(Kwang Seok Ki),이왕식(Wang Shik Lee),이현준(Hyun June Lee),김상범(Sang Bum Kim),백광수(Kwang Soo Baek),임근발(Keun Bal Lim),조원모(Won Mo Cho),김현섭(Hyeon Shup Kim),정하연(Ha Yeon Jeong),여준모(Joon Mo Jeo)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08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8 No.2

        본 시험은 국내 TMR 배합소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TMR 배합소 20개 소 조사결과 조사 배합소의 65%인 13개소가 사료배합비 작성을 외부에 의뢰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배합비 작성 등 컨설턴트 비용으로 월 평균 50~90만원 정도를 지출하고 있어, 컨설팅 비용에 대한 부담으로 경영비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유통 TMR에는 에너지가인 TDN가를 표기하고 있지 않아 농가에서 구입 활용 시 적정 영양소 균형급여가 어려운 실정이다. 국내 유통 TMR에 대한 건식 TMR의 추정 TDN가는 개인공장 TMR 63.0, 생산자단체 TMR 73.2로 나타났으며, 습식 TMR의 추정 TDN가는 개인공장 TMR 64.9, 생산자단체 TMR 67.2로 생산자단체의 TMR이 개인공장의 TMR 보다 에너지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MR 배합소에서 생산되는 TMR 제품의 가격은 건물기준으로 비교해 보았을 때, kg당 건식 TMR은 325.6~347.0원이었으나 습식 TMR은 365.7~375.0원으로 습식 TMR의 가격이 높았다. TMR 배합소 종사자들의 TMR의 확대 보급을 위한 선결과제로는 TMR 교육 및 홍보와 TMR 배합비 작성능력 향상을 요구하였다. 따라서 국내 TMR 배합소의 발전을 위해서는 관련 종사자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이 뒷받침 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how a reform measures by grouping for problems by the survey of TMR plants. Twenty total mixed ration (TMR) plants (10 cooperation and 10 private plants) were surveyed, of which 13 plants, 65% of total TMR plants, committed TMR formulae to a outside nutrition specialist (TMR formulator). With respect to consulting fee for TMR formulae, 500~900 thousands Won was paid monthly. On the basis of dry matter 1kg, the prices of TMR products were 325.6~347.0 Won, whereas those of wet TMR products 365.7~375.0 Won, which was appeared to be factors to increase management cost. And also, because the TMR plants did not provide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 value on their products, nutritional balance feeding for cows could not be managed in farms. It was calculated, based on ADF (acid detergent fiber) value, that TDN value in dry type TMR was 63.0% and 73.2% for private and cooperation TMR plants, respectively and that the corresponding figure in wet type TMR was 64.9% and 67.2%. According to TMR plant employee's opinion, a prier items to enlarge TMR utilization were TMR education, TMR advertisement, and improvement of ability to make TMR formula. Therefore, for the purpose of further development of TMR, special education of persons related to TMR should be suppor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