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경간접번역과 교육적 함의: ‘금강경’번역을 중심으로

        이승재 한국통번역교육학회 2019 통번역교육연구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indirect translation of Chinese Buddhist Sutra into Korean translation, and to find out its linguistic influence on Korean language. Chinese Buddhist Sutra has a special position in the translation in that it exemplifies successful cultural integration of new and the existing culture, and that Chinese translation of Buddhist Sutra has been a default text for Buddhist sutra studies until recently. The conservative Korean Buddhism authorized the Chinese translation of Buddhist Sutra as a norm for the formalized rituals and chanting for more than 1,000 years. This study assumed that the longer exposure of Chinese translation of Buddhist Sutra affects the formation of the Korean Buddhism as well as Korean language, and researched the comparative study of Buddhist translations (Sanskrit original, English, Chinese, Korean indirect, and Korean direct translat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indirect Korean translation of Buddhist Sutra has been strongly affected by the Chinese translation not only in the vocabulary but also the sentence formation and the world view. Indirect Sutra translation in Korea is inevitable historical outputs caused by the physical, cultural and linguistic distances. Thu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its realistic value in the translation education and to find a way to induce direct translation.

      • KCI등재

        呑虛의 경전번역의 意義와 강원교육에 끼친 영향

        윤창화 한국불교학회 2013 韓國佛敎學 Vol.66 No.-

        본고는 呑虛의 佛典譯經의 動機와 背景, 목적, 譯經의 관점과 문체, 譯經한 經典의 종류와 저본의 특징, 그리고 그의 譯經이 갖는 역사적 의의와 강원교육에 끼친 영향 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탄허는 1960년 현토역해 『육조단경』 간행을 시작으로 1983년 입적(70세)하기까지 약 23년동안 전통강원의 교과서를 비롯하여 중요한 선어록 등 한국불교 소의경전을 완역, 간행했다. 그가 현토역해한 경전은 『육조단경』(1권, 1960년), 『보조법어』(1권, 1963년), 『영가집』(1권), 『新華嚴經合論』(47권, 1975년), 『서장』(1권, 1976), 『도서』(1권, 1976), 『절요』(1권, 1976), 『선요』(1권, 1976), 『楞嚴經』(5권, 1981년), 『大乘起信論』(3권, 1981), 『金剛經』(3권, 1981), 『圓覺經』(3권, 1981), 『치문』(1권, 1982)과 『초발심자경문』(1권, 1982년)으로, 14종, 70책이다. 그 밖에 불교경전은 아니지만 명대의 선승 우익지욱(1599-1655)의 『주역선해』(3권)와 『노자도덕경』(3권), 『장자』(1권)까지 합하면 총 17종 76책이나 된다. 탄허가 이와 같이 전통강원의 교재이자 한국불교 소의경전을 완역, 간행한 것은 인재양성을 위한 교재로 사용하기 위해서였고, 그 근저에는 인재양성이라는 敎育結社 정신과 후학을 위한 교화적 정신이 바탕하고 있다. 이는 또한 탄허가 교육과 제자 양성에 통한 不滅의 事業(영원한 사업)을 도모했기 때문이다. 탄허가 번역한 경전들을 검토해 보면 몇 가지 중요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그가 번역한 경전을 살펴본다면 대부분 한국불교 소의경전으로서 전통강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텍스트라는 것이고, 둘째, 그의 역해서의 저본(주석서)을 살펴보면, 전통강원에서 중시하는 글자 해석 중심의 저본이 아니라, 뜻 해석 중심의 저본, 禪의 관점에서 해석한 저본을 택하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탄허 번역본은 한결 같이 직역을 택하고 있다. 그것은 경전 번역에 있어 번역자의 개인적인 생각이 들어가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또 전문적인 학자 즉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직역이 필요하다고 생각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탄허는 전통강원의 교과서를 비롯하여 한국불교에서 중시하는 소의경전은 거의 모두 완역, 간행했는데, 그 방대한 양을 국가나 종단의 도움 없이 오로지 개인의 힘으로 번역하여 간행까지 했다는 점에서 그 意義가 적지 않다고 하겠다. This copy considered the motivation, background, purpose of Tanheo's translation with Buddhist sutras, the point of view and a style of translation with scriptures, the sorts of scriptures translated, the characteristic of original script, and the meaning in history his translation work had and the influence to Gangwon education ect. Tanheo had started publishing the translation with Hyuntoe,『Yukjodan-gyeong』, in 1960 and made complete translations with basic sutras to study in Korea buddhism which including textbooks used at traditional Gangwon for about 23years and important zen quotations, published them until his death(70years-old) in 1983. The sutras he translated with Hyuntoe are 『Yukjodan-gyeong』(Vol. 1, 1960), 『Bojo's literature of Buddhism』(Vol. 1, 1963), 『Youngga's colleted writings』(Vol. 1), 『The New Avatamska Sutra treatise summing all』(Vol. 47, 1975), 『Seojang』(Vol. 1, 1976), 『Doseo』(Vol. 1, 1976), 『Jeolyo』(Vol. 1, 1976), 『Seonyo』(Vol. 1, 1976), 『The Surangama Sutra』(Vol. 5, 1981), 『The Mahayanashraddhotpada Shastra』(Vol 3, 1981), 『The Diamond Sutra』(Vol. 3, 1981), 『The Mahavaipulya-purnabudha Sutra』(Vol. 3, 1981), 『The door of monasticism』(Vol. 1, 1982)과 『The Initial Self-discipline』(Vol. 1, 1982) - 14 kinds, 70 volumes. And also there are total 17 kinds 76 volumes including『Juyeokseonhae』(Vol. 3) which written by seon monk UikJiuk(1599-1655) in the Ming Dynasty,『Lao-tzu Dao De Jing』(Vol. 3) and『Jangja』(Vol. 1), not buddhist scriptures. The reason Tanheo made a complete translation, publication of the basic sutras in Korea Buddhism as texts of traditional Gangwon was to use as textbooks for training the talented, au fond the spirit of education, so called training the talented, and the spirit of reformation for youngers were based. Because it was also that Tanheo had tried to boost up the business(everlasting business) through education and fostering students that would not be the end. If examining the sutras Tanheo translated, we can find some significants. First, if we look at the sutras he translated, mostly they are the texts in use at traditional Gangwon as the basic sutras of Korea buddhism, Second, if looking into the annotation book of his translation text, not the book putting more weight on a literal interpretation traditional Gangwon considered as important, it was the book focusing on meaning interpretation, interpreted with the point of view of Seon. Third, Tanheo's translation texts were all choosing the way of literal interpretation. It was because any personal thought of interpreter should not be in the translation of sutras. And also he had thought that a literal interpretation been needed to educate the talented, in other word, a professional scholar. As mentioned above, Tanheo had translated and published almost all the basic sutras considered significant in Korea Buddhism including texts in use at traditional Gangwon, we can say what he had done the vast store by himself from translation to publication without any national or denominational help doesn't have a little meaning.

      • KCI등재

        운허의 탁상일기를 통해 본 역경사업

        김동혁(지환) 대각사상연구원 2014 大覺思想 Vol.2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운허(1892∼1980)의 역경활동을 재구성해 보는데 있다. 한국불교 현 대사의 한 가운데 운허가 있듯이, 운허의 삶 한 가운데 역경활동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운허의 탁상일기(卓上日記)를 분석하고 자 하였다. 1959년부터 20년간 하루도 빠짐없이 자신의 활동을 기록한 이 자료에는 역 경원의 설립과 관련된 공적 차원의 역경사업의 역사적 맥락뿐만 아니라 관련 인물, 관 련사건, 그리고 관련 문헌까지도 소상하게 적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탁상일기를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첫 부분은 1959년 1월 1일부터 역경원 설립 이전시기 이고, 두 번째 부분은 1964년 7월 21일부터 1968년 말까지로 역경원의 설립과정 및 성 립 이후의 시기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우리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하였다. 첫째, 운허는 거의 하루도 빠짐없이 역경활동을 지속하였다. 둘째, 운허는 동국역경원을 설립하여 역경사업을 공식기구를 통해 제도적 차원에서 영원히 이어가고자 하였다. 셋째, 역경인력(역경사) 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운영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역경활동을 통하여 거 의 대부분의 한문 경전을 한글화하여(‘한글 대장경’은 그 대표적 성과다) 누구나 부처 님의 말씀을 읽고 이해할 수 있는 문화사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운허의 삶의 전모는 말할 것도 없고 그의 역경활동조차도 충분히 드러내지 못하였다는 결정적인 한계를 지니고 있다. 그 것은 지면의 제약 때문에 정리된 자료마저도 그 일부만을 공개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 다. 이 연구를 계기로 운허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촉발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itute sutra translation activity of Unheo (1922-1980). As there is Unheo in the midst of modern history of Korean Buddhism, there is sutra translation activity in the midst of Unheo's lif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so-called ‘Unheo's desk diary’ is analyzed. In this data which wrote down his own activities for 20 years from 1959 without ever missing a day were recorded not only sutra translation work in public dimension such as establishing the Sutra Translation Center but also historical context of sutra translation work, people involved, affairs concerned and literatures related in detail. In this study the diary is divided roughly into two parts to be analyzed; the first part covers the period from January 1, 1959 to the time of establishment of the Sutra Translation Center and the latter part from July 21, 1964 though the end of 1968 which is the period of construction of the Center and afterwards. Through this study, following facts are found. Firstly, Unheo continued sutra translation activity without a day break. Secondly, Unheo aimed at establishing 'Dongguk Translation Center and sustaining the translation activity permanently on the institutional aspect through the public institute. Thirdly, he operated educational courses to train professional sutra translators. And, lastly, through the sutra translation activity mentioned above he endeavored to translate sutra mostly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into Korean(‘The Tripitaka Koreana’ is his representative work.), which laid cultural historical groundwork for making everyone enable to read and understand ‘Buddha's teaching’. In spite of results of this study, there is critical limitation that this study cannot so much as reveal his sutra translation activity fully to say nothing of his whole life. The reason why is that nothing remains but to show a part of data, even summarized, due to limited space. It is expected that further full-fledged study on Unheo is triggered by this study.

      • KCI등재

        『楞嚴經』 傳譯의 전개와 특징

        황영희(Hwang Young Hee) 한국불교연구원 2016 불교연구 Vol.45 No.-

        『능엄경』은 일찍이 우리나라, 중국 등지에서 수행자들의 긴요한 지침서로서 널리 연구되고 지송되어 온 경전이다. 『능엄경』은 당, 송, 명대를 거쳐 오면서 많은 주석서와 논서들이 간행되었으며, 특히 능엄주는 지금까지도 많은 사람들에게 愛誦되고 있다. 그러나 일본의 유명한 道元禪師가 『능엄경』은 僞經이기 때문에 연구할 가치조차 없다고 할 정도로 아직도 眞僞論에 휩싸여 있는 채 傳譯說조차 일관된 正說없이 1200여년을 지나게 된다. 그러던 중 1900년경 중국의 돈황현에 있는 돈황석굴에서 3~4만권의 古寫本類가 발견되는 과정에서 現存最古本의 『능엄경』이 발견된다. 하지만 돈황본 『능엄경』은이제까지 분분하던 『능엄경』의 傳譯에 대해서는 아무런 내용 없이 곧바로 本文이 시작된다. 다만, 경전의 본문 가운데 房融이나 懷迪이라는 메모가 발견된 것에서 『능엄경』이 돈황석굴에 수장되기 이전부터 懷迪이나 房融에게 傳譯을 假託하기 위한 것이라고 추정하게 된다. 이것으로 기존의 모든 학설들이 허구로 날조된 것임이 증명된 것이다. 따라서 본 논고는 기존의 이러한 학설들이 시대를 거치면서 어떻게 변천해 왔는지를 정리하고, 현존 最古本의 『능엄경』이 발굴됨에 따라 기존의 전역설과 이에 대한 모순점을 검토한 후, 돈황본 『능엄경』을 중심으로 하면서 최근 일본에서 연구되고 있는 고사경본 중에서 『속고금역경도기』에서의 『능엄경』 전역설을 참고하여 기존의 전역설에 대해 재수정하였다. Surangama Sutra is a scripture which was broadly studied and read as a critical guide of disciplines across Korea and China from an early period. Therefore, Surangama Sutra was accompanied by commentary and editorials while passing through Tang Dynasty, Song Dynasty and Ming Dynasty and Neungeumju is particularly beloved by many people. However, its authenticity is in the issue and is suspected as a counterfeit. Tougenshinsha, a famous shrine of Japan argues that Surangama Sutra is a counterfeit so it is not even worth for a research. Due to its suspect as a counterfeit, there were no consistent theory about translation of Surangama Sutra for the 1200 years. Then by 1900s, original ancient copies of 3~40,000 books were discovered in Dunhuang Cave in Dunhuang hyun(敦煌 縣) in China. The existing oldest original version of Surangama Sutra was also discovered together. Without mentioning diverse opinions about translation of Surangama Sutra, however, the main parts is starting immediately in the Surangama Sutra of Dunhuang(敦煌) Manuscripts. Only notes such as Bangyung or disappearance were discovered in the main parts. This suggests that before the Surangama Sutra was buried in the Dunhuang cave, it was used to make an excuse for translation to Huidi or Bangyung. It proved that the existing theory is forged fiction. Therefore, this paper studied how the forged fiction theory has been varied throughout different periods with a reference to various literatures. Since the existing oldest version of Surangama Sutra was discovered, the future task is to re-correct all the existing theories including translation and reconstruct theory with a focus in Surangama Sutra of Donwhangbon and find an original feature of the new Surangama Sutra.

      • KCI등재

        『대불정능엄경』의 전역과 『수능엄경』·『수능엄삼매경』과의 관계성 연구

        이영 ( Lee You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9

        705년 唐에서 번역된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이하 『대불정수능엄경』)은 우리나라 사찰 강원의 4교과의 하나로 지정되어 있는 등 매우 중요시된 경전이고 중국에서도 149종의 주석서를 가진 경전이다. 그러나 이 경이 번역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이른 시기부터 위경설이 있어 왔고 최근에는 중국 찬술설까지 대두되었다. 한편 이 경이 번역된 때로부터 500년쯤 전에 이미 이 경과 이름이 비슷한 『수능엄경』·『수능엄삼매경』이 존재했었다. 『대불정수능엄경』에 대한 위경·중국찬술설이 대두된 것은 동일본의 번역자가 2명이 있다거나 傳譯 記事가 역사서인 『唐書』의 기록과 다른 점, 다른 경전과 비슷한 내용 그리고 중국적 색채가 뚜렷한 번역어 등 때문이고 범문 원문이 없으며 역사서에 전역자 기록이 없다는 점도 그 이유가 되었다. 불경은 패엽경으로 편찬된 이래 필사본으로 유통되었고, 전역에 관한 기사는 傳聞 기록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이런 기록과 『당서』와의 다른 점 때문에 위경이라고 판단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 또 경전 간 용어·내용의 중복은 다른 경전에서도 매우 광범위하고 나타나 있다. 번역어도 번역자의 선택일 수 있으므로 명백한 증거로 보기 어렵다. 따라서 명백한 증거도 없이 기록 간 차이나 번역어 몇 단어만을 가지고 표절이라거나 위경 또는 중국 찬술이라는 주장은 합리적 결론이 아니다. 현존하는 최고의 經錄集인 『出三藏記集』(510~518년)에는 『수능엄경』과 『수능엄삼매경』[또 다른 이름: 『勇伏定經』(291)]이 각각 기록되어 있다. 현존하는 경전은 구마라집이 번역한 『수능엄삼매경』과 『대불정수능엄경』이다. 이들 두 경은 여래의 힘에 관한 유사한 내용이 있다. 전자에는 여래장과 같은 교리가 있고, 후자에는 여래장이라는 단어가 직접 나타나는 등 두 경의 관계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失傳된 『수능엄경』들, 『수능엄삼매경』, 그리고 『대불정수능엄경』이 동일 경전 또는 같은 계통의 경전인지에 대한 정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대불정수능엄경』에 대한 위경설 등의 논란은 재고되어야 한다. Surangama Sutra(705, Pramiti translation. 반자밀제 譯) has been one of the most Buddhist texts in Korea and China. The other hand, some have argued that the sutra was manipulated from Tang Dynasty period. The why they have argued is that there were two translator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ng history(『唐書』) and the notes of the translation and so on. In addition, It is claimed that it was written in China. However, in an early period of Buddhist history, most of sutras were a handwritten book. There is also a possibility that it was the note records, by the story which has been transmitted, not confirmed. With these considerations in mind, it is not a reasonable conclusion if one judges Buddhist Pseudograph by difference of note records without clear evidence. In other respects, Chulsamzanggijip 『出三藏記集』[A Collection of Records on the Emanation of the Chinese Tripitaka], the oldest the list of sutra in China which is currently existing, has lists of Surangama Sutra and Surangamasamadhi Sutra. And 『續古今譯經圖紀』 has notes of Pramiti`s Surangama Sutra. Surangama Sutra does not currently exist. But only fragmentary records remain. One kind of Surangamasamadhi Sutras is completely transmitted. Pramiti`s Surangama Sutra too. It could be said that these three sutras are relevant in terms of content, such as, explanation of Samadhi, Buddha`sermon based on the tathagata-garbha and so on. In general terms, the controversy over the Buddhist Pseudographia should be reconsidered. The relevance of the three sutras needs to be investigated.

      • KCI등재

        간접번역과 번역교육: 금강경에 포함된 붓다의 명호번역을 중심으로

        이승재 한국번역학회 2019 번역학연구 Vol.20 No.4

        This study takes the Diamond Sutra, which is most honored by the Mahayana Buddhism and is endeared as a jewel of religious literature, and explores some problems on the indirect translation of Korean Diamond Sutra from Chinese translation. In order to do this, the Chinese translation of Diamond Sutra (402), the oldest and most authentic version was taken as a source text, and other translations such as one Korean translated Diamond Sutra and three other versions of English translation are compared with special focus on three appellations(佛, 世尊, 如來) mainly used for designating the enlightened religious leader in Buddhism(Gautama Siddhartha). These are generally assumed to be the epithets of Buddha and people freely use them without much attention of each terminology’s meaning and usages.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the three appellations have specific usage and meaning in the context and concludes that 佛 is a generic term for designating the enlightened person and is translated as Buddha or Lord; 世尊 is a term used in the conversation with implication of speaker’s respect and honor and is translated as Bhagavan; 如來, Tathagata, is the identical third party of the enlightened which is mainly used for designating an ideal truth or goodness in the context of conversation in the Diamond Sutra. Moreover this study has the educational implication on the translation-the limit of the indirect translation.

      • KCI등재

        불교 경전 번역의 변천에 관한 고찰

        박윤철(Park Yoon Cheol) 한국통번역교육학회 2017 통번역교육연구 Vol.15 No.1

        This research focuses on examining the history and transition of Buddhist sutra translation. Its intention comes from the fact that its analytical data on the transitional process of Buddhist sutra translation were not sufficient. So, this research tried to find how Buddhist sutra introduced to Korea and what processes it has gone through from the past to today. The Buddhist sutra has a variety of types and contents. It is actually divided by Five or Ten Taxonomy. It means that the Buddhist sutra like other religion books has systemicity and formality. And the Buddhist sutra includes divers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its formation process, its translational history, and four meetings for writing sutra. About its formation process, it was made by monks’ a lot of meetings and discussions for a long time. It implies that translators need to know the background knowledge about the Buddhist sutra because translation is related to the second information or theme knowledge. Therefore,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better translation through the history and transition of the Buddhist sutra.

      • 동국대학교박물관 소장 백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보현행원품

        조은주(eunju Cho) 동국대학교 박물관 2024 佛敎美術 Vol.35 No.-

        “The Means of the Practices and Vows of Samantabhadra Bodhisattva of the Avatamsaka Sutra Written in Gold on White Paper”, which is part of the collection of the Dongguk University Museum, is a copy of a chapter of the Avatamsaka Sutra written in gold on white mulberry paper. It was produced in 1390 by the monk- scribe Huisun Gosan under the patronage of a group of devout Buddhists including Gang U-chun, who was then serving as a minister of the Goryeo dynasty. The remaining copy starts from the hymn in the second half of Fascicle 40 of the 40-fascicle Avatamsaka Sutra. This handwritten copy of the sutra consists of two pages of scriptural illustration, twenty pages of sutra text, and two pages of prayer, but it is missing its covers. The frontispiece contains two scenes, of which the one on the right depicts the Tripitaka Master Prajna translating a Buddhist scripture, while the one on the left shows Samantabhadra Bodhisattva giving a sermon to Sudhana. Of the many scriptural illustrations produced in the Goryeo period, this is the only example to depict a scene showing a translation of a Buddhist sutra. The scrollwork lying across the knees of Samantabhadra Bodhisattva, as depicted on the left of the frontispiece, shows certain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sutras copied in the fourteenth century. At the end of “The Means of the Practices and Vows of Samantabhadra Bodhisattva of the Avatamsaka Sutra Written in Gold on White Paper” there is a prayer written on two pages, which provides information about when and by whom the sutra was copied. This particular handwritten sutra is a considered a significant historical documentary heritage in that it retains the record of its production date and also provides insights into the trend of sutra copying with scriptural illustrations in Korea in the fourteenth century and the development of the tradition.

      • KCI등재

        ‘고승전’ 역경편으로 본 중국 초기 불교의 전개

        한지연(Han, Jee Yeon) 한국불교연구원 2011 불교연구 Vol.34 No.-

        불교는 기원전후를 기점으로 서역의 각 오아시스 국가들을 거치면서 동아시아로 전해진다. 그 과정에서 사상면․문화적면에서 변화와 발전을 겪게 된다. 불교가 중원 땅에 들어서면서 발원지인 인도와는 판이하게 다른 면모로 발전하는 과정도 거치게 된다. 이러한 변화 및 발전에는 여러 요인이 있으나 경전이 번역되는 과정, 즉“譯經” 문제를 『양고승전』 및 『속고승전』 역경편의 체계를 통해 그 면모를 본다. 『양고승전』은 시대순으로 역경에 종사한 고승들을 기록하되 당시 불교사상의 흐름상 큰 맥을 형성하는 인물을 중심으로 그 권수를 달리하는 체계를 지니고 있다. 이에 비해 『속고승전』은 주로 황실을 중심으로 譯經史를 정리하고 있다. 다시말해 황제의 명으로 역경 및 저술서를 편찬한 인물들을 중심으로 편집된 것이다. 『고승전』이 『속고승전』에 비해 비교적 국가와의 관계에서 자유롭기는 하나 인물들의 활동시기에 대해 착오를 일으키는 오류를 범한 부분들이 보이므로 『속고승전』과 비교해본다면 세밀함이 떨어진다. 또한 역경된 경전의 성격으로 보면 5호 16국시대, 인도 및 서역에서 주로 유행하던 비담부 혹은 율부 계통의 경전이 번역된다. 때문에 이 시기까지는 능동적으로 불교사상을 받아들이기보다는 서역승려들이 중국 불교를 이끌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동안 수당시대 불교성격을 국가불교화된 불교라 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러한 성격은 이미 남북조시대에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남조에서 불교사상을 이끌어갔던 주체는 바로 황실이라는 점이다. 때문에 역경사업 역시 남북조시대부터 제도화되기 시작했으며 수당시대 들어 국가의 지원 하에 활성화된 것이다. 초기 역경에 참여하는 인물들이 주로 인도 혹은 서역출신의 승려들이 대거 참여하고 있다. 이후 불교 흥성기, 즉 수당시대에 들어서면서 역경사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이 부분에 대한 연구가 심도 있게 진행된다면 중국 초기 불교의 발전 양상을 이해하는 데 한층 다가설 수 있을 것이다. Around the Nativity, Buddhism had been spread to East Asia away from its origin through the countries near oases on the Silk Road. On this long journey, it had been transformed and developed in many ways with meeting various ideologies and cultures. As a result, when Buddhism was finally introduced in China, it was a lot different from what it had been in India. There were many reasons causing the changes and one of them was the translation of sutras. I here research the hallmark of translation of sutras in early China through comparing the systems of Liang-gaoseng-zhuan and Xu-gao-seng-zhuan. Liang-gao-seng-zhuan was about the master monks who had worked on the translation in chronological order and divided volumes according to the historically significant masters. On the contrary, Xu-gao-seng-zhuan was mostly about the monks who had translated or written sutras by Chinese Imperial orders. Comparing Liang-gao-seng-zhuan to Xu-gao-sengzhuan, Liang-gao-seng-zhuan is relatively away from the relations among nations. But it is also noted for its inaccuracies such as some monks' days were mistaken. The translated sutras were mostly Abhidarma's or Vinaya's ones which were popular in India and the countries on the Silk Road in the time of Sixteen Kingdoms of Five Ethnic Groups. Judging from a variety of circumstances, it is more likely that the monks from the Silk Road were at the head of spreading Buddhism in China rather than China itself voluntarily accepted it. Buddhism in Sui, Tang Dynasty has been characterized as the national Buddhism so far. However its closeness to the government had been already found 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Especially in Southern Dynasty, the Imperial Family support made a considerable progress on Buddhism's development. The translation work also had been systemized under the government's support since the time of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When it came to Sui, Tang Dynasties, the translation work became much lively in earnest. The early work of translating sutras was mostly accomplished by the monks from India and the Silk Road. Later as Buddhism flourished in the time of Sui, Tang Dynasties, the translation work became active as well. Consequently the research on the translating sutras may help to understand the changes of the early Chinese Buddhism.

      • KCI등재

        운허의 『금강경』한글 번역에 대하여

        김치온 대각사상연구원 2014 大覺思想 Vol.21 No.-

        『금강경』이 최초로 한글로 번역되는 것은 1461년 간경도감이 설치되고 1464년에 『금강경언해』가 나오면서 부터이다. 그 이후 1922년에 용성선사에 의해 한글로 번역되었다. 그 후에도 60년대에 들어와서야 1965년에 백봉 김기추, 해안에 의해서, 그리고 그 이듬해 1966년 운허에 의해 한글로 번역되었다. 1966년에 초판 발행된 운허의 『금강경』번역은, 선행하는 세 분들의 번역과 비교해 볼 때 확실한 차이를 느끼게 한다. 먼저 운허가 사용하고 있는 번역용어는 당시 그 시대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던 한글용어를 채택하고 있다. 즉 한자투의 불교용어를 최대한 뜻에 맞추어 한글용어를 채택하고 전체적인 문맥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문장을 구성하였다. 구마라집은 nimitta, saṃjñā, lakṣaṇa 등 세 용어에 대해 동일하게 相으로 한역하였고 용성, 백봉, 해안이 모두 相으로 번역하였지만, 운허는 『금강경』의 문맥과 전체적인 뜻에 맞추어 모양, 모양다리, 고집, 몸매 등으로 구분하여 번역하고 있다. 즉 nimitta는 모양다리라고 번역하였으며, saṃjñā에 대해서는 모양다리, 고집, 모양 등으로 각각 문맥에 따라 달리 번역하였으며, lakṣaṇa의 경우도 몸매라고 번역하였으나 모양이라고 번역한 경우도 있다. 특히 모양이라고 번역한 경우는 두 경우인데, 구마라집의 한역에서 ‘是實相者則是非相 是故如來說名實相’과 ‘凡所有相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則見如來’의 경우이다. 實相의 경우 相의 범어 원어는 saṃjñā이며, 뒷 문장에서의 相의 원어는 lakṣaṇa이다. 이 경우 용성, 해안, 백봉 등은 모두 상으로 번역하고 있고 운허는 모양으로 번역하고 있으나, 그 의미 내용은 모두 nimitta, saṃjñā, lakṣaṇa 등 세 용어의 의미 내용을 넘어서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는 동아시아 『금강경』해석의 특징적인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四相의 해석에 있어서도 운허는 앞서 행한 풀이와는 달리하고 있는데, 특히 我相을 ‘五蘊으로 된 이 몸을 참말 나라고 집착하는 것’이라고 하여 我의 실체성을 부정하는 『금강경』본래의 뜻에 부합하고 있다. 또한 중생상에 대해서도 ‘나는 오온에 의지하여 살아간다는 집착’이라고 하여 오온의 상속에 의지하여 살아가는 것이 ‘나’라고 집착하는 것이라고 해석하게 된다면, 범어 원어로 살펴본 중생상이 ‘지금 그 생명의 당체가 상속하여 끊어지지 않는 것’이라고 하는 해석과 다르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운허는 선행하는 용성, 백봉, 해안의 한글역과 달리 그 당시 세간에서 널리 사용함직한 쉽고도 다양한 한글용어를 번역용어로 사용하였으며, 『금강경』의 전체적인 문맥과 뜻에 맞춘 번역이었다고 할 수 있다. The Diamond Sutra(金剛經) had been, for the first time, translated into Korean at the Gangeongdogam(刊經都監) - Royal institution for publishing Buddhist canons - where founded in 1461. Since first translation, the Diamond Sutra was re-translated by Yong-seong at 1922. Subsequently, it was translated by Baek-bung and Hea-an in 1965, then, Un -hea in 1966. Translations by Yong-seong, Baek-bung and Hea-an were, comparatively, used Chinese terminology in the chinese translation of the diamond Sutra. On the other hand, Un-hea's made use of current korean idioms for his translation. Kumārajīva translated all three Sanskrit words of nimitta, saṃjñā and lakṣaṇa into appearance(相), and so did Yong-seng, Baek-bung and Hea-an, as well. Un-hea, however, translated those words in accord with context and general meanings in Diamond Sutra. For example, nimitta was translated into form, and saṃjñā into form, stubbornness, appearance, and Lakṣaṇa into figure or appearance in a diverse textual context. As far as the Four appearances(四相) are concerned, Un-hea, differently with his forerunners, interpreted in his own ways. Especially Un-hea interpreted Ātma-saṃjñā(我相) into the attachment of Five khandhas as real Self. This interpretation corresponds to real meaning of the Diamond Sutra. In Sattva-saṃjñā(衆生相), Un-hea interpreted Sattva-saṃjñā(衆生相) as the attachment that we exist dependent on the Five khandhas. This interpretation does not differ from meaning of Sanskrit. Geneally speaking, Un-hea, unlikely other translations, used easy and various terminology for translation that was widely used in that time. Therefore, his translation could be evaluated high in public estimation as for the context and meaning of the Diamond Sut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